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093B1 - Potable beverage containers holder - Google Patents

Potable beverage containers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093B1
KR101415093B1 KR1020130017980A KR20130017980A KR101415093B1 KR 101415093 B1 KR101415093 B1 KR 101415093B1 KR 1020130017980 A KR1020130017980 A KR 1020130017980A KR 20130017980 A KR20130017980 A KR 20130017980A KR 101415093 B1 KR101415093 B1 KR 101415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fastening means
wearer
container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9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유섭
김종백
홍선희
Original Assignee
이유섭
홍선희
김종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섭, 홍선희, 김종백 filed Critical 이유섭
Priority to KR1020130017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0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0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83Beverage vessels, e.g. bottles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can be reduced when the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is not in use and is carried. When used, the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can be attached on various body parts such as an arm and a leg, and can contain a beverage container in each different shape. The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comprises an attaching means which is bendable and is in the shape of a band, and a holder having a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which accommodates a container. Joining means, which can join both ends of the attaching means, are arranged at both ends of the attaching means. The attaching means and the holder are separately formed and thus independently include the joining means to connect each other.

Description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POTABLE BEVERAGE CONTAINERS HOLDER}[0001] POTABLE BEVERAGE CONTAINERS HOLDER [0002]

본 발명은 음료용기를 넣어 둘 수 있는 휴대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체의 일부에 고정하여 음료용기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holder that can hold a beve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that can stably store a beverage container by being fixed to a part of a body.

생수, 커피 및 청량음료 같은 비알코올 음료나 맥주 같은 알코올 음료는 일반적으로 캔이나 유리병 또는 플라스틱 병과 같은 음료용기에 담겨서 판매된다. Non-alcoholic beverages such as bottled water, coffee and soft drinks and alcoholic beverages such as beer are generally sold in beverage containers such as cans, glass bottles or plastic bottles.

그런데 사람이 운동경기장에서 경기를 관람하거나 기타 야외활동을 하는 중에는 음료수를 휴대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런 때에는 음료수가 들어 있는 음료용기를 보관할 적절한 장소나 기구가 필요하다.However, when a person watches a game in the sports arena or other outdoors, they usually carry drinks. In such cases, a proper place or equipment for storing beverage containers containing beverages is needed.

이에 따라 운동경기장 같은 곳은 관람석 의자의 손잡이 등에 용기 홀더를 구비해 놓는 경우가 있고, 또 등산이나 산책 등의 이동하는 야외활동을 하는 사람을 위해서는 용기의 일부에 결착되는 고리에 줄을 연결하여 신체의 일부에 매달 수 있는 걸이형 홀더나 용기에 장착한 후 허리띠 등에 끼워 휴대할 수 있는 클립형 홀더가 이용되기도 한다.Accordingly, a place such as an athletic field may be provided with a container holder on the handle of a chair seat, and for a person who performs outdoor activities such as climbing or walking, a line is connected to a ring which is attached to a part of the container, A clip-type holder which can be held in a hook-type holder or a container which can be hung on a part of a waistband or the like can be used.

상기 걸이형 홀더의 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25731호에, 클립형 홀더의 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41187호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the hook type hold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25731, and an example of a clip type hold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1-0041187.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related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운동경기장의 관람석의 경우에는 음료용기 홀더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별도의 음료용기 홀더가 필요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상기 걸이형 홀더나 클립형 홀더가 이용될 수 있다First, in the case of a gymnasium of an athletic field,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beverage container holder is required because a beverage container holder is often not installed. In this case, the hook type holder or the clip type holder can be used

둘째, 그런데 걸이형 홀더의 경우, 용기가 병과 같이 돌출되는 목 부분과 같이 고리를 걸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이 용이하나, 캔과 같이 외관이 밋밋한 용기에는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신체의 일부에 걸어서 휴대하는 형식이므로 신체가 움직이면 매달린 용기가 덜렁거려 활동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Secondly, in the case of a hook type holder, it is easy to use when a protruding portion capable of hanging a ring is formed like a neck protruding like a bottle, but it is difficult to use it for a container having a plain appearance such as a can Also, since it is a type of carrying on a part of the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body moves, the hanging container is loosened and inconvenience is caused.

