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923B1 -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 - Google Patents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923B1
KR101415923B1 KR1020120056248A KR20120056248A KR101415923B1 KR 101415923 B1 KR101415923 B1 KR 101415923B1 KR 1020120056248 A KR1020120056248 A KR 1020120056248A KR 20120056248 A KR20120056248 A KR 20120056248A KR 101415923 B1 KR101415923 B1 KR 101415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xygen
opening
ai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2117A (ko
Inventor
주호걸
Original Assignee
주호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호걸 filed Critical 주호걸
Priority to KR102012005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92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2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2Diving masks
    • B63C11/14Diving masks with forced ai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 B63C2011/182Air supply comprising devices for discharge of exhalation air into ambient water, e.g. ducts to back of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 B63C11/22Air supply carried by diver
    • B63C2011/2263Air supply carried by diver using breathing gas stored in its liquid phase, e.g. cryogenic breathing gas

Abstract

본 발명은 물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속에서 일정시간 호흡이 가능하도록 산소통이 부착된 물안경이며, 또한 산소의 과다 공급시에는 자동으로 과다하게 공급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시켜 물안경 내의 안구 등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은 전방을 투시할 수 있는 투명부와, 상기 투명부 테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투명부와 밀착부를 결합시키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수경; 충전되어 있는 산소를 상기 수경 내부로 공급하는 산소통; 상기 수경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수경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Swimming goggles equipped with oxygen bottles and outlet for oxygen}
본 발명은 물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속에서 일정시간 호흡이 가능하도록 산소통이 부착된 물안경이며, 또한 산소의 과다 공급시에는 자동으로 과다하게 공급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시켜 물안경 내의 안구 등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물안경은 물속에서 눈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물속에서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눈 앞에 배치되는 투명한 투명부와, 투명부 테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피부에 밀착되어 내부로 물이 침투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밀착부와, 투명부와 밀착부를 결합시키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안경은 투명부가 한 개인 일안식과 두 개인 이안식이 있고, 눈만 덮는 것과, 눈과 코를 덮는 것과, 눈과 코 그리고 입까지 덮는 것이 있다.
물속에서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로는 입에 무는 호흡용 스틱(일명 '스노클')과 등에 메는 산소통과 호흡용 마우스로 구성되는 잠수부용 호흡장치가 있다.
스노클은 내부에 담겨 있는 아주 적은 산소로 극히 짧은 시간 동안 호흡할 수 있는 보조장비이고, 잠수부용 호흡장치는 무겁고 고가여서 일반인이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일반인이 쉽고 저렴하게, 또 사용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산소통이 부착된 물안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물안경 내부로 산소가 과다하게 공급되면, 물안경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안구 등의 인체에 유해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산소통이 공급하는 산소에 의해 물안경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높아지면, 물안경 내부의 공기를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시켜 물안경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산소통에서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인체가 악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산소통은 탈부착이 가능하여 교체 가능하고, 산소통에는 배출 산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레버를 구비하고, 산소통과 물안경의 결합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되고, 어두운 수중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후레쉬가 구비된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은
전방을 투시할 수 있는 투명부와,
상기 투명부 테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투명부와 밀착부를 결합시키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수경;
충전되어 있는 산소를 상기 수경 내부로 공급하는 산소통;
상기 수경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수경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부재는
상기 수경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유로공과,
상기 베이스 외부에서 상기 유로공을 덮고, 내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유로공을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베이스는 각각 상기 수경의 밀착부 내외부에 배치되고, 상호 암수결합되어 사이에 개지된 상기 밀착부를 가압하여 밀착하는 외부밀착부와 내부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밀착부에는 상기 개폐판이 안착되어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경에 결합되어 수중을 조명하는 후레쉬;
상기 산소통을 상기 수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경에 구비되고, 외면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산소가 주입되는 주입구와,
상기 산소통의 배기구 단부에 구비되며, 전후진되어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후방에 상기 개폐부재가 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개폐부재의 전방 외면에 일정범위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고, 내면에는 경사부가 구비되어 있는 조임구와,
상기 바디 외면과 상기 조임구 내면 사이에 개재되고, 탄성력으로 상기 조임구를 전진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바디의 전방에서 내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홀에 안착되어 있는 걸림볼을 포함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조임구를 후진시켜 상기 걸림볼이 후진 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주입구를 상기 바디의 내부를 삽입 전진시키면, 상기 주입구가 공기를 주입받을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조임구의 후진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조임구가 전진되어 상기 경사부가 상기 걸림볼을 밀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은 물속에서 일정시간 잠수가 가능하고, 저렴하고 사용이 편리하여 일반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산소통은 탈부착이 가능하여 교체 가능하고, 산소통은 물안경에 간편하게 결합되면서도 견고히 결합되고, 레버를 통해 배출되는 산소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공급되는 산소의 양이 과다하여 수경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자동으로 과공급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수경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써 높은 압력에 의해 안구 등 인체에 악영향을 줄 소지가 적고, 후레쉬를 구비하여 어두운 수중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의 사시도.
