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271B1 - 비상탈출용 호흡기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용 호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271B1
KR101743271B1 KR1020170009967A KR20170009967A KR101743271B1 KR 101743271 B1 KR101743271 B1 KR 101743271B1 KR 1020170009967 A KR1020170009967 A KR 1020170009967A KR 20170009967 A KR20170009967 A KR 20170009967A KR 101743271 B1 KR101743271 B1 KR 101743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user
head
oxygen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수
김숙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원퓨처스
박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원퓨처스, 박대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원퓨처스
Priority to KR1020170009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비상탈출용 호흡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헤드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덮는 어깨부를 갖추어 사용자가 착용하게 되는 착용부 ; 상기 헤드부를 착용한 사용자의 입으로 물게 되는 마우스피스를 갖추고, 상기 마우스피스와 연통연결되는 제1연결박스체를 갖추며, 상기 제1연결박스체와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연결박스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코와 대응하는 헤드부에 구비되는 코마스크부를 갖추어 사용자의 날숨과 들숨이 이루어지는 호흡부 ; 상기 제2연결박스체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과 일정길이의 연결호스를 매개로 연통연결되는 외부박스체를 갖추고,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는 에어백과 연통구를 매개로 연결되는 외부박스체의 내부에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갖추어 날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필터부 ; 및 상기 에어백과 연통되는 토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박스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체에 배치되는 밸브체를 갖추고, 상기 밸브체의 일단에 밀봉부를 형성하는 주입구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덮개체에 배치되는 산소용기를 갖추며, 상기 밀봉부와 대응하는 단부에 일정길이의 격침관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체의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작동노브를 갖추어 상기 밀봉부의 격침시 산소용기로부터 산소를 배출하여 공급하는 산소공급부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탈출용 호흡기{Emergency Escape Respirator}
본 발명은 비상탈출시 사용하는 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건물이나 해상선박에서의 비상탈출시 산소가 희박한 악조건에서 산소호흡이 가능하도록 하며, 휴대 및 취급이 간편하여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이 용이하며 비상상황 발생시에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시간 동안 산소호흡을 유지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화재발생시나 선박침몰시와 같은 비상 위급상황에서 건물이나 선박에서의 탈출시 사용하기 위해서 사전준비되어 지급되는 산호 호흡기들은 공기 중의 유해가스를 필터링하는 방식과 사용자에게 산소나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즉, 유해가스를 필터링하는 방식은 낮은 비용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화재 등으로 인하여 산소가 부족한 상황이나 물속에서는 그 사용이 불가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으며, 산소나 공기를 직간접적으로 공급하는 방식은 소방관이나 스쿠버 다이버들이 사용하는 중대형 산소공급장치가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대형 제품들은 개인이 사용하기에는 필요 이상으로 부피가 커서 휴대 및 보관하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가격 또한 고가라서 비상탈출용으로 대량으로 구비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용 소형 산소캔이 개발되어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비상탈출시 산소를 직접 공급하는 방식들이 개발되었으나, 휴대용 산소캔을 이용한 비상탈출용 호흡기들은 저압산소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장되는 산소저장량이 적어 사용시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어 생존율을 높이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20-0318438 Y1
(특허문헌 2) KR10-1047082 B1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체적인 구성이 단순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비상탈출시 간편하고 신속하게 착용하여 산소가 희박한 악조건에서 산소호흡이 가능하도록 하며, 휴대 및 취급이 간편하여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이 용이하며 비상상황 발생시에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동안 산소호흡을 유지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호흡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를 덮도록 뒤집어 씌워지는 헤드부를 갖추고, 상기 헤드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덮는 어깨부를 갖추어 사용자가 착용하게 되는 착용부 ; 상기 헤드부를 착용한 사용자의 입으로 물게 되는 마우스피스를 갖추고, 상기 마우스피스와 연통연결되는 제1연결박스체를 갖추며, 상기 제1연결박스체와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연결박스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코와 대응하는 헤드부에 구비되는 코마스크부를 갖추어 사용자의 날숨과 들숨이 이루어지는 호흡부 ; 상기 제2연결박스체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과 일정길이의 연결호스를 매개로 연통연결되는 외부박스체를 갖추고,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는 에어백과 연통구를 매개로 연결되는 외부박스체의 내부에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갖추어 날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필터부 ; 및 상기 에어백과 연통되는 토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박스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체에 배치되는 밸브체를 갖추고, 상기 밸브체의 일단에 밀봉부를 형성하는 주입구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덮개체에 배치되는 산소용기를 갖추며, 상기 