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388B1 - 와이파이 망에서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파이 망에서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388B1
KR101418388B1 KR1020120126289A KR20120126289A KR101418388B1 KR 101418388 B1 KR101418388 B1 KR 101418388B1 KR 1020120126289 A KR1020120126289 A KR 1020120126289A KR 20120126289 A KR20120126289 A KR 20120126289A KR 101418388 B1 KR101418388 B1 KR 101418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time
access point
data
s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9633A (ko
Inventor
이상문
홍순진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엠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엠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제이엠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126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3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9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와이파이 망에서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와이파이 망에서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은 (a)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해 나머지(modulo) 연산을 수행하여 나머지 값을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산출된 나머지 값에 대응하는 접속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설정된 접속 시간에 근거하여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파이 망에서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LLISION AVOIDANCE OF DATA IN WIFI NETWORK}
본 발명은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파이 망에서 접속 시간을 조정하여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속도 향상과 단가 하락에 기인하여 와이파이(Wi-Fi) 기술을 이용한 무선 응용 시스템과 무선 인프라(Infrastructure) 망이 확산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노트북 컴퓨터나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무선 인프라 망에 접속하여 편리하게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인프라 망의 확산은, 관심 지역에 배치되어 그 지역의 주변 환경이나 발생한 이벤트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전달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확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가 밀집된 지역이나, 센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센서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 다수의 노드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 동시 접속을 수행함으로써 무선랜 프로토콜 특성 상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접속 지연이나 접속 자체가 불가능한 현상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2010-0079341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수의 노드가 액세스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충돌을 최소화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미리 설정된 웨이크 타임이나 접속 시간이 아닌 경우 전력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가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은 (a)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해 나머지(modulo) 연산을 수행하여 나머지 값을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산출된 나머지 값에 대응하는 접속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설정된 접속 시간에 근거하여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은 d) 상기 설정된 접속 시간이 아닌 경우, 상기 무선 장치의 전력을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가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은 (a) 타 무선 장치와 중복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웨이크 타임(wake time)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probe response)이 수신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승인 요청(authorization request)을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승인 요청에 대한 응답(authorization response)이 수신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결합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결합 요청에 대한 응답(association response)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결합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된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고 상기 무선 장치의 전력 모드를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타 무선 장치와 특정 기준 시각으로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무선 장치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별 정보에 대해 나머지(modulo) 연산을 수행하여 나머지 값을 산출하는 식별 정보 추출부, 상기 산출된 나머지 값에 대응하는 접속 시간을 설정하는 송수신 타이밍 조절부 및 상기 설정된 접속 시간에 근거하여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통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무선 장치는 상기 설정된 접속 시간이 아닌 경우, 상기 무선 장치의 전력을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는 전력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무선 장치는, 타 무선 장치와 중복되지 않도록 웨이크 타임(wake time)을 설정하는 웨이크 타임 설정부, 상기 설정된 웨이크 타임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초기 접속 과정을 수행하도록 송신부 및 수신부를 제어하는 송수신 타이밍 조절부 및 상기 초기 접속 과정 완료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무선 장치의 전력을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는 전력 모드 전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웨이크 타임 설정부는 상기 웨이크 타임의 설정 시 타 무선 장치와 특정 기준 시각으로 동기화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노드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충돌을 최소화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웨이크 타임이나 접속 시간이 아닌 경우 전력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망에서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TA(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TA(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TA(110)의 충돌 회피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TA(110)의 충돌 회피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TA(110)의 충돌 회피를 위한 시간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망에서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망(Wi-Fi Network)에서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시스템(100)은 복수의 무선 장치(Station, 이하 ‘STA’라 칭함)(110) 및 액세스 포인트(Acces Point, 이하 ‘AP’라 칭함)(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TA(110)는 태블릿 PC, 노트북 PC, 스마트폰,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내비게이션,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이 와이파이 망을 이용하여 AP(120)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노드)도 STA(110) 에 포함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무선랜 카드가 장착되어 와이파이 망을 통해 AP(120)에 접속하는 데스크탑 PC도 STA(11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AP(120)에 대한 STA(110)의 접속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충돌의 회피할 수 있으며, 그 방안으로는 1. 초기 접속 시 접속 시간을 설정하는 방안과 2. 접속 중 데이터 송신 시 접속 시간을 설정하는 방안이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를 참조하여 상기 각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 AP 와 초기 접속 시 접속 시간을 설정
먼저, STA(110)는 AP를 검색하는 probe request를 주변 AP로 전송하고, STA(110)로부터 probe request를 수신한 AP(120)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probe response를 STA(110)로 전송한다.
