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635B1 -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635B1
KR101416635B1 KR1020130002079A KR20130002079A KR101416635B1 KR 101416635 B1 KR101416635 B1 KR 101416635B1 KR 1020130002079 A KR1020130002079 A KR 1020130002079A KR 20130002079 A KR20130002079 A KR 20130002079A KR 101416635 B1 KR101416635 B1 KR 101416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embryonic stem
stem cells
undifferentiated embryonic
stem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0499A (ko
Inventor
이원구
김기수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2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6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2Separating microorganisms from the culture medium; Concentration of biom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81Purging biological preparations of unwanted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03Embryonic cells ; Embryoid bodies
    • C12N5/0606Pluripotent embryonic cells, e.g. embryonic stem cells [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시료 줄기세포의 유동로를 이루는 세포 유동채널; 그리고 상기 시료 줄기세포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가 이동하도록, 상기 세포 유동채널의 내부에 사선방향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세포분리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분리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에 의하면 표식인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미분화 배아줄기세포를 배상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줄기세포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크기가 같은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와 분화된 줄기세포를 구별하여 분리할 수 있으므로 분리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세포연구에 소요되는 시간적/노동적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분리방법{Separation Device Of Undifferentiated Embryonic Stem Cell And Separ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를 배상체에서 분리하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의 표면 물질과 결합 가능한 리간드를 이용하여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를 배상체로부터 분리하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및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stem cell)는 신체 내 모든 세포나 조직을 만들어 내는 기본적인 세포, 다시 말해서 생물의 조직을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들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로서, 배아, 태아 및 성체의 각 조직에서 얻을 수 있는 분화(differentiation)되기 전 단계의 미분화 세포들을 총칭한다.
상기 줄기세포는 크게 전분화능(Pluripotency)을 갖는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와 다분화능(Multipotency)을 갖는 성체줄기세포(Adult stem cell)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배아줄기세포는 배아발생 초기인 포배기(Blastocyte)의 장차 태아를 형성할 세포내괴(Inner cell mass)로부터 형성된 줄기세포로서, 이론적으로 한 개체를 구성하는 모든 조직의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즉, 상기 배아줄기세포는 배아의 발생과정에서 추출한 세포로서 모든 조직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으나, 아직 분화되지 않은 세포(무제한적으로 증식이 가능한 미분화 세포)이고, 상기 성체줄기세포와 달리 배(Germ) 세포도 만들 수 있어 다음 세대로 유전될 수 있다.
상기 배아줄기세포 배양에 대해서는, 1981년 처음으로 생쥐의 배아 줄기세포 배양법이 확립된 후(Evans et al., Nature, 292: 151-156, 1981), 1996년 영장류에서의 전분화능 배아줄기세포 배양법(Thomson et al., Biol. Reprod., 55: 254-259, 1996)이 개발되었고, 1998년 미국의 톰슨(Thomson) 등에 의해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법이 확립되었다(Thomson et al., Science, 282: 1145-1147, 1998).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세포 배양시 피더(Feeder)나 피더 세포배양액이 있는 상태에서 증식하여 배양이 가능하고, 또한 전분화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배상체(embryoid body, EB)를 형성시켜 분화를 유도하였을 때 다양한 모든 조직의 세포로 분화가 일어나게 된다(Thomson et al., Science, 282: 1145-1147, 1998; Reubinoff, et al., Nat. Biotech.,18:399-404; Park, et al., Biol. Reprod. 69:2007-2014, 2003).
따라서, 질병이나 사고에 의한 특정 세포나 장기의 손상시에 줄기세포를 특정 세포로 분화를 유도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세포치료법은 여러 난치성 질환의 근원적 치료방법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Undifferentiated embryonic stem cell)는 조직 재생 또는 생성 연구에 사용되고 있으며, 의학 분야에서 조직 생산 또는 재생을 위한 기대물질로 생물학 및 조직공학 연구에 많이 사용된다.
