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573B1 -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전자기/시각 복합센서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전자기/시각 복합센서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573B1
KR101416573B1 KR1020140021666A KR20140021666A KR101416573B1 KR 101416573 B1 KR101416573 B1 KR 101416573B1 KR 1020140021666 A KR1020140021666 A KR 1020140021666A KR 20140021666 A KR20140021666 A KR 20140021666A KR 101416573 B1 KR101416573 B1 KR 101416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sensor
noise
system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수
박용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시스
Priority to KR1020140021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8Sensors; antennas; probes;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92Details related to signal analysis or treatment; presenting results, e.g. displays; measuring specific signal features other than field strength, e.g. polarisation, field modes, phase, envelope, maximum val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전자기/시각 복합센서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센서는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장 노이즈를 감지하는 전기장 프루브, 자기장 노이즈를 감지하는 자기장 프루브, 칩 형태의 소형 카메라로 형성되며 이때 전기장 프루브와 자기장 프루브를 구비하는 전자기 센서와 영상 카메라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전기장 및 자기장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고, 카메라를 센서에 내장하여 따로 위치 추출용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전자파 노이즈를 자유롭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파 노이즈 측정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전자기/시각 복합센서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방법 {Electriomagnetic/visual complex sensor for measuring noise of electromagnetic wave, and method for measuring noise of electromagnetic wav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전자기/시각 복합센서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EMI 및 EMC와 관련된 전자파 노이즈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장 프루브, 자기장 프루브 및 카메라 일체형의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복합센서에 관련된 것이다.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등에 대한 규격 통과를 위해, 일반적으로 전자 제품이라고 불리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노이즈를 원거리에서 측정하는 경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거리에서의 전자파 노이즈 측정을 수행하여 측정된 정보를 이용해 원거리에서 전자파 노이즈를 예측하는 방식을 구현하여, 디바이스 내 노이즈 소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음에 따라 근거리에서의 전자파 노이즈 측정은 EMI, EMC 대책 및 그 진단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자파 노이즈 시각화 장치의 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경우 근거리에서의 전자파 노이즈 측정을 위해 측정 대상을 거치 장치부(1) 위에 올려놓고, 측정 센서의 위치를 스텝 모터를 통해 추출하는 방식이 사용되나 이러한 경우 측정 대상이 거치 장치부(1)가 수용가능한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 2의 경우 측정 대상이 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크기에 관계없이 측정할 수 있도록 카메라(2)를 사용하여 전자기 센서(3)의 위치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카메라(2)를 사용한 전자기 센서(3)의 위치추출 방식은 측정 수행 동안에 항상 카메라(2)가 측정 디바이스를 향하고 있어야 하므로, 카메라(2)와 측정 대상이 되는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는 언제나 장애물이 없어야 하는 한계점이 있어서 측정의 편의성 및 정확성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관련기술문헌]
1. 전자파 측정장치 (실용신안등록 제20-0175235호)
2. 전자파 장해 측정 장치 (특허 제10-0339735호)
3. 전자파 노이즈 측정 및 분리장치 (실용신안등록 제20-0413394호)
4. 노이즈 계측 방법 및 계측 시스템 (공개특허 제10-2009-010903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장 및 자기장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고, 카메라를 센서에 내장하여 따로 위치 추출용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으며, 장애물에 구애되지 않고 전자파 노이즈를 자유롭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복합센서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센서는:
다이폴 또는 모노폴 안테나로 형성되어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장 노이즈를 감지하는 전기장 프루브와, 루프 안테나로 형성되어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자기장 노이즈를 감지하는 자기장 프루브;
칩 형태의 소형 카메라로 형성되며, 전기장 프루브와 자기장 프루브를 구비하는 전자기 센서의 위치좌표가 시스템 제어부에 의해 추출되도록 하기기 위해 전자기 노이즈 측정대상이 되는 디바이스의 전체 영상을 시스템 제어로 전송하는 카메라;
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 센서 및 카메라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노이즈 측정 방법은:
전자기/시각 복합센서의 전기장 프루브가 전자 디바이스의 전기장 노이즈를 감지하며, 복합센서의 자기장 프루브가 디바이스의 자기장 노이즈를 감지하여 전자파 노이즈 정보를 RF 신호 처리부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복합센서의 카메라가 전기장 프루브와 자기장 프루브를 구비하는 전자기 센서의 위치좌표가 시스템 제어부에 의해 추출되도록 하기 위해 전자기 노이즈 측정대상이 되는 디바이스의 전체 영상을 시스템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계 및 상기 제2단계는 동시에 또는 순서를 교대로 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시각 복합센서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방법은, 전기장 및 자기장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고, 카메라를 센서에 내장하여 따로 위치 추출용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으며, 전자파 노이즈를 자유롭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자기 및 시각 통합 센싱을 기반으로 전자파 노이즈 측정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노이즈 측정방법은 EMI와 EMC에 대한 대책 및 진단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전자파 노이즈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시각 복합 센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노이즈 측정 방법 중 복합센서의 전자기 센서를 중심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노이즈 측정 방법 중 복합센서의 카메라를 중심으로 나타낸 흐름도.
