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035B1 - Rf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Rf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035B1
KR101417035B1 KR1020070128633A KR20070128633A KR101417035B1 KR 101417035 B1 KR101417035 B1 KR 101417035B1 KR 1020070128633 A KR1020070128633 A KR 1020070128633A KR 20070128633 A KR20070128633 A KR 20070128633A KR 101417035 B1 KR101417035 B1 KR 101417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rt
coupler
power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1721A (ko
Inventor
배수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8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0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RF 송수신 장치는 송신처리부 및 안테나와 연결되고, 누설된 송신신호 및 커플링된 수신신호를 제1 신호로 출력하며, 커플링된 송신신호를 제2 신호로 출력하는 제1 결합기;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의 위상을 동기화시키는 위상조정부;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의 전력을 레벨화하는 제1 전력조정부; 상기 위상 동기화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커플링시킴으로써, 상기 제1 신호의 송신신호 성분과 상기 제2 신호의 송신신호 성분을 상쇄시키고, 상기 제1 신호의 커플링된 수신신호를 추출하는 제4 결합기를 포함하는 송수신 분리회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경우, 수신단으로 누설된 송신신호를 제거하여 수신신호만을 추출할 수 있으므로 수신신호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통신 에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서큘레이터와 같은 개별 소자를 이용하지 않고 결합기만을 통하여 송수신 분리 회로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단말기 제품의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생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RF 송수신 장치, 누설 신호, 결합기, 위상조정부, 전력 감지기

Description

RF 송수신 장치{Radio Frequency tranceiver device}
실시예는 RF 송수신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핸드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랜 접속 장치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RF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며, RF 송수신 장치는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의 주파수를 구분하기 위하여 송수신 안테나를 분리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회로가 복잡해지고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하나의 안테나를 공유하여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안테나를 공유하기 위하여 안테나 전단에 격리기(isolaotor), 서큘레이터(circulator) 등의 부품이 이용된다.
그러나, 격리기 또는 서큘레이터와 같은 신호분리소자는 송수신 단자에 대한 격리도(isolation) 특성이 우수하지 못하므로, 상대적으로 전력이 큰 송신신호가 수신 단자 측으로 누설되며, 누설된 신호에 수신신호가 묻히게 되어 수신신호를 인식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신호분리소자는 크기가 크므로 RF 송수신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가격이 고가이므로 단말기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 인으로 작용된다.
특히, RFID 태그와 같이, 에너지 신호를 이용하여 백스캐터링 방식으로 태그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RFID 리더는 극히 미약한 태그신호를 수신하게 되므로 수신신호의 인식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된다.
