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234B1 -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with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234B1
KR101416234B1 KR1020080003470A KR20080003470A KR101416234B1 KR 101416234 B1 KR101416234 B1 KR 101416234B1 KR 1020080003470 A KR1020080003470 A KR 1020080003470A KR 20080003470 A KR20080003470 A KR 20080003470A KR 101416234 B1 KR101416234 B1 KR 10141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ower
power supply
switch
voltag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4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7485A (en
Inventor
박타리
김경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3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234B1/en
Publication of KR20090077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4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2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978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 G03G2215/00983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using batteries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 전원과 이로부터 승압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강압하여 필요한 복수개의 레벨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레벨 전압의 제1 입력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승압하여 제2 레벨 전압의 제2 입력전원을 공급하는 승압부; 상기 제1 입력전원 또는 상기 제2 입력전원을 선택하는 스위치; 상기 제1 입력전원 또는 상기 제2 입력전원을 강압하여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강압부; 및 상기 제1 입력전원의 레벨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입력전원의 레벨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003470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apparatus and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power supply apparatus that generate a plurality of required power levels by selectively lowering a battery power source and a power source boosted therefrom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attery power sour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omprising: a battery for supplying a first input power of a first level voltage; A boosting unit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battery to boost the voltage to supply a second input power of a second level voltage; A switch for selecting the first input power supply or the second input power supply; A step-down unit that steps down the first input power supply or the second input power supply to generate an output power supply; And a switch control unit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first input power supply and controlling the switch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irst input power supply.

Figure R1020080003470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with}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apparatus and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레벨의 직류 전압 전원이 생성되고, 내부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이 각각의 전압 전원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apparatus and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apparatus, A power supply apparatus, and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power supply apparatus.

통상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영상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Typicall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ll apparatuses that process images of a digital camera,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hone camera, a PC camera, or the like and use an image recognition sensor.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거나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를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에 표시하여 보여줄 수 있다.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n receive input through an image pickup device or display an image of an image file stored in a storage medium on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LCD 등의 표시소자, 촬상소자(Charge-Coupled Device, CCD), 스트로보(strobo),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마이크로 컴퓨터, 메모리, 모터 등의 다양한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부하가 작동되는 전원 전압이 동일하지 아니하여, 다양한 레벨의 전원 전압이 필요하다.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various loads such as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a charge-coupled device (CCD), a strobo,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 microcomputer, a memory, can do. In addition, since the power supply voltage at which each load is operated is not the same, various levels of power supply voltage are required.

이때, 내부의 다양한 부하에 필요한 각각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필요한 각각의 레벨의 전압 전원으로 변경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supply the respective power supplies necessary for various loads insid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may be changed into a voltage power supply of each level required.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 전원과 이로부터 승압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강압하여 필요한 복수개의 레벨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power supply apparatus that selectively generates a plurality of levels of power by selectively lowering a battery power source and a power source boosted therefrom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attery power source and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do.

본 발명은, 제1 레벨 전압의 제1 입력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승압하여 제2 레벨 전압의 제2 입력전원을 공급하는 승압부; 상기 제1 입력전원 또는 상기 제2 입력전원을 선택하는 스위치; 상기 제1 입력전원 또는 상기 제2 입력전원을 강압하여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강압부; 및 상기 제1 입력전원의 레벨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입력전원의 레벨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omprising: a battery for supplying a first input power of a first level voltage; A boosting unit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battery to boost the voltage to supply a second input power of a second level voltage; A switch for selecting the first input power supply or the second input power supply; A step-down unit that steps down the first input power supply or the second input power supply to generate an output power supply; And a switch control unit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first input power supply and controlling the switch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irst input power supply.