도 2 는 공기배출부재의 구조도.
도 3 a,b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결합 단면도와 분해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결합 과정도.
이하,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안경은 수경(10), 산소통(20), 결합수단(30), 공기배출부재(50), 후레쉬(60)의 구성요소로 대별된다.
상기 수경(10)은 착용자의 얼굴에서 눈과 코(입을 포함할 수 있음)를 덮어 내부로 물이 침투되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물속에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경(10)은
유리나 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착용자의 눈 앞에 배치되어 전방을 투시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투명부(11)와,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부(11)의 테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단부는 착용자의 얼굴 피부에 밀착되어 물이 침투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밀착부(13)와,
상기 투명부(11)와 밀착부(13)를 결합시키는 프레임(15)과,
상기 밀착부(11)의 후방에 구비되고, 착용자의 뒤통수를 감싸고 상기 밀착부가 피부에 밀착되도록 조여주는 조임밴드(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산소통(20)은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산소를 상기 수경(10) 내부로 공급하여 착용자가 물속에서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산소통(20)은 충전되어 있는 산소를 배출하는 배기구(21)와, 배출되는 산소의 양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23)를 구비한다.
상기 산소통(20)은 사용자가 수영을 하거나 잠수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소형의 것을 사용하고, 약 10분 정도 호흡할 수 있는 양의 산소가 충전된다.
상기 산소통(20)은 충전되어 있는 산소를 소비한 후에는 산소를 재충전하여 사용 가능하고,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수경(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 산소통(20)을 상기 수경(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수단(30)은 수경에 구비되는 주입구(31)와, 상기 산소통(20)의 배기구(21) 단부에 구비되는 밸브(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주입구(31)는 상기 산소통(20)에서 배출되는 산소가 수경(10) 내부로 공급되도로 내외부를 관통하여 주입홀(311)이 형성되어 있고, 외면에는 삽입된 상기 밸브(40)가 걸려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홈(3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입구(31)는 상기 수경(10)의 프레임(15)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투명부(11)나 밀착부(13)에도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주입구(31)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경(10)의 프레임(15)에 일단이 스크류 결합되어 타단이 표면에서 돌출된다. 상기 주입구(31)와 프레임(15) 사이에는 패킹(32)이 구비되어 이들의 틈새를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산소통(20)이 부착하지 아니한 경우에 주입구(31)를 통해 물이 수경(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주입구(31) 주변에는 원형의 돌출부(1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7)에는 마개(18)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경(10) 외면에는 상기 주입구(31)에 결합된 산소통(20)이 흔들리지 않도록 산소통(20)의 외면을 고정시키는 고정밴드(19)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40)는 상기 산소통(20)에서 산소가 배출되는 배기구(21)에 구비된다.
