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444B1 -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usable capacity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usable capacity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444B1
KR101414444B1 KR1020130016315A KR20130016315A KR101414444B1 KR 101414444 B1 KR101414444 B1 KR 101414444B1 KR 1020130016315 A KR1020130016315 A KR 1020130016315A KR 20130016315 A KR20130016315 A KR 20130016315A KR 101414444 B1 KR101414444 B1 KR 101414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ub
load modules
per unit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효중
서혜준
서윤재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6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4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4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usable capacity and an electric usable capacity management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method for managing the electric usable capacity using the apparatus for managing the electric usable capacity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 drive requirement time rate per unit time and a current consumption amount per unit time from each of multiple load modules; distributing operation intervals of the multiple load modules according to time with respect to multiple sub-time intervals forming the unit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drive requirement time rate per unit time; and transmitting an on-off drive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dividual operation interval of each load module to the corresponding load module. The method for managing the electric usable capacity and the apparatus thereof temporally distribute energy load of the multiple load modules consuming power in a terminal, thereby reducing an instant maximum load rate of a battery and maximizing usable energy capacity of the battery.

Description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managing electric usable capacity and apparatus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전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가용 에너지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ity availability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ity availability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maximizing the amount of available energy by efficiently managing battery energy of a terminal.

일반적으로 전지를 사용하는 단말기는 계산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 입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등의 입출력 장치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단말기의 에너지 소모량은 이러한 프로세서, 무선통신부, 메모리, 입출력 장치 등을 포함하는 각 장치의 개별 에너지 소모량의 총합에 해당되며, 이러한 에너지는 전압과 전류로 표현되는 전기에너지로 공급된다.Generally, a terminal using a battery includes a processor for calculation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memory for storing data, and an input / 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for input / output.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terminal corresponds to the sum of the individual energy consumption of each device including the process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memory, the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like, and this energy is supplied by the electric energy expressed by the voltage and the current.

단말기의 시간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의 변화는 각 장치에서 소모하는 시간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의 총합에 해당된다. 따라서 단말기 내에서 여러 개의 장치를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 순간 에너지 소모량이 증가된다. The change of the energ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time of the terminal corresponds to the sum of the energy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time consumed by each device. Therefore, when multiple devices are simultaneously driven in the terminal, instantaneous energy consumption is increased.

일반적으로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전지의 경우는 기기의 동작이 가능한 한계까지 방전을 시켜 동작하게 되며, 재충전을 할 수 있는 충전지의 경우 전지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는 한계 내에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며 사용하게 된다. Generally, in the case of a disposable battery, it operates by discharging to the limit of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In the case of a rechargeable rechargeable battery, it is repeatedly used and discharged within a limit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battery do.

전지에 저장되어 있는 에너지는 화학 반응에 의한 형태로 에너지의 축적 또는 방출이 이루어지며, 전압과 전류로 나타나는 전기 에너지의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한다. 순간 에너지 방출량은 특정 순간에 전지로부터 방전시키는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나게 되며,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할 경우 보다 높은 전류량으로 방전하게 된다. 전지로부터 끌어낼 수 있는 가용 에너지 총량은 방전 전압과 전류량을 시간에 대해 누적한 총 합에 해당된다.The energy stored in the cell is the accumulation or release of energy in the form of a chemical reaction and emits energy in the form of electrical energy represented by voltage and current. The instantaneous energy release is a product of the voltage and current that is discharged from the cell at a specific moment, and discharges at a higher current when more energy is needed. The total amount of usable energy that can be drawn from the cell corresponds to the total sum of discharge voltage and current over time.

그런데 전지에 축적된 에너지의 사용에 있어서 이러한 가용 에너지는 포이케르트의 법칙(Peukert's Law)을 따르게 된다. 이는 전지로부터 끌어내는 부하 전류량이 작을수록 보다 많은 에너지를 끌어내어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However, in the use of energy stored in the cell, such available energy follows the Peukert's Law. This means that the smaller the amount of load current drawn from the battery, the more energy can be drawn out and used.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가 지속적으로 작은 전류량을 소모할수록 혹은 시간에 따른 사용 전류량의 편차가 작을수록 전지를 더욱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배터리의 순간 전류량이 급증하는 구간이 많을수록 혹은 사용 전류량의 편차가 클수록 전지의 가용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More specifically, as the battery continuously consumes a small amount of current or a variation in the amount of current used over time, the battery can be us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On the contrary, as the instantaneous current amount of the battery rapidly increases, or the variation of the amount of current used increases, the usable time of the battery decreases.

