KR101418556B1 - Toe socks - Google Patents

Toe soc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556B1
KR101418556B1 KR1020120139836A KR20120139836A KR101418556B1 KR 101418556 B1 KR101418556 B1 KR 101418556B1 KR 1020120139836 A KR1020120139836 A KR 1020120139836A KR 20120139836 A KR20120139836 A KR 20120139836A KR 101418556 B1 KR101418556 B1 KR 101418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hole
wall portion
sock
t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8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1816A (en
Inventor
진성복
Original Assignee
진성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복 filed Critical 진성복
Priority to KR1020120139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556B1/en
Publication of KR20140071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8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5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4Hosiery with separated toe 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가락 양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가락 양말은, 내측으로 사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을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진 양말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발가락 측 단부에서 발꿈치 측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인접한 발가락들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부로부터 저부까지 관통된 개의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의 측면에는 상기 외피와 연결된 벽체부가 형성되어 있어, 관통홀은 벽체부에 의해 수용공간과 차단되어 있으며, 외피의 내부에는 관통홀 둘레의 벽체부 단부로부터 발가락 측 단부까지 일체로 연통되어 인접한 발가락 단부가 서로 접촉 가능하도록 된 연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미관상 거부감이 없으면서, 착용감이 좋고, 착용이 용이하며, 무좀 방지를 위한 통기 기능을 갖춘 양말이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oe socks.
The toe soc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using space in which a user's feet are accommodated inwardly and which surrounds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sock, the housing has a toe, which is adjacent to the heel side, And a wall portion connected to the outer shell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through hole is blocked from the receiving space by the wall portion, And a communicating portion which is integrally communicated from the end portion of the wall portion around the through hole to the toe side end portion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hell so that the adjacent toe ends can contact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ck provided with a ventil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athlete's foot from being well-worn, easy to wear, and having no cosmetic rejection.

Description

발가락 양말{TOE SOCKS}Toe socks {TOE SOCKS}

본 발명은 미관상 거부감이 없으면서, 착용감이 좋고, 착용이 용이하며, 무좀 방지를 위한 통기 기능을 갖춘, 발가락 양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e sock having a comfortable feeling, easy wearing, and a ventil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an athlete's foot, without any cosmetic rejection.

현대인들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각종 질병이나 질환에 시달리고 있다.Modern people are suffering from various diseases and diseases regardless of sex.

바쁘게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점점 더 양말이나 신발을 신고 움직이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습기가 많고 온도가 높은 곳에서 잘 서식하는 무좀균에 감염되어, 고통 받는 경우가 많아지는 추세이다.Today, busy people are increasingly moving their socks or shoes to move, which makes them more susceptible to infection with athlete's bacilli that live well in humid and high temperature areas.

이러한 환경적 요인에서 무좀균이나 습진, 기타 발에 관한 질환을 예방하려면, 양말이나 신발을 장시간 신고 있어서 빚어지는 온도 상승 및 땀으로 인한 습도 상승을 막아주어야 하는데,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종래에는 발가락 양말을 사용하였다.In order to prevent diseases such as athlete's foot, eczema and other foot from such environmental factors,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temperature rise due to wearing socks or shoes for a long time and the increase in humidity caused by sweat. To solve this problem, Respectively.

발가락 양말은 발가락을 분리 시켜줌으로써, 상기에서 제기되었던 온도와 습도의 상승을 낮추어 주고, 궁극적으로 무좀균 서식 환경을 척박하게 하여, 무좀을 예방하는데 커다란 기여를 해왔다.Toe socks have been a major contributor to the prevention of athlete's foot by separating the toes, lowering the elevated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s mentioned above, and ultimately obstructing the athlete's habitat environment.

그러나, 상기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발가락 양말을 신을 시, 발가락 부분이 타인에게 노출되어, 상대방으로 하여금 혐오감을 주고, 사용자는 수치심을 느끼게 되어, 발가락 양말 신는 것을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despite the above advantages, when the toe socks are put on the wearer, the toe portion is exposed to the other person, the opponent gives a disgust, the user feels sha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he is reluctant to wear toe socks.