상기 밸브(40)는 개폐부재(41), 바디(43), 조임구(45), 탄성부재(47), 걸림볼(4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부재(41)는 상기 산소통(20)의 배기구(21) 단부에 연결되고, 전방 내부에는 상기 배기구의 배기홀과 연결되는 수용부(412)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411)와,
상기 몸체(411)의 수용부(412)에 수용되고, 전후진 하여 수용부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판(413)과,
상기 수용부(412)에 수용되고 상기 개폐판(413)의 후면을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415)과,
상기 개폐판(415)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기 주입구(31)가 결합되고, 외면은 상기 수용부(412)의 개구부에 밀착되고, 상부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관통홀(418)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통(4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개폐통(417)의 외면에는 패킹(419)이 구비되어, 틈새를 통해 물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고, 개폐통(417)의 외면 전방에는 삽입되는 상기 주입구(31)의 주둥이가 상기 개폐통(417)의 전방에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42)가 결합된다.
상기 개폐부재(41)는 상기 주입구(31)가 삽입 결합되기 전에는 상기 코일스프링(415)이 상기 개폐판(413)을 밀어 전진시켜 상기 수용부(412)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산소통(20)의 산소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주입구(31)가 삽입되어 상기 개폐통(417)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판(413)을 후방으로 밀면, 상기 개폐통(417)의 관통홀(418)이 상기 수용부(412) 내에 배치되어 산소통(20)의 산소가 수용부(412)와 관통홀(418)을 거쳐 상기 주입구로 배출 주입된다.
상기 바디(43)는 후방에 상기 개폐부재(41)가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조임구(45)가 결합된다.
상기 바디(43)는 내부에 전후방을 관통하는 중공(431)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홀(433)이 다수 형성되고, 외면에는 이중으로 단턱져있다.
상기 바디(43)의 후방 내부에는 상기 안내부재(42)와 패킹(419)을 포함하여 상기 몸체(411)의 전방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전방 외부에는 상기 조임구(45)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조임구(45)는 상기 바디(43)의 전방 외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일정범위에서 전후진 가능하다.
상기 조임구(45)의 내면 전방에는 내경이 보다 커지는 경사부(451)가 형성되어 있고, 내면 후방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47)는 상기 바디(43)의 외면에 삽입되고, 상기 바디(43)의 외면과 상기 조임구(45)의 내면 사이에 개재된다. 즉, 바디(43)의 외면 단턱과 조임구(45)의 내면 단턱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된다. 그리고 탄성력으로 상기 조임구(45)를 상기 바디(43)의 전방으로 민다.
상기 걸림볼(49)은 상기 바디(43)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홀(433)에 안착되어 수용되고, 바디(43)의 내부로 이탈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홀(433)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다.
상기 걸림볼(49)은 외측이 상기 조임구(45)에 접촉되어 상기 바디(43)의 내부로 밀리고, 밀려 전진된 내측은 상기 주입구(31)의 외면 걸림홈(313)에 삽입되어 걸린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결합수단(30)을 통해 상기 산소통(20)과 수경(1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과정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수경(10)에서 마개(18)를 열어 상기 주입구(31)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밸브(40)의 조임구(45)를 잡고 후퇴시켜 상기 걸림볼(49)의 외측에 조임구(45)의 경사부(451)가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밸브(40)의 바디(43) 전방측으로 상기 주입구(31)를 밀어 넣는다. 주입구(31)가 삽입되면 상기 걸림볼(49)은 주입구(31) 외면에 접촉되어 밀려 조임구(45)의 경사부(451) 측으로 후퇴하여 주입구(31)의 삽입 전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주입구(31)를 끝까지 삽입 전진시키면, 상기 개폐부재(41)는 주입구(31)에 밀려 후진되어 상기 관통홀(418)이 수용부(412)에 배치되고, 그에 따라 산소통(20)에서 배출되는 산소는 개폐통(417)으로 유입 가능하고, 주입구(31)의 주둥이는 개폐부재(41)의 개폐통(417) 전방에 밀착 결합되어 산소통이 배출하는 공기를 주입받을 수 있게 된다.