셋째, 허리띠 등에 끼워 휴대하는 클립형 홀더를 사용하는 경우는, 용기가 신체에 밀착되는 장점이 있으나 홀더가 강성을 가진 구조물이므로 홀더 자체의 휴대가 불편하고, 클립을 체결할 수 있는 곳이 신체의 허리띠 부분 이외의 곳에는 휴대의 제한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Third, in the case of using a clip-type holder which is inserted into a belt or the lik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contain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dy, but since the holder is a rigid structure, it is inconvenient to carry the holder itself,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carrying out the part other than the part.

한국공개특허 10-2009-0025731호,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25731, 한국공개특허 10-2001-004118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41187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부피를 작게 하여 휴대할 수 있으면서, 사용할 때에는 팔이나 다리 등 신체의 여러 부위에 적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상의 음료용기에 적용 가능한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를 제공하고자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possible to carry the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with a small volume when it is not used, and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parts of the body such as an arm or a leg when used, And to provide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applicable to a beverage container.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는 구부림이 가능한 밴드 형태의 착용구와 용기가 수용되는 용기 수용부를 구비한 홀더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착용구의 양단에는 그 양단을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lder having a band-shaped wearable portion capable of bending and a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And coupling means for coupling both ends to each other.

이때 상기 착용구와 홀더는 분리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로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구비하게 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내부에 결합공간이 형성된 요홈과 상기 요홈의 결합공간 내에 수용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지지판에 의해 지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wearer and the holde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in this case, fastening means for joining them together is provided. The fastening means may include a groove having a coupl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 protrusion accommodated in a coupling space of the groove. Further, the fastening means may be supported by a support plate.

그리고 상기 홀더는 상기 용기의 외면을 감싸는 신축성 소재를 포함하도록 하여 용기를 타이트하게 잡아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holder includes an elastic material wrapp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so as to tightly hold the container.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는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한 부분을 쉽게 접을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부피를 작게 하여 휴대하고 다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easily fold a part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can carry it with less volume when not in use.

또한 팔이나 다리 등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착용 가능하고, 사람의 신체 이외에 다른 물체에도 쉽게 부착할 수 있는 등 적용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종아리에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를 착용하면 야외활동 시 손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등 활동 편의성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can be freely worn at a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such as an arm or a leg, and can be easily attached to an object other than a person's body. In particular, when the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a calf, it is possible to freely use hands during outdoor activities,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activities.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음료를 수용하는 홀더는 음료 수용부의 형상과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할 수 있는 음료용기의 형상과 크기가 다양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can change the shape and size of the beverage receptacle, so that the shape and size of the beverage container that can be used can be varied.

도 1은 본 발명의 착용구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착용구 배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료용기 홀더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의 사용 예시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
Fig. 2 is a plan view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verage contai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is of the opinion that the concept of a term can be properly defined to describe it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And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1 to 4 show a concrete realization example of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의 착용구를 펼쳐 놓은 상태에서 각각 정면과 배면으로 보이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에서 음료용기를 수용하며 상기 착용구와 결합하게 되는 홀더를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FIG. 1 and FIG. 2 show a configuration in which a wearable port of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shown as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respectively.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in which a beverage container is received in the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engaged with the wearer. FIG.

도 4는 상기 착용구를 종아리에 둘러 착용하고, 홀더에 캔을 수용한 후, 이들을 서로 체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4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earer wears around a calf and houses a can in a holder, and then uses them for fastening to each other

본 발명은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는 크게 착용구(10)와 홀더(20)로 구분되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착용구(10)의 일 실시예는 양단에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40-1, 40-2)을 각각 구비하고 있고, 전체적인 형상은 밴드 형태이다.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divided into a wearer's mouth 10 and a holder 20. One embodiment of the wearer's mouthpie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Respectively, and the overall shape is a band shape.

착용구(10)를 밴드형상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신체의 일부, 예를 들면 종아리나 팔 등에 감아 착용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착용구(10)는 쉽게 구부러질 수 있어야 하므로 섬유나 필름 같은 유연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대나무 발과 같이 작고 기다란 절편을 이어 붙이는 방식 등, 구부러짐이 가능한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wearer 10 is formed into a band shape is to wrap the wearer 10 on a part of the body, for example, a calf or an arm.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earer 10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fiber or a film so that it can be easily bent. If necessary, i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that can be bent, such as a method of attaching a small and long section such as a bamboo foot.

