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317B1 -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opper-Gold Alloy,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opper-Gold Alloy prepared by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Craft discolored in black-red by using thereof and Craft discolored in black-red prepared by the sam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opper-Gold Alloy,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opper-Gold Alloy prepared by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Craft discolored in black-red by using thereof and Craft discolored in black-red prepared by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317B1
KR101418317B1 KR1020120138699A KR20120138699A KR101418317B1 KR 101418317 B1 KR101418317 B1 KR 101418317B1 KR 1020120138699 A KR1020120138699 A KR 1020120138699A KR 20120138699 A KR20120138699 A KR 20120138699A KR 101418317 B1 KR101418317 B1 KR 101418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composition
craft
pattern
sil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6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2342A (en
Inventor
김민성
박종군
박남중
정심호
Original Assignee
김민성
정심호
박남중
박종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성, 정심호, 박남중, 박종군 filed Critical 김민성
Priority to KR1020120138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317B1/en
Publication of KR20140072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3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3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B44C3/044Chemical mode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5/00Alloys based on noble metals
    • C22C5/02Alloys based on gold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Abstract

본 발명은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동 공예품에 관한 것으로, 구리와 금을 녹여서 Cu-Au합금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Cu-Au합금으로 공예품을 제작하는 단계(단계 2);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문양을 새기는 단계(단계 3);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새긴 문양의 홈에 은 상감하는 단계(단계 4); 상기 공예품의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단계 5);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적신 한지로 감싸는 단계(단계 6); 상기 한지로 감싼 공예품을 24~48시간 동안 밀봉하는 단계(단계 7); 및 상기 공예품을 세척하는 단계(단계 8); 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은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삭힌 소변에 비해 취급이 쉽고 안전하며 악취가 발생하지 않으며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연한 적동색의 Cu-Au합금의 표면색을 흑자색으로 변색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은 상감 오동 공예품은 검푸른 오동색의 공예품에 은빛 문양이 새겨져서 전통적인 아름다운 색과 문양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a method for manufacturing paulownia art using the same, and a paulownia artifact manufactured thereby, -Au alloy (step 1); (Step 2) of producing an artifact with the Cu-Au alloy; Engraving a pattern on the surface of said craft (step 3); A step (step 4) of silver inlaid on the groove of the pattern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act; Treating the surface of said craft (step 5); (Step 6) wrapping the surface of the artifacts treated with the Cu-Au alloy discoloration composition in a soaked state; Sealing the craft wrapped with the paper for 24 to 48 hours (step 7); And washing the artifact (step 8);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u-Au allo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handle, safe, odorless, and can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used urine, and has a light red color of Cu -Au alloy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discolor the surface color to black purple. The silver inlaid paulownia ar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beautiful beautiful color and pattern since a silvery pattern is engraved on a dark blue artwork.

Description

구리-금합금 변색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구리-금합금 변색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동 공예품{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opper-Gold Alloy,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opper-Gold Alloy prepared by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Craft discolored in black-red by using thereof and Craft discolored in black-red prepared by the same}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per-gold alloy discoloration composition, a copper-gold alloy discoloration composition, a manufacturing method of a paulownia product using the copper-gold alloy discoloration composition, discoloration of Copper-Gold Alloy prepared by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Craft discolored in black-red by using and Craft discolored in black-

본 발명은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동 공예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삭힌 소변 대신에 요소를 이용하여 Cu-Au합금 표면의 연한 적동색을 흑자색으로 변색시킬 수 있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동(烏銅, red copper) 공예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u-Au alloy,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a method for manufacturing paulownia art using the same, and a paulownia artifact manufactured by the method. More particularly,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a Cu-Au alloy capable of discoloring a light reddish color on the surface of a Cu-Au alloy by using an element instead of the element,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a Cu-Au alloy produced thereby, And an artifact of oak (red copper) manufactured by the method.

상감(inlay)은 공예품의 표면에 다른 재료를 감입해서 문양을 나타내는 장식법으로, 금속공예의 은입사 기법이 발전한 것으로, 나무, 도자, 유리 등에도 사용된다.
Inlay is an ornament which shows the pattern by inserting other materials on the surface of the craft, and it is also used for wood, ceramics, glass and so on.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72410호(2010.07.26.)에는 은 상감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안되어 있고,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7055호(2002.06.03.)에는 은을 이용한 옹기 상감기법과 은 형상을 옹기 형상에 결합하는 기법이 제안되어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72410 (Jul. 26, 2010) proposes a silver inlaid produc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7055 (Jun. 2003, 2002) Technique and a technique of combining a silver shape with a pottery shape have been proposed.

은상감 오동장도는 Cu-Au합금(금동합금, Copper-Gold Alloy)에 은 상감(silver inlay)을 하고, Cu-Au합금 표면의 연한 적동색을 흑자색으로 변색시킴으로 인해, 고운 색을 띄는 전통공예품이다.
Silver-stained paulownia is a traditional handicraft that has a silver inlay on Cu-Au alloy (Copper-Gold Alloy) and discoloration of light red color on the surface of Cu-Au alloy to black purple. .

전통적으로 Cu-Au합금을 3개월 이상 삭힌 소변에 적신 한지로 감싸는 방법으로 Cu-Au합금 표면의 연한 적동색을 흑자색으로 변색시킨다.
Traditionally, Cu-Au alloy is discarded in a urine-soaked paper for 3 months or more, and the light reddish color on the surface of the Cu-Au alloy is discolored to black purple.

하지만, 상기와 같이 전통적인 방법에서 사용하는 삭힌 소변은 악취가 많이 나고 위생상 문제도 있으며, 3개월 이상 삭히기 위해서는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urine used in the conventional method has a bad odor and a problem of hygien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remove it for 3 months or more.

이에, 본 발명자는 삭힌 소변 대신에 요소를 이용하여 Cu-Au합금 표면의 연한 적동색을 흑자색으로 변색시킬 수 있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오동(烏銅, red copper) 공예품을 개발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a Cu-Au alloy that can discolor light reddish brown color on the surface of a Cu-Au alloy using a urea element instead of a dried urine, and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 And red copper artifacts using them.

KR 10-0972410 B1 2010.07.26.KR 10-0972410 B1 July 26, 2010. KR 20-0277055 Y1 2002.06.03.KR 20-0277055 Y1 2002.06.03.