따라서, 전지를 이용하는 단말기 내에서 프로세서, 무선통신부, 메모리, 입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각 부하의 동작이 겹쳐지게 되는 경우 전지에 대한 부하 전류량이 높아지게 되므로 동일 배터리에서도 많은 에너지를 끌어낼 수 없게 된다. 결국 여러 장치에 대한 부하의 조합에 의한 순간 전류량을 관리하지 않는 기존의 방법은 전지의 가용 에너지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when the operations of the loads including the process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memory, and the input / output unit are overlapped in the terminal using the battery, the load current amount for the battery becomes high, so that much energy can not be drawn from the same battery. As a result, existing methods that do not manage the instantaneous current amount due to the combination of loads on various devices have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available energy of the battery can not be efficiently used.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국내공개특허 제2008-0044576호(2008.05.21 공개)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ique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8-0044576 (published on May 21, 2008).

본 발명은, 단말기의 전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가용 에너지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ity availability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efficiently manage the battery energy of a terminal to maximize the amount of available energy.

본 발명은, 전기 가용량 관리 장치를 이용한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부하모듈로부터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과 상기 단위시간당 전류소모량을 각각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단위시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시간에 따라 분산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부하모듈의 개별 동작구간에 대응하는 온오프 구동신호를 해당 부하모듈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ity availability control method using an electricity availability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receiving a ratio of a driving demand time per unit time and a current consumption per unit time from a plurality of load module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istributing an operating period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with respect to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ratio of the driving time required per unit time with respect to a sub time period of the load module; To each of the modules.

또한,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시간에 따라 분산 배치하는 단계는, 각각의 상기 부하모듈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일부 서브시간 구간에 상기 부하모듈의 동작 구간을 배치할 수 있다.The step of distributing the operation section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with time may include the step of distributing the operation section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with respect to each of the load modules, The operation period of the load module can be arranged in the load module.

여기서, 상기 각각의 부하모듈에 대한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총 합이 상기 서브시간 구간의 총 개수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별로 상기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배치할 수 있다.Here, when the total sum of the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time per unit time for each of the load modules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number of the sub time periods, The operation section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can b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또한, 상기 각각의 부하모듈에 대한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총 합이 상기 서브시간 구간의 총 개수보다 큰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일부 또는 전체 서브시간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에 겹침이 발생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When the total sum of the numbers of the driving modules per unit time for each of the load modules is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sub-time intervals, the plurality of sub- So that overlapping occurs between the operation ports of the load module of the first embodiment.

그리고,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시간에 따라 분산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이 높은 부하모듈 순으로 상기 동작구간을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The step of distributing the operation section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according to time may sequentially arrange the operation sections in order of the load modules having a high drive time ratio per unit time.

여기서,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시간에 따라 분산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별로 상기 전류소모량의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분산 배치할 수 있다.The step of distributing the operation period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according to time may dispersively arrange the operation period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so that the deviation of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is minimiz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 time periods.

그리고,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시간에 따라 분산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전류소모량이 큰 부하모듈 순으로 상기 동작구간을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The step of distributing the operation section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according to time may sequentially arrange the operation sections in order of the load modules having a large current consumption amount.

여기서,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시간에 따라 분산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별로 상기 전류소모량의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분산 배치할 수 있다.The step of distributing the operation period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according to time may dispersively arrange the operation period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so that the deviation of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is minimiz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 time periods.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부하모듈로부터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과 상기 단위시간당 전류소모량을 각각 전송받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단위시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시간에 따라 분산 배치하는 동작구간 배치부, 및 상기 부하모듈의 개별 동작구간에 대응하는 온오프 구동신호를 해당 부하모듈에 각각 전송하는 구동신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전기 가용량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at receives a plurality of load modules, a drive request time ratio per unit time and a current consumption amount per unit time, And a driv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on / off driv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 operation ports of the load module to the corresponding load modules, respectively,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ctricity availability management device including the electric power management device.