착용구의 양단에 구비되는 결합수단(40-1, 40-2)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착용구(10)의 정면 일단에 형성된 정면결합수단(40-1)과 상기 정면결합수단(40-1)이 설치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 배면에 형성된(도 2 참조) 배면결합수단(40-2)으로 이루어지며, 벨크로테이프(일명 찍찍이)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engaging means 40-1 and 40-2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wearer include front engaging means 40-1 formed at one end of the front face of the wear mouth 10 and front engaging means 40- (See Fig. 2) formed on the opposite end surface of the end portion on which the end portion provided with the tape 1 is provided, and can be formed using a velcro tape (aka Takako).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착용구(10)를 신체 소정 부위에 감아서 착용할 때 정면결합수단(40-1)과 배면결합수단(40-2)이 서로 마주보게 되어 결합이 가능해진다.With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wearing mouth 10 is worn around a predetermined part of the body, the front joining means 40-1 and the rear joining means 40-2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can be engaged.

상기한 결합수단(40-1, 40-2)은 필요에 따라서 의류용 후크나 스냅 파스너(일명 똑따기 단추), 지퍼, 단추 등의 공지의 체결수단으로 대체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t is obvious that the above-described engaging means 40-1 and 40-2 can be replaced with known fastening means such as a hook for clothes, a snap fastener (aka dripping button), a zipper,

상기 착용구(10)의 중앙 부분에는 체결수단(30-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체결수단(30-1)은 후술하는 홀더(20)의 체결수단(30-2)과 서로 결합하는 구성요소이다. 물론 상기 체결수단(30-1)은 착용구(10)의 중앙이 아닌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The fastening means 30-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earer's mouth 10. The fastening means 30-1 is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fastening means 30-2 of the holder 20 Element. Of course, the fastening means 30-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which is not at the center of the wearer's mouth 10, or at a position offset to one side.

도 1에 도시된 착용구(10)의 체결수단(30-1)에는 내부에 결합공간이 형성된 요홈(31)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홈(31)은 체결수단(30-1)의 상부에서는 외부로 개방되어 있고, 하부에서는 바닥판(33)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요홈의 전면부에는 상기 결합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돌출된 걸림턱(35)이 형성되어 있다.The fastening means 30-1 of the wearer 10 shown in FIG. 1 is formed with a groove 31 having an engagement space formed therei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groove (31) is open to the outside at the upper part of the fastening means (30-1), and is closed by the bottom plate (33) at the lower part. And a locking protrusion 35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groove to cover the engagement space is formed.

도 3에는 착용구(10)의 체결수단(30-1)과 결합하는 홀더(20)의 체결수단(30-2)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홀더(20)의 체결수단(30-2)에는 상기 요홈(31)의 결합공간 내로 수용되는 돌기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32)는 전면 선단부 양측이 좌우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걸림부(36)가 형성되는데, 체결수단(30-1, 30-2)이 서로 결합되면 이 걸림부(36)가 상기 요홈(31)의 걸림턱(35)에 걸려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3 shows the fastening means 30-2 of the holder 20 to be engaged with the fastening means 30-1 of the wearing mouth 10. The fastening means 30-2 of the holder 2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32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engaging space of the groove 31. When the fastening means 30-1 and 30-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astening portions 36 are engaged with the recesses 36. [ (35) of the fastening member (31) to maintain the fastened state.

상기 착용구(10)의 체결수단(30-1)에 형성된 요홈(31)과 홀더(20)의 체결수단(30-2)에 형성한 돌기부(32)는 서로 상대편 쪽에 바꿔 형성하여도 무방하다.The groove 31 formed in the fastening means 30-1 of the wearing mouth 10 and the protruding portion 32 formed in the fastening means 30-2 of the holder 20 may be alternately formed on the opposite side .

또한 본 실시예에서 체결수단(30-1, 30-2)는 요홈과 돌기부가 서로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앞서 결합수단(40-1, 40-2)에서 채용한 벨크로테이프를 체결수단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기타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다양한 공지의 체결수단을 이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means 30-1 and 30-2 are described as being coupled to each other. However, the fastening means 30-1 and 30-2 are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may be replaced with a fastening means, and various known fastening means capable of other fastening and detachment can be used.