한편, 세포실험에 사용되는 줄기세포를 체외 환경에서 배양할 때, 다양한 형태의 세포로 분화되면서 3차원 구형태의 배상체(Embryoid Body)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줄기세포의 특성은 연속적인 세포연구를 하는데 문제가 되며, 줄기세포를 계대 배양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므로, 분화된 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되지 않은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미분화 배아줄기세포)와 분화된 줄기세포를 구분하는 하나의 특성은 세포표면의 차이인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표식인자(예를 들면 자성입자나 형광입자)를 세포표면에 붙여 미분화 배아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세포를 계속해서 배양하는데 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술한 표식인자 없이 미분화 배아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세포를 크기에 따라 연속적으로 정렬 및 분리하는 방법이 등록특허공보 제10-0788458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와 분화된 줄기세포는 크기와 밀도와 변형도 등의 특성이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를 기존의 미세유체 기술로 분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표식인자 없이 미분화 배아줄기세포를 분리하여 포집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분리효율이 향상된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6236호, 2012년 11월 21일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0788458호, 2007년 12월 17일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표식인자를 사용하지 않고 미분화 줄기세포를 배상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시료 줄기세포의 유동로를 이루는 세포 유동채널; 그리고 상기 시료 줄기세포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가 이동하도록, 상기 세포 유동채널의 내부에 사선방향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세포분리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세포분리 패턴은, 상기 세포 유동채널의 내부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세포롤링 라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포롤링 라인들을 따라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가 굴러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포분리 패턴은 상기 세포 유동채널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포분리 패턴은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를 상기 세포 유동채널의 일측벽으로 안내한다.
상기 세포 유동채널에는 시료세포 주입부와 제1배출부와 제2배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배출부는 상기 세포분리 패턴에 의해 상기 시료 줄기세포에서 분리되는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를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세포 유동채널의 일측벽쪽으로 편향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배출부는 상기 시료세포 주입부를 통해 상기 세포 유동채널의 내부로 공급되는 시료 줄기세포 중 상기 제1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배출한다.
상기 세포분리 패턴은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의 구름운동을 안내하는 리간드 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간드 라인은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와 결합하는 리간드를 갖는다.
상기 리간드는;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의 표면인자인 OCT4와 리간드결합을 이루는 Anti-OCT4 Antibod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의 표면인자와 리간드 결합하는 리간드를 이용하여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를 시료 줄기세포에서 분리하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분리방법으로서;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가 상기 리간드를 갖는 세포 롤링라인을 따라 상기 시료 줄기세포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구르면서 상기 시료 줄기세포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의 이동방향을 전향시키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에 의하면 표식인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미분화 배아줄기세포를 배상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줄기세포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크기가 같은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와 분화된 줄기세포를 구별하여 분리할 수 있으므로 분리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세포연구에 소요되는 시간적/노동적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의 세포 유동채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세포 롤링라인(리간드 라인)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이동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에 의해 분리된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와 분화된 줄기세포의 표면인자(OCT-4)의 검출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의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의 세포 유동채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의 일 실시예(100)는 세포 유동채널(110)과 세포분리 패턴(120, Cell Separation Patter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포 유동채널(110)은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시료 줄기세포의 유동로를 이루며, 상기 세포분리 패턴(120)은 상기 세포 유동채널(110)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시료 줄기세포의 유동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세포분리 패턴(120)은 상기 세포 유동채널(110)의 내부에 사선방향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미분화 배아줄기세포)가 상기 세포분리 패턴(120)을 따라 상기 시료 줄기세포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분화 배아줄기세포는 상기 세포분리 패턴(120)을 따라 구름운동, 즉 롤링(Rolling)을 하면서 상기 시료 줄기세포의 유동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세포분리 패턴(120)은 상기 세포 유동채널(110)의 내부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세포롤링 라인(Cell Rolling Line, 121)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포롤링 라인(121)들을 따라 상기 미분화 배아줄기세포가 굴러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세포분리 패턴(120)은 상기 세포 유동채널(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세포 유동채널(110)의 내측 표면 중에서 상기 시료 줄기세포가 직접 접촉되는 면에 형성된다.