이상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에서 도 3 이하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전자기/시각 복합센서(이하, '복합센서')(11)는 전기장 프루브(111a-1), 자기장 프루브(111a-2), 카메라(111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기장 프루브(111a-1)와 자기장 프루브(111a-2)는 전자기 센서(111a)를 형성함으로써, 전기장 프루브(111a-1)는 다이폴 안테나 또는 모노폴 안테나로 형성되어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장 노이즈를 감지한다. 그리고, 자기장 프루브(111a-2)는 루프 안테나로 형성되어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자기장 노이즈를 감지한다. 한편, 카메라(111b)는 칩 형태의 초소형 카메라 센서로 형성됨으로써,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전자기 및 시각 복합 센서(11)의 위치 좌표가 시스템 제어 장치부(13)에 의해 추출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복합 센서(11)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장치(10)는 주요 구성요소로 전자기/시각 복합센서(11), RF 신호 처리부(12), 시스템 제어부(13) 및 화면 출력부(14)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면 출력부(14)는 도 4a와 같이 하나의 객체로 형성되거나, 도 4b와 같이 제1출력부(14a) 및 제2출력부(14b)로 구분된 객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출력부(14a) 및 제2출력부(14b)로 구분된 객체(도 4b)로 형성시 제1출력부(14a)는 RF 신호 처리부(12)의 화면출력 모듈(122)에 의한 제어에 따른 화상 신호를 출력하며, 제2출력부(14b)는 시스템 제어부(13)의 운영체제(GUI) 모듈(136)에 의한 제어에 따른 화상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하나의 객체로 형성된 도 4a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전자기/시각 복합 센서(11)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노이즈 측정장치(10)에서, 복합 센서(11)는 입력부(11a) 및 영상 인식부(11b)로 구분된다. 입력부(11a)는 전기장 프루브(111a-1) 및 자기장 프루브(111a-2)를 구비한 전자기 센서(111a)를 포함하며, 영상 인식부(11b)는 카메라(111b)를 포함함으로써, 전자기 센싱 및 영상 센싱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RF 신호 처리부(12)는 RF 디지털 신호변환 모듈(121) 및 화면출력 모듈(122)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노이즈 측정 장치(10)에서 상기 복합센서(11)는 입력부(11a) 내에 전자기 센서(111a)와 카메라(111b)를 함께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센서(11)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장치(10)를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능적인 면에서 입력부(11a)는 전자기 센서(111a)로부터 측정된 전자파 노이즈를 RF 신호 처리부(12)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부(11a)는 전기장 프루브(111a-1) 및 자기장 프루브(111a-2)를 구비한 전자기 센서(111a)를 이용해 전자 디바이스로부터의 전기장 노이즈 및 자기장 노이즈를 포함하는 전자파 노이즈를 감지하여, RF 신호 처리부(12)의 RF 디지털 신호변환 모듈(121)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RF 신호 처리부(12)의 RF 디지털 신호변환 모듈(121)은 전자기 센서(111a)에 의해 측정되어 전송된 전자파 노이즈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시스템 제어부(13)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RF 신호 처리부(12)의 화면출력 모듈(122)은 변환된 디지털 신호 타입의 전자파 노이즈 정보를 화면 출력부(14) 상에 구현한다.
