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670B1 -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 - Google Patents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670B1
KR101416670B1 KR1020120144087A KR20120144087A KR101416670B1 KR 101416670 B1 KR101416670 B1 KR 101416670B1 KR 1020120144087 A KR1020120144087 A KR 1020120144087A KR 20120144087 A KR20120144087 A KR 20120144087A KR 101416670 B1 KR101416670 B1 KR 101416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e
dew
film
pol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020A (ko
Inventor
권범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버팔로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버팔로스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버팔로스포츠
Priority to KR102012014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6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Abstract

본 발명은 그늘막 내측에 맺히는 이슬로 인해 그 내부공간의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그늘막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폴대에 의해 지면 상부에 이격하여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그늘막; 상기 그늘막의 내측에 맺힌 이슬이 지면 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는 이슬막; 및 상기 이슬막의 상단과 상기 폴대를 연결하는 길이조절끈;을 포함하며, 상기 이슬막의 하단이 상기 그늘막의 내측에 부착되고, 상기 길이조절끈 끝단의 걸림고리가 상기 폴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그늘막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Double tarp for anti dew condensation}
본 발명은 그늘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늘막 내측에 맺히는 이슬로 인해 그 내부공간의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늘막(tarp)은 야외에서 야유회, 체육대회 또는 캠핑 등 야외 활동을 하는 경우 태양의 직사광선이나 비를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다수의 지지용 폴대를 이용하여 방수천 재질의 시트 중앙부를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고, 시트의 하단부를 지면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직사광선 또는 비를 피해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그늘막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종래의 그늘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폴대(1)와, 폴대(1)에 의해 지지되어 지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며 그 하부에 그늘을 형성하는 그늘막(2)으로 구성된다.
이때, 폴대(1)는 복수의 로프(3)에 의해 지지되며, 그늘막(2)의 하단에는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끈(4)이 연결된다.
그런데, 이러한 그늘막은 통상적으로, 빗물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발수 가공처리된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천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따라서 지열로 인해 데워진 내부의 공기가 그늘막을 통과하지 못함에 따라, 그늘막의 내측면에 이슬로 맺히게 된다.
이때, 그늘막의 천정부에 맺힌 이슬이 그 아래의 그늘진 공간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에게 떨어지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그늘막 아래의 지면이 젖게 되면 앉거나 눕는 등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기가 어려워 사용이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다.
KR 20-0319112 Y1 (2003.06.25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그늘막 내측에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통풍 재질의 천에 의해 지열을 분산시키는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늘막 내측에 맺히는 이슬이 사용자나 지면으로 직접 떨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강풍 발생시 폴대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폴대에 의해 지면 상부에 이격하여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그늘막; 상기 그늘막의 내측에 맺힌 이슬이 지면 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는 이슬막; 및 상기 이슬막의 상단과 상기 폴대를 연결하는 길이조절끈;을 포함하며, 상기 이슬막의 하단이 상기 그늘막의 내측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폴대는 하단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단에 상기 지지대보다 작은 폭으로 상향 연장 형성되는 끼움대를 포함하며, 상기 그늘막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끼움고리와, 상기 길이조절끈 끝단의 걸림고리가 상기 끼움대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이슬막의 하단이 상기 그늘막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상측에 이격하도록 상기 그늘막의 내측에 일체로 부착된다.
이때, 상기 이슬막은 통풍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슬막의 하단이 상기 그늘막의 하단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이슬막의 하단부에 메시 구조의 통풍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슬막의 상단이 상기 그늘막 상단의 하부에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기 이슬막이 상기 그늘막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이슬막의 폭과 길이가 상기 그늘막의 폭과 길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슬막의 하단이 상기 그늘막의 내측에 봉제 또는 융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에 의하면, 그늘막 내측에 맺힌 이슬이 사용자나 지면으로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그늘막 내부 공간이 쾌적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풍성 재질의 이슬막이 그늘막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내부 공간의 통풍성이 좋아지고, 내부 공간으로부터 그늘막 외측 방향으로 부는 바람에 의해 이슬막과 그늘막의 펄럭임 등 유동이 최소화되어, 그늘막과 이슬막을 지지하는 폴대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슬막의 하단부에 복수의 통풍부를 형성함으로써, 이슬막과 그늘막의 내부 공간부를 지나는 바람의 통풍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그늘막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늘막과 이슬막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늘막과 이슬막의 전개도.
이하, 본 발명인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늘막과 이슬막의 전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100)은, 복수의 폴대(10)에 의해 지면 상부에 이격하여 설치되는 그늘막(200)과, 그늘막(200) 하부에 설치되는 이슬막(300)과, 이슬막(300) 상단과 폴대(10)를 연결하는 길이조절끈(400)을 포함하며, 이슬막(300)의 하단은 그늘막(200)의 내측에 일체로 부착된다.