상기 시료 줄기세포의 유동을 원활하거나 세포집속을 구현하기 위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물과 같은 세포 무해성 유체(Biocompatible fluid)인 시스유체(Sheath flows)가 상기 시료 줄기세포와 함께 상기 세포 유동채널(110)로 공급될 수 있는데, 상기 세포 유동채널(110)의 내측 표면 중에서 상기 시스유체에 의해 시료 줄기세포와 이격되는 면에는 상기 시료 줄기세포. 특히 상기 미분화 배아줄기세포가 접촉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유체가 상기 시료 줄기세포의 양측에 공급되어서 상기 시료 줄기세포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유동하는 경우에, 상기 세포분리 패턴(120)은 상기 시료 줄기세포가 접촉되는 상기 세포유동 채널(110)의 바닥 및/또는 천장에 사선방향의 라인 형태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세포분리 패턴(120)은, 즉 상기 세로롤링 라인(121)은 상기 미분화 배아줄기세포를 상기 세포 유동채널(110)의 일측벽으로 안내하며, 이에 따라 상기 시료 줄기세포에 포함되어 있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는 상기 세포유동 채널(110)의 일측벽 쪽으로 쏠려서 유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세포 유동채널(110)에는 시료세포 주입부(130)와 제1배출부(140)와 제2배출부(1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배출부(140)는, 상기 세포분리 패턴(120), 즉 상기 세포롤링 라인(121)들에 의해 상기 시료 줄기세포에서 분리되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를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미분화 배아줄기세포가 몰리는 상기 세포 유동채널(110)의 일측벽 쪽으로 편향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시료세포 주입부(130)를 통해 상기 세포 유동채널(1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시료 줄기세포 중 상기 제1배출부(140)를 통해 배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는 상기 제2배출부(150)를 통해 배출한다.
또한, 상기 세포유동 채널(110)에는 시스유체 주입부(160)가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시스유체 주입부(160)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100)의 내부로 공급되는 시스유체는 상기 시료 줄기세포의 양측에 합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배출부(140)를 통해 배출되는 세포가 다시 상기 시료세포 주입부(130)로 공급되도록 순환 유로를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비율을 높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배출부(150)를 통해 배출되는 세포가 다시 상기 시료세포 주입부(130)로 공급되도록 순환 유로를 형성하여, 전단계 분리과정에서 상기 시료 줄기세포로부터 분리되지 못한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분리과정을 재차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포분리 패턴(120)의 세포롤링 라인(121)은 상기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구름운동을 안내하는 리간드 라인(Ligand Line)으로 구성되며, 상기 리간드 라인(121)은 상기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와 결합하는 리간드(Ligand)가 상기 세포유동 채널(110)의 내측면에 라인(Line) 형태로 길게 사선방향으로 코팅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미분화 배아줄기세포(10)은 상기 리간드(121a)와 결합되는데, 상기 세포-리간드 결합은 항원-항체 반응과 같이 특정한 상보적 결합을 하기 때문에 원하는 세포, 즉 미분화 배아줄기세포만이 상기 세포롤링 라인, 즉 상기 리간드 라인(121)을 따라 구르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미분화 배아줄기세포(10)의 표면에 있는 리셉터(11, Receptor)와 리간드(121a)의 결합력과 유체(시료 줄기세포)의 유동에 의한 전단력이 합쳐져서 상기 미분화 배아줄기세포(10)에 토크(Torque)가 가해지면, 상기 미분화 배아줄기세포(10)가 상기 리간드 라인(121)을 따라 구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미분화 배아줄기세포(10)가 구름운동, 즉 롤링(Rolling)을 하게 되면, 상기 리간드 라인(121)으로 접근하는 다른 리셉터가 상기 리간드 라인(121)의 다른 리간드와 결합하면서 상술한 리셉터-리간드 결합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미분화 배아줄기세포(10)의 세포롤링(Cell Rolling)이 구현되며 상기 미분화 배아줄기세포(10)의 이동방향이 상기 시료 줄기세포의 유동방향에 대해 사선방향(리간드 라인의 형성방향)으로 전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121a)는 상기 미분화 배아줄기세포(10)의 표면인자인 OCT4와 리셉터-리간드결합을 이루는 Anti-OCT4 Antibody를 포함하나, 리간드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에 미분화 줄기세포 표지자로는 Bmi-1과 NSPc1이 있으며, 이들의 발현(Expression)이 높으면 미분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표면인자와 리간드 결합하는 리간드, 예를 들면 Anti-OCT4 Antibody를 이용하여 상기 미분화 배아줄기세포를 시료 줄기세포에서 분리하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분리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미분화 배아줄기세포가 상기 리간드를 갖는 세포 롤링라인을 따라 상기 시료 줄기세포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구르면서 상기 시료 줄기세포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이동방향을 전향시키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분리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표면인자(OCT-4)의 검출정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샘플 A(Sample A)는 상기 제2배출부(150)를 통해 수득되는 시료이고, 샘플 B(Sample B)는 상기 제1배출부(140)를 통해 수득되는 시료로서,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으로 OCT-4의 표현정도를 비교하면 샘플 B에서의 OCT-4가 월등하게 높게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110: 세포 유동채널
120: 세포분리 패턴 121: 세포 롤링라인
130: 시료세포 주입부 140: 제1배출부
150: 제2배출부 160: 시스유체 주입부

Claims (8)

  1.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시료 줄기세포의 유동로를 이루는 세포 유동채널; 그리고
    상기 시료 줄기세포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가 이동하도록, 상기 세포 유동채널의 내부에 사선방향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세포분리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포분리 패턴은, 상기 세포 유동채널의 내부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세포롤링 라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포롤링 라인들을 따라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가 굴러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분리 패턴은 상기 세포 유동채널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분리 패턴은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를 상기 세포 유동채널의 일측벽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유동채널에는 시료세포 주입부와 제1배출부와 제2배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배출부는 상기 세포분리 패턴에 의해 상기 시료 줄기세포에서 분리되는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를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세포 유동채널의 일측벽쪽으로 편향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배출부는 상기 시료세포 주입부를 통해 상기 세포 유동채널의 내부로 공급되는 시료 줄기세포 중 상기 제1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6.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시료 줄기세포의 유동로를 이루는 세포 유동채널; 그리고
