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496B1 -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496B1
KR101415496B1 KR1020120152769A KR20120152769A KR101415496B1 KR 101415496 B1 KR101415496 B1 KR 101415496B1 KR 1020120152769 A KR1020120152769 A KR 1020120152769A KR 20120152769 A KR20120152769 A KR 20120152769A KR 101415496 B1 KR101415496 B1 KR 10141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temperature
ventilation fan
mcfc system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성
Original Assignee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2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73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auxiliary devices, e.g. reformers, compressors, bur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01M8/14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45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comprising 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01M2008/147Fuel cells with molten 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48Molten electrolytes used at high temperature
    • H01M2300/0051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는, MCFC 시스템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한 환기 팬, MCFC 시스템용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에 부착된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의 온도에 따라 환기 팬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Control Device of Ventilation Fan For MCFC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MCFC 시스템(Molten Carbonate Fuel Cell System)용 환기 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MCFC 시스템의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의 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융 탄산염 연료전지(Molten Carbonate Fuel Cell; 이하, "MCFC")는 고온형 연료전지로 발전효율이 47%로 높고, 연료 사용량이나 탄소가스 배출량이 낮은 차세대 신재생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다. 전해질이 보통 LiK 또는 LiNa 탄산염인 MCFC는 수소와의 반응을 위한 탄산이온을 생성하기 위하여 전해질을 용융상태로 만들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 약 650℃ 정도의 높은 온도에서 운전한다.
이러한 MCFC 시스템은 발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MBOP(Mechanical balance of plant)와 EBOP(Electrical balance of plant)라는 주변 설비를 가진다. 재순환 블로워는 MCFC 시스템의 온도 유지에 필요한 대표적인 MBOP이다. 재순환 블로워는 MCFC 시스템의 전해질 스택(stack)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를 재순환하여 다시 스택에 공급함으로써 운전 중 공기 히터의 부담을 줄여 용융 탄산염 연료전지의 발전 효율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MCFC 시스템 내부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환기 팬이 구비되어 있다. 도 1의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는 외기 온도에 따라 환기 팬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외기 온도에 따라 환기 팬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었다. 즉, 여름철 외기 온도가 상승하면 환기 팬의 출력을 증가시키고 겨울철 외기 온도가 하강하면 환기 팬의 출력을 감소하는 형태로 운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를 통해서는 재순환 블로워의 온도 변화에 탄력적으로 반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재순환 블로워는 기체를 유동시키는 블레이드와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모터 그리고 블레이드와 모터를 이어주는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특히, 베어링은 모터 회전 중에 발생하는 마찰열로 인해 가열되어 열에 의한 변형이나 마모로 인해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베어링의 온도가 위험 수준으로 증가할 경우 MCFC 시스템을 정지시키고 베어링을 교체하거나 베어링 윤활제를 주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MCFC 시스템 정지는 MCFC 시스템의 이용률 및 가동률을 떨어뜨리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 온도 변화에 따른 환기 팬의 출력 조절이 가능한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MCFC 시스템의 이용률 및 가동률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는, MCFC 시스템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한 환기 팬, MCFC 시스템용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에 부착된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의 온도에 따라 환기 팬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의 제어부는,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의 온도가 베어링 임계 온도를 초과할 때 환기 팬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베어링 임계 온도는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는,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의 열 손상 가능성을 운영자에게 통지하는 알림 장치를 더 포함하여, 제어부는,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의 온도가 베어링 임계 온도를 초과할 때, 알림 장치로 경고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는, MCFC 시스템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측정장치를 더 포함하여, 제어부는 외기 온도 측정장치의 온도에 따라 환기 팬의 출력을 조절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방법은, MCFC 시스템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측정장치에서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측정단계, MCFC 시스템용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에 부착된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에서 베어링 온도를 측정하는 베어링 온도 측정단계, 제어부가 외기 온도와 베어링 온도에 따라 환기 팬의 출력을 조절하는 환기 팬 출력 조절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방법의 환기 팬 출력 조절단계에서, 베어링 온도가 베어링 임계 온도를 초과할 때 환기 팬의 출력을 최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방법은, 베어링 온도가 베어링 임계 온도를 초과할 때, 제어부가 알림 장치로 경고를 보내는 경고 발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MCFC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불필요한 MCFC 시스템의 정지 시간을 줄일 수 있음으로써 MCFC 시스템의 이용률 및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방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방법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는 MCFC 시스템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한 환기 팬(10), MCFC 시스템용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26)에 부착된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28),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28)의 온도에 따라 환기 팬(10)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환기 팬(10)은 MCFC 시스템 내부에 구비되어 MCFC 시스템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환기 팬(10)은 MBOP내부 공기를 밖으로 뽑아내는 형태로 동작한다. 이러한 환기 팬(10)의 출력(환기량)에 따라 MCFC 시스템 내부의 온도가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MCFC 시스템의 외기 온도가 증가하면(여름철) 환기 팬(10)의 출력을 증가시키고, 외기 온도가 감소하면(겨울철) 환기 팬(10)의 출력을 감소시키거나 환기 팬(10)을 정지시킨다.
