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919B1 -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919B1
KR101417919B1 KR1020140026207A KR20140026207A KR101417919B1 KR 101417919 B1 KR101417919 B1 KR 101417919B1 KR 1020140026207 A KR1020140026207 A KR 1020140026207A KR 20140026207 A KR20140026207 A KR 20140026207A KR 101417919 B1 KR101417919 B1 KR 101417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er
rod
moving means
longitudinal direction
electromagnetic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이규송
김지흥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026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01R29/0821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rooms and test sites therefor, e.g. anechoic chambers, open field sites or TEM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1Complete apparatus or systems; circuits, e.g. receivers or amplif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10Radiation diagrams of antenn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파 잔향실에 설치되는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터러 장치는 길이 방향의 일단에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막대 형상의 구동축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스터러 및 상기 구동축 상에 장착되어 상기 스터러를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터러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STIRRER SYSTEM IN REVERBERATION CHAMBER}
본 발명은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터러의 설치수량 증감이나 스터러의 교체 없이 스터러의 위치 및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전자기적합성 시험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T기술의 발달과 무선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통신기기나 전자기기의 이용자가 급속하게 증가됨에 따라 통신기기나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가 통신 및 전자기기 상호 간에 장애를 유발하므로 각종 통신 및 전자기기가 전자기환경(EME, Electromagnetic Environment)에 어떤 경로로 노출될 수 있으며, 어떤 영향을 주는지와 관련된 충분한 사전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전자기간섭(EMI, Electromagnetic Interferance) 및 전자기 적합성(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을 고려한 통신 및 전자기기의 전자기적합성 시험평가(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Test)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 적합성 시험평가는 전자파 장해 및 복사 내성 등을 측정하기 위한 시설로서 전자파 무향실(Anechoic Chamber)과 전자파 잔향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먼저, 전자파 무향실은 검증을 위한 기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 전자파를 차단하고 내부에서 발생한 전자파를 흡수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챔버 본체의 내부에 차폐성능을 갖는 전자흡수체가 설치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반해 전자파 잔향실(Reverberation Chamber)은 전자파 무향실과는 상이하게 챔버 본체의 벽면을 가능한 전자파를 흡수하지 않도록 하여 내부공간에서 전자파가 오랜 잔향 시간을 갖고 가능한 많은 확산(Diffusion)을 갖도록 제작한 전자기 적합성 시험 평가 시설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파 무향실은 내부에서 전자파 반사가 없는 환경을 제공하고, 또 주변 전자파 환경(Electromagnetic Environment)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차폐된 상황에서 대상 시험 기기(EUT, Equipment under Test)의 전자기 적합성을 시험 평가하는 시설이다. 하지만, 측정 요구되는 시험 주파수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시험 평가의 정확도가 낮아지고, 초기 시험장 건설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이 높아 짐에 따라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전자파 잔향실이 주목받고 있다.
예컨대 상기한 전자파 잔향실은 도 1(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20983호에 개시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벽면, 바닥면 및 천정면으로 이루어진 챔버와, 이 챔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스터러(stirrer)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65267호로 개시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파의 특성을 측정시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전자파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전자파를 각각 차단하는 다면체 구조의 실드룸(Shield room)의 내부에 구동모터와 동조기 교반기 어셈블리(이하 스터러(Stirrer)로 칭함)로 이루어진 한 개 이상의 스터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스터러 장치는 일반적으로 전자파 잔향실의 하한 주파수(LUF: Lowest Usable Frequency)를 낮추기 위해 사용되며, 스터러의 회전동작을 통해 국제 규격(IEC 61000-4-21)에서 요구되는 전기장의 필드 균일도를 확보한다.