본 발명의 목적은 삭힌 소변 대신에 요소를 이용하여 Cu-Au합금 표면의 연한 적동색을 흑자색으로 변색시킬 수 있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동(烏銅, red copper) 공예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which can discolor light reddish brown color on the surface of a Cu-Au alloy by using urea instead of urine, and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 , A method for producing puddle artifacts using the same, and an artifact of oak (red copper) manufactured by the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means.

본 발명은, 2% 요소(urea) 용액 100중량부에 요소분해효소(Urease) 0.1~0.5중량부를 넣고 36~40℃에서 24~30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Au alloy discoloration which is prepared by adding 0.1 to 0.5 parts by weight of urease to 100 parts by weight of a 2% urea solution and aging at 36 to 40 ° C for 24 to 30 hour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which is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production method.

또한, 본 발명은, 구리와 금을 녹여서 Cu-Au합금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Cu-Au합금으로 공예품을 제작하는 단계(단계 2);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문양을 새기는 단계(단계 3);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새긴 문양의 홈에 은 상감하는 단계(단계 4); 상기 공예품의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단계 5);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적신 한지로 감싸는 단계(단계 6); 상기 한지로 감싼 공예품을 24~48시간 동안 밀봉하는 단계(단계 7); 및 상기 공예품을 세척하는 단계(단계 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상감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u-Au alloy by melting copper and gold (step 1); (Step 2) of producing an artifact with the Cu-Au alloy; Engraving a pattern on the surface of said craft (step 3); A step (step 4) of silver inlaid on the groove of the pattern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act; Treating the surface of said craft (step 5); (Step 6) wrapping the surface of the artifacts treated with the Cu-Au alloy discoloration composition in a soaked state; Sealing the craft wrapped with the paper for 24 to 48 hours (step 7); And washing the artifact (step 8);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silver inlaid paulownia articraft using the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상기 단계 1에서, 구리와 금을 중량비로 7:3 ~ 9:1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1, copper and gold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7: 3 to 9: 1.

상기 단계 7에서, 상기 한지로 감싼 공예품을 38~42℃에서 24~48시간 동안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step 7, the paper wrapped with the paper is sealed at 38 to 42 DEG C for 24 to 48 hour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상감 오동 공예품을 제공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lver inlaid paulownia product using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a Cu-Au alloy, which is produced by the above production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은으로 공예품을 제작하는 단계(단계 1);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문양을 새기는 단계(단계 2); 구리와 금을 녹여서 Cu-Au합금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새긴 문양의 홈에 Cu-Au합금 상감입사하는 단계(단계 4); 상기 공예품의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단계 5);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적신 한지로 감싸는 단계(단계 6); 상기 한지로 감싼 공예품을 24~48시간 동안 밀봉하는 단계(단계 7); 및 상기 공예품을 세척하는 단계(단계 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바탕 Cu-Au합금 상감입사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ilver halide lamp, comprising the steps of: (1) Engraving a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craft (step 2); Melting the copper and gold to produce a Cu-Au alloy (step 3); (Step 4) of Cu-Au alloy inlaying into the groove of the pattern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act; Treating the surface of said craft (step 5); (Step 6) wrapping the surface of the artifacts treated with the Cu-Au alloy discoloration composition in a soaked state; Sealing the craft wrapped with the paper for 24 to 48 hours (step 7); And washing the artifact (step 8);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silver-based Cu-Au alloy inlaid cingular artifact using the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바탕 Cu-Au합금 상감입사 오동 공예품을 제공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lver-based Cu-Au alloy inlaid cingular artifact using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u-Au alloy, which is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production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은으로 공예품을 제작하는 단계(단계 1); 금과 구리를 녹여서 Cu-Au합금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Cu-Au합금으로 문양을 만드는 단계(단계 3);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상기 Cu-Au합금으로 만든 문양을 부착시키는 단계(단계 4); 상기 문양의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단계 5);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적신 한지로 감싸는 단계(단계 6); 상기 한지로 감싼 공예품을 24~48시간 동안 밀봉하는 단계(단계 7); 및 상기 공예품을 세척하는 단계(단계 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바탕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ilver halide lamp, comprising the steps of: (1) Melting the gold and copper to produce a Cu-Au alloy (step 2); Making a pattern with the Cu-Au alloy (step 3); Attaching a pattern made of the Cu-Au alloy on the surface of the artifact (step 4); Treating the surface of the pattern (step 5); (Step 6) wrapping the surface of the artifacts treated with the Cu-Au alloy discoloration composition in a soaked state; Sealing the craft wrapped with the paper for 24 to 48 hours (step 7); And washing the artifact (step 8);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ilver-based paulownia product using the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바탕 오동 공예품을 제공한다.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lver-based paulownia wood craft using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which is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에 따른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은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삭힌 소변에 비해 취급이 쉽고 안전하며 악취가 발생하지 않으며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연한 적동색의 Cu-Au합금의 표면색을 흑자색으로 변색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u-Au all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handle, safe, odorless, and can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used urine, and the color of the surface of the light red colored Cu-Au alloy is black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discolor.

본 발명에 따른 은 상감 오동(烏銅, red copper) 공예품은 검푸른 오동색의 공예품에 은빛 문양이 새겨져서 전통적인 아름다운 색과 문양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The silver inlaid (red copper) ar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beautiful traditional color and pattern since the silvery pattern is engraved on the subdued paulownia artwork.

도 1은 본 발명의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상감 오동 목걸이용 팬던트의 사진.
도 2는 4개월 삭힌 소변을 이용한 은 상감 오동 목걸이용 팬던트의 사진.
도 3은 3년 삭힌 소변을 이용한 은 상감 오동 목걸이용 팬던트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 상감 오동장도의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u-Au합금 상감입사 오동 은장도의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바탕 오동 핸드폰 고리의 사진.
도 7은 3년 삭힌 소변을 이용한 은 바탕 오동 핸드폰 고리의 사진.
1 is a photograph of a pendant for silver inlaid paulownia necklace using a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a Cu-Au all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hotograph of a pendant for silver inlaid paulownia necklace using urine for 4 months.
FIG. 3 is a photograph of a pendant for silver inlaid paulownia necklace using urine for three years.
4 is a photograph of silver inlaid paulown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hotograph of Cu-Au alloy inlaid light-shielding paulowness envelo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hotograph of a silver-silver-on-white cell phone ring using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u-Au allo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hotograph of a cell phone ring made of silver-silver-bronze with urine for 3 years.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특징은 삭힌 소변 대신에 요소를 이용하여 Cu-Au합금의 표면의 연한 적동색을 흑자색으로 변색시킬 수 있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오동 공예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오동 공예품은 노란색의 일반적인 금에 대비되는 검은색의 금, 즉 흑금(黑金, Black Gold)을 의미한다.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a Cu-Au alloy, which is capable of discoloring a light reddish color on the surface of a Cu-Au alloy to black purple using an element instead of a spent urine, To provide a composition and a paulownia artifact using the same. The paulownia artifact refers to black gold, that is, black gold as compared to yellow gold.

