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856B1 - 단추 고정구 - Google Patents

단추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856B1
KR101415856B1 KR1020140050803A KR20140050803A KR101415856B1 KR 101415856 B1 KR101415856 B1 KR 101415856B1 KR 1020140050803 A KR1020140050803 A KR 1020140050803A KR 20140050803 A KR20140050803 A KR 20140050803A KR 101415856 B1 KR101415856 B1 KR 101415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reventing member
pin
short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곤
Original Assignee
이병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곤 filed Critical 이병곤
Priority to KR1020140050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6Assembling of 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과 바늘 없이도 간단한 방법으로 단추를 달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의복에 단추를 고정하는 고정구로써, 절단부를 중심으로 일측은 뾰족 단부를 갖는 끼움부가 마련되고, 대향측은 연결편에 고착되어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장축과 단축으로 이루어진 결속 핀; 한 쌍의 원통부로 구성되며, 이 원통부 각각에 홈이 마련되어 상기 장축과 단축 각각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결속 핀에 단추가 끼워진 상태로 끼움부를 이용하여 의복에 꽂고, 의복 안쪽으로 돌출된 장축과 단축에 이탈방지부재를 끼워 고정한 다음 절단부를 꺾어 끼움부가 버려지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추 고정구{Button fixture}
본 발명은 실과 바늘 없이도 간단한 방법으로 단추를 달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결속 핀과 이탈방지부재를 이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의복은 물론 기타 용품에도 단추를 달 수 있는 단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추는 의복에 부착되어 의복을 여미고 푸는데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장식용으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단추는 의복에 따라 또는 부착되는 용품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형태로 구성되며, 색상은 물론 부착 방식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통상, 의복에 부착되는 단추는, 2개 또는 4개의 구멍이 마련되어 여기에 실을 꿰어 의복에 부착되는데, 단추가 떨어지는 경우 대다수는 실과 바늘을 준비하여 달게 된다. 그러나 일반 직장인이나 학생은 특히 남성의 경우 실과 바늘이 준비되는 경우가 거의 없어 단추가 떨어진 상태로 다니기도 한다.
이에 최근에는 바늘과 실을 구비하지 않아도 단추를 달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공개특허 10-2011-0067774의 단추 고정 장치는, 두 개의 핀이 옷감을 통과할 수 있도록 뾰족한 다리를 가지는 U자형의 핀과; U자형 핀은 단추가 핀의 상하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경사를 가지고; U자형 핀은 서로 +자로 교차할 수 있도록 홈을 가지고; 변형된 U자형의 얇은 핀 두 개와 이것을 고정하는 네 개의 구멍을 가진 마개로 구성되며, 상기 핀은 금속소재를 사용하여 단추 구멍에 핀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단추 고정 장치는, 뾰족한 다리를 갖는 핀이 단순히 마개에 꽂아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움직임에 의해 마개가 빠지는 경우 뾰족한 핀에 찔리게 되는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국내 실용신안 공고번호 1980-0001014호의 단추도 있다.
이 단추는 양단에 내향으로만 괘지턱을 형성시킨 핀을 옷감에 찌른후 핀의 단부에 저판을 감삽하여 달아서 단추구멍에 표면판을 끼워 사용하는 것으로, 핀의 굵기가 가늘어 옷감을 상하게 하지 않을 뿐 아니라 옷을 착용한 상태에서 표면단추에 힘이 가해져 눌리워지더라도 핀의 단부는 배면 단추의 저판에 의해 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단추 역시 괘지턱이 빠지면 뾰족한 부위가 그대로 노출되고, 괘지턱만으로 의복 안쪽에 위치하는 저판이 고정됨으로써,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단추를 쉽게 달수 있음은 물론이고 뾰족한 단부가 제거되어 착용자에게 전혀 위험이 없는 단추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동시에 제작성이 뛰어나 단추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의복에 단추를 고정하는 고정구로써, 절단부를 중심으로 일측은 뾰족 단부를 갖는 끼움부가 마련되고, 대향측은 연결편에 고착되어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장축과 단축으로 이루어진 결속 핀; 한 쌍의 원통부로 구성되며, 이 원통부 각각에 홈이 마련되어 상기 장축과 단축 각각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결속 핀에 단추가 끼워진 상태로 끼움부를 이용하여 의복에 꽂고, 의복 안쪽으로 돌출된 장축과 단축에 이탈방지부재를 끼워 고정한 다음 절단부를 꺾어 끼움부가 버려지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장축과 단축 각각의 절단부와 인접하여 이탈방지부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이 걸림턱은 경사면과 걸림면으로 구성된 역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한쌍의 원통부가 연결편을 연결되고, 이 원통부 각각에 수직 홈부가 마련되어 결속 핀의 장축과 단축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첫째, 일상 생활에서 단추가 떨어졌을 때 실과 바늘이 없어도 쉽게 단추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둘째,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고, 안전하며 취급이 간편하며 또한 제작이 용이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추 고정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추 고정구의 정면도,