이에 따라 전자파 잔향실은 전기장의 균일도를 갖는 시험 공간을 증가시키는 등 최적의 테스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스터러 장치의 설치수량 및 위치를 변경하거나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스터러를 준비하여 교체하면서 테스트를 시행하여 회전시 누적 체적(swept volume)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전자파 잔향실 내에 스터러 장치의 설치 수량을 증가하거나 스터러의 형상 및 크기를 다양하게 변경하기 위해서는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고, 설치 및 변경에는 많은 준비 및 설치시간이 소요되므로 평가 기기의 전자기적합성 시험평가를 신속하고 적절하게 수행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전자파 잔향실의 한정된 공간내에서 스터러 장치의 설치 수량을 자유롭게 증가시킬 수 없고 스터러의 형상 변경에도 제한이 따르므로 효율적으로 전자기적합성 시험평가를 실행할 수 없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터러의 설치수량 증감이나 스터러의 교체 없이 스터러의 위치 및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전자기적합성 시험평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는 길이 방향의 일단에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막대 형상의 구동축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스터러 및 상기 구동축 상에 장착되어 상기 스터러를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터러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터러 이동수단은 상기 스터러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 스터러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 스터러 이동수단은 상기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스터러에 연결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로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터러 이동수단은 상기 스터러를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 스터러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횡 스터러 이동수단은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일단부가 상기 스터러에 연결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로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터러 이동수단은 종 스터러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종 스터러 이동수단은 상기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일단부가 상기 스터러에 연결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로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축은 중공을 포함하고, 상기 스터러 이동수단은 상기 중공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실린더들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유체 공급 호스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터러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경사면의 일단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경사면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에 의하면, 스터러 이동수단에 의해 스터러를 상하 및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스터러 장치의 설치수량 증감이나 스터러의 교체 없이도 실험자가 스터러의 위치를 간편하게 이동시키면서 형상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전자기적합성 시험평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터러 장치는 적은 수의 스터러를 가지고도 전기장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터러 장치의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어서 평가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있고, 시험 대상 기기의 전자기적합성 시험평가를 신속하고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의 설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의 개념도.
도 6는 도 5의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도 6의 C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의 개념도.
도 9은 도 8의 D부분의 확대 사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의 설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1)는 전자파 잔향실(2)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동작을 통해 내부의 필드 경계 조건(Boundary Condition)을 변화시켜 국제 규격(IEC 61000-4-21)에서 요구되는 전기장의 필드 균일도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터러(11), 구동수단(12), 구동축(13), 및 스터러 이동수단(14)이 구비되어 있다.
스터러(11)는 전자파 잔향실(2)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도록 구동축(13)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구성요소로서 회전동작을 통해 전기장 필드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이때 스터러의 형태는 회전시 비대칭이어야 한다.
그리고, 스터러(11)는 형상과 구조에 제한은 없으나 회전시 누적 체적 공간(Swept Volume)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 판상부재가 지그재그 구조로 굴곡되어 복수의 경사면(111)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러(11)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점에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판상부재에 이동공(112)이 천공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이동공(112)은 스터러(11)의 충분한 이동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장공 형태로 길게 천공되고, 장공의 폭은 그 내부에 삽입되는 구동축(13)의 외주면이 밀착될 정도의 치수로 형성된다.
구동수단(12)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러(11)에 회전을 위한 동력을 생성, 인가하는 구성요소로서 구동모터(121)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모터(121)는 전기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구동되면서 회전력을 생성하는 장치이므로 구동시에 전자파가 발생 됨에 따라 전자파 잔향실(2)의 외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모터(121)에는 회전비를 감속하는 감속기(122)가 구비되어 있다.
구동축(13)은 구동수단(12)의 출력축(123)에 접속되어 회전력을 스터러에 전달하는 기능을 설치하는 구성요소로서 봉상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터러 이동수단(14)은 스터러(11)를 구동축(13)상에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스터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스터러 이동수단(14)은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작동되는 전기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스터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구동시 전자파가 방사되는 전기액츄에이터를 적용할 경우 전자파 흡수체로 전기액츄에이터를 밀봉하여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고, 완벽한 전자파의 차폐성능을 담보하기가 곤란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시에 전자파가 발생되지 않은 공압시스템 또는 유압시스템을 적용하여 구성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시스템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공압시스템을 적용하여 구성한다.
스터러 이동수단(14)은 스터러(1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 스터러 이동수단(14a)과, 스터러(1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 스터러 이동수단(14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터러 이동수단(14)은 횡 스터러 이동수단(14a) 및 종 스터러 이동수단(14b)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지만 다양한 측정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후술되는 제2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터러 장치에 횡 및 종 스터러 이동수단을 모두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 스터러 이동수단(14a)은 구동축(13)에 설치되고 일단이 스터러(11)에 접속되어 스터러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드(141b)를 갖는 구동실린더(141)와, 이 구동실린더(141)에 작동 유체를 공급하는 작동유체공급유닛(142)을 구비한다.