상기 입력부(11a)의 카메라(111b)는 전자기 센서(111a)를 포함하는 복합센서(11)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전체 영상을 촬영하여 시스템 제어부(13)로 전송하여 복합센서(11)의 위치좌표가 획득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시스템 제어부(13)는 복합센서(11)의 위치획득을 위한 영상인식 알고리즘에 의해 복합 센서(11)의 위치좌표를 획득한다. 또한, 입력부(11a)는 카메라(111b)에 의해 획득한 디바이스의 전체 영상을 시스템 제어부(13)의 영상정보 DB(135)로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13)는 구체적으로 신호처리 제어모듈(131), 카메라 제어모듈(132), 측정정보 DB(133), 위치정보 DB(134), 영상정보 DB(135) 및 운영체제(GUI) 모듈(136)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측정정보 DB(133)는 신호처리 제어모듈(131)의 제어에 따라 RF 디지털 신호변환 모듈(121)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 타입의 전자파 노이즈 정보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신호처리 제어모듈(131)은 측정정보 DB(133)에 저장된 디지털 신호를 연산 처리함으로써,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카메라 제어모듈(132)은 복합센서(11)의 카메라(111b)에 의한 선택된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촬영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카메라 제어모듈(132)은 카메라(111b)를 제어하여 선택된 디바이스의 전체 사진에 대한 1회 촬영을 수행하도록 한다. 영상정보 DB(135)은 카메라 제어모듈(132)의 제어에 따라 전자기 및 시각 복합 센서부(11)로부터 수신된 전자 디바이스의 전체 영상을 저장한다.
이후, 카메라 제어모듈(132)은 복합센서(11)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의 전체 영상을 레퍼런스(reference)로 하여 전자기 센서(111a)를 포함하는 전자기 및 시각 복합센서(11)의 위치를 획득하는 방식에 의해 복합 센서(11)의 좌표를 추출한다.
운영체제(GUI) 모듈(136)은 측정정보 DB(133) 내의 디지털 신호, 위치정보 DB(134) 내의 복합센서(11)에 대해 추출된 좌표, 그리고 영상정보 DB(135) 내의 선택된 디바이스의 전체 영상을 통합 처리하며, 주요 기능으로 선택된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전자파 노이즈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 신호처리 제어모듈(131)에 의한 신호처리 완료시 측정 데이터를 화면 출력부(14)로 출력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전자파 노이즈 측정장치(10)는 디바이스를 임의의 설정된 위치에 두고 복합센서(11) 내의 전자기 센서(111a)에 의한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 노이즈를 측정시, 복합센서(11)의 위치도 획득한다.
즉, 복합센서(11)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 장치(10)는 임의로 설정된 위치에 있는 선택된 전자 디바이스에 대해서 전자기 센서(111a)를 이용해 발생하는 전자기 노이즈 측정을 수행하며, 선택된 디바이스에 대한 전체 영상을 레퍼런스로 하여 복합센서(11)의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선택된 디바이스 내의 전자파 노이즈의 소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복합센서(11)의 전기장 프루브(111a-1)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기장 노이즈를 감지한다(S11). 동시에, 복합센서(11)의 자기장 프루브(111a-2)는 전자 디바이스의 자기장 노이즈를 감지한다(S12).
상기 단계(S11) 및 단계(S12) 이후, 전기장 프루브(111a-1) 및 자기장 프루브(111a-2)로 이루어진 전자기 센서(111a)를 포함하는 복합 센서(11)는 단계(S11) 및 단계(S12)에서 감지된 전기장 노이즈와 자기장 노이즈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RF 신호 타입의 전자파 노이즈 정보를 RF 신호 처리부(12)로 전송한다(S13).
이후, RF 신호 처리부(12)의 RF 디지털 신호변환 모듈(121)은 위 단계(S13)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RF 신호 타입의 전자파 노이즈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타입의 전자파 노이즈 정보를 시스템 제어부(13)로 전송한다(S14). 그 다음, 시스템 제어부(13)의 신호처리 제어모듈(131)은 디지털 신호 타입의 전자파 노이즈 정보를 측정정보 DB(133) 상으로 저장한다(S15).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시스템 제어부(13)의 카메라 제어모듈(132)은 복합센서(11)의 카메라(111b)에 대한 전자기 센서(111a)에 대한 위치좌표 추출을 위해 디바이스에 대해 촬영된 전체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S21). 그리고, 카메라(111b)는 전자 디바이스에 대해 촬영된 전체 영상을 영상 시스템 제어부(13)의 카메라 제어모듈(132)로 전송한다(S22).
상기 단계(S22) 이후, 영상 시스템 제어부(13)의 카메라 제어모듈(132)은 수신된 전자 디바이스의 전체 영상을 영상정보 DB(135) 상으로 저장한다(S23). 그 후, 영상 시스템 제어부(13)의 카메라 제어모듈(132)은 디바이스의 전체 영상을 레퍼런스(reference)로 하여 전자기 센서(111a)를 포함하는 복합센서(11)의 위치를 획득한다(S24).
