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819B1 - 접이식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접이식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819B1
KR101416819B1 KR1020120149880A KR20120149880A KR101416819B1 KR 101416819 B1 KR101416819 B1 KR 101416819B1 KR 1020120149880 A KR1020120149880 A KR 1020120149880A KR 20120149880 A KR20120149880 A KR 20120149880A KR 101416819 B1 KR101416819 B1 KR 101416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ntainer
foldable
connecting members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0270A (ko
Inventor
김정열
송기형
이석우
백종현
박승상
김선창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9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819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용기와 하부용기의 슬라이딩방식, 분리적재방식 및 끼워맞춤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을 통하여 화물을 적재 및 하차한 후 부피를 감소시키는 접이식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컨테이너{A container capable of folding}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용기와 하부용기의 슬라이딩방식, 분리적재방식 및 끼워맞춤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을 통하여 화물을 적재 및 하차한 후 부피를 감소시키는 접이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에 대한 정의는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그 나라의 산업규격에 의한 정의가 있고 또 구조강도에 관한 규정이 마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란 일반화물, 냉장화물, 특수화물(유류, 화공약품 등)을 적재하고 해상, 육상 철도, 항공 등으로 운송할 수 있도록 제작된 이송용기로 유통수송을 목적으로 한 수송용기를 말한다.
이를 위한 일반적인 컨테이너는 네 모퉁이의 빔을 지주로 설치하고, 이 지주 사이의 전 육면, 즉 전후면, 상하면, 양 측면에 일정 면적의 패널을 용접 또는 리벳 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상호 체결 조립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컨테이너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품의 미관을 높이기 위한 도색작업과 바닥, 전기, 전화, 몰딩 등의 내부작업을 수행하여 설치한다.
그러나, 종래의 컨테이너는 차량에 박스 형상으로 설치되고 물품을 적재하여 필요한 장소로 운송한 후, 일정 장소에 보관하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부피가 커서 보관 및 이동에 따른 공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할 때에도 하나의 차량에 하나의 컨테이너를 장착하여 이송하여야 하므로 물류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12215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용기와 하부용기가 슬라이딩방식, 분리적재방식 및 끼워맞춤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을 통하여 화물을 적재 및 하차한 후 부피를 감소시키는 접이식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는 한 쌍의 상부홀이 형성되는 상부용기; 및 상기 상부용기와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을 이루며, 한 쌍의 하부홀이 형성되는 하부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는 상기 상부홀과 상기 하부홀에 삽입되는 지게차의 포크의 움직임에 의해 슬라이딩방식, 분리적재방식, 및 끼워맞춤방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용기는, 일면이 개방된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내측면이 접하는 모서리에 위치하는 다수의 상부기둥; 상기 상부본체의 개방측 모서리에서 외측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고리 형상의 상부걸림부재; 및 상기 상부본체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걸림부재의 돌출부는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용기는, 상기 상부본체가 삽입 가능한 하부본체; 상기 상부기둥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본체의 꼭지점으로부터 연장된 하부기둥; 및 상기 하부본체의 개방된 상측 모서리에서 내측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고리 형상의 하부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걸림부재와 상기 하부걸림부재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내부 체적은 최대가 되고, 그리고 상기 상부본체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부본체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내부 체적은 최소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에서 상기 상부용기는, 'ㄷ'자 형상의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양단과 힌지결합되어 절첩 가능한 한 쌍의 연결부재;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와 힌지결합되어 절첩 가능한 한 쌍의 단턱부재;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단턱부재와 접하도록 상기 상부본체의 양모서리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 및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어느 한 측판을 관통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고, 화물의 적재시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한 쌍의 단턱부재는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용기는, 평판의 하부본체; 및 상기 하부본체의 