상기 제1 입력전원이 기준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입력전원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입력전원이 기준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입력전원이 선택될 수 있다.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is selected when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and the second input power source is selected when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상기 스위치 제어부가, 상기 제1 입력전원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여 감지 전압을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 전압을 입력받아 디지털의 감지 신호로 변경하는 신호 변환부, 및 상기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입력전원 또는 상기 제2 입력전원을 선택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witch control unit includes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voltage level of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to generate a sensing voltage, a signal converter for receiving the sensed voltage and converting the sensing voltage into a digital sensing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 to select one input power source or the second input power source.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 입력전원이 상기 강압부로 입력되는 것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입력전원이 상기 강압부로 입력되는 것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제2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witch includes a first switch for turning on or off inputting of the first input power to the voltage step-down unit and a second switch for turning on or off the input of the second input power to the voltage step- OFF) the second switch.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power supply unit.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의하면,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승압 또는 강압하여 필요한 전원을 생성할 때,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필요한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apparatus and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generating a necessary power by stepping up or down the supplied power, even when the level of the supplied power is changed,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100)의 뒷면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1 is a rear view of a digital camera 100, which is an embodiment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0)의 뒷면에는 방향 버튼(21), 메뉴-OK 버튼(22),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W), 망원(Telephoto)-줌(Zoom) 버튼(T), 및 디스플레이 패널(2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direction button 21, a menu-OK button 22, a wide angle-zoom button W, a telephoto-zoom button Zoom ) Button T, a display panel 25, and the like.

방향 버튼(21)에는 상향 버튼(21a), 하향 버튼(21b), 좌향 버튼(21c), 우향 버튼(21d)의 총4개의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방향 버튼(21)과 메뉴-OK 버튼(22)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 키기 위해 입력하는 키이다. The direction button 21 may include a total of four buttons including an up button 21a, a down button 21b, a left button 21c, and a right button 21d. The direction button 21 and the menu-OK button 22 are keys for inputting various menu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digital camera.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은 그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진다.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광각-줌 버튼(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Wide angle-zoom button W or telephoto-zoom button T widens the view angle or narrows the view angle depending on the input. In particular, it can be used to change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At this time, when the wide-angle zoom button W is input,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is reduced, and when the telephoto-zoom button T is input,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may be enlarged.

디스플레이 패널(25)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의 영상 표시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As the display panel 25,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ay be used.

한편, 디지털 카메라(100)의 앞면 또는 윗면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26), 플래시(미도시), 전원 스위치(미도시), 렌즈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앞면과 뒷면에는 뷰 파인더(27)의 대물 렌즈와 접안 렌즈가 구비될 수 있다. A shutter release button 26, a flash (not shown), a power switch (not shown), and a lens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r a top surface of the digital camera 100. In addition, an objective lens and an eyepiece lens of the viewfinder 27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digital camera 100.

셔터 릴리즈 버튼(26)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촬상 소자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힌다. 또한, 셔터 릴리즈 버튼은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촬상 소자에 영상을 기록한다. The shutter release button 26 is opened and closed to expose an image pickup element or film such a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to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Further, the shutter release button interlocks with an iris (not shown) to appropriately expose the subject to record the image on the imaging element.

디지털 카메라(100)의 내부에는 배터리(미도시)가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를 포함한 전원 공급 장치(도 2의 220)에서 디지털 카메라(100)에 포함되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A battery (not shown) may be inserted into the digital camera 100 from the outside.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various components included in the digital camera 100 in a power supply unit (220 in FIG. 2) including a battery.

이때,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각각의 구동 전압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0)에서는 다양한 레벨의 전압 전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 여,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승압 또는 강압하여 다양한 레벨의 전압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arious components can be driven by respective driving voltages. Accordingly, the digital camera 100 requires voltage power of various levels. For this purpose, various levels of voltage power can be supplied by stepping up or stepping down from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4/0130650호(명칭: 카메라의 이차함수를 이용한 자동 포커싱 방법, Method of automatically focusing using a quadratic function in camera)에 개시되어 있다. As an embodiment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 digital camera, a control apparatus thereof,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4/0130650 (titled: automatic using a quadratic function of a camera A focusing method, a focusing method, and a quadratic function in camera.