그 이후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덮개가 있는 발가락 양말이 공개된 바 있다.Since then, toe socks with cover have been released to alleviate this problem.

"발가락 속 양말"(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2059호, 특허문헌 1)에는 외피의 내측에 천조각으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칸막이가 재봉되어 발가락 삽입시 칸막이에 의해 서로 분할되며, 외부에는 외피로 인해 겉모양새가 일반 양말과 같이 시각적 거부감이 없어지도록 하였다.In the "socks in the toes" (Korean Utility Model Laid-Open Utility Model No. 20-0182059, Patent Document 1), a plurality of dividers made of cloth pieces are sewn on the inside of the outer shell, divided by a partition when inserting the toes, This caused the visual appearance to disappear like a normal sock.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결과적으로는 발가락이 있는 부분에 두 개의 천이 덧대여져 있는 결과가 되어 온도 및 습도 상승으로 발가락 양말이 가지는 장점을 반감시키며, 칸막이가 보이지 않아 착용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a result, the above-mentioned technique has resulted in two cloth pads on the toe portion, which reduces the advantages of the toe sock due to temperature and humidity rise, and is inconvenient to wear because the partition is not visible.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개폐식의 덮개가 형성된 발가락 양말"(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7399호, 특허문헌 2)가 공개된 바 있다.As an alternative for solving such a problem, "a toe sock with a cover of a retractable type" (Korean Utility Model Laid-Open No. 20-2009-0007399, Patent Document 2) has been disclosed.

상기 기술은 원활한 환기를 위해 발가락 길이의 중간 부분까지 직조하여 트임부를 형성하고, 그 위에 개폐식의 덮개를 형성하였다.In order to facilitate ventilation, the technique described above was used to weave to the middle of the toe length to form a trim, and an openable lid was formed thereon.

이는 미관상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발가락 사이의 환기를 비교적 높여줄 수 있다.This can compensate for the cosmetic drawbacks and can increase the ventilation between the toes relatively.

그러나, 개폐식 덮개를 사용함에 있어서 개폐식 덮개가 뒤로 접혀질 때 발바닥에 두 천이 층을 이루는 구조가 되므로 사용자는 발바닥에 이물질이 있는 느낌을 받아 착용감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lid is use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lid is folded back, the user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layers are formed on the soles of the feet, so that the user feels a foreign substance on the soles of the feet.

이처럼, 발가락 양말이 공개된 이후 매우 다양한 기술들이 공개되어 왔으나, 시각적 미감을 만족시키면서 착용감을 만족시키고, 착용이 용이하며, 무좀 방지의 기능성을 모두 만족한 양말이 아직까지 공개되지 아니한 바, 발가락 양말의 기능적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착용 사례가 그다지 증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closure of the toe socks has been widely disclosed, a variety of techniques have been disclosed. However, socks satisfying the visual aesthetics, satisfying the fit, being easy to wear and satisfying the functionality of preventing athlete's foot have not yet been disclosed, Despite the functional excellence of the wearer.

이에, 위와 같은 네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발가락 양말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라 할 것이다.
Therefore, development of toe socks satisfying all the above four conditions is necessary.

KR 20-0182059 (2000.03.03)KR 20-0182059 (Mar. 3, 2000) KR 20-2009-0007399 (2009.07.22)KR 20-2009-0007399 (July 22, 2009)

본 발명의 발가락 양말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미관상 거부감이 없으면서, 착용감이 좋고, 착용이 용이하며, 무좀 방지를 위한 통기 기능을 갖춘 양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toe s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aims to provide a sock having a breathable function for preventing an athlete's foot without wearing aesthetic sense, having a comfortable fit,