종 스터러 이동수단(14b)은 구동축(13)에 설치되고 일단이 스터러(11)에 접속되어 스터러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드(141b)를 갖는 구동실린더(141)와, 이 구동실린더(141)에 작동 유체를 공급하는 작동유체공급유닛(142)을 구비한다.
구동실린더(141)는 압축공기의 공급 및 배기시에 로드(141b)가 실린더몸체(141a)내에서 전후진되는 공압실린더나 작동유의 공급 및 배기시에 로드가 전후진되는 유압실린더가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공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는 유체의 공급방향에 따라 전진 및 후진되는 복동식 공압실린더나 복동식 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
작동유체공급유닛(142)은 전자파 잔향실(2)의 전기장 균일도 확보에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도록 전자파 잔향실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구동실린더(141)로서 공압실린더가 적용된 경우, 압축공기를 생성, 압송하는 콤퓨레셔(미도시), 콤퓨레셔로부터 생성된 압축공기를 공압실린더로 공급하는 공급호스(143), 공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미도시), 공급압력을 조절하는 조절유닛(미도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유체공급유닛(142)은 구동실린더(141)로서 유압실린더가 적용될 경우, 작동유가 저장되는 유압탱크(미도시), 유압탱크의 작동유를 흡인하여 압송하는 유압펌프(미도시), 작동유를 유압실린더로 공급하거나 유압탱크로 드레인 시키기 위한 공급호스, 유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공급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미도시), 공급압력을 조절하는 조절유닛(미도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구동축(13)은 도 4의 확대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실린더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호스나 유압실린더로 작동유를 공급하는 공급호스가 인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131)를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축(13)에는 구동실린더(141)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축(13)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면 그 하측을 통해 중공부(131)의 내부로 공급호스(143)가 인입될 수 있으므로 스터러(11)를 포함하는 구동축이 회전되더라도 공급호스가 꼬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3은 전자파 잔향실(2)에 접하여 각종 측정장비가 셋업되어 전자기 적합성 성능 평가를 수행하는 제어실이고, 4는 전자파 잔향실(1)내의 수신안테나(4a)와 연결되어 전기장 필드를 측정하는 필드측정장비이고, 5는 전자파 잔향실내에 설치된 송신안테나(5a)와 연결되는 필드발생장비이며, 6은 전자기적합성 시험평가 대상 기기(6a)가 배치되는 적재대이고, 7은 대상 기기(6a)가 위치하는 시험공간(test volume)을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임의의 공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파 잔향실의 내부에 대상 기기(6a)를 배치하고,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스터러 장치(1)를 전자파 잔향실(2)에 장착한 상태에서 구동모터(12)를 작동시켜 스터러(11)를 회전시키면서 대상 기기(6a)가 실제 사용 환경에서 어떠한 성능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평가를 시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터러 장치(1)의 스웹 용량(swept volume)을 증가시켜 최적의 테스트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경우 횡 스터러 이동수단(14a)를 작동시켜 스터러(1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동유체공급유닛(142)를 작동시켜 공급호스(143)를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141)의 로드(141b)가 후진 이동되도록 제어밸브를 작동시키게 되면 로드(141b)의 단부에 접속된 스터러(11)에 후진력이 작용되므로 스터러는 이동공(112) 내에 위치한 구동축(13)에 안내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스터러(11)가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되면 회전시 스터러의 스웹 용량이 커지게 되므로 전기장 균일도를 갖는 시험 공간을 증가시켜 최적의 전자기적합성 시험평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에 의하면 스터러 장치(1)의 설치수량 증감이나 스터러(11)의 교체 없이도 실험자가 전술한 바와 같은 스터러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형상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전자기적합성 시험평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의 제2 및 제3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세부 구성과 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도 6의 C부 확대 분리 사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1)는 전자파 잔향실(2) 내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스터러(11), 스터러(11)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생성, 인가하는 구동수단(12), 구동수단(12)과 스터러(11) 사이에 연결되는 구동축(13), 및 스터러(11)를 이동시키는 스터러 이동수단(14)을 포함하되, 스터러 이동수단(14)은 구동실린더(141)를 구비한 횡 스터러 이동수단(14a) 및 종 스터러 이동수단(14b)이 모두 구성되어 있다.