밀봉부와 대응하는 단부에 일정길이의 격침관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체의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작동노브를 갖추어 상기 밀봉부의 격침시 산소용기로부터 산소를 배출하여 공급하는 산소공급부 ;를 포함하여 상기 밀봉부 측으로 전진이동되는 격침관의 선단이 밀봉부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산소용기의 산소가 상기 격침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된 다음,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에어백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호흡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체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배출라인의 입구단이 노출되면서 상기 격침관의 길이중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이 위치하는 산소충진공간을 형성하도록 한쌍의 격벽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한쌍의 격벽중 일측 격벽에는 상기 격침관이 삽입배치되는 안내공을 관통형성하고, 마주하는 나머지 격벽에는 상기 격침관과 결합되는 작동노브의 축부재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노브의 축부재에 작동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어 일정턴수 감긴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로부터 연장되는 작동 와이어는 상기 밸브체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외부인출된 작동 와이어의 당김시 상기 작동노브를 일방향 회전조작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인출공을 통해 밸브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작동 와이어의 타단에는 당김용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헤드부와 어깨부사이에는 착용부의 외부면이나 내부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구비되는 조임용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용 와이어의 양단 또는 일단은 상기 작동 와이어와 연결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조임용 와이어와 작동 와이어사이에 당김용 손잡이를 포함할 수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마스크부는 상기 마우스피스를 입으로 물게 되는 사용자의 코가 배치되는 배치홈을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코성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코성형부에는 코마개가 걸림고정되는 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박스체는 상기 흡착제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다공성 수직판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수직판은 상기 외부박스체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형성되는 수직안내홈을 따라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다공성 수직판의 외측에 필터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비상탈출시 사용자가 착용하게 되는 헤드부에 에어백을 갖추어 에어로 산소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산소를 공급하여 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으로 물게 되는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호흡시 날숨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는 외부박스체에 내장된 흡착제에 의해서 제거되고, 헤드부의 산소는 외부박스체 및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들숨으로 호흡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이 단순하면서 비상탈출시 간편하고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산소가 희박한 악조건에서 산소호흡이 가능하도록 하며,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2) 헤드부에 구비되는 에어백의 내부로 공급되어 채워지는 산소공급을 작동노브의 간편한 회전조작에 의해서 격침관을 직선이동시킴과 동시에 전진이동되는 격침관과 산소용기의 밀봉부간의 접촉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상 상황에서 산소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산소를 에어백의 내부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공급하여 채울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3) 와이어의 간편하고 신속한 당김조작에 의해서 산소용기의 밀봉부를 개방하여 헤드부에 채워지는 산소의 배출과 더불어 헤드부와 어깨부사이의 조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비상상황 발생시 헤드부를 착용하게 되는 사용자에게 산소를 빠르게 공급함과 동시에 어깨부를 통한 산소의 외부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착용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시간동안 산소호흡을 유지할 수 있어 화재발생시 및 해상탈출시 피난 사용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4) 전체적인 부피가 작고 보관이 용이하며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하기 때문에 선박과 같은 협소한 장소에서 관리유지비를 절감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호흡기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호흡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3a 와 도 3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호흡기에 채용되는 호흡부, 필터부 및 산소공급부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호흡기에 채용되는 호흡부, 필터부 및 산소공급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와 도 5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호흡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호흡기(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되는 건물이나 침물되는 선박으로부터 비상탈출시 안전한 장소까지 충분히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일정시간 동안 산소호흡이 가능하도록 착용부(110), 호흡부(120), 필터부(130) 및 산소공급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부(110)는 비상발생시 사용자의 신속한 착용이 가능하도록 헤드부(111)와 어깨부(113)를 포함하는바, 상기 헤드부(111)는 사용자의 머리 전체를 덮도록 뒤집어 쒸어지는 대략 돔형 반구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깨부(113)는 상기 헤드부(112)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덮을 수 있도록 스커트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111)는 사용자의 착용시 전방주시가 