보다 구체적으로, 양말의 외피 선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각 발가락들의 사이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의 측면은 외피와 연결되는 벽체부를 형성함으로써 외관상으로 발가락 단부가 벌어져 있지 않아 시각적 미감을 만족시키고, 저부나 상부에 돌출된 부분이 없고, 착용한 상태에서 발가락을 자유롭게 벌릴 수 있어 착용감을 만족시키고, 착용 과정에서 관통홀 측면의 벽체부가 벌어져 착용이 용이하며, 발가락 사이 부분이 서로 맞닿지 않으면서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을 통해 외기의 접근이 이루어져 통기성을 높이려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a through hole is vertically passed through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pace between the toes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end of the sock, and the sid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with a wall portion connected to the skin, And the toe can be freely opened in the state of being worn, so that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feeling of wearing, and the wall part on the side of the through hole can be easily worn during the wearing process, The toes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the air is accessed through the through holes that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by enhancing air permeability.

또, 일부 발가락 사이는 외피 전방까지 절개하여 트임으로써 쪼리와 같은 슬리퍼 착용이 용이하게 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between some toes, it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wearing of a slipper such as a slipper by cutting to the front of the outer skin.

또한, 벽체부의 내측으로 외피 내측 단부까지 연결된 칸막이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발가락 단부끼리의 접촉을 방지하여 무좀 방지 기능을 증대시키려는 것이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partition member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ll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shell, contact between the ends of the toes is prevented, thereby enhancing the athlete's foot preventing function.

더불어, 벽체부의 재질을 망사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벽체부를 통해 발가락의 사이로 외기와 접해 통기성을 높이려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wall portion is formed of a mesh material, so that the air permeability is improved by contacting the outside air between the toes through the wall portion.

본 발명의 발가락 양말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사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을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진 양말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발가락 측 단부에서 발꿈치 측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인접한 발가락들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부로부터 저부까지 관통된 개의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의 측면에는 상기 외피와 연결된 벽체부가 형성되어 있어, 관통홀은 벽체부에 의해 수용공간과 차단되어 있으며, 외피의 내부에는 관통홀 둘레의 벽체부 단부로부터 발가락 측 단부까지 일체로 연통되어 인접한 발가락 단부가 서로 접촉 가능하도록 된 연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ck having a hous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user's foot inwardly and an envelope surrounding the housing space, wherein the housing has a heel sid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side wall of the through hole and a wall portion connected to the outer wall is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through hole, And a communicating portion that is integrally communicated from an end portion of the wall portion around the through hole to the toe side end portion so that adjacent toe ends can contact with each other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hell.

이때, 상기 다수 개의 관통홀 중 일부는 외피의 발가락 측 단부까지 형성되어 전방의 외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고, 외피는 벽체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formed up to the toe side end portion of the outer sheath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er space at the front, and the outer sheath is connected to the wall portion.

또, 상기 벽체부의 발가락 측 선단으로부터 발가락측 외피 내부까지 연결하는 칸막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artitioning portion for connecting from the toe side end of the wall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toe side sheath is formed.

아울러, 상기 벽체부는 망사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wall part is made of a mesh material.

본 발명에 의해, 미관상 거부감이 없으면서, 착용감이 좋고, 착용이 용이하며, 무좀 방지를 위한 통기 기능을 갖춘 양말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ck provided with a ventil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athlete's foot from being well-worn, easy to wear, and having no cosmetic rejection.

보다 구체적으로, 양말의 외피 선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각 발가락들의 사이에 대응되는 지점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의 측면은 외피와 연결되는 벽체부를 형성함으로써 외관상으로 발가락 단부가 벌어져 있지 않아 시각적 미감을 만족시키고, 저부나 상부에 돌출된 부분이 없고, 착용한 상태에서 발가락을 자유롭게 벌릴 수 있어 착용감을 만족시키고, 착용 과정에서 관통홀 측면의 벽체부가 벌어져 착용이 용이하며, 발가락 사이 부분이 서로 맞닿지 않으면서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을 통해 외기의 접근이 이루어져 통기성이 높아진다.More specifically, a through hole is vertically passed through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pace between the toes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end of the sock, and the sid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with a wall portion connected to the skin, And the toe can be freely opened in the state of being worn, so that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feeling of wearing, and the wall part on the side of the through hole can be easily worn during the wearing process, The ventilation holes are opened and the ventilation holes are penetrated upward and downward, so that the ventilation is improved.