    상기 시료 줄기세포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가 이동하도록, 상기 세포 유동채널의 내부에 사선방향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세포분리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포분리 패턴은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의 구름운동을 안내하는 리간드 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간드 라인은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와 결합하는 리간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는;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의 표면인자인 OCT4와 리간드결합을 이루는 Anti-OCT4 Antibod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8.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의 표면인자와 리간드 결합하는 리간드를 이용하여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를 시료 줄기세포에서 분리하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분리방법으로서;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가 상기 리간드를 갖는 세포 롤링라인을 따라 상기 시료 줄기세포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구르면서 상기 시료 줄기세포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분화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의 이동방향을 전향시키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분리방법.
KR1020130002079A 2013-01-08 2013-01-08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분리방법 KR101416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079A KR101416635B1 (ko) 2013-01-08 2013-01-08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079A KR101416635B1 (ko) 2013-01-08 2013-01-08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499A KR20130010499A (ko) 2013-01-28
KR101416635B1 true KR101416635B1 (ko) 2014-07-10

Family

ID=47839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079A KR101416635B1 (ko) 2013-01-08 2013-01-08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6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780B1 (ko) * 2017-01-24 2018-06-29 광주과학기술원 헤링본 타입 유체유도유닛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농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5690A1 (en) 2010-10-29 2012-12-13 Dino Di Carlo Systems and methods for particle classification and sor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5690A1 (en) 2010-10-29 2012-12-13 Dino Di Carlo Systems and methods for particle classification and sor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499A (ko) 2013-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2393B2 (en) Concentrating particles in a microfluidic device
US10126218B2 (en) Capturing particles
Sivaramakrishnan et al. Active microfluidic systems for cell sorting and separation
Wu et al. Microfluidic technologies in cell isolation and analysi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Yun et al. Cell manipulation in microfluidics
EP2998026B1 (en) Collector architecture layout design
CN104703699A (zh) 分离或富集细胞的方法和成分
JP2013541331A (ja) マイクロ流体捕獲渦を使用して不均一溶液から細胞を単離する方法及びデバイス
Plouffe et al. Perspective on microfluidic cell separation: A solved problem?
EP26655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rticle separation
CN110305788A (zh) 细胞捕获与肿瘤球培养的阵列化芯片及其制备和操作方法
KR101416635B1 (ko)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의 분리방법
CN108949497B (zh) 极微量循环肿瘤细胞的特异性单细胞定点捕捉芯片
Shen et al. Flow-field-assisted dielectrophoretic microchips for high-efficiency sheathless particle/cell separation with dual mode
Mohamed Use of microfluidic technology for cell separation
Ke et al. A double trapped single cell contact and interaction system via movable poly (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microstructure for immune analysis
Ning Microfluidic devices for cell separation and sample concentration
Ahmad et al. Microfluidic Particle Separation and Biomedical Applications
Takeuchi et al. Lab in a droplet (lid): Self-assembly of micro-nano structures inside a droplet using surface tension
Xavier Label-free, microfluidic characterisation and sorting of human skeletal stem cells
Teramachi et al. Cellular aggregate catcher using fluidic manipulation in high compatibility with widespread micro-well-plate
Peca High-throughput skeletal stem cell separation using magnetic labelling and microfluidic sorting
Wlodkowic et al. Dielectrophoresis of Micro/Nano Particles Using Curved Microelectrodes
Rojas Particle Manipulation Using Electric Field Gradients in Micro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