일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하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용기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한 쌍의 단턱부재가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된 단차진 상태에서 각각 상기 상부용기와 같은 다른 하나 이상의 상부용기와 적층되고, 그리고 상기 하부용기는 상기 하부용기와 같은 다른 하나 이상의 하부용기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에서 상기 상부용기는, 평판의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양단과 힌지결합되어 절첩 가능한 한 쌍의 연결부재;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와 접하도록 상기 상부본체의 양모서리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 및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어느 한 측판을 관통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용기는, 평판의 하부본체; 및 상기 하부본체의 일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하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용기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가 양측방향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각각 상기 상부용기와 같은 다른 하나 이상의 상부용기와 적층되고, 그리고 상기 하부용기는 각각 상기 하부용기와 같은 다른 하나 이상의 하부용기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에서 상기 하부용기는,상기 한 쌍의 단턱부재의 양단과 연결되어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하부본체; 및 상기 하부본체의 일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하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하부본체가 상기 한 쌍의 단턱부재와 접하는 경우 상기 상부용기는 각각 상기 상부용기와 같은 다른 하나 이상의 상부용기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부용기와 하부용기의 슬라이딩방식, 분리적재방식 및 끼워맞춤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을 통하여 화물을 적재 및 하차한 후 부피를 감소시킴에 따라 운송선의 내부 공간을 최적으로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부용기가 하부용기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S영역에서 상부기둥이 하부기둥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부분상세도,
도 5는 도 2의 하부용기의 S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하부용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9는 도 7의 다수의 상부용기와 하부용기가 적층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하부용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13은 도 10의 다수의 상부용기가 적층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한 쌍의 하부본체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해 상부용기에 전면을 제외한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및
도 16은 도 14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접이식 컨테이너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제 1 실시예 >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100)는 상부용기(110) 및 하부용기(120)를 포함한다.
다만, 제 1 실시예의 접이식 컨테이너(100)는 슬라이딩방식이 적용된 것임에 유의한다.
상부용기(110)는 일면이 개방된 상부본체(111), 상부본체(111)의 내측면이 접하는 모서리에 위치하는 다수의 상부기둥(114), 상부본체(111)의 일면을 관통하는 상부홀(115) 및 상부본체(111)의 개방측 모서리에서 외측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고리 형상의 상부걸림부재(116) 및 상부본체(111)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117) 및 도어힌지(119c)를 포함한다.
상부본체(111)는 일측이 개방된 직사각형상의 박스 형태를 지니며, 이러한 상부본체(111)는 슬라이딩되어 후술되는 하부본체(121)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다.
상부기둥(114)은 개방된 상부본체(111)의 각 꼭지점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이러한 상부기둥(114)은 후술되는 하부기둥(122)의 내부로 슬라이딩된다.
상부홀(115)은 상부본체(111)의 상부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형성되며, 이러한 상부홀(115)의 내부로는 지게차의 포크(미도시)가 삽입되어 상부본체(111)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상부걸림부재(116)는 상부본체(111) 측면의 말단,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에 고리 형상으로 위치하며, 상부걸림부재(116)의 돌출부(미도시)는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걸림부재(116)는 후술되는 하부걸림부재(124)와 체결될 수 있다.
도어(117)는 상부본체(111)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개폐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도어(117)의 일단에는 상부본체(111)의 일측면이 관통된 모서리에 도어힌지(119c)가 장착되어 여닫을 수 있다.
하부용기(120)는 상부용기(110)와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을 이루며, 이러한 하부용기(120)는 상부본체(111)가 삽입 가능한 하부본체(121), 상부기둥(114)에 삽입되도록 하부본체(121)의 꼭지점으로부터 연장된 하부기둥(122), 하부홀(123), 및 하부본체(121)의 개방된 상측 모서리에서 내측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고리 형상의 하부걸림부재(124)를 포함한다.
하부본체(121)는 상부본체(111)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부본체(111)를 둘러쌀 수 있도록 직사각형상을 지닌다.