MCFC 시스템용 재순환 블로워(20)는 MCFC 시스템의 전해질 스택(stack)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를 재순환하여 다시 스택에 공급함으로써 운전 중 공기 히터의 부담을 줄여 용융 탄산염 연료전지의 발전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MCFC 시스템용 재순환 블로워는 기체를 유동시키는 블레이드(22), 블레이드(22)를 회전시키는 모터(24), 및 블레이드(22)와 모터(24)를 이어주는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26)으로 구성된다.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26)에는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28)가 부착된다.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28)는 일반적인 온도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온도 측정이 가능한 어떠한 장치도 사용될 수 있다.
모터(24) 회전 중에 발생하는 마찰열로 인하여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26)의 온도는 상승된다. 특히, 계절에 따른 MCFC 시스템 내부 온도의 증가는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26)의 온도 상승을 더욱 가속화시킬 수 있다.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28)는 상승된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26)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30)로 베어링 온도 정보를 보낸다.
제어부(30)는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28)로부터 수신된 베어링 온도 정보에 따라 환기 팬(10)의 출력을 조절한다. 수신된 베어링 온도가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26)의 열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베어링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환기 팬(10)의 출력을 최대로 하여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26)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베어링 임계 온도는 약 110℃ 내지 130℃ 사이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20℃를 기준으로 삼았다. 단, 베어링 임계 온도는 MCFC 시스템용 재순환 블로워(20)에 사용되는 베어링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온도이다. 한편, 수신된 베어링 온도가 베어링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환기 팬(10)의 출력은 100%가 될 수 있다.
또한,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는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26)의 열 손상 가능성을 MCFC 시스템 운영자에게 통지하는 알림 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베어링 온도가 베어링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30)는 알림 장치(50)로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26)의 열 손상 가능성을 통지한다. 알림 장치(50)에서 경고가 발생할 경우, 운영자는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26)에 윤활제 주입 등을 통하여 MCFC 시스템을 중단하지 않고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26)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MCFC 시스템 정지 시간을 줄임으로써, MCFC 시스템의 이용률 및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는, MCFC 시스템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측정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기 온도 측정장치(40)는 외기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30)로 외기 온도 정보를 보낸다. 제어부(30)는 외기 온도 측정장치(40)의 온도에 따라 환기 팬(10)의 출력을 조절한다. 따라서 계절 변화에 따라 탄력적으로 MCFC 시스템의 내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외기 온도 측정만 가능하다면 외기 온도 측정장치(40)의 장착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방법은 MCFC 시스템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측정장치(40)에서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측정단계(S100), MCFC 시스템용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26)에 부착된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28)에서 베어링 온도를 측정하는 베어링 온도 측정단계(S200), 및 제어부(30)가 외기 온도와 베어링 온도에 따라 환기 팬(10)의 출력을 조절하는 환기 팬 출력 조절단계(S300)를 포함한다.
환기 팬 출력 조절단계(S300)에서, 베어링 온도가 베어링 임계 온도를 초과할 때 환기 팬(10)의 출력을 최대로 한다. 또한, 외기 온도에 따라 환기 팬의 출력이 변경될 수 있다.