이후, STA(110)는 인증을 위한 authorization request를 AP(120)로 전송하고, STA(110)로부터 authorization request를 수신한 AP(120)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authorization response를 STA(110)로 전송한다.
이후, STA(110)는 통신 준비 완료를 위한 association request를 AP(120)로 전송하고, STA(110)로부터 association request를 수신한 AP(120)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association response를 STA(110)로 전송한다.
이후, STA(110)는 AP(120)로부터 association response를 수신한 후 AP(1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통신이 완료되면 전력을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여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의 각 센서는 AP(120)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준비 과정이 완료되면, 자신이 센싱한 데이터를 AP(120)로 전송한 후 전력을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은 STA(110)가 AP(120)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 및 STA(110)가 AP(1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STA(110)와 AP(120)가 실제 데이터(상기 센서 네트워크 예에서, 실제 데이터는 각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STA(110)가 AP(120)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AP(120)를 검색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 AP(120)와 통신 준비를 완료하는 과정(이하, ‘초기 접속 과정’이라 칭함)이 필요한데, 이러한 초기 접속 과정이 완료되면, STA(110)는 이후에 초기 접속 과정 없이 AP(1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STA(110)는 타 STA(110)와 중복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웨이크 타임(wake time)에 따라서 상기 초기 접속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다수의 STA(110)에 있어서, 각 STA(110)의 초기 접속 과정을 위한 웨이크 타임을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STA(110)는 미리 설정된 각 웨이크 타임에 따라서 AP(120)와 초기 접속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타 STA(110)와의 데이터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참고로, 각 STA(110)는 정확한 시간 설정을 통해 각 웨이크 타임이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특정 기준 시각으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특정 기준 시각의 동기화는STA(110) 내에 포함된 real time clock을 이용하거나, STA(110)가 특정 기준 시각을 제공하는 별도의 기준 시각 제공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GPS를 이용할 수도 있다.
2. AP 와 접속 중 데이터 송수신 시 접속 시간을 설정
STA(110)는 자신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MAC Address, Serial ID 등)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 정보에 대해 나머지(modulo) 연산을 수행하여 나머지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STA(110)는 산출된 나머지 값에 대응하는 접속 시간(슬롯;slot)을 설정하고, AP(120)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접속 시간에AP(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시간은 타 STA(110)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STA(110)는 MAC Address를 추출하여 16으로 나눈 후 나머지 값에 대응되도록 접속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다수의 STA(110)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종래의 방법보다 STA(110)와 AP(120)의 접속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참고로, STA(110)는 자신의 접속 시간이 아닌 경우, 전력을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여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TA(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전술한 내용 중 1. AP와 초기 접속 시 접속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의 STA(110)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TA(110)는 웨이크 타임 설정부(111a), 송수신 타이밍 조절부(112a), 송신부(113a), 수신부(114a) 및 전력 모드 전환부(115a)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웨이크 타임 설정부(111a)는 타 STA(110)와 중복되지 않도록 웨이크 타임(wake time)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웨이크 타임 설정부(111a)는 정확한 시간 설정을 통해서 타 STA(110)의 웨이크 타임과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특정 기준 시각으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동기화는 STA(110) 내에 포함된 real time clock을 이용하거나, 특정 기준 시각을 제공하는 별도의 기준 시각 제공 서버(미도시)에 접속, 또는 GPS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송수신 타이밍 조절부(112a)는 웨이크 타임 설정부(111a)에서 설정한 웨이크 타임에 따라서 STA(110)를 구동시키고 송신부(113a)와 수신부(114a)가 AP(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송신부(113a)와 수신부(114a)는AP(120)로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전송하고, AP(120)부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probe response)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송신부(113a)와 수신부(114a)는AP(120)로 승인 요청(authorization request)을 전송하고, AP(120)부터 승인 요청에 대한 응답(authorization response)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송신부(113a)와 수신부(114a)는AP(120)로 결합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하고, AP(120)로부터 결합 요청에 대한 응답(association request)을 수신하여, AP(120)에 대한 STA(110)의 초기 접속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초기 접속 과정이 완료된 후, 송신부(113a)와 수신부(114a)는 AP(1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력 모드 전환부(115a)는 상기 초기 접속 과정이 완료된 후 AP(120)와 통신(실제 데이터의 송수신)이 수행되면, STA(110)의 전력을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여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TA(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전술한 내용 중 2. AP와 접속 중 데이터 송신 시 접속 시간을 설정 하는 경우의 STA(110)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TA(110)는 식별 정보 추출부(111b), 송수신 타이밍 조절부(112b), 송신부(113b), 수신부(114b) 및 전력 모드 전환부(115b)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식별 정보 추출부(111b)는 자신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MAC Address, Serial ID 등)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 정보에 대해 나머지(modulo) 연산을 수행하여 나머지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 추출부(111b)는 산출된 나머지 값에 대응하는 접속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접속 시간은 타 STA(110)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송수신 타이밍 조절부(112b)는 식별 정보 추출부(111b)에서 설정한 접속 시간에 근거하여 송신부(113a)와 수신부(114a)가 AP(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력 모드 전환부(115b)는 식별 정보 추출부(111b)에서 설정한 접속 시간이 아닌 경우, STA(110)의 전력을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여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TA(110)의 충돌 회피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STA(110)는 타 STA(110)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된 웨이크 타임(wake time)에 구동된다(S401).