상기 미국출원에 개시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digital camera, its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U.S. application are incorporated in this specific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2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200)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apparatus 200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200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n be installed inside the digital camera 100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212)에 입력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n optical system (OPS) including a lens unit and a filter unit optically processes light from a subject. The lens unit of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es a zoom lens, a focus lens, and a compensation lens. When the user presses the wide-zoom button W or telephoto-zoom button T included in the user input unit INP, a corresponding signal is input to the microcontroller 212.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212)가 렌즈 구동부(2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줌 버튼(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줌 버튼(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Accordingly, as the microcontroller 212 controls the lens driving unit 210, the zoom motor M Z is driven to move the zoom lens. That is, when the wide-angle zoom button W is depressed, the focal length of the zoom lens is shortened to enlarge the angle of view, and if the telephoto-zoom button T is depressed, the focal length of the zoom lens becomes long and the angle of view becomes narrow.

한편, 자동 초점 모드(auto focusing mode)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2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210)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즉, 포커스 모터(MF)를 구동하여 가장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다. Meanwhile, in the auto focusing mode, the main controller built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controls the lens driving unit 210 through the micro controller 212, so that the focus motor M F is driven do. That is, the focus motor M F is driven to move the focus lens to a position where the sharpest picture can be obtained.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The compensation lens compensates for the overall refractive index and is not driven separately. Reference symbol M A denotes a motor for driving an aperture (not shown).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In the filter section of the optical system (OPS), an optical low pass filter removes optical noise of a high frequency component. Infra-red cut filter blocks the infrared component of incident light.

광전 변환부(OEC)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may include an image pickup device such a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or a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converts light from the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2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타이밍 회로(2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1)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analog-to-digital conversion unit may include a CDS-ADC (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processes the analog signal from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removes the high-frequency noise, adjusts the amplitude, and converts the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Her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controls the timing circuit 202 to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and the analog-digital conversion unit 201.

실시간 클럭(2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CDS-ADC 소자(2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Y 값) 및 색도(R, G, B)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The real-time clock 203 provides time information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processes digital signals from the CDS-ADC device 201 to generate digital image signals classified into luminance (Y value) and chromaticity (R, G, B) signals.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에 내장된 주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기(2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모드 지시 램프 및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방향 버튼(21), 광각-줌 버튼(W) 및 망원-줌 버튼(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 self-timer lamp, an auto-focus lamp, a mode indicating lamp, a flash standby lamp, and the like are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LAMP) driven by the microcontroller 212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incorporated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 The user input unit INP may include a direction button 21, a wide-angle zoom button W, a tele-zoom button T, and the like.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2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2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의 동작에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및 키 입력 프로그램 등과 같은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될 수 있다. A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is temporarily stored in a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204. A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205 stores algorithms and setting data such as a boot program and a key input program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In the memory card interface 206, a user's memory card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is input to the display panel driver 214, thereby displaying an image on the display panel 215. [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3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208)와 그 접속부(3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209) 및 비디오 출력부(31c)를 통하 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를 내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can be transmitted by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a USB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on part 31a or an RS232C interface 208 and its connection part 31b, 209 and the video output unit 31c as a video signal. Her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may incorporate a micro controller therein.

오디오 처리기(2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The audio processor 213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or the speaker SP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to the speaker SP.

전원 공급 장치(220)는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배터리 또는 AC 입력으로부터 각각의 작동부들에 필요한 전압을 생성하여, 각각의 작동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원 공급 장치(220)로부터 3.3V, 1.8V, 2.5V 등의 정격 전압을 갖는 전원이 생성되어 공급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20 is a component that supplies power, and can generate a voltage required for each operation unit from a battery or an AC input, and supply power to each operation uni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power source having a rated voltage of 3.3 V, 1.8 V, 2.5 V, or the like may be generated and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220.