또, 일부 발가락 사이는 외피 전방까지 절개하여 트임으로써 쪼리와 같은 슬리퍼 착용이 용이해진다.In addition, between some toes, the slit is slit to the front of the outer skin, and the slipper, such as a slipper, is easily worn.

또한, 벽체부의 내측으로 외피 내측 단부까지 연결된 칸막이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발가락 단부끼리의 접촉을 방지하여 통기성을 보다 증대시키고, 무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Further, by providing a partition member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wall portion, contact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toes can be prevented, thereby further improving air permeability and preventing athlete's foot.

더불어, 벽체부의 재질을 망사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벽체부를 통해 발가락의 사이로 외기와 접해 통기성이 높아진다.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wall portion is made of a mesh material, so that the air permeability between the toes and the outside air is increased by the wall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발가락 양말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관통홀 주변의 벽체부가 벌어지지 않은 상태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관통홀 주변의 벽체부가 벌어진 상태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일측의 두 발가락 사이의 관통홀이 단부까지 연장되어 외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벽체부와 외피 사이에 칸막이부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관통홀의 형성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관통홀에 망사부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a toe s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in a state in which a wall portion around a through hole is not open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in a state in which a wall portion around a through hole is opened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hrough hole between two toes on one side extends to an end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an outer space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artition is formed between the wall portion and the shell;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rmation of through holes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mesh portion is formed in a through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발가락 양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toe s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발가락 양말은 종래의 양말과 마찬가지로 내측으로 사용자의 발(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30)이 형성되어 있다.The toe soc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eiving space 30 in which a user's foot 10 is received inwardly as in a conventional sock.

아울러, 수용공간(30)의 외측으로는 수용공간(30)을 감싸는 외피(20)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pace 20 is formed outside the accommodation space 30 so as to surround the accommodation space 30.

외피(20)는 일반 면으로 구성되거나 각종 합성섬유를 혼합하여 사용되는 등 공지의 다양한 양말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The outer cover 20 may be formed of a general surface or a mixture of various synthetic fibers.

본 발명에서 상기 외피(20)는 발가락(11) 측 단부에서 발꿈치(12) 측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인접한 발가락(11)들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부로부터 저부까지 관통된 다수 개의 관통홀(40)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over 20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not shown) penetrat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toes 11 adjacent to the heel 12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toe 11 40 are formed.

이때, 관통홀(40)의 측면에는 상기 외피(20)와 연결되는 벽체부(60)가 도 2, 3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a wall portion 60 connected to the outer shell 2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40 as shown in FIGS.

벽체부(60)는 외피(2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외피(2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천을 준비하여, 양말의 외피(20)를 상하로 절개한 후 이와 연결하는 박음질을 통해 구성될 수도 있다.The wall portion 6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outer covering 20 so that the outer covering 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covering 20. The outer covering 20 may be formed in a separate cloth, It may also be constituted by stitching.

따라서, 관통홀(40)은 벽체부(60)에 의해 수용공간(30)과 차단되어 있게 된다.Therefore, the through hole 40 is blocked by the wall portion 60 from the receiving space 30. [

더불어, 관통홀(40)이 외피(20)의 내측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외피(20)의 내부에는 관통홀(40) 둘레의 벽체부(60) 단부로부터 발가락(11) 측 단부까지 일체로 연통되어 인접한 발가락(11) 단부가 서로 접촉 가능하도록 된 연통부(50)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hrough hole 40 starts from a position spaced from the inner end of the shell 20, the inside of the shell 2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40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wall portion 60 around the toe 11 side And the end portions of the adjacent toes 11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발가락 양말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발가락 양말과 다르게 외피(20) 단부가 여러 갈래로 분기되어 있지 아니하고, 하나의 곡선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어 시각적 미감을 만족시켜주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toe sock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s formed by forming a curved line without dividing the end portion of the outer sheath 20 into several branches unlike the conventional toe sock, Satisfaction.