실시예는 누설 전류를 최소화하여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고, 수신신호의 인식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RF 송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RF 송수신 장치는 송신처리부 및 안테나와 연결되고, 누설된 송신신호 및 커플링된 수신신호를 제1 신호로 출력하며, 커플링된 송신신호를 제2 신호로 출력하는 제1 결합기;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의 위상을 동기화시키는 위상조정부;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의 전력을 레벨화하는 제1 전력조정부; 상기 위상 동기화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커플링시킴으로써, 상기 제1 신호의 송신신호 성분과 상기 제2 신호의 송신신호 성분을 상쇄시키고, 상기 제1 신호의 커플링된 수신신호를 추출하는 제4 결합기를 포함하는 송수신 분리회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경우, 수신단으로 누설된 송신신호를 제거하여 수신신호만을 추출할 수 있으므로 수신신호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통신 에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서큘레이터와 같은 개별 소자를 이용하지 않고 결합기만을 통하여 송수신 분리 회로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단말기 제품의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생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RF 송수신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데, 실시예에 따른 RF 송수신 장치는 RFID 송수신 장치, 지그비(Zigbee) 송수신 장치, 블루투스(Bluetooth) 송수신 장치, 무선랜 송수신 장치, 이동통신 송수신 장치 등을 포괄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이용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RF 송수신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RF 송수신 장치(100)는 안테나(110), 송신처리부(130), 수신처리부(140), 제어부(150) 및 송수신 분리회로(200)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분리회로(200)는 제1 결합기(205), 제2 결합기(210), 제3 결합기(215), 제1 감지부(220), 제2 감지부(225), 비교기(230), 제1 전력조정부(240), 제4 결합기(245), 위상조정부(250), 제3 감지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결합기(200), 제4 결합기(245), 제5 결합기(241), 제6 결합기(252), 제7 결합기(253)는 브랜치 라인 결합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기(210), 제3 결합기(215)는 분배기의 일종으로서, 래트 레이스(Rat race) 결합기, 결합 커패시터, 방향성 결합기, 브랜치 라인 결합기 등 다양한 종류의 결합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브랜치 라인(Branch line) 결합기(Coupler)는 두 개의 전송 선로를 두개의 브랜치 라인으로 연결한 형태로서 직접 커플링(Direct coupling) 방식을 이용 한 결합이고,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브랜치 라인 결합기는 4개의 포트를 가지며, 각 포트 사이는 1/4λ 길이, 90°의 위상차를 가진다.
상기 송신처리부(130)에서 처리된 송신신호는 제1 결합기(205)의 제1 포트(a)로 전달되는데, 송신신호의 입장에서 보면, 제1 포트(a)는 입력 포트가 되고, 제2 포트(b)는 출력 포트가 되며, 제3 포트(c)는 격리 포트가 되고, 제4 포트(d)는 커플링된 신호가 출력되는 포트(이하, "커플링 포트"라 함)가 된다.
한편, 상기 안테나(110)를 통하여 수신된 수신신호는 제1 결합기(205)의 제2 포트(b)로 전달되는데, 수신신호의 입장에서 보면, 제2 포트(b)는 입력 포트가 되고, 제1 포트(a)는 출력 포트가 되며, 제3 포트(c)는 커플링 포트가 되고, 제4 포트(d)는 격리 포트가 된다.
따라서, 제1 포트(a)로 입력된 송신신호는 제2 포트(b)로 출력되어 안테나(110)로 전달되고, 안테나(110)는 송신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제2 포트(b)로 입력된 수신신호가 제1 포트(a)로 출력되어 송신처리부(130)로 전달된다고 하여도 수신신호는 송신신호에 비하여 극히 작은 전력 수치를 가지므로 송신처리부(130)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한편, 최소한의 삽입 손실을 제외한 대부분의 송신신호가 제4 포트(d)를 통하여 커플링되는 반면, 송신신호의 대부분은 제3 포트(c)를 통하여 격리되지 못하고 누설된다.
이는 송신신호의 전력 수치가 제1 결합기(205)의 제3 포트(c)가 가지는 격리 수치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반면, 최소한의 삽입 손실을 제외한 대부분의 수신신호는 제3 포트(c)를 통하여 커플링되고, 수신신호의 대부분은 제4 포트(d)를 통하여 격리된다.
이는 수신신호의 전력 수치가 제1 결합기(205)의 제4 포트(d)가 가지는 격리 수치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결합기(205)에서 누설된 송신신호와 커플링된 수신신호는 함께 섞인 상태의 신호를 이루어 제3 포트(c)를 통하여 출력된다.
그러나, 제1 결합기(205)에서 누설된 수신신호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커플링된 송신신호만이 제4 포트(d)를 통하여 출력된다.
이하, 상기 제1 결합기(205)의 제3 포트(c)를 통하여 출력된 신호를 "제1 신호"라 하고, 제4 포트(d)를 통하여 출력된 신호를 "제2 신호"라 한다.
상기 제1 신호는 제2 결합기(210)를 통하여 제1 감지부(220) 및 위상조정부(250)로 전달되고, 상기 제2 신호는 제3 결합기(215)를 통하여 제2 감지부(225) 및 제1 전력조정부(240)로 전달된다.