횡 스터러 이동수단(14a)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고, 종 스터러 이동수단(14b)은 스터러(1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실린더(141)가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횡 스터러 이동수단(14a)로 구성되는 구동실린더(141)는 도 6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몸체(141a)의 후단에 힌지브라켓(141c)이 구비되어 구동축(13)의 장착부(1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됨으로써, 종 스터러 이동수단(14b)로 구성되는 구동실린더(141) 로드의 출몰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때, 구동축(13)의 장착부(132)는 힌지브라켓(141c)과 힌지핀에 의해 서로 접속되도록 유사한 형상의 접속힌지부(132a)가 형성되어 있다.
종 스터러 이동수단(14b)의 구동실린더(141)는 전후진 동작을 통해 스터러(11)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로드(141b)의 단부가 스터러에 접속되되, 횡 스터러 이동수단(14a)의 작동에 따른 스터러(11)가 횡방향 이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종 스터러 이동수단(14b)의 구동실린더(14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41b)의 단부에 슬라이딩부재(1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부재(144)는 스터러(11)의 원활한 횡방향 이동을 위해 마찰계수가 낮은 소재로 형성되어 스터러의 상면 및 저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144a,144b)로 구성되고, 제1 슬라이드딩부재(144a)는 로드(141b)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링(141d) 하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제2 슬라이딩부재(144b)는 로드(141b)의 단부에 볼트(145)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는 횡 스터러 이동수단(14a)에 의해 스터러(11)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종 스터러 이동수단(14b)에 의해 스터러(11)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횡 및 종 스터러 이동수단를 동작시켜 스터러(11)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어서 단일의 스터러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9은 도 8의 D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는 전자파 잔향실(2) 내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스터러(11), 스터러(11)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생성, 인가하는 구동수단(12), 구동수단(12)와 스터러(11) 사이에 연결되는 구동축(13), 및 횡 스터러 이동수단(14a)과 종 스터러 이동수단(14b)을 구비한 스터러 이동수단(14)을 포함하되, 스터러(11)는 판상부재가 지그재그 구조로 굴곡되어 복수의 경사면(111)을 갖도록 구성되되, 경사면(111)은 서로 벌어지거나 포개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스터러(11)는 경사면(111)과 경사면(111)의 경계부에 힌지부(113)가 마련되어, 이 힌지부(113)를 기준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힌지부(113)는 서로 마주보는 경사면(111)에 접속되어 절첩동작(각운동을 의미함)이 가능하다면 제한 없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경사면(111)의 단부에 형성되는 상 힌지링(113a), 하측 경사면(111)의 단부에 형성되는 하 힌지링(113b), 및 상,하 힌지링(113a,113b)의 내부홀에 삽입되는 힌지핀(113c)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종 스터러 이동수단(14b)은 스터러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동실린더(141)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3)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동실린더(141)가 설치되어 스터러(11)를 상하측에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 스터러 이동수단(14b)이 복수 개의 구동실린더(141)로 구성되면 스터러(11)의 위치변경은 물론이고 형상을 보다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어서 보다 다양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스터러 장치 2:전자파 잔향실
3:장비수납실 4:필드측정장비
5:필드발생장비 6:적재대
6a:대상 기기 7:시험공간
11:스터러 12:구동수단
13:구동축 14:스터러 이동수단
14a:횡 스터러 이동수단 14b:종 스터러 이동수단
111:경사면 112:이동공
113:힌지부 121:구동모터
131:중공부 132:장착부
141:구동실린더 141a:실린더몸체
141b:로드 141c:힌지브라켓
142:작동유체공급유닛 143:공급호스
144:슬라이딩부재 144a:제1 슬라이딩부재
144b:제2 슬라이딩부재

Claims (8)

  1. 전자파 잔향실에 설치되는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터러 장치는,
    길이 방향의 일단에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막대 형상의 구동축;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스터러; 및
    상기 구동축 상에 장착되어 상기 스터러를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스터러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 스터리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스터러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종 스터러 이동수단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스터러에 연결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로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러 이동수단은,