먼저, 본 발명에 따른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2% 요소(urea) 용액 100중량부에 요소분해효소(Urease) 0.1~0.5중량부를 넣고 36~40℃에서 24~30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조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a Cu-Au all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adding 0.1 to 0.5 parts by weight of urease to 100 parts by weight of a 2% urea solution and aging at 36 to 40 ° C for 24 to 30 hours .

상기 요소(urea)는 화학식이 CO(NH2)2인 유기화합물로 무색·무취의 결정성 물질이다.
The urea is an organic compound of the formula CO (NH 2 ) 2 and is a colorless and odorless crystalline material.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a Cu-Au alloy produced by the above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에 따른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은 3개월 이상 삭힌 소변 대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취급이 쉽고 안전하며, 악취가 발생하지 않으며,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u-Au all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stead of urine reduced for 3 months or longer, so that it is easy and safe to handle, odor is not generated, and manufacturing time can be shortened.

다음은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상감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Next, a method for manufacturing silver inlaid paulownia artifacts using the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will be described.

Cu-Au합금은 연한 적동색을 띄는데, Cu-Au합금에 은상감을 한 후,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한지에 적시고, 적셔진 한지로 은 상감한 Cu-Au합금을 감싸면, 은 상감 한 부분은 변색되지 않고, 나머지 부분만 흑자색으로 변하며, 검푸른 빛깔의 흑자색을 띄기 때문에 오동(烏銅, red copper)이라고 한다.
The Cu-Au alloy has a light reddish color. After the silver-based coating is applied to the Cu-Au alloy,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the Cu-Au alloy is wetted in the paper, and when the wetted paper is wrapped with the inlaid Cu-Au alloy, The part is not discolored, and only the rest of it turns into purplish purple. It is called red copper because it is blackish purp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상감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은,A method of manufacturing a silver inlaid paulownia artifact using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구리와 금을 녹여서 Cu-Au합금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Melting the copper and gold to produce a Cu-Au alloy (step 1);

상기 Cu-Au합금으로 공예품을 제작하는 단계(단계 2);(Step 2) of producing an artifact with the Cu-Au alloy;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문양을 새기는 단계(단계 3);Engraving a pattern on the surface of said craft (step 3);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새긴 문양의 홈에 은 상감하는 단계(단계 4);A step (step 4) of silver inlaid on the groove of the pattern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act;

상기 공예품의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단계 5);Treating the surface of said craft (step 5);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적신 한지로 감싸는 단계(단계 6);(Step 6) wrapping the surface of the artifacts treated with the Cu-Au alloy discoloration composition in a soaked state;

상기 한지로 감싼 공예품을 24~48시간 동안 밀봉하는 단계(단계 7); 및Sealing the craft wrapped with the paper for 24 to 48 hours (step 7); And

상기 공예품을 세척하는 단계(단계 8);Washing the craft article (step 8);

를 포함한다.
.

상기 단계 1은 구리와 금을 녹여서 Cu-Au합금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리와 금의 배합비에 따라 다양한 오동 색깔을 발현할 수 있게 된다. 구리와 금의 배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나, 구리와 금을 중량비로 7:3 ~ 9:1로 배합하는 경우에 추후 공정을 통해 가장 빨리 흑자색으로 변색이 이루어진다.
The step 1 is a step of melting a copper and a gold to prepare a Cu-Au alloy. It is possible to express various tung color according to the blending ratio of copper and gold. The blending ratio of copper and gol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hen copper and gold are blended in a weight ratio of 7: 3 to 9: 1, the color is turned to black as soon as possible in the subsequent process.

상기 단계 2에서, 공예품의 종류는 한정되지 아니하며, 목걸이, 귀걸이, 반지, 브로치, 팔찌 등과 같은 악세사리(accessory), 은상감 오동 장도, 담뱃대, 비녀, 머리핀, 문갑, 거울, 함 등과 같은 전통 공예품(traditional craft), 핸드폰 고리, 핸드폰 케이스, 보석함 등과 같은 생활 공예품(modern craft) 및 관광기념품(tourism souvenir) 등을 제작할 수 있다.
In the above step 2, the type of the artifact is not limited, and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kinds of artifacts such as an accessory such as a necklace, an earring, a ring, a brooch, a bracelet and the like, a traditional craftwork such as a silver cloth, a hairpin, a hairpin, traditional crafts, mobile crafts, cellphone cases, jewelery boxes, and tourism souvenirs.

상기 단계 3은 상기 Cu-Au합금으로 만든 공예품의 표면에 문양을 새기는 단계이다.
Step 3 is a step of engraving a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artifact made of the Cu-Au alloy.

상기 단계 4는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새긴 문양의 홈에 은 상감(silver inlay)하는 단계이다.
Step 4 is a step of silver inlaying the groove of the pattern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act.

상기 단계 5는 상기 공예품의 표면을 줄(file)이나 사포(sandpaper)를 이용하여 깍은 후, 그라인더(grinder)를 이용하여 윤내기하는 단계이다.
In the step 5, the surface of the artifact is cut using a file or a sandpaper, and then is ground using a grinder.

상기 단계 6은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적신 한지로 감싸는 단계이다.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 용액 안에서 반응시키는 것보다,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한지를 적신 후, 적셔진 한지에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감싸서 반응시키는 경우가 변색이 더 빠르게 잘 이루어진다.Step 6 is a step of wrapping the surface of the artifacts treated with the Cu-Au alloy discoloration composition in a soaked state. It is preferable to wet the Korean paper with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the Cu-Au alloy rather than reacting the surface treated artifact with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the Cu-Au alloy. In case the discoloration is done well faster.