도 1 및 도 2에서는 착용구(10)의 밴드형 몸체 중앙부분을 플라스틱과 같은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지지판(11)을 형성하고, 그 위에 체결수단(30-1)을 부착 설치하는 예를 보여준다.1 and 2 show an example in which a support plate 11 made of a relatively hard material such as plastic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nd-shaped body of the wearer's mouth 10 and the fastening means 30-1 is attached thereto Show.

상기 지지판(11)은 체결수단(30-1)의 하부에 별도의 판으로 설치하지 않고 체결수단(30-1)의 좌우측에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붙여 설치하거나, 체결수단(30-1) 자체를 좌우로 길게 연장 형성하여 지지판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support plate 11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means 30-1 so as to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stening means 30-1, So as to serve as a support plate.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지지판(11)의 좌우측에 유연성 재질의 분리된 밴드형 몸체가 각각 붙어있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일체로 된 유연성 재질의 밴드형 몸체상에 지지판(11)을 부착하는 형태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In FIGS. 1 and 2, separate band-shaped bodies of flexible material are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late 11, respectively. However, the support plate 11 may be attached to the b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stitute it in the form of

그리고 지지판(11)은 완만한 원호형으로 제작하여 좋으며. 이 경우 착용구(10)를 사람의 팔이나 다리에 착용할 때 착용감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The support plate 11 may be formed in a gentle arcuate shape. In this case, when the wearer 10 is worn on an arm or a leg of a person, the wearer feels comfortable.

그런데 상기 지지판(11)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하는 요소는 아니다. 즉 지지판(11)이 없이 체결수단(30-1)과 유연성 재질의 밴드형 몸체가 직접 결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다만 지지판(11)이 있는 경우에는 체결수단(30-1)이 부착되는 부분에 접착제 도포와 접착 작업이 용이 해지고, 추후 음료가 들어 있는 무거운 음료용기를 수용하고 있는 홀더(20)와 결합하였을 때 착용구(10)가 홀더(20)의 하중을 못 이겨 형태가 무너지는 현상 등을 막을 수 있다.However, the support plate 11 is not an essential element. That is, the fastening means 30-1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band-shaped bod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without the support plate 11. [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support plate 11 is provided, it is easy to apply and bond the adhesive to the portion where the fastening means 30-1 is attached, and when it is combined with the holder 20 accommodating the heavy beverage container containing the bevera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ape of the wearer 10 from collapsing due to the failure of the load of the holder 20.

상기와 같은 착용구(10)상의 지지판(11)의 설치 구성과 효과는 도 3의 홀더(20)의 지지판(21)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The installation structure and the effect of the support plate 11 on the wearer 10 are also applied to the support plate 21 of the holder 20 of Fig.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홀더(20)의 일 실시예는 체결수단(30-2)이 부착된 지지판(21)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망형의 부재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막힌 원통형으로 홀더몸체(23)로 형성함으로써 용기가 수용되는 용기 수용부(25)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망형 홀더몸체(23) 상부와 하부 테두리 부재(22)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토록 구성되어있다.An embodiment of the hold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is a mesh-like member extending from both ends of a support plate 21 to which fastening means 30-2 is attached, And the body 23, so that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25 in which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is formed. The upper and lower frame members 22 and 22 are formed of a stretchable material.

도 3에 도시된 용기 수용부(25)의 바닥부(24)는 망형 부재로 막힌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이를 제거하여 바닥을 개방한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신축성 있는 테두리 부재(22)가 수용된 용기를 잡아주는 기능을 전담하게 된다. The bottom portion 24 of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25 shown in FIG. 3 is shown in a clogged state with a mesh member. In some cases, the bottom portion 24 may be removed by removing the bottom portion. In this case, a function of holding the container in which the flexible frame member 22 is accommodated is dedicated.