주입구(31)를 삽입 전진시켜 개폐부재(41)와 결합시킨 후에는 쥐고 있던 조임구(45)를 놓는다. 그러면 탄성부재(47)에 의해 조임구(45)는 전진을 하게 되고, 전진하는 조임구(45)의 내면은 상기 걸림볼(49)의 외측을 접촉하여 내측으로 밀고, 내측으로 전진한 걸림볼(49)은 상기 주입구(31)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홀(313)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주입구(31)가 밸브(40)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경(10)에서 산소통(20)을 분리시킬 때에는 위의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면 된다. 즉, 조임구(45)를 잡고 후진시켜 조임구(45) 내면의 경사부(451)에 걸림볼(49) 외측이 배치되도록 한 후에, 산소통(20)을 잡아당기면 걸림볼(49)이 외측으로 이동되어 주입구(31)는 아무런 방해 없이 밸브(40)에서 이탈된다.
상기 공기배출부재(50)는 상기 수경(10)에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베이스(51)와, 상기 베이스(51)의 내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수경(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공(53)과, 상기 베이스(51)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공(53)을 덮고, 내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유로공(53)을 개폐하는 개폐판(55)과, 상기 베이스(51)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판(55)을 덮어 보호하는 보호망(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51)는 상기 수경(10)의 밀착부(13) 내외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호 암수결합되어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밀착부(13)를 가압하여 밀착하는 외부밀착부(511)와 내부밀착부(5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밀착부(511)의 하부면과 상기 내부밀착부(513)의 상부면에는 상호 암결결합되는 암수결합부(511a, 513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암수결합부(511a, 513a)에는 결합방으로 테이퍼진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결합은 용이하지만, 일단 결합된 후에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외부밀착부(511) 상부면에서 상기 유로공(53)의 주변에는 상기 개폐판(55)이 안착되는 안착홈(511b)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511b)에는 상기 개폐판이 안착되어 외부밀착부(511) 표면으로 개폐판(55)이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개폐판(55)이 외부밀착부(511) 표면으로 돌출되는 때에는 운동하는 수중의 물(물 자체의 흐름이나 물안경의 이동에 따른 상대적인 물의 운동)이 개폐판(55)에 부딪혀 개폐판(55)이 유로공(53)을 개방시킬 소지가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부밀착부(511)의 측면에는 상기 보호망(57)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511c)가 형성된다.
상기 보호망(57)은 상기 베이스(51)의 외부밀착부(511)를 덮어 내부의 상기 개폐판(55)을 보호하고, 아울러 외부의 물이 보호망(57) 내부로 유입될 때 일부는 막고 일부는 통과시킴으로써 보호망(57) 내부로 유입된 물의 유속이 유입되기 전의 유속 보다 느려지도록 함으로써, 유입된 물이 상기 개폐판(57)의 개폐에 영향을 더 미치도록 한다.
상기 개폐판(55)은 상기 수경(10) 내부의 압력이 외부 보다 높아진 때에 들려 유로공(53)을 개방시킴으로써, 수경(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수중에서는 물에 의한 압력으로 수경(10) 외부가 내부 보다 압력이 높은데, 본 발명은 산소통(20)이 수경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므로, 산소의 공급량이 물안경 착용자의 호흡량 보다 많을 때에는, 즉, 산소가 과다하게 공급될 때에는 수경(10) 내부의 압력이 외부 보다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수경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수경 내부에 위치하는 안구 등에 유해하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수경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는 때에 상기 개폐판(55)이 내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어 수경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후레쉬(60)는 상기 수경(10)의 프레임(15)에 결합되어 전방을 조명함으로써, 어두운 물속에서 시야를 확보하도록 한다.