도 3a,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추 고정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탈 방지부재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추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한다는 것은 일 구성요소 상에 다른 구성요소가 직접 위치한다는 의미는 물론, 상기 일 구성요소 상에 제 3의 구성요소가 더 위치할 수 있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각 구성요소 또는 부분 등을 제1, 제2 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지칭하였으나, 이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사용된 표현으로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 표현된 구성요소들의 두께 및 상대적인 두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추 고정부재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추 고정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3a,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추 고정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탈 방지부재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추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단추 고정구(10)는 단추와 의복을 결속시키는 결속 핀(100)과 이 결속 핀(100)을 고정시키고 이탈을 방지하여 단추가 달리도록 하는 이탈방지부재(200)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 핀(100)은, 2개의 핀이 나란히 구비되어 단추 구멍(30)에 끼워지며, 이 2개의 핀은 장축과 단축으로 구성된다. 즉 2개의 핀 중 하나를 다른 핀보다 길게 구성하여 꽂을 위치를 정할 때, 순차적으로 꽂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장축(102)과 단축(104) 각각은 일단이 뾰족한 구성으로, 이 뾰족한 단부를 갖는 각각의 끼움부(102a),(104a)가 의복을 관통하게 되는데, 이 끼움부(102a),(104a)는 안전을 위해 단추(30)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절단되어 버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장축(102)과 단축(104) 각각에는 절단부(140)가 구비되고, 이 절단부(140)를 중심으로 일측 예컨대 도면을 기준으로 하부측에는 상기 끼움부(102a)(104a)가 위치하고, 상단은 연결편(20)에 고착되어 간격이 유지되는 구성이다.
상기 절단부(140)는 오목하게 패인 요(凹)부 형태로, 사용자가 끼움부(102a)(104a)를 잡고 좌우로 꺾으면 이 절단부(140)가 끊어져 끼움부가 버려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장축(102)과 단축(104)의 각 절단부(140)의 직 상부에는 걸림턱(120)이 구비되고, 이 걸림턱(120)의 상부로 수직부(160)과 위치 결정부(162)가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먼저 상기 걸림턱(120)은 도면과 같이 경사면(122)과 평활한 걸림면(124)으로 이루어진 역 삼각 형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이 걸림턱(120)을 역삼각 형태로 구성하는 것은, 후술하는 이탈방지부재(200)를 끼울 때, 경사면(122)을 따라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평활한 걸림면(124)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림면(124)의 상면에 일체로 구성되는 상기 수직부(160)는 걸림턱(120)을 넘어선 이탈방지부재(200)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고, 이 수직부의 위쪽에 구비되는 위치 결정부(162)는 상기 이탈방지부재(200)가 상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장축(102)과 단축(104)이 고착되는 연결편(20)은 장축과 단축을 고정시키고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간격을 유지시킴으로써 단추 구멍(32)에 쉽게 꽂아질 수 있도록 하고, 장축과 단축이 이탈을 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서 상기 연결편(20)은 사각 판재로 형태로 구성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 예이고, 단추에 따라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크기 또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연결편(20)의 표면에 인쇄층이 구비될 수 있다. 이 인쇄층은 단추에 따라 색상, 문자 또는 도형이 인쇄되어 의복이나 단추와 어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부재(200)는 2개의 원통부(220),(240)가 브릿지(260)로 연결된 구성이다. 상기 각 원통부(220),(240)는 중앙에 홈(222)(242)이 관통되어 상기 장축(102)과 단축(104) 각각에 끼워지도록 하며, 이들 원통부가 걸림턱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결합 핀(100)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면 부호 280은 절개부로서, 상기 원통부(220),(240)의 일단에서 중앙 부위까지 절개된 것으로, 원통부가 이 절개부를 가짐으로써, 걸림턱(120)을 넘어설 때 용이하게 넘어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이용하여 단추를 다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첨부된 도 3a와 같이, 단추(30)를 장축(102)과 단축(104)에 끼운 다음, 끼움부(102a),(104a)를 이용하여 의복에 꽂게 된다.
이때 장축(102)과 단축(104)은 연결편(20)에 의해 거리가 유지되고 있으므로, 쉽게 단추 구멍과 맞춰 끼울 수 있고, 이 연결편(20)이 단축 구멍 사이를 가로 질러 위치하게 됨으로써, 결속 핀과 단축을 결속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끼움부(102a),(104a)가 원하는 위치에 꽂아지면, 사용자는 의복 안쪽으로 돌출된 끼움부(102a),(104a)에 이탈방지부재(200)를 끼워 고정하되, 이 이탈방지부재(200)는 걸림턱(120)을 넘어 수직부(160)에 위치함으로써, 결속 핀(100)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단추가 달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의 이탈방지부재는 절개부(280)에 의해 용이하게 걸림턱을 넘어설 수 있다.
다시 말해, 끼움부에 끼워진 이탈방지부재(200)가 걸림턱(120)에 도달하면, 이탈방지부재(200)의 원통부(220)(240)는 걸림턱의 경사면(122)을 따라 이동하는데, 이때 원통부에 형성된 상기 절개부(280)가 벌어지면서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걸림턱(120)을 넘어선 상태에서 절개부가 오므려지면서, 원통부가 걸림면(124)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탈방지부재(200)가 끼워진 다음, 착용자는 끼움부를 좌우로 꺾어 절단부에서 절단시켜 끼움부 즉, 뾰족한 단부가 포함된 끼움부를 제거함으로써, 안전하게 의복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첨부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5의 실시 예는, 걸림턱(120)의 형상을 역삼각형이 아닌 원형으로 구성한 것이고, 이 저면에서 위쪽으로 구멍(120-1)을 뚫어 장축 및 단축의 끼움부(202a)(204a)가 끼워지도록 하되, 이때 각 끼움부의 상부에 돌기를 주어 끼워맞춤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구멍(120-1)의 내면에는 돌기에 대응하는 요홈이 갖추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로, 걸림턱(120)의 전면에서 안쪽으로 절취된 절취부(120-2)를 구비하되, 이 절취부는 사각홈 또는 반원형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의 상단부에 마련된 끼움돌출부가, 절취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면에서 결합됨으로써, 조립은 물론 단추 고정 후 쉽게 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면 부호 120-4는 돌기로써, 절취부의 내측벽에 형성된 요홈을 따라 끼워지도록 하는 것으로, 도면과 같이 3면에 돌출된 구성으로, 이 돌기는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도 있지만, 하방으로 빠져나오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단추 고정구 100 : 결속 핀
102, 104 : 장축, 단축 120 : 걸림턱
140 : 절단부 160 : 수직부