연한 적동색을 띄는 상기 Cu-Au합금으로 제작된 공예품은 금속의 이온화 경향, 산화반응 및 구리와 암모니아의 착화합물의 화학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흑자색으로 변색되게 된다.
The artifacts made of the Cu-Au alloy exhibiting a light reddish color are discolored into black purple due to the ionization tendency of the metal, the oxidation reaction, and the chemical change of the complex compound of copper and ammonia.

상기 단계 7에서, 상기 한지로 감싼 공예품을 38~42℃에서 24~48시간 동안 밀봉하는 경우에 변색이 가장 잘 이루어진다.
In step 7, discoloration is best accomplished by sealing the wrapped artifacts at 38-42 [deg.] C for 24-48 hour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은 상감 오동 공예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은 상감 오동 공예품은 검푸른 오동색의 공예품에 은빛 문양이 새겨져서 전통적인 아름다운 색과 문양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lver inlaid paulownia artifact manufactured by the abov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lver inlaid paulownia artwork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beautiful traditional color and pattern since a silvery pattern is engraved on a dark blue artwork.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Next,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바탕 Cu-Au합금 상감입사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은,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ilver-based Cu-Au alloy inlaid cingular artifact using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은으로 공예품을 제작하는 단계(단계 1);A step of producing a craft product with silver (Step 1);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문양을 새기는 단계(단계 2);Engraving a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craft (step 2);

구리와 금을 녹여서 Cu-Au합금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Melting the copper and gold to produce a Cu-Au alloy (step 3);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새긴 문양의 홈에 Cu-Au합금 상감입사하는 단계(단계 4);(Step 4) of Cu-Au alloy inlaying into the groove of the pattern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act;

상기 공예품의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단계 5);Treating the surface of said craft (step 5);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적신 한지로 감싸는 단계(단계 6);(Step 6) wrapping the surface of the artifacts treated with the Cu-Au alloy discoloration composition in a soaked state;

상기 한지로 감싼 공예품을 24~48시간 동안 밀봉하는 단계(단계 7); 및Sealing the craft wrapped with the paper for 24 to 48 hours (step 7); And

상기 공예품을 세척하는 단계(단계 8);Washing the craft article (step 8);

를 포함한다.
.

상기 단계 1은 은을 이용하여 공예품을 만드는 단계이다. 상기 공예품의 종류는 한정되지 아니하며, 목걸이, 귀걸이, 반지, 브로치, 팔찌 등과 같은 악세사리(accessory), 은상감 오동 장도, 담뱃대, 비녀, 머리핀, 문갑, 거울, 함 등과 같은 전통 공예품(traditional craft), 핸드폰 고리, 핸드폰 케이스, 보석함 등과 같은 생활 공예품(modern craft) 및 관광기념품(tourism souvenir) 등을 제작할 수 있다.
The step 1 is a step of making a craft using silver. The types of the artifacts are not limited and they may include traditional crafts such as accessories such as necklaces, earrings, rings, brooches, bracelets, silver stones, paulownia, hairpieces, hairpieces, They can produce modern crafts such as cell phone rings, cell phone cases, jewelry boxes, and tourism souvenirs.

상기 단계 2는 상기 은으로 만든 공예품의 표면에 문양을 새기는 단계이다.
Step 2 is a step of engraving a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craft made of silver.

상기 단계 3은 구리와 금을 녹여서 Cu-Au합금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리와 금의 배합비에 따라 다양한 오동 색깔을 발현할 수 있게 된다. 구리와 금의 배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나, 구리와 금을 중량비로 7:3 ~ 9:1로 배합하는 경우에 추후 공정을 통해 가장 빨리 흑자색으로 변색이 이루어진다.
Step 3 is a step of melting copper and gold to produce a Cu-Au alloy. It is possible to express various tung color according to the blending ratio of copper and gold. The blending ratio of copper and gol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hen copper and gold are blended in a weight ratio of 7: 3 to 9: 1, the color is turned to black as soon as possible in the subsequent process.

상기 단계 4는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새긴 문양의 홈에 상기 단계 3에서 만든 Cu-Au합금을 이용하여 Cu-Au합금 상감입사(Cupper-Gold Alloy inlay)하는 단계이다. 상기 상감입사는 금속표면에 선이나 면으로 홈을 파고, 상기 홈에 다른 금속을 박아 넣는 금속공예기법이다.
Step 4 is a step of Cu-Au alloy inlaying (Cupper-Gold Alloy inlay) using the Cu-Au alloy made in step 3 in the groove of the pattern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act. The inlaid incidence is a metal art technique in which grooves are formed on a metal surface in a line or a plane, and other metals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상기 단계 5는 상기 공예품의 표면을 줄(file)이나 사포(sandpaper)를 이용하여 깍은 후, 그라인더(grinder)를 이용하여 윤내기하는 단계이다.
In the step 5, the surface of the artifact is cut using a file or a sandpaper, and then is ground using a grinder.

상기 단계 6은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적신 한지로 감싸는 단계이다.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 용액 안에서 반응시키는 것보다,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한지를 적신 후, 적셔진 한지에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감싸서 반응시키는 경우가 변색이 더 빠르게 잘 이루어진다.Step 6 is a step of wrapping the surface of the artifacts treated with the Cu-Au alloy discoloration composition in a soaked state. It is preferable to wet the Korean paper with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the Cu-Au alloy rather than reacting the surface treated artifact with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the Cu-Au alloy. In case the discoloration is done well faster.

연한 적동색을 띄는 상기 Cu-Au합금으로 상감된 부위가 금속의 이온화 경향, 산화반응 및 구리와 암모니아의 착화합물의 화학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흑자색으로 변색되게 된다.
The inlaid portion of the Cu-Au alloy having light reddish color is discolored into a purplish purple due to the ionization tendency of the metal, the oxidation reaction, and the chemical change of the complex compound of copper and ammonia.