가능하도록 투명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눈을 통한 전방주시가 가능하도록 투명창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11)와 어깨부(113)는 화재발생시의 화염에 견딜 수 있으면서 화염이 붙지 않고, 수중에서의 사용시 물이 투과되지 않도록 내열성, 방염성 및 방수성을 갖는 특수소재인 폴리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표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자의 머리를 덮도록 씌워지는 헤드부(111)와 사용자의 어깨를 덮는 어깨부(113)는 서로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111)의 전면에는 해상이나 어두운 건물내에서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라이트 스틱이나 형광물질로 이루어지는 형광띠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식별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111)에는 상기 산소공급부에 구비되는 산소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산소가 공급되어 채워지도록 토출구와 연통연결되는 에어백(111a)을 포함하는바, 이러한 에어백(111a)은 상기 헤드부의 외부면인 후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산소가 채워지는 독립적인 공간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헤드부의 외부에 분리되는 별도의 에어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호흡부(120)는 입을 통한 사용자의 날숨과 들숨이 이루어지도록 마우스피스(121), 제1,2연결박스체(122,123) 및 코마스크부(124)를 포함하는바, 상기 마우스피스(121)는 상기 착용부를 착용하게 되는 사용자가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서 사용자의 입으로 물게 되는 수지 성형구조물이다.
상기 제1연결박스체(122)는 상기 마우스피스(12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관(121a)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박스체(123)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이 반복적으로 통과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박스체(123)는 상기 코마스크부의 내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일측으로 개방된 개구부에 상기 제1연결박스체가 대응결합되어 상기 마우스피스(121)와 연결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코마스크부(124)는 사용자의 코와 입과 대응하는 헤드부(111)에 일체로 구비되는 성형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코마스크부(124)는 상기 마우스피스(121)를 입으로 물게 되는 사용자의 코가 배치되는 배치홈을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코성형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성형부(125)에는 호흡기 착용시 사용자의 코를 통한 들숨과 날숨을 방지하도록 코마개(118)가 걸림고정되는 한쌍의 핀부재(125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한쌍의 핀부재는 상기 코성형부에 배치되는 코의 콧등 양측과 대응하는 코성형부의 양측면에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착용부(110)를 착용하게 되는 사용자의 입으로 마우스피스(121)를 물게 되면서 사용자의 코가 코성형부에 위치될 때, 대략 U자형으로 절곡된 코마개(118)를 상기 핀부재(125a)에 걸림고정하게 되면, 내측 오므림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마개(118)에 의해서 상기 코성형부에 배치된 사용자의 코를 눌러 자연스럽게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코를 통한 들숨과 날숨을 방지하는 반면에 상기 마우스피스를 물게 되는 입을 통한 들숨과 날숨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마스크부(124)는 상기 헤드부(111)의 전면에 열용착되어 고정되도록 돌출리브(124a)를 코마스크부의 외측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돌출리브는 상기 코마스크와 대응하도록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 개구형성되는 개구부의 테두리와 융착되어 결합됨으로써 성형물인 코마스크부와 필름재 또는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헤드부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코마스크부(124)의 외측테두리와 상기 헤드부(111)의 전면이 서로 접하는 경계영역은 상기 착용부의 내부로 공급되는 산소의 외부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주파 열융착에 의해서 실링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130)는 상기 마우스피스(121)를 물게 되는 사용자의 날숨시 날숨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흡착제(134)를 갖는 외부박스체(131) 및 상기 외부박스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박스체(131)는 상기 제2연결박스체(123)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코마스크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배출관(128)중 어느 하나의 배출관(128)과 일정길이의 연결호스(138)를 매개로 연통연결되고, 상기 흡착제(134)가 내부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직육면상의 박스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박스체(131)의 외부면에는 상기 착용부에서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헤드부(111)에 구비되는 에어백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연통구(133)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구(133)는 상기 헤드부(111)에 구비되는 별도의 공간인 에어백(111a)에 관통형성된 연통공에 대응삽입된 다음 고주파 열융착됨으로써 상기 외부박스체(131)는 헤드부에 구비되는 에어백(111a)의 일측에 산소공급부와 더불어 고정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부박스체(131)는 좌우한쌍의 배출관(128)중 어느 하나의 배출관과 일정길이의 연결호스를 매개로 연통연결되어 상기 에어백의 일측에 편중 배치되어 산소공급부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좌우한쌍의 배출관과 연결호스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각각 좌우대칭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산소공급부와 결합됨으로써 산소용기의 교체없이 산소공급량 및 공급시간을 2배로 증대시켜 호흡기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좌우한쌍의 배출관(128)중 어느 하나의 배출관과 일정길이의 연결호스를 매개로 외부박스체가 연결되는 경우, 나머지 배출관은 마개부재에 의해서 밀봉처리되거나 마우스피스를 통한 날숨은 차단하는 반면에 들숨시에는 개방되어 상기 에어백(111a)의 내부로 공급되어 채워지는 산소를 흡입할 수 있도록 일방향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체(132)는 상기 흡착제(134)가 내부수용되는 외부박스체(131)의 개방된 상부를 완전 밀폐하도록 덮으면서 상기 산소공급부(140)가 상부면에 탑재되어 고정설치되는 판체구조물이다.