보다 구체적으로, 발가락(11) 사이가 벌어진 종래의 발가락 양말을 착용할 경우 이를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무좀에 걸린 사람이라는 인상을 심어줘 착용자에게 창피함을 주고, 양말 끝이 벌어져 있어 시각적으로 어색한 느낌을 주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양말 단부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불편함을 제공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when wearing a conventional toe sock with a toe (11) between them, the viewers gave the impression that the person was athlete's foot, giving embarrassment to the wearer, and giving the appearance of the sock to be visually awkwar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s of the socks are integrally formed, so that such inconvenience is not provided.

또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통홀(40)이 형성된 부분도 평상시 착용시에는 관통홀(40)이 벌어지지 않아 이 부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특히 어두운 색으로 외피(20)가 구성될 경우 시각적으로 잘 인식되지 않게 되어 시각적 미감을 만족시켜주게 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through hole 40 is formed, the through hole 40 is not opened so that no special attention is paid to this portion, If it is constructed, it will not be visually recognized and will satisfy visual aesthetics.

한편, 본 발명에서 구비된 관통홀(40)은 종래의 발가락 양말 중 양말 내부에 칸막이나 벽체를 형성한 양말과도 차별된다.Meanwhile, the through-hole 4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sock having a partition or a wall formed therein.

구체적으로, 종래의 발가락 양말 중 내부에 칸막이를 형성한 양말의 경우 양말을 착용하는 과정에서 칸막이에 의해 분할된 각 구역에 발가락(11)을 넣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ock having a partition formed in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toe sock, it is not easy to insert the toe 11 in each of the sections divided by the partition in the process of wearing the sock.

이는 한쪽 발가락(11)이 어느 한 구석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그 발가락(11)의 크기 등에 맞추어 칸막이가 딸려 이동하거나 신축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그와 인접한 구역이 함께 딸려 이동하게 되므로 발가락(11)의 삽입이 용이치 않게 되는 것이다.This is because, when one toe 11 is inserted into a corner of the toe 11, the partition is moved or stretch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oe 11 or the like. As a result, The insertion becomes useless.

반면, 본 발명에서와 같이 관통홀(40) 및 그 둘레의 벽체부(60)를 형성하게 되면, 양말을 착용하는 과정에서 발가락(11)의 크기나 구조 등에 따라 관통홀(40) 둘레의 벽체부(60)가 도 3과 같이 임의적으로 변형되면서 발가락(11)의 삽입이 용이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rough hole 40 and the wall portion 60 around the through hole 40 are form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toe 11, the structure of the toe 11, The portion 60 is arbitrarily deformed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toe 11 is facilitated.

또한, 종래의 칸막이형 양말의 경우 칸막이가 통상적으로 재봉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두 칸막이 사이의 구역에 삽입되는 발가락(11)이 해당 구역보다 큰 경우, 또는 양말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가락(11)을 이리 저리 움직이는 경우 불편한 착용감을 갖게 된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artition type sock, the partition is usually made by sewing. When the toe 11 inserted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compartments is larger than the corresponding area, or when the toe 11 is worn If you move around, you will have an uncomfortable fit.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유롭게 발가락(11)을 놀릴 수 있고, 발가락(11) 구조에 맞게 벽체부(60)가 벌어지게 되므로 착용감 역시 종래에 비해 더 우수해지게 되는 것이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toes 11 can freely be made to play with each other, and the wall portion 60 is open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toes 11, will be.