위 단계(S23) 이후, 영상 시스템 제어부(13)의 카메라 제어모듈(132)은 전자기 센서(111a)를 포함하는 복합센서(11)의 위치좌표를 위치정보 DB(134)에 저장한다(S25). 한편, 여기서 위치정보 DB(134)에 저장되는 복합센서(11)의 위치좌표는 도 7의 단계(S15)에서 측정정보 DB(133) 상으로 저장되는 디바이스에 대한 디지털 신호 타입의 전자파 노이즈 정보와 메타데이터를 통해 매칭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10: 전자파 노이즈 측정 장치
11: 복합센서
11a: 입력부
111a: 전자기 센서
111a-1: 전기장 프루브
111a-2: 자기장 프루브
11b: 영상 인식부
111b: 카메라
12: RF 신호 처리부
121: RF 디지털 신호변환 모듈
122: 화면출력 모듈
13: 시스템 제어부
131: 신호처리 제어모듈
132: 카메라 제어모듈
133: 측정정보 DB
134: 위치정보 DB
135: 영상정보 DB
136: 운영체제(GUI) 모듈
14: 화면 출력부
14a: 제1출력부
14b: 제2출력부

Claims (11)

  1. 다이폴 또는 모노폴 안테나로 형성되어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장 노이즈를 감지하는 전기장 프루브(111a-1), 루프 안테나로 형성되어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자기장 노이즈를 감지하는 자기장 프루브(111a-2);
    칩 형태의 소형 카메라로 형성되며, 전기장 프루브(111a-1)와 자기장 프루브(111a-2)를 구비하는 전자기 센서(111a)의 위치 좌표가 시스템 제어부(13)에 의해 추출되도록 하기 위해 전자기 노이즈 측정 대상이 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체 영상을 시스템 제어부(13)로 전송하는 카메라(111b);
    를 포함하며,
    전자기 센서(111a) 및 카메라(111b) 일체형 복합 센서(11)로 형성되고;
    상기 복합 센서(11)는:
    감지된 전기장 노이즈 및 자기장 노이즈를 포함하는 전자파 노이즈 정보를 RF 신호 처리부(12)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13)로 전송하여, 시스템 제어부(13)의 측정정보 DB(133)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전자기 및 시각 복합센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센서(11)로부터 수신된 전기장 노이즈와 자기장 노이즈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RF 신호 타입의 전자파 노이즈 정보는, RF 신호 처리부(12)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뒤, 디지털 신호 타입의 전자파 노이즈 정보로 시스템 제어부(13)로 전송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전자기 및 시각 복합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의 전체 영상은:
    시스템 제어부(13)의 영상정보 DB(135) 상에 저장된 이후, 시스템 제어부(13)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의 전체 영상을 레퍼런스(reference)로 한 전자기 센서(111a)를 포함하는 복합센서(11)의 위치획득에 이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전자기 및 시각 복합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전자기 센서(111a)의 위치 좌표는:
    시스템 제어부(13)의 위치정보 DB(134)에 저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전자기 및 시각 복합센서.