여기서, 상기 외부박스체(131)는 상기 흡착제(134)의 전후방에 배치되는 한쌍의 다공성 수직판(134a)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다공성 수직판(134a)은 상기 외부박스체(131)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형성되는 수직안내홈(131a)을 따라 각각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수직판(134a)의 외측에는 상기 연결호스(138)를 통하여 외부박스체(131)의 내부로 유입되는 날숨을 1차 여과하고 상기 흡착제(134)를 통과하면서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날숨을 2차로 여과한 다음 상기 연통구(133)를 통하여 에어백(111a)의 내부로 배출하는 필터부재(134b)를 각각 배치하여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착용부(110)를 착용하게 되는 사용자는 마우스피스(121)를 물고 있는 상태에서 입을 통한 들숨과 날숨을 반복하게 되며, 입을 통하여 배출되는 날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는 외부박스체(131)에 내부수용된 흡착제(134)를 통과하면서 흡착되어 제거되고,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날숨은 상기 외부박스체(131)의 연통구(133)를 통하여 에어백(111a)의 내부로 공급되어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박스체(131)에 수용된 흡착제(134)에 의한 이산화탄소 제거시 산화칼슘과 같은 흡착제에 이산화탄소가 흡착되어 제거되면서 발생하는 발열반응에 의해서 열이 발생하게 되지만 상기 외부박스체(131)는 착용부의 외부에 설치되어 대기에 노출됨에 따라 외부박스체에서 발생하는 열은 외부로 빠르게 발산되어 냉각됨에 따라 외부박스체가 뜨겁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우스피스(121)를 물게 되는 사용자의 입을 통하여 들숨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산소공급부(140)에 의해서 에어백(111a)의 내부로 공급되어 채워진 산소는 상기 연통구(133)를 통하여 상기 외부박스체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상기 흡착제(134) 및 연결호스(138)를 경유하여 마우스피스를 물고 있는 사용자의 입을 통해 유입되어 산소호흡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산소공급부(140)는 도 5a 와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진 헤드부(111)에 별도로 구비되는 독립공간인 에어백(111a)의 내부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밸브체(141), 산소용기(142) 및 작동노브(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체(141)는 상기 에어백(111a)과 연통되어 연결되는 토출구(148)를 외측에 돌출형성하여 상기 외부박스체(131)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체(132)의 상부면에 올려져 배치되고, 상기 산소용기(142)와 결합되는 밸브구조물이다.
상기 산소용기(142)는 일정량의 액화산소가 압축저장되고, 상기 밸브체(141)의 일단에 밀봉부(142a)를 갖는 주입구(142b)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밸브체와 더불어 덮개체(132)의 상부면에 올려져 배치되는 원통형 저장용기 구조물이다.