상기 제1 감지부(220), 제2 감지부(225), 제3 감지부(255)는, 가령 로그 앰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상태인 중간주파 신호를 직류전압신호로 출력하여 전력 레벨을 감지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제1 감지부(220), 제2 감지부(225), 제3 감지부(255)는 중간주파 신호를 직접(Direct) 데시벨 값에 비례한 직류전압신호로 출력시킴으로써 수신 가능한 전력 레벨의 신호 감도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비교기(230)는 제1 감지부(220)로부터 제1 신호의 전력 레벨수치를 전달받고, 제2 감지부(225)로부터 제2 신호의 전력 레벨수치를 전달받아 두개의 전력수치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기(230)는 비교 결과를 제1 전력조정부(240)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전력조정부(24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제2 신호의 전력을 증폭 또는 감쇄시킨다.
따라서, 제1 신호와 제2 신호는 동일한 전력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RF 송수신 장치(100)의 제2 결합기(210) 및 제3 결합기(215)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형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의 (a) 도면은 제1 신호(f1+f2+f0)를 측정한 것이고, (b) 도면은 제2 신호(f0)를 측정한 것인데, 전술한 대로, 제1 신호는 누설된 송신신호(f0)와 커플링된 수신신호(f1, f2)가 함께 섞인 상태임을 볼 수 있고, 제2 신호는 커플링된 송신신호(f0)만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전력 레벨은 송신신호의 성분에 의하여 결정되며, 누설된 송신신호보다 커플링된 송신신호의 전력 레벨이 클 수 밖에 없으므로, 도 2에 측정된 것처럼, 제2 신호의 전력 레벨이 제1 신호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제1 전력조정부(240)는 제2 신호를 감쇄시킴으로써 상기 제1 신호와 동일한 크기의 전력 레벨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위상조정부(250)는 제1 신호의 위상을 천이하여 제2 신호와 동위상으로 조정한다. 상기 위상조정부(250)의 동작은 제3 감지부(255), 제어부(150)와 함께 설명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동일한 위상과 전력 레벨을 가지게 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는 각각 제4 결합기(245)의 제1 포트(e)와 제3 포트(g)로 입력된다.
상기 제1 결합기(205)의 제1 포트(a)와 제2 포트(b)가 송신신호 또는 수신신호의 입력 방향에 따라 입력 포트 또는 출력 포트로 기능되는 것과는 달리, 상기 제4 결합기(245)의 제1 포트(e)는 위상 조정된 제1 신호의 입력 포트로 기능되고, 제3 포트(g)는 격리 포트로서 전력 조정된 제2 신호의 입력 포트로 기능된다.
즉, 상기 제4 결합기(245)는 제1 포트(e)와 제3 포트(g)를 통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동시에 입력받는다.
이렇게 제4 결합기(245)로 입력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는 출력 포트인 제2 포트(f)를 통하여 합산된 형태로 출력되고, 커플링 포트인 제4 포트(h)를 통하여 감산된 형태로 출력된다.
이하, 제4 결합기의 제2 포트(f)를 통하여 출력된 신호를 "제3 신호"라 하고, 제4 포트(h)를 통하여 출력된 신호를 "제4 신호"라 한다.
따라서, 상기 제3 신호는, 위상 동기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송신신호 성분이 더해짐에 따라 최초 송신신호의 2배에 이르는 전력 레벨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위상조정부(250)에 의하여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위상이 동기화되지 않았다면, 상기 제3 신호의 전력은 최초 송신신호가 가지는 전력 레벨의 2배보다 작게 된다.