하부기둥(122)은 양측이 개방된 직사각형상이며, 상부기둥(114)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기둥(114)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하부기둥(122)은 하부본체(121)의 각 꼭지점 부분에 연직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하부홀(123)은 하부본체(121)의 하부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형성되며, 이러한 하부홀(123)의 내부로는 상기한 상부홀(115)과 같이 지게차의 포크(미도시)가 삽입되어 하부본체(121)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하부걸림부재(124)는 하부본체(121) 측면의 말단,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에 고리 형상으로 위치한다. 이때, 하부걸림부재(124)는 상부걸림부재(116)와 체결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한 쌍의 상부홀(115)이 형성되는 상부용기(110), 및 상부용기(110)와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을 이루며, 한 쌍의 하부홀(123)이 형성되는 하부용기(120)를 포함하되, 상부용기(110)와 하부용기(120)는 상부홀(115)과 하부홀(123)에 삽입되는 지게차의 포크의 움직임에 의해 슬라이딩방식으로 결합된다.
만약, 상부걸림부재(116)와 하부걸림부재(124)가 체결되는 경우 상부본체(111)와 하부본체(121)의 내부 체적은 최대가 되어 화물을 적재하게 된다.
한편, 상부본체(111)가 슬라이딩되어 하부본체(121)로 삽입되는 경우 상부본체(111)와 하부본체(121)의 내부 체적은 최소가 되므로 화물을 운반하여 하차한 후 복귀할 시 운송선에 최소한의 공간을 할애하여도 운반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걸림부재(116)와 하부걸림부재(124)는 밀폐성을 높이기 위해 이종 소재가 추가적으로 부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100')는 상부용기(110') 및 하부용기(12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접이식 컨테이너(100')는 분리적재방식을 적용된 것임에 유의한다.
상부용기(110')는 상부본체(111'), 상부본체(111')의 양단과 힌지결합되어 절첩 가능한 한 쌍의 연결부재(112'), 한 쌍의 연결부재(112')와 힌지결합되어 절첩 가능한 한 쌍의 단턱부재(113'),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상부홀(115'), 한 쌍의 측판(118') 중 어느 한 측판을 관통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117'), 한 쌍의 연결부재(112') 및 한 쌍의 단턱부재(113')와 접하도록 상부본체(111')의 양모서리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118'), 및 힌지(119')를 포함한다.
상부본체(111')는 'ㄷ'자 형상에 하측 및 마주보는 양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부본체(111')의 양단은 연결부재힌지(119a')에 의해 한 쌍의 연결부재(112')와 연결되어 절첩 가능하고, 한 쌍의 연결부재(112')의 양단은 연결부재힌지(119a')에 의해 한 쌍의 단턱부재(113')와 연결되어 절첩 가능하다.
즉, 상부본체(111')와 연결부재(112'), 연결부재(112')와 단턱부재(113')의 절점 2곳에 의해 상부본체(111')의 측면은 계단과 같이 단차져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용기(110')는 한 쌍의 연결부재(112')와 한 쌍의 단턱부재(113')가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된 단차진 상태에서 각각 상부용기(110')와 같은 다른 하나 이상의 상부용기와 적층되며, 이러한 구조는 분리 시 다수의 상부본체(111') 간에 삽입, 결합되어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반면, 화물의 적재시 한 쌍의 연결부재(112')와 한 쌍의 단턱부재(113')는 평면을 이루게 되어 컨테이너(100)는 밀폐된 직육면체를 이루게 된다.
상부홀(115') 및 도어(117')는 각각 상술한 상부홀(113) 및 도어(117)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측판(118')은 한 쌍의 연결부재(112') 및 한 쌍의 단턱부재(113')와 접하도록 상부본체(111')의 양모서리에 힌지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부본체(111')의 양모서리에는 측판힌지(119b')가 장착된다.
힌지(119')는 상부본체(111')의 말단과 연결부재(112'), 및 연결부재(112')와 단턱부재(11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힌지(119a'), 상부본체(111')의 모서리와 측판(118')을 연결하는 측판힌지(119b') 및 도어(117')가 개폐 가능하도록 도어(117')와 측판(118')을 연결되는 도어힌지(119c')를 포함한다.
하부용기(120')는 평판의 하부본체(121') 및 한 쌍의 하부홀(123')을 포함한다.
하부본체(121')는 직사각형상의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일면에는 관통형성되는 하부홀(123')이 형성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된다.