또한, 상기 동작구간 배치부는, 각각의 상기 부하모듈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일부 서브시간 구간에 상기 부하모듈의 동작 구간을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ection arrangement section may arrange, for each of the load modules, an operation section of the load module in a part of a sub tim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drive time ratio per unit time among the plurality of sub time sections .

또한, 상기 동작구간 배치부는,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이 높은 부하모듈 순으로 상기 동작구간을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ection arrangement section may sequentially arrange the operation sections in order of the load modules having a high driving time ratio per unit time.

또한, 상기 동작구간 배치부는, 상기 전류소모량이 큰 부하모듈 순으로 상기 동작구간을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ection arrangement section may sequentially arrange the operation sections in the order of the load modules having a large current consumption amount.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단말기 내에서 전력을 소모하는 복수의 부하모듈 간의 에너지 부하를 시간적으로 분산함에 따라 전지의 순간 최대 부하율을 감소시키고 전지의 가용 에너지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ity availability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energy load between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consuming power in the terminal is dispersed in time, the instantaneous maximum load factor of the battery is reduced and the available energy capacity of the battery is maximiz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용량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전기 가용량 관리 장치를 이용한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S210 단계에 따라 수집된 정보들의 예이다.
도 4는 도 2의 S220 단계에 대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구간 배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S220 단계에 대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구간 배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간에 따른 전류소모량 편차를 줄인 예를 나타낸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icity availabili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n electricity availabili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electricity availabili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FIG.
FIG. 3 is an example of information collected according to step S210 of FIG.
FIG. 4 shows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on s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tep S220 of FIG.
FIG. 5 shows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on s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tep S220 of FIG.
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urrent consumption variation over time is redu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 내에서 전력을 소모하는 다양한 부하모듈들 간의 에너지 부하를 시간적으로 분산함에 따라, 전지의 순간 최대 부하율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른 전지의 가용 에너지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순간에 전력 소모량이 집중적으로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전기의 가용 에너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amount of electricity availabl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instantaneous maximum load factor of a battery by temporally dispersing the energy load among various load modules consuming power in the terminal, So that the capacity can be maximized.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available energy capacity of electricity by preventing the power consumption from concentrating at a specific mo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용량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전기 가용량 관리 장치를 이용한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icity availabili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n electricity availabili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electricity availabili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 가용량 관리 장치(100)는 정보 수집부(110), 동작구간 배치부(120), 구동신호 전송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기 가용량 관리 장치(100)는 단말기 내에 구비되거나 단말기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1 and 2, the electricity availability management apparatus 100 includes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an operation section arrangement unit 120, and a drive signal transmission unit 130. The electricity availability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be provided in the terminal or separately from the terminal.

먼저, 정보 수집부(110)는 복수의 부하모듈(ex, 프로세서, 무선통신부, DRAM 메모리, NAND 플래시, 디스플레이, 사운드)로부터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과 상기 단위시간당 전류소모량을 각각 전송받는다(S210). 이는 미리 정해진 매 단위시간(ex, 100㎳)에 있어 각각의 부하모듈로부터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 단위시간당 전류소모량을 요청받는 과정에 해당된다. First,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receives a driving time ratio per unit time and a current consumption per unit time from a plurality of load modules (ex, processo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DRAM memory, NAND flash, display, sound) ). This corresponds to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driving request time per unit time and the current consumption per unit time from each load module in a predetermined unit time (ex, 100 ms).

더 상세하게는 각각의 부하모듈로부터 상기 단위시간마다, 이후의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과 상기 단위시간당 전류소모량을 전송받아 이후의 단위시간에 대한 가용량 관리를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S210 단계에서는 각 부하모듈의 에너지 소모량과 구동요구 시간을 관리주기 단위로 미리 요청받으며, 이러한 요청받은 자료들은 추후 부하 요구를 처리하기 위한 필요 에너지 공급의 제어를 위한 자료로 활용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can receive the driving request time ratio per unit time and the current consumption per unit time from the respective load modules for the unit time, and to manage the available amount for the subsequent unit time in advance. Thus, in step S210, the energy consumption and the drive request time of each load module are requested in advance in the management cycle unit, and the requested data are used as data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energy required for processing the load demand in the future.