S401 후, STA(110)는 AP(120)로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전송하고, AP(120)부터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probe response)을 수신한다(S402).
S402 후, STA(110)는 AP(120)로 승인 요청(authorization request)을 전송하고, AP(120)부터 승인 요청에 대한 응답(authorization response) 수신한다(S403).
S403 후, STA(110)는 AP(120)로 결합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하고, AP(120)부터 결합 요청에 대한 응답(association request)을 수신하여 AP(120)에 대한 STA(110)의 초기 접속 과정을 완료한다(S404).
S404 후, STA(110)는 AP(120)와 통신을 수행하고, STA(110)의 전력을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여 전력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S405).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TA(110)의 충돌 회피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STA(110)는 자신의 MAC Address 또는 Serial ID와 같은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 정보에 대해 나머지(modulo) 연산을 수행하여 나머지 값을 산출한다(S501).
S501 후, STA(110)는 S501에서 산출된 나머지 값에 대응하는 접속 시간을 설정한다(S502).
여기서 접속 시간은 타 STA(110)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503 후, STA(110)는 S502에서 설정된 접속 시간에 근거하여 AP(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503).
S503 후, STA(110)는S502에서 설정된 접속 시간이 아닌 경우, STA(110)의 전력을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여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S504).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TA(110)의 충돌 회피를 위한 시간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각 STA(110)는 자신의 식별 정보인 MAC address에 대해 M으로 나머지 연산을 수행(M=16)하여 나머지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나머지 값에 대응하는 접속 시간(슬롯;slot)을 설정하여 해당 접속 시간에 AP(120)로 접속을 시도한다.
만일, 다수의 STA(110)가 존재(N > 256)하는 경우, 종래의 방식에서 STA(110)는 1/N 의 확률로 AP(120)와 통신할 수 있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A(110)의 식별 정보에 대해 나머지 연산을 수행하여 나머지 값에 대응하는 접속 시간을 이용하는 경우, 접속 확률이 M/N 확률로 늘어남으로써 통신 성공의 기회를 높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은 무선랜과 같이 중앙 집중식이 아닌 각 STA(110)가 스스로 충돌을 회피하도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송신하는 데이터의 양이 많지는 않으나 STA(110)의 수가 많은 센터 네트워크 환경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량이 많지 않은 센서 데이터의 경우, 상기 접속 시간 내에서 송수신이 완료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데이터 충돌 회피 시스템
110 : STA
111a : 웨이크 타임 설정부, 111b : 식별 정보 추출부
112a, 112b : 송수신 타이밍 조절부
113a, 113b : 송신부
114a, 114b : 수신부
115a, 115b : 전력 모드 전환부
120 : AP

Claims (8)

  1. 무선 장치가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해 나머지(modulo) 연산을 수행하여 나머지 값을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산출된 나머지 값에 대응하는 접속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설정된 접속 시간에 근거하여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충돌 회피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d) 상기 설정된 접속 시간이 아닌 경우, 상기 무선 장치의 전력을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충돌 회피 방법.
  3. 무선 장치가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타 무선 장치와 중복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웨이크 타임(wake time)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프로브 요청에 대한 응답(probe response)이 수신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승인 요청(authorization request)을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승인 요청에 대한 응답(authorization response)이 수신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결합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결합 요청에 대한 응답(association response)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결합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된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고 상기 무선 장치의 전력 모드를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충돌 회피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타 무선 장치와 특정 기준 시각으로 동기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충돌 회피 방법.