이때, 상기 밀봉부(142a)는 개방된 주입구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산소용기에 채운 다음 개방된 주입구를 실링하는 얇은 금속판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얇은 금속판소재로 이루어지는 마개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밸브체(141)와 산소용기(142)는 상기 덮개체(132)의 상부면에 호형 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안착리브(132a)에 올려져 요동없이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밸브체(141) 또는 산소용기(142)는 상기 덮개체(132)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부재 또는 고정나사와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서 분리이탈이 곤란하도록 위치고정되어 상기 밸브체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노브(143)는 상기 밀봉부(142a)와 대응하는 단부에 일정길이의 격침관(144)을 갖추어 상기 밸브체(141)의 타단에 나사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한 회전조작이 용이하도록 작동용 손잡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격침관(144)은 상기 산소용기의 밀봉부(142a)내로의 격침 진입이 용이하도록 선단이 뾰족하고, 길이중간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144a)을 형성한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격침관(144)의 후단은 상기 밸브체(141)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일정길이의 축부재(145)를 갖추어 밸브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와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밸브체(141)는 상기 산소용기(142)의 주입구(142b)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나사결합되도록 일단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주입구에 밀봉부(142a)를 형성한 산소용기(142)는 상기 밸브체의 일단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산소용기(1142)의 주입구(142b)가 결합되는 밸브체(141)의 일단부에는 상기 밀봉부(142b)측으로 진입되는 격침관의 격침에 의한 산소배출시 배출되는 산소압력을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계(14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밸브체(141)는 상기 토출구(148)와 연통되는 배출라인(148a)의 입구단이 노출되면서 상기 격침관(144)의 길이중간에 형성된 배출공(144a)이 위치하게 되는 산소충진공간(S)을 형성하도록 한쌍의 격벽(S1,S2)을 포함하고, 한쌍의 격벽중 일측 격벽(S1)에는 상기 격침관(144)이 삽입배치되는 안내공(141a)을 관통형성하고, 마주하는 나머지 격벽(S2)에는 상기 격침관(144)과 결합되는 작동노브(143)의 축부재(145)에 형성된 수나사부(145a)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공(141b)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노브(143)의 잠김방향 회전조작시 상기 축부재(145)의 수나사부(145a)와 상기 밸브체(141)의 암나사공(141b)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잠김방향으로 회전되는 축부재(145)가 격침관과 더불어 산소용기(142)측으로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선단이 뾰족한 격침관(144)은 산소용기의 밀봉부측으로 진입되기 때문에, 상기 밀봉부측으로 진입된 격침관의 배출공을 통하여 산소용기의 산소가 배출되면서 상기 산소충진공간에 채워지게 되고, 상기 산소충진공간의 산소는 배출라인(148a)에 구비된 토출구를 통하여 에어백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111)의 외부면인 후면에 별도의 독립공간으로 구비되는 에어백(111a)은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산소와 더불어 상기 외부박스체의 연통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날숨에 의해서 부풀려지게 된다.
상기 날숨과 더불어 산소가 채워지는 에어백(111a)은 내부용적을 확대할 수 있도록 외부면에 주름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소용기(142)의 밀봉부측으로 격침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노브(143)의 잠감방향 회전조작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와이어(146) 또는 작동 와이어의 길이중간에 구비된 당김용 손잡이(146a)의 당김에 의해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작동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축부재에 고정되어 일정턴수 감긴 권취부(145b)를 형성하고, 상기 권취부로부터 연장되는 작동 와이어는 상기 밸브체에 형성된 인출공(141c)을 통하여 인출되고, 상기 인출공을 통해 밸브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작동 와이어에 당김용 손잡이(146a)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 와이어(146) 또는 당김용 손잡이(146a)를 당기게 되면, 상기 권취부에 감겨진 작동 와이어가 당김력에 의해서 풀려지면서 상기 작동노브를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상기 작동노브를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동일하게 상기 격침관(144)의 밀봉부를 뚫고 진입시킬 수 있도록 작동노브를 회전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착용부의 헤드부(111)와 어깨부(113)사이에는 상기 헤드부의 내부로 공급되는 산소가 상기 어깨부의 개방된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111)와 어깨부(113)간 경계영역에 해당하는 착용부의 외부면이나 내부면을 따라 대략 환고리형으로 형성되도록 원주방향으로 구비되는 조임용 와이어(115)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용 와이어의 양단 또는 일단은 상기 작동 와이어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와이어(146)의 길이중간에 당김용 손잡이를 포함할 수있다.