도 3은 도 1의 S210 단계에 따라 수집된 정보들의 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부하모듈들 중에서 '프로세서'의 경우를 보면, 단위시간당 전류소모량은 100㎃,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은 30%이다. 이는 단위시간(ex, 100㎳) 동안 '프로세서'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소모량은 총 100㎃이고, 단위시간(ex, 100㎳) 중 '프로세서'의 구동에 필요한 시간 비율은 100㎳의 30%인 30ms임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해당 단위시간 내에서는 100㎃의 전류가 30ms 시간 동안만 공급되면 상기 프로세서가 정상 구동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은 예는 다른 부하모듈에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이 된다.FIG. 3 is an example of information collected according to step S210 of FIG. 3, the current consumption per unit time is 100 mA, and the ratio of the driving time required per unit time is 30%. This is because the current consumption required for driving the 'processor' during a unit time (ex, 100 ms) is 100 mA in total, and the ratio of the time required for driving the 'processor' 30 ms. In other words, when the current of 100 mA is supplied for only 30 ms within the unit time, it means that the processor is normally driven. The above example applies to the same principle for other load modules.

본 실시예에서 단위시간은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는 10㎳ 단위의 10개의 서브시간 구간으로 구분된다. 만약, '프로세서'의 구동에 필요한 시간 비율이 30% 이면, 10개의 서브시간 구간 중 프로세서의 구동에는 총 3개의 서브시간 구간이 필요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unit tim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time periods. For example, 100 ms is divided into 10 sub-time periods in units of 10 ms. If the time required for driving the processor is 30%, a total of three sub-time periods are required for driving the processor among the 10 sub-time periods.

이와 같이, 각각의 부하모듈 별로 해당 정보들을 수집한 이후, 동작구간 배치부(120)는 단위시간(ex, 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ex, 10개의 10㎳ 구간)에 대하여,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시간에 따라 분산 배치한다(S220). After collect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for each load module, the operation section arrangement unit 120 divides the operation ti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b time sections ex (10 ms intervals) constituting the unit time (ex, 100 ms) , And the operation period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are distributed and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ratio of the drive request time per unit time (S220).

이러한 동작구간 배치부(120)는 각각의 부하모듈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일부 서브시간 구간에 상기 부하모듈의 동작 구간을 배치한다. For each load module, the operation section arrangement unit 120 arranges the operation period of the load module in a part of a sub tim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drive time ratio per unit time among the plurality of sub time periods.

즉, 단위시간은 100㎳이고 서브시간 구간은 10㎳인 경우, 도 2의 부하모듈 중 '프로세서' 모듈은 총 10개의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30%에 대응하는 3개의 임의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동작 구간을 배치한다. 또한, 도 2의 부하모듈 중 '무선통신부' 모듈은 총 10개의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10%에 대응하는 1개의 임의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동작 구간을 배치한다. 이와 같이 S220 단계에서는 서브시간 구간의 총 개수에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을 곱한 개수의 일부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배치한다.That is, when the unit time is 100 ms and the sub-time period is 10 ms, the 'processor' module of the load module of FIG. 2 performs the operation of the three arbitrary sub-time periods corresponding to 30% .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dule of the load module of FIG. 2 allocates an operation interval for one arbitrary sub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10% of 10 total sub time intervals. In this manner, in step S220, the operation period of the load module is allocated to the total number of sub-time intervals and the number of sub-time periods multiplied by the ratio of the drive request time per unit time.

이러한 방법을 바탕으로 각 부하모듈의 동작 구간은 총 10개의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각각 분산 배치된다. 이는 각각의 서브시간 구간에 대하여 각 부하모듈의 전원공급을 허용(공급) 및 금지(차단)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Based on this method, the operating interval of each load module is distributed over 10 sub time intervals. This corresponds to a process of setting a time interval for allowing (supplying) and inhibiting (cutting off) power supply of each load module for each sub-time period.