전원 공급 장치(220)는 광전 변환부(OEC),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마이크로 제어기(212), 플래시(13), 메모리(204, 205, 206), 및 구동 모터들(MA, MF, MZ) 등의 작동부를 구동하는데, 많은 전력이 소모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들은 각각 정격 전압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작동부들은 다양한 레벨의 전압 전원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220 includes 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a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a microcontroller 212, a flash 13, memories 204, 205 and 206 and drive motors M A and M F , M Z ), etc., and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may be consumed. The operation units may be operated by receiving a power supply having a rated voltage. At this time, each of the actuators can be driven by voltage power of various levels.

한편, 전원 공급 장치(220)는 그 내부에 포함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작동부에 필요한 다양한 레벨의 전압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제1 입력전원이 승압 또는 강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wer supply 220 can supply power from a battery included therein. At this time, the first input power outputted from the battery may be stepped up or stepped down to supply the various levels of voltage power required for each operation part.

특히, 통상의 전원 공급 장치(220)에서, 제1 입력전원이 AA 타입 또는 AAA 타입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경우에, 배터리 전원보다 낮은 레벨의 전원을 작동 전원으로 사용하는 주변회로는 승압된 전원을 다시 강압해야 하거나 승강압이 가능한 파워 IC(Integrated Circuit)를 사용해야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입력전압의 변화에 따라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Particularly, in a case where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is supplied from a battery of AA type or AAA type in a normal power supply device 220, a peripheral circuit using a power source lower in level than the battery power source as the operating power source, It may be necessary to use a power IC (integrated circuit) capable of coercing or stepping up and down again. In this case, the efficiency may be lower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first input voltage.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220)에서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제1 입력전원 또는 제1 입력전원을 승압한 제2 입력전원을 선택적으로 강압하여 출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220)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원 공급 장치(300, 400)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power supply apparatus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put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or the second input power supplied by boosting the first input power can be selectively lowered to generate the output power. The power supply 220 may be implemented as the power supply 300, 40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or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전원 공급 장치(3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전원 공급 장치(300)는 도 2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제어장치(300)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300,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device 300 may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the control device 300 included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300)는 배터리(310); 승압부(320); 스위치(330); 강압부(340); 및 스위치 제어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300)는 배터리(310)로부터 공급되는 제1 입력전원 또는 승압부(320)에서 제1 입력전원을 승압한 제2 입력전원을 선택적으로 강압하여 출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power supply 300 includes a battery 310; A boosting unit 320; Switch 330; Down portion 340; And a switch control unit 350, as shown in FIG. The power supply 300 may selectively generate a first output power from the battery 310 or a second input power from which the first input power is boosted by the boosting unit 320 to generate an output power.

이때, 스위치 제어부(350)는 배터리(31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입력전원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 제1 입력전원이 기준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강압부(340)에서 제1 입력전원을 강압하여 필요한 출력 전원을 생성한다. At this time, the switch control unit 350 monitors the first input power outputted from the battery 310, and when the first input powe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switch control unit 350 steps down the first input power at the step- Generate power.

한편, 배터리(310)의 사용에 따라 배터리(310)에서 출력되는 제1 입력전원의 전압이 낮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31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입력전원이 기 준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강압부(340)는 승압부(320)에서 제1 입력전원을 승압한 제2 입력전원을 강압하여 필요한 출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battery 310, the voltage of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battery 310 may be lowered. In this case, when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battery 310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step-down unit 340 steps down the second input power source that has stepped up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by the step- Power can be generated.

따라서, 배터리(310)의 출력 전압이 낮아지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각각의 구성 요소들에서 필요한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장치(300)는 전원 생성 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even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310 is low, it is possible to stably generate the necessary power in each of the components.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device 300 can improve efficiency in power generation.