나아가,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방법은, 베어링 온도가 베어링 임계 온도를 초과할 때, 제어부(30)가 알림 장치(50)로 경고를 보내는 경고 발송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단계를 포함하는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방법을 도 4의 일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26)에 부착된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28)에서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26)의 온도를 측정한다. 베어링 온도가 120℃를 초과할 때 제어부(30)는 환기 팬(10)의 출력을 100%로 한다. 또한, 외기 온도 측정장치(40)에서 외기 온도를 측정하여 외기 온도가 30℃를 초과할 때 제어부(30)는 환기 팬(10)의 출력을 70%로 한다. 또한, 외기 온도가 20℃를 초과할 때 제어부(30)는 환기 팬(10)의 출력을 50%로 한다. 또한, 외기 온도가 10℃를 초과할 때 제어부(30)는 환기 팬(10)의 출력을 30%로 한다. 또한, 외기 온도가 10℃ 미만일 때 제어부(30)는 환기 팬(10)의 중지시킨다. 여기 개시된 외기 온도 및 환기 팬 출력 %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베어링 온도가 120℃를 초과할 때 제어부(30)는 알림 장치(50)로 경고를 보내어 운영자가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26)의 열 손상 가능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환기 팬 20: 재순환 블로워
22: 블레이드 24: 모터
26: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 28: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
30: 제어부 40: 외기 온도 측정장치
50: 알림 장치

Claims (8)

  1. MCFC 시스템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한 환기 팬;
    MCFC 시스템용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에 부착된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 및
    상기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의 온도에 따라 상기 환기 팬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의 온도가 베어링 임계 온도를 초과할 때 상기 환기 팬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임계 온도는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의 열 손상 가능성을 운영자에게 통지하는 알림 장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상기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의 온도가 베어링 임계 온도를 초과할 때, 상기 알림 장치로 경고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MCFC 시스템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측정장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 온도 측정장치의 온도에 따라 상기 환기 팬의 출력을 조절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
  6. MCFC 시스템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측정장치에서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측정단계;
    MCFC 시스템용 재순환 블로워 베어링에 부착된 베어링 온도 측정장치에서 베어링 온도를 측정하는 베어링 온도 측정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외기 온도와 상기 베어링 온도에 따라 환기 팬의 출력을 조절하는 환기 팬 출력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환기 팬 출력 조절단계에서, 상기 베어링 온도가 베어링 임계 온도를 초과할 때 상기 환기 팬의 출력을 최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온도가 베어링 임계 온도를 초과할 때, 상기 제어부가 알림 장치로 경고를 보내는 경고 발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방법.
KR1020120152769A 2012-12-26 2012-12-26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415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769A KR101415496B1 (ko) 2012-12-26 2012-12-26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769A KR101415496B1 (ko) 2012-12-26 2012-12-26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496B1 true KR101415496B1 (ko) 2014-07-07

Family

ID=5174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769A KR101415496B1 (ko) 2012-12-26 2012-12-26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4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861A (ja) * 1996-01-29 1997-08-15 Toyo Electric Mfg Co Ltd パワートレーンテスタの軸受装置の異常検出装置
EP1329537A2 (en) * 2002-01-22 2003-07-23 Proton Energy Systems, Inc. Ventilation system for hydrogen generating electrolysis cell
US6886985B1 (en) 2000-09-29 2005-05-03 Reliance Electric Technologies, Llc Auxiliary fan cooling of bearing housings
JP2008184960A (ja) 2007-01-29 2008-08-14 Cap Co Ltd 高温ガス送風用ファ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0861A (ja) * 1996-01-29 1997-08-15 Toyo Electric Mfg Co Ltd パワートレーンテスタの軸受装置の異常検出装置
US6886985B1 (en) 2000-09-29 2005-05-03 Reliance Electric Technologies, Llc Auxiliary fan cooling of bearing housings
EP1329537A2 (en) * 2002-01-22 2003-07-23 Proton Energy Systems, Inc. Ventilation system for hydrogen generating electrolysis cell
JP2008184960A (ja) 2007-01-29 2008-08-14 Cap Co Ltd 高温ガス送風用ファ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80467A (ja) 風力タービンの部品温度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制御装置、風力タービン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637201B2 (en) Cooling system
US8941257B2 (en) Wind power generator
JP7023680B2 (ja) 発電装置、制御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EP2957769A1 (en) Wind power generation plant
WO20121273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a fuel cell stack
EP326389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environmental operating conditions associated with heat generating components of a wind turbine
CN105716342A (zh) 半导体制冷设备风冷式散热控制方法
KR101415496B1 (ko) Mcfc 시스템용 환기 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814718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用カソード入口空気流の温度制御
CN109713597A (zh) 一种具有自动温控功能的节能配电柜系统
KR101012675B1 (ko) 양만장 내부의 용존산소량 및 실온 보정장치
US88663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gear box for wind power generator
CN110012649B (zh) 一种电源散热控制方法及系统
RU2010104595A (ru) Энергоустановка с замкнутым контуром
JP200608601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20150337805A1 (en) Method for operating a wind turbine
JP2010060166A (ja) 冷却塔及び熱源機システム
CN217501856U (zh) 风力发电机组
JP2004179123A (ja) 燃料電池の冷却装置
CN204787075U (zh) 中央空调节能控制系统
JP200627815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7199463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CN201908822U (zh) 加装变频器的冷却塔风机系统
CN203552864U (zh) 用于电抗器散热的辅助冷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