상기 단계 7에서, 상기 한지로 감싼 공예품을 38~42℃에서 24~48시간 동안 밀봉하는 경우에 변색이 가장 잘 이루어진다.
In step 7, discoloration is best accomplished by sealing the wrapped artifacts at 38-42 [deg.] C for 24-48 hour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은바탕 Cu-Au합금 상감입사 오동 공예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은바탕 Cu-Au합금 상감입사 오동 공예품은 은색의 공예품 바탕에 검푸른 오동색 문양이 새겨져서 전통적인 아름다운 색과 문양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lver-based Cu-Au alloy inlaid cobblestone artifact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lver-based Cu-Au alloy inlaid cingular artifac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beautiful traditional color and pattern by engraving a subdued blue pattern on the base of a silver craft.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Next,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바탕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은,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ilver-based paulownia art product using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은으로 공예품을 제작하는 단계(단계 1);A step of producing a craft product with silver (Step 1);

금과 구리를 녹여서 Cu-Au합금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Melting the gold and copper to produce a Cu-Au alloy (step 2);

상기 Cu-Au합금으로 문양을 만드는 단계(단계 3);Making a pattern with the Cu-Au alloy (step 3);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상기 Cu-Au합금으로 만든 문양을 부착시키는 단계(단계 4);Attaching a pattern made of the Cu-Au alloy on the surface of the artifact (step 4);

상기 문양의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단계 5);Treating the surface of the pattern (step 5);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적신 한지로 감싸는 단계(단계 6);(Step 6) wrapping the surface of the artifacts treated with the Cu-Au alloy discoloration composition in a soaked state;

상기 한지로 감싼 공예품을 24~48시간 동안 밀봉하는 단계(단계 7); 및Sealing the craft wrapped with the paper for 24 to 48 hours (step 7); And

상기 공예품을 세척하는 단계(단계 8);Washing the craft article (step 8);

를 포함한다.
.

상기 단계 1은 은을 이용하여 공예품을 만드는 단계이다. 상기 공예품의 종류는 한정되지 아니하며, 목걸이, 귀걸이, 반지, 브로치, 팔찌 등과 같은 악세사리(accessory), 은상감 오동 장도, 담뱃대, 비녀, 머리핀, 문갑, 거울, 함 등과 같은 전통 공예품(traditional craft), 핸드폰 고리, 핸드폰 케이스, 보석함 등과 같은 생활 공예품(modern craft) 및 관광기념품(tourism souvenir) 등을 제작할 수 있다.
The step 1 is a step of making a craft using silver. The types of the artifacts are not limited and they may include traditional crafts such as accessories such as necklaces, earrings, rings, brooches, bracelets, silver stones, paulownia, hairpieces, hairpieces, They can produce modern crafts such as cell phone rings, cell phone cases, jewelry boxes, and tourism souvenirs.

상기 단계 2는 구리와 금을 녹여서 Cu-Au합금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리와 금의 배합비에 따라 다양한 오동 색깔을 발현할 수 있게 된다. 구리와 금의 배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나, 구리와 금을 중량비로 7:3 ~ 9:1로 배합하는 경우에 추후 공정을 통해 가장 빨리 흑자색으로 변색이 이루어진다.
Step 2 is a step of melting copper and gold to produce a Cu-Au alloy. It is possible to express various tung color according to the blending ratio of copper and gold. The blending ratio of copper and gol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hen copper and gold are blended in a weight ratio of 7: 3 to 9: 1, the color is turned to black as soon as possible in the subsequent process.

상기 단계 3은 상기 Cu-Au합금으로 문양을 만드는 단계이다.
Step 3 is a step of making a pattern with the Cu-Au alloy.

상기 단계 4는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상기 Cu-Au합금으로 만든 문양을 부착시키는 단계이다.
Step 4 is a step of attaching a pattern made of the Cu-Au alloy to the surface of the artifact.

상기 단계 5는 상기 문양의 표면을 줄(file)이나 사포(sandpaper)를 이용하여 깍은 후, 그라인더(grinder)를 이용하여 윤내기하는 단계이다.
Step 5 is a step of cutting the surface of the pattern using a file or a sandpaper, and then grinding the pattern using a grinder.

상기 단계 6은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적신 한지로 감싸는 단계이다.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 용액 안에서 반응시키는 것보다,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한지를 적신 후, 적셔진 한지에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감싸서 반응시키는 경우가 변색이 더 빠르게 잘 이루어진다.Step 6 is a step of wrapping the surface of the artifacts treated with the Cu-Au alloy discoloration composition in a soaked state. It is preferable to wet the Korean paper with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the Cu-Au alloy rather than reacting the surface-treated artifact with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the Cu-Au alloy. In case the discoloration is done well faster.

연한 적동색을 띄는 상기 Cu-Au합금으로 만든 문양이 금속의 이온화 경향, 산화반응 및 구리와 암모니아의 착화합물의 화학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흑자색으로 변색되게 된다.
The patterns made of Cu-Au alloys with light reddish color become discolored into black purple due to ionization tendency of metal, oxidation reaction and chemical change of complex compounds of copper and ammonia.

상기 단계 7에서, 상기 한지로 감싼 공예품을 38~42℃에서 24~48시간 동안 밀봉하는 경우에 변색이 가장 잘 이루어진다.
In step 7, discoloration is best accomplished by sealing the wrapped artifacts at 38-42 [deg.] C for 24-48 hours.

상기 은 바탕 오동 공예품은 상감 공정이 없으므로 제작이 간단하면서도, 바탕의 은색과 문양의 흑자색이 잘 어우러져서 아름다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장점이 있다.
The silver paulownia handicraft has no inlaid process, so it is simple to manufacture, and has a merit that the background silver and the black color of the pattern are well combined to create a beautiful atmosphere.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constitu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These embodiment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2% 요소(urea) 용액 100중량부에 요소분해효소(Urease) 0.1중량부를 넣고 38℃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켜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o 100 parts by weight of 2% urea solution, 0.1 part by weight of urease was added and aged at 38 캜 for 24 hours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u-Au alloy.

구리와 금을 녹여서 중량비 8:2의 비율로 Cu-Au합금을 제조하였다. 상기 Cu-Au합금으로 목걸이용 팬던트(pendant)를 제작하였다. 상기 목걸이용 팬던트의 표면에 국화 문양을 새겼다. 상기 목걸이용 팬던트의 표면에 새긴 문양의 홈에 은 상감을 하였다. 상기 목걸이용 팬던트의 표면을 사포로 깨끗하게 처리하였다. 상기 표면을 처리한 목걸이용 팬던트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적신 한지로 감싸두었다. 상기 한지로 감싼 목걸이용 팬던트를 40℃에서 48시간 동안 밀봉하여 은 상감 오동 목걸이용 팬던트를 제조하였다. Cu-Au alloy was prepared at a weight ratio of 8: 2 by dissolving copper and gold. A pendant for a necklace was made of the Cu-Au alloy. The chrysanthemum pattern was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pendant for the necklace. The silver pendant was depressed in the groove of the pattern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pendant for the necklace. The surface of the necklace pendant was cleaned with sandpaper. The pendant for the necklace treated with the above surface was wrapped in a soaked paper with the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prepared in Example 1. The pendant for the necklace wrapped in the paper was sealed at 40 DEG C for 48 hours to prepare a pendant for silver inlaid pendant necklace.