상기 제3 감지부(255)는 제3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제어 부(150)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50)는 감지 결과가 최초 송신신호가 가지는 전력 레벨의 2배보다 작다고 판단된 경우 위상조정정보를 생성하여 위상조정부(250)로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위상조정부(250)는 상기 제1 신호의 위상을 제2 신호와 동기화하여 상기 제4 결합기(245)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송신처리부(130)의 증폭 동작을 제어하여 최초 송신신호의 전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 최초 송신신호의 전력 레벨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제4 신호 중, 제1 신호의 송신신호 성분(제1 결합기(205)의 누설된 송신신호)과 제2 신호의 송신신호 성분(제1 결합기(205)의 커플링된 송신신호)은 차감됨에 따라 서로 상쇄되고, 제1 신호의 수신신호 성부(제1 결합기(205)를 통하여 커플링된 수신신호)만이 추출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추출된 수신신호는 수신처리부(140)로 전달되고, 수신처리부(140)는 수신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상기 송신처리부(130)는 변조기, 송신필터, 전력증폭기 등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처리부(140)는 저잡음증폭기, 수신필터, 믹서, 벌룬회로, 복조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송신처리부(130) 및 수신처리부(1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력조정부(240)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전력을 동일 레벨화하는 기능을 분담하고, 위상조정부(250)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위상을 동기화하는 기능을 분담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전력조정부(240)가 제2 신호의 전력을 조정함에 있어서 제2 신호의 위상에 변화가 생긴다면, 위상조정부(250)는 제대로 동작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위상조정부(250)가 제1 신호의 위상을 조정함에 있어서 제1 신호의 위상에 변화가 생긴다면, 제1 전력조정부(240)는 제대로 동작하기 어렵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실시예에 따른 제1 전력조정부(240) 및 위상조정부(25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RF 송수신 장치(100)의 제1 전력조정부(24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전력조정부(240)는 제5 결합기(241), 제1 격리기(242), 제2 격리기(243), 제1 다이오드(244), 제2 다이오드(2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5 결합기(241)의 입력포트인 제1 포트(i)는 제3 결합기(215)와 연결되어 제2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제5 결합기(241)의 출력포트인 제2 포트(j)는 제1 다이오드(244)와 연결되고, 커플링 포트인 제4 포트(l)는 제2 다이오드(245)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5 결합기(241)의 격리포트인 제3 포트(k)는 제4 결합기(245)와 연결된다.
즉, 상기 제5 결합기(241)의 제1 포트(i)는 입력포트로 기능되고, 제3 포트(k)는 출력포트로 기능되며, 제2 포트(j)와 제4 포트(l)는 내부회로와 연결되 는 포트이다.
상기 제1 다이오드(244)와 제2 다이오드(245)는 비교기(230)와 연결되는데, 비교기(230)는 상기 비교결과에 따른 DC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여 제1 다이오드(244) 및 제2 다이오드(245)로 인가한다.
상기 제1 다이오드(244)와 제2 다이오드(245)는 상기 비교기(230)로부터 전달된 DC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저항 수치가 변화된다.
상기 비교기(230)와 제1 다이오드(244) 및 제2 다이오드(245) 사이에는 각각 제1 격리기(242) 및 제2 격리기(243)가 연결된다.
상기 제1 격리기(242)와 제2 격리기(243)는 RF 신호 상태인 제2 신호가 제어부(150) 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1 다이오드(244)와 제2 다이오드(245)는 핀 다이오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약 50Ω 내지 300Ω의 저항 수치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제5 결합기(241)의 제2 포트(j)를 통하여 출력된 신호와 제4 포트(l)를 커플링된 신호는 각각 제1 다이오드(244) 및 제2 다이오드(245)의 저항 성분에 따라 반사되고, 반사 손실(return loss)에 의하여 제3 포트(k)로 출력되는 제2 신호의 전력이 조정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1 다이오드(244) 및 제2 다이오드(245)의 저항이 약 50Ω일 경우, 상기 다이오드들(244, 245)에 도달한 제2 신호는 모두 흡수되고, 제3 포트(k)로 출력되는 신호는 없게 된다. 즉, 무한대에 해당되는 감쇄가 이루어져 제2 신호는 원래의 전력 레벨에 상관없이 모두 감쇄된다.