또한, 이러한 구조는 관통홀(40)을 통해 발(10) 저부 및 상부의 공기가 벽체부(60)와 접촉하게 되므로 무좀의 주요 원인이 되는 발가락(11) 사이 부분의 통기성이 양호해지게 되는 바, 무좀에 걸릴 가능성도 자연스럽게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air on the bottom and the top of the foot 10 comes in contact with the wall 60 through the through-hole 40, the breathability of the area between the toes 11, which is a major cause of the athlete's foot, The possibility of catching bars and athlete's foot is also lowered naturally.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양말을 착용한 상태에서 엄지와 둘째 발가락(11)에에만 줄을 끼워 사용하는 쪼리를 착용하고자 할 경우 발가락(11) 사이 단부가 벌어지지 않아 어려움을 겪을 수 있게 된다.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s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orn, when the user uses the thumb and the second toes 11 only in a row, the end between the toes 11 is not opened, .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관통홀(40) 중 일부는 외피(20)의 발가락(11) 측 단부까지 형성되어 전방의 외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고, 외피(20)는 벽체부(60)와 연결되도록 하여 쪼리 등의 착용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4, a part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40 is formed up to the end of the toe 11 of the shell 2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space at the front, and the outer shell 20 May be connected to the wall portion 60 so as to facilitate the wearing of the brush.

또한, 발가락(11)의 단부 측 보다 구체적으로 발톱이 있는 부분에 무좀이 있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벽체부(60)의 발가락(11) 측 선단으로부터 발가락(11)측 외피(20) 내부까지 연결하는 칸막이부(70)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distal end of the toe 11 of the wall portion 60 is bent from the distal end of the toe 11 to the tip of the toe 11, (70) for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outer shell (20) to the inner shell (11) side.

칸막이부(70)는 외피(20)와 동일한 재질로 박음질로 별도 연결하는 등의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ing part 70 may be formed by a method of separately connecting the partitioning part 70 with a material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outer covering 20.

이때의 칸막이부(70)는 종래의 칸막이 구조와는 다르다 할 것인데, 본 발명에서의 칸막이부(70)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40)과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기성의 저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partition part 70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partition structure. Since the partition part 7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40 penetrating vertically,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the air permeability I will not.

아울러, 통기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벽체부(60)는 별도의 망사 재질로 형성하여 이를 박음질 등의 방법으로 외피(20)와 연결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In addition, as a method for enhancing air permeability, the wall portion 60 may be formed of a separate mesh material and connected to the outer covering 20 by a method such as stapling.

또, 관통홀(40) 상부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망사 천을 덧대거나, 외피와 동일한 재질로 연이어 직조되되 외피보다 엉기게 직조되어 공기의 흐름이 원할해지도록 한 망사부(8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hole 40 is provided with a netting portion 80 which is woven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outer covering, May be additionally formed.

이러한 망사부(80)를 형성하게 되면 발가락 사이를 벌리더라도 외관상으로 양말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지 잘 모르게 되고, 그러면서도 통기가 원할히 이루어지게 된다.
If the mesh portion 80 is formed, it is difficult to know whether or not a hole is formed in the sock in appearance even when the toes are opened, and ventilation is smoothly performed.

본 발명의 발가락 양말은 덧신이나 덧버선과 같은 종류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The toe s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pplied to kinds such as booties and padding.

10 : 발 11 : 발가락
12 : 발꿈치 20 : 외피
30 : 수용공간 40 : 관통홀
50 : 연통부 60 : 벽체부
70 : 칸막이부 80 : 망사부
10: foot 11: toe
12: heel 20:
30: accommodation space 40: through hole
50: communicating part 60: wall part
70: partition part 80: mesh part

Claims (4)