상기 후레쉬(60)는 사용자가 임의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경 11 : 투명부
13 : 밀착부 15 : 프레임
20 : 산소통 21 : 배기구
30 : 결합수단 31 : 주입구
40 : 밸브 41 : 개폐부재
43 : 바디 45 : 조임구
47 : 탄성부재 49 : 걸림볼
50 : 공기배출부재 51 : 베이스
53 : 유로공 55 : 개폐판
57 : 보호망

Claims (4)

  1. 전방을 투시할 수 있는 투명부와,
    상기 투명부 테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투명부와 밀착부를 결합시키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수경;

    충전되어 있는 산소를 상기 수경 내부로 공급하는 산소통;

    상기 수경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수경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기배출부재는
    상기 수경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유로공과,
    상기 베이스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공을 덮고, 내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유로공을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각각 상기 수경의 밀착부 내외부에 배치되고, 상호 암수결합되어 사이에 개지된 상기 밀착부를 가압하여 밀착하는 외부밀착부와 내부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밀착부에는 상기 개폐판이 안착되어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에 결합되어 수중을 조명하는 후레쉬;
    상기 산소통을 상기 수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경에 구비되고, 외면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산소가 주입되는 주입구와,
    상기 산소통의 배기구 단부에 구비되며, 전후진되어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후방에 상기 개폐부재가 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개폐부재의 전방 외면에 일정범위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고, 내면에는 경사부가 구비되어 있는 조임구와,
    상기 바디 외면과 상기 조임구 내면 사이에 개재되고, 탄성력으로 상기 조임구를 전진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바디의 전방에서 내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홀에 안착되어 있는 걸림볼을 포함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조임구를 후진시켜 상기 걸림볼이 후진 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주입구를 상기 바디의 내부를 삽입 전진시키면, 상기 주입구가 공기를 주입받을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조임구의 후진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조임구가 전진되어 상기 경사부가 상기 걸림볼을 밀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
KR1020120056248A 2012-05-25 2012-05-25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 KR101415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248A KR101415923B1 (ko) 2012-05-25 2012-05-25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248A KR101415923B1 (ko) 2012-05-25 2012-05-25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117A KR20130132117A (ko) 2013-12-04
KR101415923B1 true KR101415923B1 (ko) 2014-07-07

Family

ID=4998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248A KR101415923B1 (ko) 2012-05-25 2012-05-25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9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9675A (zh) * 2015-12-17 2017-06-27 吕长宝 一种高气密性的口罩
CN106799020B (zh) * 2017-02-23 2018-02-06 胡慧燕 游泳眼镜
CN106904255B (zh) * 2017-02-28 2018-04-03 付健 游泳救生镜
CN110576952B (zh) * 2019-09-25 2023-09-29 安徽工程大学 一种水下呼吸装置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043Y1 (ko) 2003-03-10 2003-06-02 이주희 물 속 호흡장치
KR20100043164A (ko) * 2010-03-17 2010-04-28 송준호 안티포그 물안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043Y1 (ko) 2003-03-10 2003-06-02 이주희 물 속 호흡장치
KR20100043164A (ko) * 2010-03-17 2010-04-28 송준호 안티포그 물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117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6654B2 (en) Masks for underwater uses
KR101415923B1 (ko) 산소통 및 공기배출부재를 갖는 물안경
US6155253A (en) Protection mask, in particular for underwater use
US11352108B2 (en) Full-face diving mask
WO2018208838A1 (en) Full face mask and snorkel
KR101810603B1 (ko) 고글 마스크
KR101743271B1 (ko) 비상탈출용 호흡기
US20130074835A1 (en) Snorkelling apparatus
EP2979561B1 (fr) Cagoule de protection respiratoire
CN107434014B (zh) 一种可自由呼吸的浮潜游泳面罩
KR20170110791A (ko) 산소 마스크
US6915801B2 (en) Combination oxygen supplement and swimming snorkel apparatus
KR20180027483A (ko) 산소 마스크
FR3024371A1 (fr) Cagoule de protection respiratoire
KR200473481Y1 (ko) 산소통이 부착된 물안경
KR101468647B1 (ko) 인명구조용 배낭
KR101528061B1 (ko) 미용 마스크
US7779833B2 (en) Diving helmet
US3483569A (en) Underwater eyemask
KR101028785B1 (ko) 조임튜브가 구비된 산소호흡기
US20060272636A1 (en) Dive mask safety strap
FR2990355A3 (fr) Lunettes de natation avec fourniture d'air pour la respiration
KR20190026313A (ko) 스노클링 마스크
US20210094662A1 (en) Full-face mask
US7793657B1 (en) Facemask snork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