상기 하부홀(123')은 상술한 하부홀(123)과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하부용기(120')는 하부용기(120')와 같은 다른 하나 이상의 하부용기와 적층되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예 >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100'')는 상부용기(110'') 및 하부용기(120'')를 포함한다.
다만, 다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접이식 컨테이너(100')는 분리적재방식을 적용된 것임에 유의한다.
상부용기(110'')는 평판의 상부본체(111''), 상부본체(111'')의 양단과 힌지결합되어 절첩 가능한 한 쌍의 연결부재(112''), 상부본체(111'')의 일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상부홀(115''), 한 쌍의 연결부재(112'')와 접하도록 상부본체(111'')의 양모서리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118'') 및 한 쌍의 측판(118'') 중 어느 한 측판을 관통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117''), 및 도어(117'')과 측판(118'')을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119'')를 포함한다.
상부본체(111'')는 평판의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일면에는 한 쌍의 상부홀(115'')이 관통형성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된다.
또한, 한 쌍의 연결부재(112'')와 접하도록 상부본체(111'')의 양모서리에 연결부재힌지(119a'')가 장착됨에 따라 한 쌍의 연결부재(112'')는 양측방향으로 열릴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12'')가 장착된 상부본체(111'')의 인접한 양모서리에는 힌지(119'')의 측판힌지(119b'')가 장착되어 한 쌍의 측판(118'')이 개폐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구조를 통하여 상부용기(110'')는 한 쌍의 연결부재(112'')가 양측방향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각각 상부용기(110'')와 같은 다른 하나 이상의 상부용기와 적층된다.
즉, 상기한 상태는 한 쌍의 연결부재(112'')가 양측면으로 벌어져 상부본체(1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구조는 상부본체(111'')와 분리된 하부본체(121'') 간의 결합이 가능함에 따라 부피를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부홀(115'') 및 도어(117'')는 각각 상술한 상부홀(115) 및 도어(117)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상부용기(110'')는 각각 상부용기(110'')와 같은 다른 하나 이상의 상부용기와 적층되어 부피를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힌지(119')는 상부본체(111')의 말단과 연결부재(11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힌지(119a'), 상부본체(111')의 모서리와 측판(118')을 연결하는 측판힌지(119b') 및 도어(117')가 개폐 가능하도록 도어(117')와 측판(118')을 연결되는 도어힌지(119c')를 포함한다.
하부용기(120'')는 평판의 하부본체(121'') 및 하부본체(121'')의 일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하부홀(123'')을 포함한다.
하부본체(121'')는 평판의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부본체(121'')의 일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하부홀(123'')이 형성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된다.
하부홀(123'')은 상술한 하부홀(123)과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하부용기(120'')는 각각 하부용기(120'')와 같은 다른 하나 이상의 하부용기와 적층되어 부피를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제 4 실시예 >
이하,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100''')는 상부용기(110''') 및 하부용기(12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접이식 컨테이너(100''')는 끼워맞춤방식을 적용된 것임에 유의한다.
상부용기(110''')는 상부본체(111'''), 상부본체(111''')의 양단과 힌지결합되어 절첩 가능한 한 쌍의 연결부재(112'''), 한 쌍의 연결부재(112''')와 힌지결합되어 절첩 가능한 한 쌍의 단턱부재(113'''),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상부홀(115'''), 한 쌍의 측판(118''') 중 어느 한 측판을 관통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117'''), 한 쌍의 연결부재(112''') 및 한 쌍의 단턱부재(113''')와 접하도록 상부본체(111''')의 양모서리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118'''), 및 힌지(119''')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용기(110''')는 제 2 실시예와 형상 및 구조가 모두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용기(120''')는 한 쌍의 단턱부재(113''')의 양단과 연결되어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하부본체(121''') 및 하부본체(121''')의 일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하부홀(123''')을 포함한다.