내측으로 사용자의 발(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30)을 감싸는 외피(20)로 이루어진 양말에 있어서,
상기 외피(20)는 발가락(11) 측 단부에서 발꿈치(12) 측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 인접한 발가락(11)들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부로부터 저부까지 관통된 개의 다수 개의 관통홀(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40)의 측면에는 상기 외피(20)와 연결된 벽체부(60)가 형성되어 있어, 관통홀(40)은 벽체부(60)에 의해 수용공간(30)과 차단되어 있으며,
외피(20)의 내부에는 관통홀(40) 둘레의 벽체부(60) 단부로부터 발가락(11) 측 단부까지 일체로 연통되어 인접한 발가락(11) 단부가 서로 접촉 가능하도록 된 연통부(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양말.
A sock comprising a housing space (30) in which a user's foot (10) is accommodated and a housing (20) surrounding the housing space (30)
The cover 20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0 penetrat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toes 11 adjacent to the heel 12 side at the side of the toe 11, Respectively,
A through hole 4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wall 2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wall 20. The through hole 40 is blocked by the wall 60 from the receiving space 30,
A communicating portion 50 which is integrally communicated from the end portion of the wall portion 60 around the through hole 40 to the end portion of the toe 11 in the inside of the shell 20 so that the ends of the adjacent toes 11 can contact each other And a second electrode
Toe sock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관통홀(40) 중 일부는 외피(20)의 발가락(11) 측 단부까지 형성되어 전방의 외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고, 외피(20)는 벽체부(60)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양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rt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40 is formed up to the side of the toe 11 of the shell 20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space at the front and the shell 20 is connected to the wall portion 60 As a result,
Toe sock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60)의 발가락(11) 측 선단으로부터 발가락(11)측 외피(20) 내부까지 연결하는 칸막이부(7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양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artitioning portion (70) for connecting from the tip of the toe (11) side of the wall portion (60) to the inside of the toe (11) side sheath (20)
Toe sock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60)는 망사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양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ll portion (60) is made of a mesh material.
Toe socks.
KR1020120139836A 2012-12-04 2012-12-04 Toe socks KR1014185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836A KR101418556B1 (en) 2012-12-04 2012-12-04 Toe so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836A KR101418556B1 (en) 2012-12-04 2012-12-04 Toe soc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816A KR20140071816A (en) 2014-06-12
KR101418556B1 true KR101418556B1 (en) 2014-07-11

Family

ID=51126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836A KR101418556B1 (en) 2012-12-04 2012-12-04 Toe soc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55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942B1 (en) * 2016-09-27 2018-08-17 정홍기 Toe sock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411U (en) * 2008-04-08 2009-10-13 김광호 Socks with airbags or removable elements with filters or ho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411U (en) * 2008-04-08 2009-10-13 김광호 Socks with airbags or removable elements with filters or ho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816A (en)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82964A1 (en) Structure of shoe
US115644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boot comfort and style
CN205006056U (en) Antibiotic health care sports shoes
KR101418556B1 (en) Toe socks
KR200430698Y1 (en) An outer socks
CN109219362A (en) Vamp
US20140059745A1 (en) Socks for preventing creasing in footwear
KR101418558B1 (en) End part and upper part one body style toe socks
KR200182059Y1 (en) Toe undersocks
KR101452386B1 (en) End part one body style toe socks
KR101418557B1 (en) End part one body style toe socks with air hole
CN203841215U (en) Double layer screen cloth ventilation shoe
KR200422849Y1 (en) Toe Socks with Protrusions
CN209694161U (en) A kind of warming playshoes
CN205624713U (en) Face bear building -up closes sandals of improvement
CN205456370U (en) Independent assortment formula shoes
KR20240052381A (en) anti athlete's foot socks
KR20180089092A (en) toes socks having complex function
KR200474072Y1 (en) Socks
JP2007031903A (en) Five-toe socks
KR101307130B1 (en) Functional toe socks
CN212025751U (en) Flame-retardant and isolating functional fabric
KR101316136B1 (en) Enhanced waterproof footwear
KR20090002557U (en) Toe outer socks
JP3222665U (en) Every time undergr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