상기 실시예에서는 홀더몸체(23)를 망형 부재로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구애될 필요는 없다. 다만 다양한 크기의 용기가 수용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 신축이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holder body 23 is formed as a mesh member,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that can be stretched to some extent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accommodating containers of various sizes.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지지판(21)은 설치 구성과 효과는 앞에서 설명한 착용구(10) 상의 지지판(11)의 그것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3 is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manner as that of the support plate 11 on the wearer's mouth 10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 에 도시된 착용구(10)는 사람의 다리(70)에 감아 부착한 형태이다. 이 경우는 음료를 휴대하고 앉아서 활동하는 상황, 예를 들면 운동경기를 관람하는 상황 등에 적용하기 좋은 형태이다. 상황에 따라서는 착용구(10)를 팔이나 제3의 물체에 감아 사용할 수도 있고, 착용구(10)의 밴드형 몸체를 긴 띠 모양으로 형성하여 허리 등에 감아 사용하여도 좋다.The wearer 10 shown in Fig. 4 is wound around the legs 70 of the person. In this case, it is a good form to be applied to a situation where a drink is carried and it is active, for example, a situation where a sports game is watch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the wearer 10 may be wrapped around an arm or a third object, or the band-shaped body of the wearer 10 may be formed into a long strip and wound around the waist or the like.

착용구(10)를 감아 체결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The process of winding and fastening the wearer's mouth 10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will be omitted.

도 4에 도시된 홀더(20)는 용기 수용부(25)에 음료 캔(60)이 수용된 상태를 보여 준다. 음료 캔(60)과 같은 용기를 용기수용부에 수용하고자 할 때는, 먼저 홀더몸체(23) 상부에 있는 테두리 부재(22)를 적당히 잡아 벌리고 용기를 삽입한다. The holder 20 shown in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can 60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receiving portion 25. Fig. When the container such as the beverage can 60 is to b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the frame member 22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er body 23 is first gripped and opened and the container is inserted.

이후 테두리 부재(22)를 놓으면 이 부재의 신축성에 의하여 용기의 외면이 타이트하게 조여지므로 용기가 홀더(20)에 안정적으로 수용된다. When the frame member 22 is then place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is tightly tightened by the elasticity of the member, so that the container is stably received in the holder 20. [

한편 테두리 부재(22)를 신축성이 없는 소재를 사용하거나, 테두리 부재(22)의 조이는 힘을 넘어서는 용기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바닥부(24)가 용기의 하중을 감당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rame member 22 is made of a non-stretchable material or when the load of the container exceeds the clamping force of the frame member 22, the bottom portion 24 should be designed to bear the load of the container.

이렇게 음료 캔(60)이 수용된 홀더(20)는 도4에 도시된 점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홀더(20)의 체결수단(30-2) 하단 돌출부(32)를 착용구(10)의 체결수단(30-1) 상부 쪽에 개방되어 있는 요홈(31)의 개방공간 안으로 밀어 넣고 아래로 슬라이딩 결합시키면 홀더(20)와 착용구(10)의 체결이 완료된다.The holder 20 in which the beverage can 60 is accommodated has the lower protruding portion 32 of the fastening means 30-2 of the holder 2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The holder 20 and the wearer 10 are completely fastened by pushing them into the open space of the groove 31 opened to the upper side and sliding them downward.

다시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고자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의 역순으로 홀더(20)를 착용구(1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면 된다.
When the user desires to drink the beverage again, the holder 20 may be detached from the wearer 10 in the reverse order of the combination.

한편 본 발명은 착용구(10)와 홀더(20)를 분리 형성하지 않고 일체로 붙어 있는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체결수단(30-1, 30-2)은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음료용기 자체를 홀더(10)로부터 빼내거나 삽입하는 방식으로 사용해야 하는 점이 상기 실시예와 달라진다.
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wearer's mouth 10 and the holder 20 without separating them. In this case, the fastening means 30-1 and 30-2 are unnecessary. And the beverage container itself must be used in such a manner as to be pulled out or inserted from the holder 10.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quivalents of claims Modified and modified.