배터리(310)는 제1 레벨 전압의 제1 입력전원을 공급한다. 승압부(320)는 배터리(310)로부터 제1 입력전원을 공급받아 승압하여 제2 레벨 전압의 제2 입력전원을 공급한다. 스위치(330)는 스위치 제어부(3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입력전원 또는 상기 제2 입력전원을 선택한다. The battery 310 supplies the first input power of the first level voltage. The boosting unit 320 receives the first input power from the battery 310 and boosts it to supply the second input power of the second level voltage. The switch 33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switch controller 350 and selects either the first input power or the second input power.

강압부(340)는 스위치(330)의 선택에 의하여 제1 입력전원 또는 제2 입력전원을 강압하여 출력 전원을 생성한다. 스위치 제어부(350)는 제1 입력전원의 레벨을 감지하고, 제1 입력전원의 레벨에 따라 스위치(330)를 제어한다. The step-down unit 340 steps down the first input power supply or the second input power supply by the selection of the switch 330 to generate an output power. The switch control unit 350 senses the level of the first input power and controls the switch 330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irst input power.

배터리(310)는 AA 타입 또는 AAA 타입의 배터리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310)는 AA 타입 또는 AAA 타입의 배터리가 직렬로 연결되어 그에 따른 제1 레벨의 전압을 갖는 제1 입력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제1 입력전원은 사용 상태에 따라 일정한 범위 내의, 예를 들어 1.5V 내지 3.0V 범위 내의, 전압의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battery 310 may be an AA-type or AAA-type battery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In this embodiment, the battery 310 may be connected in series with AA-type or AAA-type batteries to supply a first input power having a first level voltage. That is,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can supply DC power of a voltage within a certain range, for example, within the range of 1.5V to 3.0V depending on the use state.

승압부(320)는 제1 입력전원을 공급받아 승압하여 제1 레벨보다 높은 제2 레벨 전압의 제2 입력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승압부(320)는 배터리(3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보다 높은 전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주변 회로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 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The boosting unit 320 is supplied with the first input power and boosts the voltage to supply the second input power having the second level voltage higher than the first level. That is, the boosting unit 320 can generate and supply a power required for a peripheral circuit operated by a voltage higher than a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310.

이때, 제1 입력전원 및 제2 입력전원은 각각 직류 전원이고, 승압부(320)는 제1 입력전원을 제2 입력전원으로 승압하는 승압형의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가 될 수 있다. 승압부(320)는 역률보상기능을 포함하는 통상의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가 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input power supply and the second input power supply are DC power supplies, and the voltage boosting unit 320 is a step-up DC-DC converter that boosts the first input power supply to the second input power supply . The boosting unit 320 may be a conventional boost converter including a power factor correcting function.

스위치(330)는 스위치 제어부(3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며, 그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입력전원 또는 제2 입력전원을 선택하여, 선택된 전원을 선택 전원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강압부(340)에서는 선택 전원을 강압하여 출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The switch 33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switch controller 350 and selects the first input power or the second input pow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o select the selected power. In this case, the step-down unit 340 can generate the output power by stepping down the selected power.

스위치(330)는 제어 신호의 입력에 따라 강압부(340)가 배터리(310)와 연결되도록 하거나, 강압부(340)가 승압부(32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입력전원이 기준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입력전원이 선택 전원이 되고, 상기 제1 입력전원이 기준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제2 입력전원이 선택 전원이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The switch 33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310 or may be connected to the voltage step-up unit 320 according to an input of a control signal. At this time,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becomes the selection power source when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and the second input power source is selected as the selected power source when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강압부(340)는 스위치(330)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 전원을 강압하여 출력 전원을 생성한다. 이때, 출력 전원은 주변 회로에서 필요한 다양한 레벨의 전압 전원이 될 수 있다. 또한, 출력 전원은 각각 서로 다른 레벨의 복수개의 전압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강압부(340)는 역률보상기능을 포함하는 통상의 벅 컨버터(buck converter)가 될 수 있다. The voltage-down unit 340 generates the output power by stepping down the selection power by the selection of the switch 330. [ At this time, the output power can be a voltage power of various levels required in the peripheral circuit. In addition, the output power sour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voltage power sources of different levels. The voltage-down unit 340 may be a conventional buck converter including a power factor correcting function.