이때, 상기 조임용 와이어(115) 및 작동 와이어(146)는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일련의 와어어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 화재 또는 선박 침몰과 같은 긴박한 비상탈출시 상기 착용부를 착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작동 와이어 또는 당김용 손잡이를 당기게 되면, 상기 작동노브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산소용기의 밀봉부를 통해 격침관이 진입되고, 진입된 격침관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산소는 토출구를 통하여 에어백의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헤드부(111)와 어깨부(113)간의 경계영역에 구비되는 조임용 와이어가 조여지면서 착용부의 내부면을 사용자의 목부위에 밀착시켜 상기 헤드부의 내부로 공급된 산소의 외부유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착용부를 착용한 상태에서 마우스피스를 물고 있는 입을 통하여 들숨과 날숨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날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는 제거되어 연통구를 통하여 에어백에 공급된다.
이어서, 마우스피스를 물고 있는 입을 통한 사용자의 들숨시 상기 산소공급부의 산소용기로부터 토출구를 통하여 에어백의 내부로 공급되어 채워지는 산소는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흡입되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으로 공급되어 채워지는 산소를 호흡하게 되는 사용자는 산소호흡이 가능한 시간동안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착용부
111 : 헤드부
111a : 에어백
113 : 어깨부
120 : 호흡부
121 : 마우스피스
122 : 제1연결박스체
123 : 제2연결박스체
125 : 코성형부
130 : 필터부
131 : 외부박스체
132 : 덮개체
133 : 연통구
134 : 흡착제
140 : 산소공급부
141 : 밸브체
142 : 산소용기
143 : 작동노브
144 : 격침관
145 : 축부재
146 : 작동와이어
148 : 토출구

Claims (10)

  1. 삭제
  2. 사용자의 머리를 덮도록 뒤집어 씌워지는 헤드부를 갖추고, 상기 헤드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덮는 어깨부를 갖추어 사용자가 착용하게 되는 착용부 ;
    상기 헤드부를 착용한 사용자의 입으로 물게 되는 마우스피스를 갖추고, 상기 마우스피스와 연통연결되는 제1연결박스체를 갖추며, 상기 제1연결박스체와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연결박스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코와 대응하는 헤드부에 구비되는 코마스크부를 갖추어 사용자의 날숨과 들숨이 이루어지는 호흡부 ;
    상기 제2연결박스체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과 일정길이의 연결호스를 매개로 연통연결되는 외부박스체를 갖추고,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는 에어백과 연통구를 매개로 연결되는 외부박스체의 내부에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갖추어 날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필터부 ; 및
    상기 에어백과 연통되는 토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박스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체에 배치되는 밸브체를 갖추고, 상기 밸브체의 일단에 밀봉부를 형성하는 주입구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덮개체에 배치되는 산소용기를 갖추며, 상기 밀봉부와 대응하는 단부에 일정길이의 격침관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체의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작동노브를 갖추어 상기 밀봉부의 격침시 산소용기로부터 산소를 배출하여 공급하는 산소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배출라인의 입구단이 노출되면서 상기 격침관의 길이중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이 위치하는 산소충진공간을 형성하도록 한쌍의 격벽을 포함하여 상기 밀봉부 측으로 전진이동되는 격침관의 선단이 밀봉부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산소용기의 산소가 상기 격침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된 다음,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에어백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호흡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격벽중 일측 격벽에는 상기 격침관이 삽입배치되는 안내공을 관통형성하고, 마주하는 나머지 격벽에는 상기 격침관과 결합되는 작동노브의 축부재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호흡기.