여기서, 그늘막(200)은 발수 가공처리된 합성수지나 천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이슬막(300)은 통풍 가능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늘막(200)의 상단부에는 파손 방지를 위해 소정 폭과 두께를 가진 보강부(201)가 길게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전방 끼움고리(220)부터 후방 끼움고리(230)까지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전개도에는 그늘막(200)과 이슬막(300)이 모두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그늘막(200)은 사각형으로, 이슬막(300)은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등 그늘막(200)과 이슬막(300)이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늘막(200)은 복수의 폴대(10)에 의해 지면 상부에 이격하도록 설치되는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그늘막(200)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복수의 끼움고리 중 전방 끼움고리(220)와 후방 끼움고리(230)에 각각 폴대(10)의 상단을 끼운 후, 폴대(10)를 지면에 세워서 고정하게 된다.
이때, 폴대(10)가 쓰러지지 않도록 폴대(10) 상단에 복수의 로프(20)를 걸어서 팽팽하게 당긴 후 로프(20) 하단을 지면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늘막(200)의 양측이 양쪽 옆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져서 펼쳐지도록, 나머지 끼움고리에 로프(20)를 연결하여 팽팽하게 당긴 후 로프(20) 하단을 지면에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늘막(200)이 설치되면, 그늘막(200) 하부에는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그늘진 공간부(210)가 형성되며, 이슬막(300)은 이 공간부(210)에 설치된다.
이때, 이슬막(300)의 하단이 그늘막(200) 내측에 일체로 부착되어 제공됨에 따라, 그늘막(200)과 별도로 이슬막(300)을 구입, 보관 및 운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분실 염려가 없으며, 설치 역시 간편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이슬막(300)의 양측 하단이 그늘막(20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상측으로 이격하여 그늘막(200) 내측에 부착되는데, 이슬막(300) 하단 모서리(310)가 그늘막(200) 내측에 봉제 또는 융착에 의해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이슬막(300)의 상단 양측에는 각각 길이조절끈(400)이 구비되며, 이 길이조절끈(400)의 끝단에 구비되는 걸림고리(410)가 폴대 상단에 결합된다.
즉, 이슬막(300)은 하단이 그늘막(200) 내측에 부착된 상태로 상단 양측이 길이조절끈(400)에 의해 폴대(10) 상단에 고정되며,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늘막(200)과 이슬막(300) 사이에는 통풍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폴대(10)에 이슬막(300)과 그늘막(200) 설치시에는, 이슬막(300) 길이조절끈(400)의 걸림고리(410)를 먼저 폴대(10) 상단에 결합한 후, 그 위에 그늘막(200)의 전방 끼움고리(220)나 후방 끼움고리(230)를 결합하여 폴대(10)를 지면에 세워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슬막(300)은 그늘막(20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어, 그늘막(200)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이슬막(300)의 폭과 길이는 그늘막(200)의 폭과 길이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조절끈(400)은 이슬막(300)의 유동시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방이나 배낭 등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길이조절고리(420)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아울러, 폴대(10)는 하단의 지지대(11)와, 지지대(11) 상단에 지지대(11)보다 작은 폭으로 상향 연장 형성되는 끼움대(12)를 포함하며, 그늘막(200)과 이슬막(300)의 설치시에는 그늘막(200)의 전방 끼움고리(220) 및 후방 끼움고리(230)와 이슬막(300)에 연결된 길이조절끈(400)의 걸림고리(410)가 끼움대(12)에 결합된다.
이처럼, 그늘막(200) 하부의 공간부(210)에 통풍성 재질의 이슬막(300)이 설치되면, 지열에 의해 증발된 습기가 그늘막(200) 방향으로 상승하는 도중에 먼저 이슬막(300)과 만나서 분산되며, 이로써 이슬막(300) 상부의 그늘막(20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그늘막(200) 내측에 이슬이 맺히게 되면, 자중에 의해 떨어지더라도 사용자나 지면 방향으로 직접 떨어지는 것이 이슬막(300)에 의해 차단된다.
즉, 지열이 이슬막(300)에 의해 분산되므로 그늘막(200)에 이슬이 쉽게 맺히지 않으며, 설사 그늘막(200) 내측에 이슬이 맺힌다 하더라도, 그늘막(200) 아래에 이슬막(300)이 설치되므로, 이슬이 그늘막(200) 아래의 사용자나 지면으로 직접 떨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늘막(200)과 이슬막(300) 사이에 통풍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고, 통풍성 재질의 이슬막(300)이 그늘막(200) 내부에 설치되므로, 이슬막(300) 내부공간을 시원하고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슬막(300)의 하단이 봉제 또는 융착에 의해 그늘막(200) 내측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강풍 발생시에도 그늘막(200)과 이슬막(300)의 펄럭임 등 유동을 최소화하여 폴대(10)에 가해지는 외력을 줄일 수 있고, 강풍에 의해 폴대(10)의 끼움대(12)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늘막과 이슬막의 전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100')의 경우, 이슬막(300)의 하단이 그늘막(200)의 하단에 일체로 부착되고, 이슬막(300)의 하단부에 메시 구조의 통풍부(3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슬막(300)의 하단이 그늘막(200)의 하단에 일체로 부착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그늘막(200)과 이슬막(300) 사이의 공간이 더 커져서 통풍성이 더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때, 이슬막(300)의 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바람에 대한 이슬막(300)의 저항력 역시 증대되므로, 강풍 발생시 이슬막(300)의 펄럭임 등 유동에 의해 폴대(10)의 끼움대(12)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슬막(300)의 하단부에 메시 구조의 통풍부(320)를 형성한다. 도 5에서는 이슬막(300)의 하단부 전체에 통풍부(320)가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이슬막(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풍부(320)가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통풍부(320)는 이슬막(3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킴으로써, 강풍 발생시 바람에 대한 이슬막(300)의 저항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한편, 지열 등 이슬막(300) 하부의 공간부(210)에 축적되는 열을 이슬막(300)의 외부로 방출하여, 이슬막(300) 하부의 온도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도 한다.
100,100' :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
200 : 그늘막
201 : 보강부
210 : 공간부
220 : 전방 끼움고리
230 : 후방 끼움고리
300 : 이슬막
310 : 하단 모서리
320 : 통풍부
400 : 길이조절끈
410 : 걸림고리
420 : 길이조절고리