스위치 제어부(350)는 제1 입력전원의 레벨에 따라 스위치(330)를 제어한다. 즉, 제1 입력전원이 기준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입력전원이 선택 전원이 되고, 상기 제1 입력전원이 기준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제2 입력전원이 선택 전원이 되도록 스위치 제어부(350)가 스위치(33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witch control unit 350 controls the switch 330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irst input power. That is, when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is the selection power source, and when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switch control unit 350 turns the second input power source 330 may be generated.

스위치 제어부(350)는 감지부(351), 신호 변환부(352), 및 제어부(353)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witch control unit 350 may include a sensing unit 351, a signal conversion unit 352, and a control unit 353.

감지부(351)는 제1 입력전원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여 감지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신호 변환부(352)는 아날로그의 감지 전압을 입력받아 디지털의 감지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351 may sense a voltage level of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to generate a sensing voltage. The signal converting unit 352 may receive the analog sensing voltage and change the digital sensing signal to a digital sensing signal.

제어부(353)는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입력전원 또는 상기 제2 입력전원을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스위치(330)는 제어부(353)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입력전원 또는 제2 입력전원을 선택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53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the first input power or the second input power. The switch 33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353 and can select either the first input power or the second input pow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전원 공급 장치(30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장치 내부에 포함되는 경우에, 제어부(353)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또는 마이크로 제어기(212)가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power supply 300 is included in the control device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section 353 can us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7 or the microcontroller 212.

감지부(351)는 배터리(3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여 감지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감지부(351)는 전압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351 may sense a voltage level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310 to generate a sensing voltage. For this, the sensing unit 351 may include a voltage sensing sensor.

신호 변환부(352)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 ADC)가 될 수 있다. 이때, 신호 변환부(352) 는 입력되는 감지 전압의 레벨에 따라 하이(high) 또는 로우(low)의 디지털의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전원이 1.5V 내지 3.0V의 범위에서 변화될 때, 기준 레벨이 2.5V가 될 수 있다. The signal converting unit 352 may be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t this time, the signal converting unit 352 can output a digital sensing signal of high or low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ensing voltage inputt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is changed in the range of 1.5V to 3.0V, the reference level may be 2.5V.

감지 신호는 배터리(310)에서 출력되는 제1 입력전원이 기준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하이(high)가 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53)는 감지 신호가 하이(high)인 경우에는 제1 입력 전원이 선택 전원이 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감지 신호가 로우(low)인 경우에는 제2 입력 전원이 선택 전원이 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detection signal may be high when the first input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310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At this time,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high, the controller 353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to the selected power source. And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low, the second input power supply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be the selected power supply.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300)는 배터리(3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기준 레벨보다 낮아지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출력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ower supply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tably supply the output power even whe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310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전원 공급 장치(4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전원 공급 장치(400)는 도 2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제어장치(400)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400,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device 40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device 400 included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of FIG.

도 4에 도시된 전원 공급 장치(400)는 도 3에 도시된 전원 공급 장치(300)에 대하여 스위치(330)가 제1 스위치(431) 및 제2 스위치(432)를 구비하는 것으로, 스위치 제어부(450)에 의하여 제1 스위치(431) 및 제2 스위치(432)가 각각 제어된다. The power supply 400 shown in FIG. 4 includes a first switch 431 and a second switch 432 with respect to the power supply 300 shown in FIG. 3, The first switch 431 and the second switch 432 are respectively controlled by the switch 450.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400)에서는 도 3의 전원 공급 장치(300)와 유사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도 3의 경우를 참조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power supply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ference numerals similar to those of the power supply apparatus 300 of FIG. 3 are us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with reference to FIG.