상기와 같이 제조한 은 상감 오동 목걸이용 팬던트를 도 1에 나타내었다.
The pendant for silver inlaid pendant necklace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 대신에 4개월 동안 삭힌 소변을 사용하였다.Th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urine was used for 4 months instead of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the Cu-Au alloy.

4개월 동안 삭힌 소변을 이용하여 만든 은 상감 오동 목걸이용 팬던트를 도 2에 나타내었다.
FIG. 2 shows a pendant for silver inlaid paulownia necklace made using urine for 4 months.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 대신에 3년 동안 삭힌 소변을 사용하였다. Th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was used for 3 years.

3년 동안 삭힌 소변을 이용하여 만든 은 상감 오동 목걸이용 팬던트를 도 3에 나타내었다.
Figure 3 shows a pendant for silver inlaid paulownia necklace made with urine removed for 3 years.

도 1 내지 도 3을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삭힌 소변을 사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한 적동색의 Cu-Au합금 표면이 흑자색으로 변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to 3, when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u-Au all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urface of the light red-colored Cu-Au alloy is discolored to black purple as in the case of using the diluted urine .

구리와 금을 녹여서 중량비 8:2의 비율로 Cu-Au합금을 제조하였다. 상기 Cu-Au합금으로 장도를 제작하였다. 상기 Cu-Au합금 장도의 표면에 문양을 새겼다. 상기 Cu-Au합금 장도의 표면에 새긴 문양의 홈에 은 상감을 하였다. 상기 은 상감 Cu-Au합금 장도의 표면을 사포로 깨끗하게 처리하였다. 상기 표면을 처리한 은 상감 Cu-Au합금 장도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적신 한지로 감싸두었다. 상기 한지로 감싼 은 상감 Cu-Au합금 장도를 40℃에서 48시간 동안 밀봉하여 은 상감 오동장도를 제조하였다. 상기 한지를 제거하고 상기 은 상감 오동장도를 세척하였다.Cu-Au alloy was prepared at a weight ratio of 8: 2 by dissolving copper and gold. The long side was made of the Cu-Au alloy. The pattern was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Cu-Au alloy sheet. And silver inlaid on the groove of the pattern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Cu-Au alloy long axis. The surface of the silver inlaid Cu-Au alloy sheet was cleaned with sandpaper. The surface of the silver-coated inlaid Cu-Au alloy was treated with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u-Au alloy prepared in Example 1 and wrapped in a wet paper. Silver inlaid Cu-Au alloy wafers wrapped in the above paper were sealed at 40 ° C for 48 hours to prepare silver inlaid paulownia. The paper was removed and the silver inlaid paulotypes were washed.

상기와 같이 제조한 은 상감 오동장도를 도 4에 나타내었다.
FIG. 4 shows the silver inlaid pseudo long-length prepared as described above.

은으로 은장도를 제작하였다. 상기 은장도의 표면에 문양을 새겼다. 구리와 금을 녹여서 중량비 8:2의 비율로 Cu-Au합금을 제조하였다. 상기 은장도의 표면에 새긴 문양의 홈에 상기 Cu-Au합금을 이용하여 Cu-Au합금 상감입사를 하였다. 상기 은장도의 표면을 사포로 깨끗하게 처리하였다. 상기 표면을 처리한 은장도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적신 한지로 감싸두었다. 상기 한지로 감싼 은장도를 40℃에서 48시간 동안 밀봉하여 Cu-Au합금 상감입사 오동 은장도를 제조하였다. 상기 한지를 제거하고 상기 Cu-Au합금 상감입사 오동 은장도를 세척하였다.Silver is made of silver. A pattern was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silver sheet. Cu-Au alloy was prepared at a weight ratio of 8: 2 by dissolving copper and gold. The Cu-Au alloy was used for inlaying the Cu-Au alloy in the groove of the pattern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silver wire. The surface of the silver sheet was cleaned with sandpaper. The surface treated silver halide was wrapped in a paper soaked with the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prepared in Example 1. The above-mentioned silver-coated copper foil was sealed at 40 ° C for 48 hours to prepare a Cu-Au alloy inlaid paulownia envelope. The paper was removed and the Cu-Au alloy inlaid paulownia envelope was cleaned.

상기와 같이 제조한 Cu-Au합금 상감입사 오동 은장도를 도 5에 나타내었다.
The above-prepared Cu-Au alloy inlaid shielding paulowness envelope is shown in FIG.

은으로 핸드폰 고리를 제작하였다. 구리와 금을 녹여서 중량비 8:2의 비율로 Cu-Au합금을 제조하였다. 상기 Cu-Au합금으로 해바라기 문양을 만들었다. 상기 핸드폰 고리 표면에 상기 해바라기 문양을 부착시켰다. 상기 해바라기 문양을 사포로 깨끗하게 처리하였다. 상기 표면을 처리한 핸드폰 고리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적신 한지로 감쌌다. 상기 한지로 감싼 핸드폰 고리를 40℃에서 48시간 동안 밀봉하여 은 바탕 오동 핸드폰 고리를 제조하였다. I made a cell phone ring with silver. Cu-Au alloy was prepared at a weight ratio of 8: 2 by dissolving copper and gold. A sunflower pattern was made of the Cu-Au alloy. The sunflower pattern wa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ell phone ring. The sunflower pattern was cleaned with sandpaper. The cell phone ring treated with the above surface was wrapped in a soaked cloth with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a Cu-Au alloy prepared in Example 1. The cell phone ring wrapped in the above paper was sealed at 40 DEG C for 48 hours to prepare a silkworm cellphone ring.

상기와 같이 제조한 은 바탕 오동 핸드폰 고리를 도 6에 나타내었다.
FIG. 6 shows a silver halftone cell phone ring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 대신에 3년 동안 삭힌 소변을 사용하였다.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urine was used for 3 years instead of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the Cu-Au alloy.