  6. 전자기 및 시각 복합 센서(11)의 전기장 프루브(111a-1)가 전자 디바이스의 전기장 노이즈를 감지하며, 상기 복합 센서(11)의 자기장 프루브(111a-2)가 전자 디바이스의 자기장 노이즈를 감지하여 전자파 노이즈 정보를 RF 신호 처리부(12)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13)로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복합 센서(11)의 카메라(111b)가 전기장 프루브(111a-1)와 자기장 프루브(111a-2)를 구비하는 전자기 센서(111a)의 위치 좌표가 시스템 제어부(13)에 의해 추출되도록 하기 위해 전자기 노이즈 측정 대상이 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체 영상을 시스템 제어부(13)로 전송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계 및 상기 제2단계는 동시에 또는 순서를 교대로 순차적으로 수행되며;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복합 센서(11)가 감지된 전기장 노이즈와 자기장 노이즈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RF 신호 타입의 전자파 노이즈 정보를 RF 신호 처리부(12)로 전송하는 제1-1단계;
    RF 신호 처리부(12)의 RF 디지털 신호변환 모듈(121)이 수신된 아날로그 RF 신호 타입의 전자파 노이즈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타입의 전자파 노이즈 정보를 시스템 제어부(13)로 전송하는 제1-2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및 시각 복합센서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제1-2단계 이후, 측정정보 DB(133)가 디지털 신호 타입의 전자파 노이즈 정보를 저장하는 제1-3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및 시각 복합센서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시스템 제어부(13)의 카메라 제어모듈(132)이 전자기 및 시각 복합 센서(11)의 카메라(111b)에 대한 전자기 센서(111a)에 대한 위치좌표 추출을 위해 전자 디바이스에 대해 촬영된 전체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2-1단계;
    카메라(111b)가 전자 디바이스에 대해 촬영된 전체 영상을 시스템 제어부(13)로 전송하여, 시스템 제어부(13)의 영상정보 DB(135) 상에 전자 디바이스의 전체 영상을 저장하도록 하는 제2-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및 시각 복합센서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2단계 이후:
    시스템 제어부(13)가 전자 디바이스의 전체 영상을 레퍼런스로 하여 전자기 센서(111a)를 포함하는 복합센서(11)의 위치를 획득하는 제2-3단계;
    시스템 제어부(13)가 전자기 센서(111a)를 포함하는 복합센서(11)의 위치좌표를 위치정보 DB(134)에 저장하는 제2-4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및 시각 복합센서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4단계에서:
    위치정보 DB(134)에 저장되는 복합센서(11)의 위치좌표는 상기 제1-3단계에서의 측정정보 DB(133) 상으로 저장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디지털 신호 타입의 전자파 노이즈 정보와 메타데이터를 통해 매칭되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및 시각 복합센서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방법.
KR1020140021666A 2014-02-25 2014-02-25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전자기/시각 복합센서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방법 KR101416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666A KR101416573B1 (ko) 2014-02-25 2014-02-25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전자기/시각 복합센서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666A KR101416573B1 (ko) 2014-02-25 2014-02-25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전자기/시각 복합센서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573B1 true KR101416573B1 (ko) 2014-08-06

Family

ID=5174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666A KR101416573B1 (ko) 2014-02-25 2014-02-25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전자기/시각 복합센서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5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892B1 (ko) * 2006-10-18 2008-01-07 주식회사 이레테크 정지영상을 이용한 ems 모니터링 시스템
KR20090109039A (ko) * 2008-04-14 2009-10-19 가부시키가이샤 노이즈 겐큐우죠 노이즈 계측 방법 및 계측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892B1 (ko) * 2006-10-18 2008-01-07 주식회사 이레테크 정지영상을 이용한 ems 모니터링 시스템
KR20090109039A (ko) * 2008-04-14 2009-10-19 가부시키가이샤 노이즈 겐큐우죠 노이즈 계측 방법 및 계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576B1 (ko) 물체 탐지를 위한 레이더 카메라 복합 검지 장치 및 방법
JP654424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08889B1 (ko) 대기열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EP3547259A2 (en) Image-based position detection method, image-based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0442120B (zh) 控制机器人在不同场景下移动的方法、机器人及终端设备
KR101330805B1 (ko)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9813434B (zh) 一种基于温度检测的人体识别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6037651B (zh) 一种心率检测方法及系统
US20140152660A1 (en) Method for creating 3-d models by stitching multiple partial 3-d models
US20200273200A1 (en) Camera localization based on skeletal tracking
KR20160019497A (ko) 데이터베이스 생성의 목적을 위한 대화식 및 자동 3-d 오브젝트 스캐닝 방법
CN102879763B (zh) 采用图像识别与声强扫描的噪声源快速定位系统及方法
JP6588413B2 (ja) 監視装置および監視方法
WO201821634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099796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20170035844A (ko) 타임 오브 플라이트 데이터를 비닝하는 방법
CN109886101A (zh) 姿势识别方法及相关装置
JPWO2019155727A1 (ja) 情報処理装置、追跡方法、及び追跡プログラム
JP6042146B2 (ja) 対象物検出装置および対象物検出方法
KR20110087407A (ko) 카메라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감지 방법
JP202006446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16573B1 (ko) 전자파 노이즈 측정용 전자기/시각 복합센서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노이즈 측정방법
US11776143B2 (en) Foreign matter detection device, foreign matter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KR101415732B1 (ko) 전자기 및 시각 복합센서 기반의 전자파 노이즈 시각화 장치 및 그 복합센서의 위치획득을 위한 영상인식 방법
CN104457709B (zh) 一种距离检测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