도면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400)는 배터리(410); 승압부(420); 스위 치(430); 강압부(440); 및 스위치 제어부(45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400)는 배터리(410)로부터 공급되는 제1 입력전원 또는 승압부(420)에서 제1 입력전원을 승압한 제2 입력전원을 선택적으로 강압하여 출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power supply 400 includes a battery 410; A boosting unit 420; A switch 430; Down portion 440; And a switch control unit 450. The power supply unit 400 may selectively output the first input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410 or the second input power supplied from the voltage-up unit 420 to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to generate the output power.

배터리(410)는 제1 레벨 전압의 제1 입력전원을 공급한다. 승압부(420)는 배터리(410)로부터 제1 입력전원을 공급받아 승압하여 제2 레벨 전압의 제2 입력전원을 공급한다. 스위치(430)는 스위치 제어부(4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입력전원 또는 상기 제2 입력전원을 선택한다. The battery 410 supplies the first input power of the first level voltage. The boosting unit 420 receives the first input power from the battery 410, boosts the voltage, and supplies the second input power of the second level voltage. The switch 43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switch controller 450 and selects either the first input power or the second input power.

강압부(440)는 스위치(430)의 선택에 의하여 제1 입력전원 또는 제2 입력전원을 강압하여 출력 전원을 생성한다. 스위치 제어부(450)는 제1 입력전원의 레벨을 감지하고, 제1 입력전원의 레벨에 따라 스위치(430)를 제어한다. The step-down unit 440 steps down the first input power or the second input power by selecting the switch 430 to generate the output power. The switch controller 450 senses the level of the first input power and controls the switch 430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irst input power.

스위치(430)는 제1 스위치(431) 및 제2 스위치(432)를 구비한다. 제1 스위치(431)는 제1 입력전원이 강압부(440)로 입력되는 것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킨다. 제2 스위치(432)는 제2 입력전원이 강압부(440)로 입력되는 것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킨다. The switch 430 includes a first switch 431 and a second switch 432. The first switch 431 turns on or off the input of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to the step-down unit 440. The second switch 432 turns on or off the input of the second input power to the step-down unit 440.

스위치 제어부(450)는 제1 입력전원의 레벨에 따라 제1 입력전원 또는 제2 입력전원을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1 스위치(431) 및 제2 스위치(432) 각각은 스위치 제어부(45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입력전원이 강압부(440)로 입력되거나 제2 입력전원이 강압부(440)로 입력되도록 제어된다. The switch control unit 45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either the first input power or the second input power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irst input power. Each of the first switch 431 and the second switch 432 is turned on when the first input power is inputted to the down converting unit 440 or the second input power is supplied to the down converting unit 440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inputted from the switch control unit 450, .

스위치 제어부(450)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감지부, 신호 변환 부, 및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witch control unit 450 may include a sensing unit, a signal conversion unit, and a control unit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스위치 제어부(450)는 배터리(41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입력전원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 제1 입력전원이 기준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강압부(440)에서 제1 입력전원을 강압하여 필요한 출력 전원을 생성한다. The switch control unit 450 monitors the first input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410. As a result, when the first input powe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switch control unit 450 steps down the first input power at the step-down unit 440, .

한편, 배터리(410)의 사용에 따라 배터리(410)에서 출력되는 제1 입력전원의 전압이 낮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41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입력전원이 기준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강압부(440)는 승압부(420)에서 제1 입력전원을 승압한 제2 입력전원을 강압하여 필요한 출력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battery 410, the voltage of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battery 410 may be lowered. In this case, when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battery 410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step-down unit 440 steps down the second input power source that boosted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by the voltage step- Can be generated.