3년 동안 삭힌 소변을 이용하여 만든 은 바탕 오동 핸드폰 고리를 도 7에 나타내었다.
Fig. 7 shows a silver halftone cell phone ring made of urine removed for 3 years.

도 6과 도 7을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삭힌 소변을 사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한 적동색의 Cu-Au합금 표면이 흑자색으로 변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6 and FIG. 7,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urface of the pale red color Cu-Au alloy is discolored to black purple as in the case of using the extruded urine when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the Cu-Au all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은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삭힌 소변에 비해 취급이 쉽고 안전하며 고약한 냄새가 없고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u-Au all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handle, safe, has no bad smell, and can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used urine.

Claims (14)

2중량% 요소(urea) 용액 100중량부에 요소분해효소(Urease) 0.1~0.5중량부를 넣고 36~40℃에서 24~30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A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u-Au alloy characterized by comprising 0.1 to 0.5 parts by weight of urease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a 2% by weight urea solution, and aging at 36 to 40 캜 for 24 to 30 hours. Gt;
2중량% 요소(urea) 용액 100중량부에 요소분해효소(Urease) 0.1~0.5중량부를 넣고 36~40℃에서 24~30시간 동안 숙성시킨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a Cu-Au alloy wherein 0.1 to 0.5 part by weight of urease i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a 2% by weight urea solution and aged at 36 to 40 캜 for 24 to 30 hours.
구리와 금을 녹여서 Cu-Au합금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Cu-Au합금으로 공예품을 제작하는 단계(단계 2);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문양을 새기는 단계(단계 3);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새긴 문양의 홈에 은 상감하는 단계(단계 4);
상기 공예품의 표면을 줄(fie)이나 사포(sandpaper)를 이용하여 깍은 후, 그라인더(grinder)를 이용하여 윤내기하는 단계(단계 5);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제 2항의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적신 한지로 감싸는 단계(단계 6);
상기 한지로 감싼 공예품을 24~48시간 동안 밀봉하는 단계(단계 7); 및
상기 공예품을 세척하는 단계(단계 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상감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
Melting the copper and gold to produce a Cu-Au alloy (step 1);
(Step 2) of producing an artifact with the Cu-Au alloy;
Engraving a pattern on the surface of said craft (step 3);
A step (step 4) of silver inlaid on the groove of the pattern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act;
Cutting the surface of the artifact with a fie or a sandpaper, and then grinding the surface of the artifice using a grinder (step 5);
(Step 6) wrapping the surface treated with the Cu-Au alloy discoloration composition of claim 2 in a wetted state;
Sealing the craft wrapped with the paper for 24 to 48 hours (step 7); And
Washing the craft article (step 8);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silver inlaid paulownia articraft using the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제 3항에 있어서, 단계 1에서,
구리와 금을 중량비로 7:3 ~ 9:1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상감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n step 1,
Wherein the weight ratio of copper to gold is 7: 3 to 9: 1.
제 3항에 있어서, 단계 7에서,
상기 한지로 감싼 공예품을 38~42℃에서 24~48시간 동안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상감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n step 7,
Wherein the above-mentioned paper-wrapped artifacts are sealed at 38 to 42 DEG C for 24 to 48 hours. The method of manufacturing silver inlaid paulownia arts products using the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Cu-Au합금으로 만든 공예품의 표면에 일정 형태의 은 상감된 문양을 구비하며,
상기 은 상감된 문양 이외의 표면은 제 2항의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에 의해 흑자색으로 변색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상감 오동 공예품.
It has a silver inlaid pattern on the surface of a craft made of Cu-Au alloy,
A silver inlaid paulownia product using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wherein the surface other than the inlaid silver pattern is discolored into a purple color by the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according to claim 2.
은으로 공예품을 제작하는 단계(단계 1);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문양을 새기는 단계(단계 2);
구리와 금을 녹여서 Cu-Au합금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새긴 문양의 홈에 Cu-Au합금 상감입사하는 단계(단계 4);
상기 공예품의 표면을 줄(fie)이나 사포(sandpaper)를 이용하여 깍은 후, 그라인더(grinder)를 이용하여 윤내기하는 단계(단계 5);
상기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제 2항의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적신 한지로 감싸는 단계(단계 6);
상기 한지로 감싼 공예품을 24~48시간 동안 밀봉하는 단계(단계 7); 및
상기 공예품을 세척하는 단계(단계 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바탕 Cu-Au합금 상감입사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
A step of producing a craft product with silver (Step 1);
Engraving a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craft (step 2);
Melting the copper and gold to produce a Cu-Au alloy (step 3);
(Step 4) of Cu-Au alloy inlaying into the groove of the pattern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act;
Cutting the surface of the artifact with a fie or a sandpaper, and then grinding the surface of the artifice using a grinder (step 5);
(Step 6) wrapping the surface treated with the Cu-Au alloy discoloration composition of claim 2 in a wetted state;
Sealing the craft wrapped with the paper for 24 to 48 hours (step 7); And
Washing the craft article (step 8);
Wherein the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at least one of Cu,
제 7항에 있어서, 단계 1에서,
구리와 금을 중량비로 7:3 ~ 9:1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바탕 Cu-Au합금 상감입사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step 1,
A method for producing a silver-based Cu-Au alloy inlaid cingular artifact using a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the method comprising mixing copper and gold at a weight ratio of 7: 3 to 9: 1.
제 7항에 있어서, 단계 7에서,
상기 한지로 감싼 공예품을 38~42℃에서 24~48시간 동안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바탕 Cu-Au합금 상감입사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step 7,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ilver-based Cu-Au alloy inlaid cork-like artifact using the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paper craft is sealed at 38 to 42 ° C for 24 to 48 hours.
은으로 만든 공예품의 표면에 일정 형태의 Cu-Au합금 상감입사된 문양을 구비하며,
상기 Cu-Au합금 상감입사된 문양이 제 2항의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에 의해 흑자색으로 변색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바탕 Cu-Au합금 상감입사 오동 공예품.
The artwork made of silver has a certain pattern of Cu-Au alloy inlay on the surface,
Wherein the pattern of the Cu-Au alloy inlaid reflection is discolored into a purple color by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the Cu-Au alloy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lver-based Cu-Au alloy inlaid cingular artifact using the composition for discoloring the Cu-
은으로 공예품을 제작하는 단계(단계 1);
금과 구리를 녹여서 Cu-Au합금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Cu-Au합금으로 문양을 만드는 단계(단계 3);
상기 공예품의 표면에 상기 Cu-Au합금으로 만든 문양을 부착시키는 단계(단계 4);
상기 문양의 표면을 줄(fie)이나 사포(sandpaper)를 이용하여 깍은 후, 그라인더(grinder)를 이용하여 윤내기하는 단계(단계 5);
상기 문양의 표면을 처리한 공예품을 제 2항의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로 적신 한지로 감싸는 단계(단계 6);
상기 한지로 감싼 공예품을 24~48시간 동안 밀봉하는 단계(단계 7); 및
상기 공예품을 세척하는 단계(단계 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바탕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
A step of producing a craft product with silver (Step 1);
Melting the gold and copper to produce a Cu-Au alloy (step 2);
Making a pattern with the Cu-Au alloy (step 3);
Attaching a pattern made of the Cu-Au alloy on the surface of the artifact (step 4);
Cutting the surface of the pattern using a fie or a sandpaper, and then grinding the pattern using a grinder (step 5);
(Step 6) wrapping the artwork treated with the surface of the pattern with a composition wetted with the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according to claim 2;
Sealing the craft wrapped with the paper for 24 to 48 hours (step 7); And
Washing the craft article (step 8);
Wherein the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u-Au alloy is used.
제 11항에 있어서, 단계 1에서,
구리와 금을 중량비로 7:3 ~ 9:1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바탕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in step 1,
Wherein the weight ratio of copper to gold is from 7: 3 to 9: 1.
제 11항에 있어서, 단계 7에서,
상기 한지로 감싼 공예품을 38~42℃에서 24~48시간 동안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바탕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in step 7,
Wherein the above-mentioned paper wrapped artifact is sealed at 38 to 42 DEG C for 24 to 48 hours.
은으로 만든 공예품의 표면에 Cu-Au합금으로 만든 문양을 구비하며,
상기 Cu-Au합금으로 만든 문양이 제 2항의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에 의해 흑자색으로 변색되는, Cu-Au합금 변색용 조성물을 이용한 은 바탕 오동 공예품.
The craft made of silver has a pattern made of Cu-Au alloy on its surface,
Wherein the pattern made of the Cu-Au alloy is discolored into a purple color by the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composition for discoloring Cu-Au alloy.
KR1020120138699A 2012-12-03 2012-12-03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opper-Gold Alloy,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opper-Gold Alloy prepared by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Craft discolored in black-red by using thereof and Craft discolored in black-red prepared by the same KR1014183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699A KR101418317B1 (en) 2012-12-03 2012-12-03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opper-Gold Alloy,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opper-Gold Alloy prepared by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Craft discolored in black-red by using thereof and Craft discolored in black-red prepared by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699A KR101418317B1 (en) 2012-12-03 2012-12-03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opper-Gold Alloy,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opper-Gold Alloy prepared by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Craft discolored in black-red by using thereof and Craft discolored in black-red prepared by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342A KR20140072342A (en) 2014-06-13
KR101418317B1 true KR101418317B1 (en) 2014-07-14