Claims (5)

  1. 의복에 단추를 고정하는 고정구로써,
    절단부를 중심으로 일측은 뾰족 단부를 갖는 끼움부가 마련되고, 대향측은 연결편에 고착되어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장축과 단축으로 이루어진 결속 핀;
    한 쌍의 원통부로 구성되며, 이 원통부 각각에 홈이 마련되어 상기 장축과 단축 각각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결속 핀에 단추가 끼워진 상태로 끼움부를 이용하여 의복에 꽂고, 의복 안쪽으로 돌출된 장축과 단축에 이탈방지부재를 끼워 고정한 다음 절단부를 꺾어 끼움부가 버려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추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과 단축 각각의 절단부와 인접하여 이탈방지부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이 걸림턱은 경사면과 걸림면으로 구성된 역삼각형상인 것을 포함하는 단추 고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한쌍의 원통부가 연결편을 연결되고, 이 원통부 각각에 수직 홈부가 마련되어 결속 핀의 장축과 단축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축 고정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중앙 부위까지 절개되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하는 절개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단추 고정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 및 단축의 걸림턱 각각의 상부에 수직부와 위치 결정부가 연속으로 구비되어, 이탈방지부재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추 고정구.
KR1020140050803A 2014-04-28 2014-04-28 단추 고정구 KR101415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803A KR101415856B1 (ko) 2014-04-28 2014-04-28 단추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803A KR101415856B1 (ko) 2014-04-28 2014-04-28 단추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856B1 true KR101415856B1 (ko) 2014-07-09

Family

ID=5174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803A KR101415856B1 (ko) 2014-04-28 2014-04-28 단추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8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766A (ko) * 2001-03-12 2001-09-26 홍봉기 10초면 달수있는 옷단추
KR20110067774A (ko) * 2009-12-15 2011-06-22 황인 반짇고리를 대신하는 휴대용 단추 고정 장치
KR20130005180U (ko) * 2012-02-22 2013-08-30 이수 바늘.실이 필요없는 단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766A (ko) * 2001-03-12 2001-09-26 홍봉기 10초면 달수있는 옷단추
KR20110067774A (ko) * 2009-12-15 2011-06-22 황인 반짇고리를 대신하는 휴대용 단추 고정 장치
KR20130005180U (ko) * 2012-02-22 2013-08-30 이수 바늘.실이 필요없는 단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7917B2 (ja) 布地止着用ボタン
US8656561B2 (en) Releasable button for fabrics and clothing
US1988233A (en) Button fastener
KR200413079Y1 (ko) 스냅단추
US2677162A (en) Slide fastener member
KR101415856B1 (ko) 단추 고정구
US1828041A (en) Garter construction
US2622291A (en) Detachable button
US8726470B2 (en) Clothing fastening system
JP6197210B1 (ja) タオルクリップ
US2013465A (en) Clasp
US2125202A (en) Drapery hanger
US20150208767A1 (en) Button Fastener
US2334104A (en) Removable cap button
JP3173055U (ja) 名札留め具
KR101404956B1 (ko) 단추 체인 등의 장신구 탈부착이 가능한 스타일리쉬 의류
JP4038175B2 (ja) 服飾用係止具、および被挟持体の取付方法
US863543A (en) Separable button.
KR101800138B1 (ko) 지퍼용 파스너
EP3332659A1 (en) Button and button hole structure
US3566452A (en) Button holder
WO1999048398A1 (en) Buttons
US20130199000A1 (en) Two-Piece Molded Garment Button
US2643426A (en) Clasp for buttons
US2165216A (en) Ornament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