따라서, 배터리(410)의 출력 전압이 낮아지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각각의 구성 요소들에서 필요한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장치(400)는 전원 생성 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even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410 is low, it is possible to stably generate the necessary power in each component. Also, the power supply device 400 can improve the efficiency in power generation.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You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에 포함되는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apparatus included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도 2의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전원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schematic view of a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ed in the control apparatus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의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전원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a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ed in the control apparatus of FIG. 2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제1 레벨 전압의 제1 입력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A battery for supplying a first input power of a first level voltage;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승압하여 제2 레벨 전압의 제2 입력전원을 공급하는 승압부; A boosting unit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battery to boost the voltage to supply a second input power of a second level voltage; 상기 제1 입력전원 또는 상기 제2 입력전원을 선택하는 스위치; A switch for selecting the first input power supply or the second input power supply; 상기 제1 입력전원의 레벨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입력전원의 레벨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 및A switch control unit for sensing a level of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and controlling the switch according to a level of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And 상기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입력전원 또는 상기 제2 입력전원을 강압하여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강압부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 장치.And a step-down unit that steps down the first input power supply or the second input power supply selected by the switch to generate an output power suppl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입력전원이 기준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입력전원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입력전원이 기준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입력전원이 선택되는 전원 공급 장치.Wherein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is selected when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and the second input power source is selected when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스위치 제어부가, The switch control unit, 상기 제1 입력전원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여 감지 전압을 생성하는 감지부,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voltage level of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to generate a sensing voltage, 상기 감지 전압을 입력받아 디지털의 감지 신호로 변경하는 신호 변환부, 및 A signal converter for receiving the sensing voltage and converting the sensing voltage into a digital sensing signal, 상기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입력전원 또는 상기 제2 입력전원을 선택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 장치.And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and controlling the switch to select the first input power supply or the second input power suppl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 입력전원 또는 상기 제2 입력전원을 선택하여 선택 전원으로 하고, 상기 강압부가 상기 선택 전원을 강압하여 상기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 장치.The switch selects the first input power supply or the second input power supply as a selection power supply and the step-down unit steps down the selection power supply to generate the output power suppl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스위치가, Wherein, 상기 제1 입력전원이 상기 강압부로 입력되는 것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제1 스위치, 및 A first switch for turning on or off the input of the first input power source to the step-down unit, 상기 제2 입력전원이 상기 강압부로 입력되는 것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제2 스위치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 장치.And a second switch for turning on or off the input of the second input power to the voltage step-down unit. 제5항에 있어서, 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스위치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온(ON) 또는 오프(OFF)가 제어되는 전원 공급 장치.(ON) or off (OFF)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is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switch control unit.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디지 털 영상 처리장치.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KR1020080003470A 2008-01-11 2008-01-11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with KR1014162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470A KR101416234B1 (en) 2008-01-11 2008-01-11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470A KR101416234B1 (en) 2008-01-11 2008-01-11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wi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485A KR20090077485A (en) 2009-07-15
KR101416234B1 true KR101416234B1 (en) 2014-07-07

Family

ID=4133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470A KR101416234B1 (en) 2008-01-11 2008-01-11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wi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2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560B1 (en) * 2023-02-20 2023-07-20 김학성 Camera Drive Unit and CCTV Camera Installed with Camera Drive Un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099A (en) * 2003-07-15 2005-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DC converter having step-down and step-up switch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099A (en) * 2003-07-15 2005-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DC converter having step-down and step-up switch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485A (en)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404B1 (en) Apparatus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774040B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that performs integrated display m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53193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36320B1 (en) Apparatus of processing digital image
KR101416234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with
KR101416232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with
JP5127506B2 (en)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control method in electronic device
KR20090042594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56278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KR101411318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564417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00077719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90013580A (en) Apparatus of processing image
KR101086406B1 (en) Camera executing reduced power on sequence
JP2015075589A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070120286A (en) Control circuit for strobo charging and photograph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4952634B2 (en) Recording device
KR101417803B1 (en) Apparatus of processing digital image
KR101362769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90025615A (en) Apparatus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KR20100070055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KR20100056279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00076796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KR20090098502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90076621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