또한, 상기 제1 다이오드(244) 및 제2 다이오드(245)의 저항이 약 150Ω일 경우, 반사 손실은 제1 포트(i)를 통하여 입력된 제2신호가 가지는 전력수치의 절반이 되고, 제3 포트(k)로 출력되는 제2 신호는 절반의 전력이 감쇄되어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1 다이오드(244) 및 제2 다이오드(245)의 저항이 약 300Ω일 경우, 상기 다이오드들(244, 245)에 도달한 제2 신호는 전반사되고, 반사 손실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제2 신호는 감쇄없이 제3 포트(k)를 통하여 출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작되는 제1 전력조정부(240)는 감쇄 동작의 종류에 상관없이 위상 변화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기 위상조정부(250)는 안정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RF 송수신 장치(100)의 위상조정부(25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위상조정부(250)는 제2 전력조정부(251), 제6 결합기(252), 제7 결합기(253), 인버터(254), 제3 전력조정부(2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6 결합기(252)의 입력포트인 제1 포트(m)는 제2 결합기(210)와 연결되고, 출력포트인 제2 포트(n)는 제2 전력조정부(251)와 연결된다.
또한, 제6 결합기(252)의 격리 포트인 제3 포트(o)는 접지단과 연결되고, 커플링 포트인 제4 포트(p)는 제3 전력조정부(255)와 연결된다.
상기 제7 결합기(253)의 입력 포트인 제1 포트(q)는 제2 전력조정부(251)과 연결되고, 출력포트인 제2 포트(r)는 제4 결합기(245)와 연결된다.
또한, 제7 결합기(253)의 격리포트인 제3 포트(s)는 제3 전력조정부(255)와 연결되고, 커플링 포트인 제4 포트(t)는 접지단과 연결된다.
상기 제2 전력조정부(251)과 제3 전력조정부(255)는 감쇄기로 구비되며, 제2 전력조정부(251)는 제어부(150)와 연결되고, 제3 전력조정부(255)는 인버터(254)를 통하여 제어부(150)와 연결된다.
상기 제6 결합기(252)의 제3 포트(n), 제2 전력조정부(251), 제7 결합기(253)의 제1 포트(q)는 제1 경로를 구성하고, 상기 제6 결합기(252)의 제4 포트(p), 제3 전력조정부(255), 제7 결합기(253)의 제3 포트(s)는 제2 경로를 구성한다.
상기 제6 결합기(252)의 제3 포트(n)와 제4 포트(p)는 90°의 위상차를 가지고, 제7 결합기(253)의 제1 포트(q)와 제3 포트(s)는 90°의 위상차를 가지므로, 제1 경로와 제2 경로는 180°의 위상차를 이룬다.
제6 결합기(252)의 제1 포트(m)를 통하여 입력된 제1 신호는 제2 포트(n)로 전달되어 제2 전력조정부(251)로 출력되고, 상기 제1 신호는 제4 포트(p)로 커플링되어 제3 전력조정부(255)로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150)는 DC 바이어스 전압 상태인 상기 위상조정정보를 제2 전력조정부(251)와 제3 전력조정부(255)로 전달하는데, 제3 전력조정부(255)로 전달되는 위상조정정보는 인버터(254)에 의하여 역위상을 이룬다.
따라서, 제2 전력조정부(251)와 제3 전력조정부(255)는 반대의 감쇄 동작을 수행하며, 제1 경로상의 제1 신호와 제2 경로상의 제1 신호 사이에 180°의 위상차 가 발생된다.
180°의 위상차가 발생된 제1 경로의 제1 신호와 제2 경로의 제1 신호는, 각각 제7 결합기(253)의 제1 포트(q)와 제3 포트(s)로 전달되고, 제7 결합기(253) 상에서 단일 신호로 합쳐져 제2 포트(r)를 통하여 출력된다.