10 : 착용구 11, 21 : 지지판
20 : 홀더 22 : 테두리 부재
23 : 홀더몸체 25 : 용기 수용부
30-1, 30-2 : 체결수단 31 : 요홈
32 : 돌기부 40-1 : 전면결합수단
40-2 : 배면결합수단
10: Wear ring 11, 21: Support plate
20: holder 22: rim member
23: holder body 25: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30-1, 30-2: fastening means 31: groove
32: protrusion 40-1: front coupling means
40-2: rear surface coupling means

Claims (5)

양단을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밴드 형태의 착용구와 용기 수용부를 구비한 홀더가 각각 분리 형성되며,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상기 착용구와 홀더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30)와 홀더(20)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체결수단 중 어느 하나의 체결수단에는, 내부에 결합공간이 형성되며 전면부에는 상기 결합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돌출된 걸림턱(35)이 형성된 요홈(31)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착용구(30)와 홀더(20)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체결수단 중 다른 하나의 체결수단에는, 상기 요홈(31)의 결합공간 내로 수용되며 전면 선단부 양측이 좌우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36)가 형성된 돌기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착용구(30)와 홀더(20)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체결수단을 서로 결합하였을 때, 상기 돌기부(32)의 걸림부(36)가 상기 요홈(31)의 걸림턱(35)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
And a holder having a band-shaped wearing portion and a container holding portion, each having a coupling means capable of coupling both ends thereof,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m to each other is provided in the por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As a result,

One of the fastening means provided on the wearer's mouth 30 and the holder 20 has an engagement space formed therein and a locking protrusion 35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thereof to surround the engagement space. The groove 31 is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ther fastening means of the fastening means provided on the wearer's mouth 30 and the holder 2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means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engagement space of the fastener groove 31 and protrudes in the direction in which both sides of the front- A protrusion 32 formed with a protrusion 36 is formed,
When the fastening means provided on the wearer's mouth 30 and the fastener means provided on the holder 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fastening portion 36 of the protrusion 32 is caught by the fastening protrusion 35 of the recess 31 Is held by the holder (2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17980A 2013-02-20 2013-02-20 Potable beverage containers holder KR1014150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980A KR101415093B1 (en) 2013-02-20 2013-02-20 Potable beverage containers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980A KR101415093B1 (en) 2013-02-20 2013-02-20 Potable beverage containers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093B1 true KR101415093B1 (en) 2014-07-04

Family

ID=5174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980A KR101415093B1 (en) 2013-02-20 2013-02-20 Potable beverage containers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09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5513A (en) * 2000-09-25 2002-04-02 Ikeda Chikyu:Kk School bag with pouch
JP3117338U (en) * 2005-10-04 2006-01-05 清水建設 有限会社 Container holder
KR200410581Y1 (en) * 2005-12-05 2006-03-13 고제충 a bottle keeping bag
KR101187607B1 (en) * 2011-10-26 2012-10-02 유소영 Portable cup hol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5513A (en) * 2000-09-25 2002-04-02 Ikeda Chikyu:Kk School bag with pouch
JP3117338U (en) * 2005-10-04 2006-01-05 清水建設 有限会社 Container holder
KR200410581Y1 (en) * 2005-12-05 2006-03-13 고제충 a bottle keeping bag
KR101187607B1 (en) * 2011-10-26 2012-10-02 유소영 Portable cup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78235A1 (en) Neck-supported fluid reservoir, hydration systems and pack assemblies including the same
US20080251552A1 (en) Bottle holder
KR20190066803A (en) Tumbler for child having holder case
US20200008563A1 (en) Adjustable container carrying strap structure
US20190343192A1 (en) Water proof bib for infant dining table
EP2908690A1 (en) Wearable package for consumable products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101415093B1 (en) Potable beverage containers holder
KR20150001069U (en) Body Wearable Bottle
US20050109803A1 (en) Water bottle holder
KR200480794Y1 (en) Hipseat with a portable bag
US20130098958A1 (en) Bottle carrier
US10709230B1 (en) Beverage container carrier
JP2002193260A (en) Grip for holding pet bottle
WO2016162660A1 (en) Wrist-mountable soap dispenser
KR101918822B1 (en) A baby warmer enabled to change positions of clamp belt
US20190282911A1 (en) Novelty gift bag
TWM562824U (en) Adjustable portable cup sleeve
KR100464185B1 (en) Bag having separable flat plate
JP3162090U (en) Drink container holder
TWM572347U (en) Beverage carrying apparatus
US20220225752A1 (en) Hands-free beverage holder
KR200339913Y1 (en) Apparatus for put up water bottle portable
KR200346581Y1 (en) Bottle Hanger
KR200342496Y1 (en) Bag having separable flat plate
TWM600807U (en) Sports hook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