    상기 스터러를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 스터러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횡 스터러 이동수단은,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일단부가 상기 스터러에 연결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로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러 이동수단은 종 스터러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종 스터러 이동수단은,
    상기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일단부가 상기 스터러에 연결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로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중공을 포함하고,
    상기 스터러 이동수단은 상기 중공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실린더들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유체 공급 호스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러는,
    제1 경사면;
    상기 제1 경사면의 일단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경사면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
KR1020140026207A 2014-03-05 2014-03-05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 KR101417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207A KR101417919B1 (ko) 2014-03-05 2014-03-05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207A KR101417919B1 (ko) 2014-03-05 2014-03-05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919B1 true KR101417919B1 (ko) 2014-07-10

Family

ID=5174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207A KR101417919B1 (ko) 2014-03-05 2014-03-05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9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012A (ko) * 2016-12-27 2018-07-05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알터네이터 및 전압조정기의 전자기적합성 성능평가 시스템
CN109541512A (zh) * 2018-12-20 2019-03-29 北京无线电计量测试研究所 一种用于混响室装置的搅拌器及混响室装置
KR102487284B1 (ko) * 2022-04-18 2023-01-11 주식회사 이레테크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251A (ko) * 2004-10-22 2006-04-26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유리용융로용 교반장치
KR20090075678A (ko) * 2006-09-14 2009-07-08 유러피언 에어로너틱 디펜스 앤드 스페이스 컴퍼니 이아드스 프랑스 잔향 챔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251A (ko) * 2004-10-22 2006-04-26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유리용융로용 교반장치
KR20090075678A (ko) * 2006-09-14 2009-07-08 유러피언 에어로너틱 디펜스 앤드 스페이스 컴퍼니 이아드스 프랑스 잔향 챔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012A (ko) * 2016-12-27 2018-07-05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알터네이터 및 전압조정기의 전자기적합성 성능평가 시스템
KR101885441B1 (ko) * 2016-12-27 2018-08-29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알터네이터 및 전압조정기의 전자기적합성 성능평가 시스템
CN109541512A (zh) * 2018-12-20 2019-03-29 北京无线电计量测试研究所 一种用于混响室装置的搅拌器及混响室装置
CN109541512B (zh) * 2018-12-20 2021-03-23 北京无线电计量测试研究所 一种用于混响室装置的搅拌器及混响室装置
KR102487284B1 (ko) * 2022-04-18 2023-01-11 주식회사 이레테크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919B1 (ko)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
KR10137507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벤딩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검사방법
CN105485084B (zh) 一种用于电磁兼容测试的非金属气缸、旋转角度可调天线装置及系统
WO2017032209A1 (zh) 一种lte天线智能测量系统
CN103558422A (zh) 一种电磁混响室的机械搅拌、源搅拌的混合搅拌装置及方法
JP2010503843A (ja) 電磁波残響の試験室
CN206804764U (zh) 一种车用电机负载模拟系统及电磁兼容测试系统
US9482708B2 (en) Enhanced reverberation chamber
US6885265B2 (en) Hybrid mode stirred and mode tuned chamber
US20200003815A1 (en) Integrated shielding for motor and test antenna de-coupling
CN102608558B (zh) 辐射场均匀性校验定位装置
KR101586068B1 (ko) 단지내 지하전력구 전기케이블 지지대
KR101548240B1 (ko) 보조스터러가 설치된 전자파 잔향실용 스터러 장치
CN103364596A (zh) 电波暗室
CN103293402B (zh) 测试装置
CN211831178U (zh) 一种微波暗箱
CN206422965U (zh) 等离子体空间特性诊断装置
CN108802694A (zh) 一种用于侦察信号的智能收缩天线雷达设备
EP3267596B1 (en) Machine tool
CN108181490A (zh) 多功能屏蔽箱
CN209372368U (zh) 闪光灯测试装置
CN101576592B (zh) 可同时调节驻波比和相位的模拟天线失配负载
CN207424110U (zh) 天线柱面近场测量系统
JP2008072538A (ja) ホーンアンテナ及びemc試験用アンテナ装置
CN103439536B (zh) 一种用于电磁屏蔽壳体屏蔽效能测试的搅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