  4. 사용자의 머리를 덮도록 뒤집어 씌워지는 헤드부를 갖추고, 상기 헤드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덮는 어깨부를 갖추어 사용자가 착용하게 되는 착용부 ;
    상기 헤드부를 착용한 사용자의 입으로 물게 되는 마우스피스를 갖추고, 상기 마우스피스와 연통연결되는 제1연결박스체를 갖추며, 상기 제1연결박스체와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연결박스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코와 대응하는 헤드부에 구비되는 코마스크부를 갖추어 사용자의 날숨과 들숨이 이루어지는 호흡부 ;
    상기 제2연결박스체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과 일정길이의 연결호스를 매개로 연통연결되는 외부박스체를 갖추고,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는 에어백과 연통구를 매개로 연결되는 외부박스체의 내부에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갖추어 날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필터부 ; 및
    상기 에어백과 연통되는 토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박스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체에 배치되는 밸브체를 갖추고, 상기 밸브체의 일단에 밀봉부를 형성하는 주입구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덮개체에 배치되는 산소용기를 갖추며, 상기 밀봉부와 대응하는 단부에 일정길이의 격침관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체의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작동노브를 갖추어 상기 밀봉부의 격침시 산소용기로부터 산소를 배출하여 공급하는 산소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노브의 축부재에 작동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어 일정턴수 감긴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로부터 연장되는 작동 와이어는 상기 밸브체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외부인출된 작동 와이어의 당김시 상기 작동노브를 일방향 회전조작하여 상기 밀봉부 측으로 전진이동되는 격침관의 선단이 밀봉부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산소용기의 산소가 상기 격침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된 다음,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에어백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호흡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공을 통해 밸브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작동 와이어의 타단에는 당김용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호흡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어깨부사이에는 착용부의 외부면이나 내부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구비되는 조임용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용 와이어의 양단 또는 일단은 상기 작동 와이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호흡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용 와이어와 작동 와이어사이에 당김용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호흡기.
  8. 사용자의 머리를 덮도록 뒤집어 씌워지는 헤드부를 갖추고, 상기 헤드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덮는 어깨부를 갖추어 사용자가 착용하게 되는 착용부 ;
    상기 헤드부를 착용한 사용자의 입으로 물게 되는 마우스피스를 갖추고, 상기 마우스피스와 연통연결되는 제1연결박스체를 갖추며, 상기 제1연결박스체와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연결박스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코와 대응하는 헤드부에 구비되는 코마스크부를 갖추어 사용자의 날숨과 들숨이 이루어지는 호흡부 ;
    상기 제2연결박스체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과 일정길이의 연결호스를 매개로 연통연결되는 외부박스체를 갖추고,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는 에어백과 연통구를 매개로 연결되는 외부박스체의 내부에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갖추어 날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필터부 ; 및
    상기 에어백과 연통되는 토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박스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체에 배치되는 밸브체를 갖추고, 상기 밸브체의 일단에 밀봉부를 형성하는 주입구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덮개체에 배치되는 산소용기를 갖추며, 상기 밀봉부와 대응하는 단부에 일정길이의 격침관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체의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작동노브를 갖추어 상기 밀봉부의 격침시 산소용기로부터 산소를 배출하여 공급하는 산소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코마스크부는 상기 마우스피스를 입으로 물게 되는 사용자의 코가 배치되는 배치홈을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코성형부를 포함하여 상기 밀봉부 측으로 전진이동되는 격침관의 선단이 밀봉부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산소용기의 산소가 상기 격침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된 다음,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에어백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호흡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성형부에는 코마개가 걸림고정되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호흡기.
  10. 사용자의 머리를 덮도록 뒤집어 씌워지는 헤드부를 갖추고, 상기 헤드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덮는 어깨부를 갖추어 사용자가 착용하게 되는 착용부 ;
    상기 헤드부를 착용한 사용자의 입으로 물게 되는 마우스피스를 갖추고, 상기 마우스피스와 연통연결되는 제1연결박스체를 갖추며, 상기 제1연결박스체와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연결박스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코와 대응하는 헤드부에 구비되는 코마스크부를 갖추어 사용자의 날숨과 들숨이 이루어지는 호흡부 ;
    상기 제2연결박스체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과 일정길이의 연결호스를 매개로 연통연결되는 외부박스체를 갖추고,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는 에어백과 연통구를 매개로 연결되는 외부박스체의 내부에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갖추어 날숨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필터부 ; 및
    상기 에어백과 연통되는 토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박스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체에 배치되는 밸브체를 갖추고, 상기 밸브체의 일단에 밀봉부를 형성하는 주입구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덮개체에 배치되는 산소용기를 갖추며, 상기 밀봉부와 대응하는 단부에 일정길이의 격침관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체의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작동노브를 갖추어 상기 밀봉부의 격침시 산소용기로부터 산소를 배출하여 공급하는 산소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박스체는 상기 흡착제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다공성 수직판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수직판은 상기 외부박스체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형성되는 수직안내홈을 따라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다공성 수직판의 외측에 필터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밀봉부 측으로 전진이동되는 격침관의 선단이 밀봉부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산소용기의 산소가 상기 격침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된 다음,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에어백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호흡기.