Family

ID=5112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699A KR101418317B1 (en) 2012-12-03 2012-12-03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opper-Gold Alloy,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opper-Gold Alloy prepared by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Craft discolored in black-red by using thereof and Craft discolored in black-red prepared by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3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521B1 (en) 2014-08-25 2016-06-14 장성락 Manufacturing Method For Jewellery Material With Gradation Of Color And, Jewellery Material Thereb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853A (en) * 2006-07-07 2008-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Marble having inlaid effect on surface thereof
KR20090132017A (en) * 2008-06-19 2009-12-30 (주)쥬얼테크 Method to work metal surface utilizing cloth inlainlay
KR101008484B1 (en) 2010-07-27 2011-01-14 조윤정 Decoration material and the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853A (en) * 2006-07-07 2008-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Marble having inlaid effect on surface thereof
KR20090132017A (en) * 2008-06-19 2009-12-30 (주)쥬얼테크 Method to work metal surface utilizing cloth inlainlay
KR101008484B1 (en) 2010-07-27 2011-01-14 조윤정 Decoration material and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342A (en)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831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opper-Gold Alloy, composition for discoloration of Copper-Gold Alloy prepared by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of Craft discolored in black-red by using thereof and Craft discolored in black-red prepared by the same
CN103373167A (en) Jade coloured embroid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211405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ersonal Accessory Based Color Designed Jewelry Chain
RU163898U1 (en) JEWELRY PENDANT
FR2829366A1 (en) Bracelets, earrings, brooches, necklaces or pendants have camouflage pattern made up of patches of gems of different colors inside engraved borders
KR10187860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loisonne metal plates used bending type housings for accessory, and products using same
US20140013800A1 (en) Jewelry article with formed illusion plate
JP2006306761A (en) Accessory
KR10217071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per jewelery earrings
KR20190137717A (en) Timepiece or piece of jewellery or gemstone jewellery made of gold
KR100237425B1 (en) The dyeing method of agate and jade for accessories, and accessory utilizing thereof
JP3167481U (en) Fluorescent pearls
Ergashovich Jeweler’s art of sacred Bukhara emirate: At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EP0058174A1 (en) Decorative articles
KR100670764B1 (en) Assembling type ornament
JP6538017B2 (en) Production method of cloisonne products
KR200292027Y1 (en) accessories coupling element by combining different material without adhesive
JP2848883B2 (en) Jewelry composite materials
KR200217797Y1 (en) Accessory combined artificial pearl
ITMI20082259A1 (en) METHOD FOR THE REALIZATION OF MANUFACTURED ARTICLES, IN PARTICULAR JEWELRY WITH PRECIOUS STONES OR SEMI-PRECIOUS SIZES AND MANUFACTURED IN THIS WAY
JP2000226625A (en) Color platinum alloy for jewel and ornament
JP2005066226A (en) Ornament material, personal ornament ite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ersonal ornament item
JP3171741U (en) Dorian pearl
KR100604127B1 (en) A Noctilucent Jew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3039142U (en) Brooch with pendant made of tie pins. Accessories such as necklaces and earr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