하부본체(121''')는 한 쌍의 단턱부재(113''')의 양단과 연결되어 힌지결합되어 여닫이문의 형태로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따라서, 한 쌍의 하부본체(121''')가 한 쌍의 단턱부재(113''')와 접하는 경우 상부용기(120''')는 각각 상부용기(120''')와 같은 다른 하나 이상의 상부용기와 적층됨에 따라 부피를 최소화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 100'', 100''' : 접이식 컨테이너
110, 110', 110'', 110''' : 상부용기
111, 111', 111'', 111''' : 상부본체
112', 112'', 112''' : 연결부재
113', 113''' : 단턱부재
114 : 상부기둥
115, 115', 115'', 115''' : 상부홀
116 : 상부걸림부재
117', 117'', 117''' : 도어
118', 118'', 118''' : 측판
119', 119'', 119''' : 힌지
119a', 119a'', 119a''' : 연결부재힌지
119b', 119b'', 119b''' : 측판힌지
119c, 119c', 119c'', 119c''' : 도어힌지
120, 120', 120'', 120''' : 하부용기
121, 121', 121'', 121''' : 하부본체
122 : 하부기둥
123, 123', 123'', 123''' : 하부홀
124 : 하부걸림부재

Claims (12)

  1. 삭제
  2. 한 쌍의 상부홀이 형성되는 상부용기; 및
    상기 상부용기와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을 이루며, 한 쌍의 하부홀이 형성되는 하부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용기는,
    일면이 개방된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내측면이 접하는 모서리에 위치하는 다수의 상부기둥;
    상기 상부본체의 개방측 모서리에서 외측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고리 형상의 상부걸림부재; 및
    상기 상부본체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걸림부재의 돌출부는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는 상기 상부홀과 상기 하부홀에 삽입되는 지게차의 포크의 움직임에 의해 슬라이딩방식, 분리적재방식, 및 끼워맞춤방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는,
    상기 상부본체가 삽입 가능한 하부본체;
    상기 상부기둥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본체의 꼭지점으로부터 연장된 하부기둥; 및
    상기 하부본체의 개방된 상측 모서리에서 내측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고리 형상의 하부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걸림부재와 상기 하부걸림부재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내부 체적은 최대가 되고, 그리고
    상기 상부본체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부본체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내부 체적은 최소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5. 삭제
  6. 삭제
  7. 한 쌍의 상부홀이 형성되는 상부용기; 및
    평판의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일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하부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용기와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을 이루며, 한 쌍의 하부홀이 형성된 하부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용기는,
    'ㄷ'자 형상의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양단과 힌지결합되어 절첩 가능한 한 쌍의 연결부재;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와 힌지결합되어 절첩 가능한 한 쌍의 단턱부재;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단턱부재와 접하도록 상기 상부본체의 양모서리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 및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어느 한 측판을 관통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용기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한 쌍의 단턱부재가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된 단차진 상태에서 각각 상기 상부용기와 같은 다른 하나 이상의 상부용기와 적층되고,
    상기 하부용기는 상기 하부용기와 같은 다른 하나 이상의 하부용기와 적층되어 화물의 적재시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한 쌍의 단턱부재가 평면을 이루면서,
    상기 상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는 상기 상부홀과 상기 하부홀에 삽입되는 지게차의 포크의 움직임에 의해 분리적재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8. 삭제
  9. 삭제
  10. 한 쌍의 상부홀이 형성되는 상부용기; 및
    상기 상부용기와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을 이루며, 한 쌍의 하부홀이 형성되는 하부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용기는,
    평판의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양단과 힌지결합되어 절첩 가능한 한 쌍의 연결부재;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와 접하도록 상기 상부본체의 양모서리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 및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어느 한 측판을 관통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용기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가 양측방향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각각 상기 상부용기와 같은 다른 하나 이상의 상부용기와 적층되고, 그리고
    상기 하부용기는 각각 상기 하부용기와 같은 다른 하나 이상의 하부용기와 적층되어,