KR1020170009967A 2017-01-20 2017-01-20 비상탈출용 호흡기 KR101743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967A KR101743271B1 (ko) 2017-01-20 2017-01-20 비상탈출용 호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967A KR101743271B1 (ko) 2017-01-20 2017-01-20 비상탈출용 호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271B1 true KR101743271B1 (ko) 2017-06-14

Family

ID=5921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967A KR101743271B1 (ko) 2017-01-20 2017-01-20 비상탈출용 호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27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114B1 (ko) * 2018-03-03 2018-06-21 박대수 휴대용 산소호흡기
CN109969117A (zh) * 2019-04-28 2019-07-05 攀枝花学院 汽车落水自救逃生装置
KR102119522B1 (ko) * 2018-11-30 2020-06-05 정승일 호흡낭 내장형 풀페이스 마스크
KR102236928B1 (ko) * 2020-01-31 2021-04-06 주식회사 필라스크리에이션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화재 현장 대피용 간이 호흡 장치
KR102298590B1 (ko) * 2020-05-14 2021-09-06 주식회사 더피플즈 긴급피난용 비상호흡장치
KR102301192B1 (ko) * 2021-02-24 2021-09-10 정헌홀딩스 주식회사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KR20230034081A (ko) 2021-09-02 2023-03-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시 산소 공급을 위한 자동 후드형 안전 조끼
KR102553933B1 (ko) * 2022-07-21 2023-07-12 이성우 산소호흡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114B1 (ko) * 2018-03-03 2018-06-21 박대수 휴대용 산소호흡기
KR102119522B1 (ko) * 2018-11-30 2020-06-05 정승일 호흡낭 내장형 풀페이스 마스크
CN109969117A (zh) * 2019-04-28 2019-07-05 攀枝花学院 汽车落水自救逃生装置
KR102236928B1 (ko) * 2020-01-31 2021-04-06 주식회사 필라스크리에이션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화재 현장 대피용 간이 호흡 장치
KR102298590B1 (ko) * 2020-05-14 2021-09-06 주식회사 더피플즈 긴급피난용 비상호흡장치
KR102301192B1 (ko) * 2021-02-24 2021-09-10 정헌홀딩스 주식회사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WO2022182161A1 (ko) * 2021-02-24 2022-09-01 정헌홀딩스 주식회사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KR20230034081A (ko) 2021-09-02 2023-03-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시 산소 공급을 위한 자동 후드형 안전 조끼
KR102553933B1 (ko) * 2022-07-21 2023-07-12 이성우 산소호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271B1 (ko) 비상탈출용 호흡기
KR970010827B1 (ko) 호흡기
AU712110B2 (en) Oxygen respirator
KR101549684B1 (ko) 다인용 휴대 호흡기
KR101832817B1 (ko) 비상탈출용 호흡기
EP0601090B1 (en) A self-sufficient emergency breathing device
US20140261406A1 (en) Safety vest floatation system with oxygen supply
KR20180113443A (ko) 산소순환호흡장치
AU2006342839A1 (en) A valve unit for a rebreather apparatus
US20210121649A1 (en) Portable rebreathing system with staged addition of oxygen enrichment
US20160193485A1 (e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KR101870114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200431561Y1 (ko) 산소호흡기용 후드
KR20160143421A (ko) 산소 마스크
CN114889783A (zh) 一种纯氧型密闭式循环呼吸系统
GB2209123A (en) Breathing apparatus
WO2020061779A1 (zh) 一种手持式应急呼吸防护罐
KR20050092997A (ko) 비상용 산소공급장치
JPH082078Y2 (ja) 呼吸器
KR200366083Y1 (ko) 간이 공기재호흡기
JPH0620537Y2 (ja) 呼吸装置
AU2006235246A1 (en) Sub-tidal volume rebreather and second stage regulator
GB2340760A (en) A mouthpiece valve for closed-loop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KR102503763B1 (ko) 화재대피용 산소마스크
RU124159U1 (ru) Средство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защиты органов дыхания челове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