따라서, 제4 결합기(245)로 출력된 제1 신호의 위상은 변화되나 전력은 변화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 전력조정부(240)는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RF 송수신 장치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RF 송수신 장치의 제2 결합기 및 제3 결합기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형태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RF 송수신 장치의 제1 전력조정부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RF 송수신 장치의 위상조정부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Claims (12)

  1. 송신처리부 및 안테나와 연결되고, 누설된 송신신호 및 커플링된 수신신호를 제1 신호로 출력하며, 커플링된 송신신호를 제2 신호로 출력하는 제1 결합기;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의 위상을 동기화시키는 위상조정부;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의 전력을 레벨화하는 제1 전력조정부;
    상기 위상 동기화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커플링시킴으로써, 상기 제1 신호의 송신신호 성분과 상기 제2 신호의 송신신호 성분을 상쇄시키고, 상기 제1 신호의 커플링된 수신신호를 추출하는 제4 결합기;
    상기 제4 결합기로부터 상기 추출된 수신신호를 전달받아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수신처리부; 및
    상기 디지털 수신신호를 전달받아 해석하고, 디지털 송신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처리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송수신 분리회로를 포함하는 RF 송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기는
    제1 포트가 송신신호의 입력포트인 경우, 제2 포트는 상기 송신신호의 출력포트이고, 제3 포트는 격리 포트이며, 제4 포트는 커플링 포트로 기능되고,
    상기 제2 포트가 수신신호의 입력포트인 경우,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수신신호의 출력포트이고, 상기 제3 포트는 커플링 포트이며, 상기 제4 포트는 격리 포트로 기능되는 RF 송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결합기는
    입력 포트인 제1 포트를 통하여 상기 위상조정부와 연결되고, 격리 포트인 제3 포트를 통하여 상기 제1 전력조정부와 연결되며, 출력 포트인 제2 포트를 통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가 합산된 제3 신호를 출력하고, 커플링 포트인 제4 포트를 통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가 감산된 제4 신호를 출력하는 RF 송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분리회로는
    상기 제1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제2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
    상기 제1 결합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위상조정부로 분배하는 제2 결합기;
    상기 제1 결합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제2 감지부 및 상기 제1 전력조정부롤 분배하는 제3 결합기;
    상기 감지된 제1 신호의 전력 레벨과 제2 신호의 전력 레벨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상기 제1 전력조정부로 전달하는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조정부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신호의 전력을 상기 제1 신호와 동일한 레벨로 조정하는 RF 송수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 분리회로는 상기 제4 결합기의 상기 제2 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3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제3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지하는 제3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감지부로부터 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위상조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상조정부는 상기 위상조정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여 상기 제2 신호와 동기화시키는 RF 송수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결과, 상기 제3 신호의 전력 레벨이 상기 송신처리부에서 생성된 송신신호가 가지는 전력 레벨의 2배보다 작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의 위상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위상조정정보를 생성하는 RF 송수신 장치.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조정부는
    입력포트인 제1 포트가 상기 제3 결합기와 연결되고, 격리포트인 제3 포트가 상기 제4 결합기와 연결되는 제5 결합기;
    상기 제5 결합기의 출력포트인 제2 포트 및 상기 비교기와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
    상기 제5 결합기의 커플링 포트인 제4 포트 및 상기 비교기와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다이오드는 상기 비교기로부터 DC 바이어스 전압 상태인 상기 비교 결과를 전달받아 저항 성분이 조정되는 RF 송수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비교기 사이에 연결되어 RF신호를 차단하는 제1 격리기;
    상기 제2 다이오드 및 상기 비교기 사이에 연결되어 RF신호를 차단하는 제2 격리기를 포함하는 RF 송수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오드, 상기 제2 다이오드 중 하나 이상은
    핀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RF 송수신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조정부는
    상기 제2 결합기와 입력포트인 제1 포트가 연결되는 제6 결합기;
    상기 제6 결합기의 출력포트인 제2 포트와 연결되고, 제어부로부터 위상조정정보를 전달받는 제2 전력조정부;
    상기 제6 결합기의 커플링 포트인 제4 포트와 연결되는 제3 전력조정부;
    상기 제2 전력조정부와 입력포트인 제1 포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3 전력조정부와 격리포트인 제3 포트가 연결되며, 출력포트인 제2 포트가 상기 제4 결합기와 연결되는 제7 결합기;
    제어부로부 전달되는 위상조정정보의 위상을 변환하여 상기 제3 전력조정부로 전달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RF 송수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결합기의 격리 포트인 제3 포트는 접지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7 결합기의 커플링 포트인 제4 포트는 접지단과 연결되는 RF 송수신 장치.