    상기 상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는 상기 상부홀과 상기 하부홀에 삽입되는 지게차의 포크의 움직임에 의해 끼워맞춤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11. 한 쌍의 상부홀이 형성되는 상부용기; 및
    상기 상부용기와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을 이루며, 한 쌍의 하부홀이 형성되는 하부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용기는,
    'ㄷ'자 형상의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양단과 힌지결합되어 절첩 가능한 한 쌍의 연결부재;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와 힌지결합되어 절첩 가능한 한 쌍의 단턱부재;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단턱부재와 접하도록 상기 상부본체의 양모서리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 및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어느 한 측판을 관통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용기는,
    상기 한 쌍의 단턱부재의 양단과 연결되어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하부본체; 및
    상기 하부본체의 일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하부홀;을 포함하면서
    화물의 적재시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한 쌍의 단턱부재는 평면을 이루어,
    상기 상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는 상기 상부홀과 상기 하부홀에 삽입되는 지게차의 포크의 움직임에 의해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본체가 상기 한 쌍의 단턱부재와 접하는 경우 상기 상부용기는 각각 상기 상부용기와 같은 다른 하나 이상의 상부용기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KR1020120149880A 2012-12-20 2012-12-20 접이식 컨테이너 KR101416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880A KR101416819B1 (ko) 2012-12-20 2012-12-20 접이식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880A KR101416819B1 (ko) 2012-12-20 2012-12-20 접이식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270A KR20140080270A (ko) 2014-06-30
KR101416819B1 true KR101416819B1 (ko) 2014-07-09

Family

ID=5113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880A KR101416819B1 (ko) 2012-12-20 2012-12-20 접이식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008A (ko) 2021-11-19 2021-12-07 이봉주 접이식 슬라이딩 컨테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362A (ko) * 2016-04-15 2017-10-25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수평 힌지 모듈을 갖는 접이식 컨테이너
KR20170118363A (ko) * 2016-04-15 2017-10-25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수직 힌지 모듈을 갖는 접이식 컨테이너
KR101962828B1 (ko) * 2017-06-13 2019-03-27 주식회사 코엘트 접이식 컨테이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676Y1 (ko) * 1990-12-17 1992-10-16 고재성 상하 접음식 콘테이너
KR20100007413U (ko) * 2009-01-13 2010-07-22 박여웅 자동 압축식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676Y1 (ko) * 1990-12-17 1992-10-16 고재성 상하 접음식 콘테이너
KR20100007413U (ko) * 2009-01-13 2010-07-22 박여웅 자동 압축식 컨테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008A (ko) 2021-11-19 2021-12-07 이봉주 접이식 슬라이딩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270A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819B1 (ko) 접이식 컨테이너
KR101591857B1 (ko) 운반용 조립 박스
ATE444903T1 (de) Achteckiger schüttgutbehälter mit selbstverschliessenden falt-bodenklappen
KR101754192B1 (ko) 접이식 컨테이너
US20170355485A1 (en) Transportation container
US20120012492A1 (en) Storage system with collapsible bin
US20140291196A1 (en) Logistics crate module and method of transporting goods
KR20110112049A (ko) 플라스틱 다단상자
US9688437B1 (en) Cover for a stackable transport pallet
US8251237B2 (en) Ready-to-mount, modular container or same-type equipment
CN103764521A (zh) 符合iso标准的集装箱
US20130313151A1 (en) Reusable container
KR101448826B1 (ko) 지게차를 이용한 접이식 컨테이너의 접이 방법
JP2014218256A (ja) 組立容器
CA2888504C (en) Handle for use with a flexible package
JP6725040B2 (ja) 保冷保温容器、保冷保温容器複合体、組立式の保冷保温容器用パネルセット
JP3129686U (ja) リターナブルコンテナ
KR20150065459A (ko) 회수용 박스 파렛트
RU2733557C2 (ru) Контейнер
JP2020037447A (ja) 容器
KR101346157B1 (ko) 조립식 컨테이너박스의 작업문 결합구조
JP2007238154A (ja) コンテナ用リターナブルケース
KR101480664B1 (ko) 조립식 유닛 박스용 l-자형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유닛 박스
JP2001206366A (ja) 組立式コンテナ
KR102026673B1 (ko) 가변형 파렛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