Claims (7)

  1. 복수의 폴대에 의해 지면 상부에 이격하여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그늘막;
    상기 그늘막의 내측에 맺힌 이슬이 지면 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는 이슬막; 및
    상기 이슬막의 상단과 상기 폴대를 연결하는 길이조절끈;을 포함하며,
    상기 이슬막의 하단이 상기 그늘막의 내측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폴대는 하단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단에 상기 지지대보다 작은 폭으로 상향 연장 형성되는 끼움대를 포함하며,
    상기 그늘막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끼움고리와, 상기 길이조절끈 끝단의 걸림고리가 상기 끼움대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슬막의 하단이 상기 그늘막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상측에 이격하도록 상기 그늘막의 내측에 일체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슬막은 통풍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슬막의 하단이 상기 그늘막의 하단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이슬막의 하단부에 메시 구조의 통풍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슬막의 상단이 상기 그늘막 상단의 하부에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기 이슬막이 상기 그늘막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이슬막의 폭과 길이가 상기 그늘막의 폭과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슬막의 하단이 상기 그늘막의 내측에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슬막의 하단이 상기 그늘막의 내측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
KR1020120144087A 2012-12-12 2012-12-12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 KR101416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087A KR101416670B1 (ko) 2012-12-12 2012-12-12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087A KR101416670B1 (ko) 2012-12-12 2012-12-12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020A KR20140076020A (ko) 2014-06-20
KR101416670B1 true KR101416670B1 (ko) 2014-07-09

Family

ID=51128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087A KR101416670B1 (ko) 2012-12-12 2012-12-12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6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043B1 (ko) 2019-03-28 2019-09-30 강현주 의료용 케이블 자동 제조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138U (ja) * 1991-12-20 1993-07-09 小川テント株式会社 テント用ライナーシート
KR200291933Y1 (ko) * 2002-07-18 2002-10-11 이육훈 열차단 및 통풍이 가능한 그늘막
KR20110062340A (ko) * 2009-12-03 2011-06-10 김영대 타프
KR20110011327U (ko) * 2010-06-01 2011-12-07 박명식 야외용 그늘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138U (ja) * 1991-12-20 1993-07-09 小川テント株式会社 テント用ライナーシート
KR200291933Y1 (ko) * 2002-07-18 2002-10-11 이육훈 열차단 및 통풍이 가능한 그늘막
KR20110062340A (ko) * 2009-12-03 2011-06-10 김영대 타프
KR20110011327U (ko) * 2010-06-01 2011-12-07 박명식 야외용 그늘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020A (ko)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324394C1 (en) Self-deployable tent comprising an internal chamber
US20150068571A1 (en) Foldable Tent
US7003821B2 (en) Child containment structure with ventilation panel
KR20120037505A (ko) 텐트 또는 쉘터를 위한 환기구
US7020915B1 (en) Hammock
US9545145B2 (en) Ultra light adjustable thermal system for hammocks
US20060021643A1 (en) Tent and its components
US9072367B2 (en) Fully enclosed four season camp hammock
US11213112B2 (en) Inflatable hammock
US9930967B2 (en) Collapsible self-supporting canopy
US20130276846A1 (en) Temporary shelter with integrated removable floor
KR101416670B1 (ko)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
JP2020037374A (ja)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カバー
JP6153186B1 (ja)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カバー
RU2770772C1 (ru) Складная самоустанавливающаяся рама для гамака с укороченным гамаком и способ подвешивания укороченного гамака на раме
KR200483654Y1 (ko) 복사열 차단 기능을 갖는 타프
US20110156466A1 (en) Lightweight chair
KR101245248B1 (ko) 결로방지용 이중 그늘막
US20140007912A1 (en) Self supporting tensile tent
CN210598386U (zh) 便携式遮阳组件
US20040177442A1 (en) Sun visor for hammocks
US20050066591A1 (en) Vent stay for a canopy or tent
KR200474998Y1 (ko) 타프
KR200485898Y1 (ko) 공기순환 커버를 구비한 절첩식 침대
KR20040063880A (ko) 차량용 절첩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