  5.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무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별 정보에 대해 나머지(modulo) 연산을 수행하여 나머지 값을 산출하는 식별 정보 추출부;
    상기 산출된 나머지 값에 대응하는 접속 시간을 설정하는 송수신 타이밍 조절부; 및
    상기 설정된 접속 시간에 근거하여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통신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무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접속 시간이 아닌 경우, 상기 무선 장치의 전력을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는 전력 모드 전환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장치.
  7.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무선 장치에 있어서,
    타 무선 장치와 중복되지 않도록 웨이크 타임(wake time)을 설정하는 웨이크 타임 설정부;
    상기 설정된 웨이크 타임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초기 접속 과정을 수행하도록 송신부 및 수신부를 제어하는 송수신 타이밍 조절부; 및
    상기 초기 접속 과정 완료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무선 장치의 전력을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는 전력 모드 전환부;
    를 포함하는, 무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타임 설정부는 상기 웨이크 타임의 설정 시 타 무선 장치와 특정 기준 시각으로 동기화를 수행하는, 무선 장치.
KR1020120126289A 2012-11-08 2012-11-08 와이파이 망에서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18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289A KR101418388B1 (ko) 2012-11-08 2012-11-08 와이파이 망에서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289A KR101418388B1 (ko) 2012-11-08 2012-11-08 와이파이 망에서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633A KR20140059633A (ko) 2014-05-16
KR101418388B1 true KR101418388B1 (ko) 2014-07-11

Family

ID=50889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289A KR101418388B1 (ko) 2012-11-08 2012-11-08 와이파이 망에서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3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720A (ko) 2019-10-30 2021-05-11 주식회사 에스원 무선 데이터 충돌 방지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481B1 (ko) 2005-08-30 2007-01-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무선통신기기의 데이터 전송시 데이터 충돌 회피 방법 및장치
JP2009538574A (ja) 2006-05-22 2009-11-05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トラヒックのための衝突回避
KR20100081940A (ko) * 2009-01-06 2010-07-15 톰슨 라이센싱 무선 네트워크에서 중앙 디바이스에 의해 웨이크/슬리프 주기들을 스케쥴링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481B1 (ko) 2005-08-30 2007-01-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무선통신기기의 데이터 전송시 데이터 충돌 회피 방법 및장치
JP2009538574A (ja) 2006-05-22 2009-11-05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トラヒックのための衝突回避
KR20100081940A (ko) * 2009-01-06 2010-07-15 톰슨 라이센싱 무선 네트워크에서 중앙 디바이스에 의해 웨이크/슬리프 주기들을 스케쥴링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720A (ko) 2019-10-30 2021-05-11 주식회사 에스원 무선 데이터 충돌 방지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633A (ko)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1930B2 (en) Wireless system, wireless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communication program, and communication method
EP2615869B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EP2800409B1 (en) A method and technical equipment for short range data transmission
CN104221449B (zh) 用于实现共存同步蓝牙和lte/wimax传输的方法和装置
CN104822178B (zh) 用于双连接性的时间偏差获取
EP2807842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vice discovery
US20130178163A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JP6796161B2 (ja) 遠隔ブルートゥース装置との間のブルートゥース信号の品質を維持可能なマルチ構成要員型ブルートゥースネットワーク、および、それに関連するブルートゥース主回路
US104627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lock synchronization on a wireless network
JP2015537419A (ja) ディスカバラビリティがない状態でのワイヤレスデバイスの発見および接続
CN107534947A (zh) 用于固定位置的m2m终端的高效上行定时同步
JP2018504804A5 (ko)
WO2016015373A1 (zh) 基于Beacon的广播方法和Beacon设备
EP3562256A1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600894B1 (ko) 전자 장치를 이용한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CN111107528A (zh) 蓝牙测试方法及测试机
US20240147395A1 (en) A Network Node, a First Wireless Device, a Second Wireless Device and Methods Therein for Enabling a Timing Reference
JP4869055B2 (ja) サブフレームによる同期多重化
US20140301375A1 (en) Timing advance method for synchronized wifi network
JP6782373B2 (ja) PUSCHおよびMsg3用の時間領域表
WO2008075781A1 (en) Communication system, management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201600365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link in wireless lan system
CN114514726A (zh) 无线网络中的安全密钥生成
KR101418388B1 (ko) 와이파이 망에서 데이터의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00389767A1 (en) Identification and location of personal area networ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