KR1020070128633A 2007-12-12 2007-12-12 Rf 송수신 장치 KR101417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633A KR101417035B1 (ko) 2007-12-12 2007-12-12 Rf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633A KR101417035B1 (ko) 2007-12-12 2007-12-12 Rf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721A KR20090061721A (ko) 2009-06-17
KR101417035B1 true KR101417035B1 (ko) 2014-07-08

Family

ID=4099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633A KR101417035B1 (ko) 2007-12-12 2007-12-12 Rf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534999A (ja) * 2021-09-17 2024-09-26 ポインツ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PI-ベースのコスタスループを用いたキャリア同期化を有する50Gb/s PAM4双方向プラスチックウェーブガイドリン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002B1 (en) 2001-11-01 2002-07-02 Power Korea Inc Apparatus for canceling adaptive feedback interference
KR20040032672A (ko) * 2002-10-10 2004-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순방향 제거 기법을 이용한 수신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002B1 (en) 2001-11-01 2002-07-02 Power Korea Inc Apparatus for canceling adaptive feedback interference
KR20040032672A (ko) * 2002-10-10 2004-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순방향 제거 기법을 이용한 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721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7323B2 (ja) Rfid用送受信装置
US7359681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3698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itivity optimization of RF receiver using adaptive nulling
KR101553010B1 (ko) 송신누설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083531B1 (ko) 송수신 신호 분리를 위한 결합장치 및 제어방법
US8476987B2 (en) Integrated bidirectional coupler
US20070194886A1 (en) RFID reader and method for removing a transmission carrier leakage signal
EP3280061B1 (en) Method and system for high resolution tuning of the phase for active load modulation in a nfc system
KR20110001658A (ko) 송신 누설 신호 제거 장치
CN109525279B (zh) 一种自干扰消除装置、射频读写器及射频识别系统
CN111082831B (zh) 一种星载同步收发装置及信号处理方法
KR20150040472A (ko) 주입동기식 발진기를 이용한 rfid 리더의 송신 누설 신호 상쇄 장치 및 방법
US8036627B2 (en) Bidirectional frequency mixer, radiofrequency transceiver system including such a mixer
KR101417035B1 (ko) Rf 송수신 장치
KR100765014B1 (ko) Rfid 수신용전파 측정장치 및 rfid 송신용전파측정장치
US20110199100A1 (en) Evaluation of a charge impedance at the output of a directional coupler
US10103706B2 (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US20200341110A1 (en) Six-port self-injection-locked radar
CN111817735B (zh) 自干扰消除电路、射频通信系统以及消除噪声信号的方法
US7634236B2 (en) Controlled signal-to-noise ratio generator circuit
KR100904690B1 (ko) 전파식별 리더기, 방법 및 시스템
US20100056040A1 (en) Adaptive Crosspole Technique
KR100573013B1 (ko) 밸런스 구조를 이용한 레이더 시스템
KR20060112148A (ko) 다이버시티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신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93684A (ko) Rfid 전파측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