이상과 같은 S220 단계의 경우, 단위시간을 구성하는 각각의 서브시간 구간에 대하여 부하모듈 별 동작구간을 시간적으로 분산 배치함에 따라 특정 순간(서브시간 구간)에 에너지 소모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르면, 단말기를 구성하는 전지(배터리)의 최대 순간 에너지 소모량을 통제함에 따라 포이케르트의 법칙(Peukert's Law)에 부합하여 전지의 가용 에너지 용량을 높일 수 있다.In the step S220 described above, the energy consumption is prevented from being concentrated at a specific moment (sub-time interval) by distributing the operation period of each load module with respect to each sub-time interval constituting the unit time in a temporally distributed manner. According to this, by controlling the maximum instantaneous energy consumption of the battery (battery) constituting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vailable energy capacity of the battery in accordance with the Peukert's Law.

이후, 구동신호 전송부(130)는 상기 분산 배치에 따른 부하모듈의 개별 동작구간에 대응하는 온오프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부하모듈에 각각 전송한다(S230).Then, the driving signal transmitting unit 130 generates corresponding on / off driving signals between the individual operation ports of the load module according to the distributed arrangemen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on / off driving signals to the corresponding load module, respectively (S230).

이는 앞서 S220 단계에서 설정된 각 부하모듈의 개별 동작구간에 따라 부하모듈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과정이다. 온오프 구동신호는 부하모듈에 직접 전달될 수도 있으며, 단말기 내의 전원 관리부에 전달되어 전원관리부에서 직접 온오프 구동 관리가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This is a process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load modul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operation ports of each load module set in step S220. The on / off driving signal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load module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power management unit in the terminal so that the power management unit can directly manage the on / off operation.

이하에서는 상기 부하모듈별 동작구간의 분산 배치에 관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부하모듈은 단말기 내에 총 4개(프로세서, 무선통신부, 메모리,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distributed arrangement among the operation ports according to the load modu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a total of four load modules (processo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emory, and display) exist in the terminal.

표 1은 이하의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될 각 부하모듈 별 단위시간당 전류소모량,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의 정보를 나타낸다.Table 1 shows the current consumption per unit time and the ratio of the drive request time per unit time for each load module to be used in the following first embodiment.

부하모듈Load module 단위시간당 전류소모량,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
Current consumption per unit time,
Percentage of driving time required per unit time
장치ADevice A 200mA, 40%200mA, 40% 장치BDevice B 50mA, 30%50mA, 30% 장치CDevice C 30mA, 20%30 mA, 20% 장치DDevice D 10mA, 10%10mA, 10%

각각의 부하모듈은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자신의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일부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동작 구간이 배치됨을 설명한 바 있다. Each of the load modules has been described in which an operation section is arranged for a part of a sub time section corresponding to a driving time ratio per unit time among the plurality of sub time sections.

단위시간(100㎳)이 10㎳ 단위의 10개의 서브시간 구간으로 구성된 경우, 표 1의 부하모듈 중 '장치A' 모듈은 총 10개의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40%에 대응하는 4개의 임의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동작 구간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장치B', '장치C', '장치D'는 각각 10개의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3개, 2개, 1개의 임의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동작 구간이 배치된다.When the unit time (100 ms) is constituted by 10 sub-time intervals in units of 10 ms, the 'device A' module of the load module of Table 1 outputs four arbitrary sub-time intervals corresponding to 40% An operation section is arranged. According to this principle, the device B, the device C, and the device D are arranged in three, two, and one arbitrary sub time periods, respectively, of the ten sub time periods.

표 1의 실시예는 각각의 부하모듈에 대한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총 합(10개 = 4개 + 3개 + 2개 + 1개)이 서브시간 구간의 총 개수(10개)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해당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총 10개의 서브시간 구간별로 각 부하모듈(장치 A,B,C,D)의 동작구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동작구간을 배치한다. 이는 각각의 부하모듈의 구동이 서브시간 단위마다 동시에 진행되지 않도록 구동시간을 분산시키는 것으로서 특정 순간에 전류량이 집중되지 않도록 한다.In the embodiment of Table 1, the total number (10 = 4 + 3 + 2 + 1) of the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time per unit time for each load module is equal to the total number of sub time sections ) Or less. In this case, the operation sections are arranged such that the operation sections of the respective load modules (apparatuses A, B, C, and D) do not overlap each other for a total of 10 sub-time sections. This is to disperse the driving time so that the drive of each load module does not proceed simultaneously for every sub time unit, so that the current amount is not concentrated at a specific moment.

도 4는 도 2의 S220 단계에 대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구간 배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각 부하모듈 중에서 '장치A'는 제1, 제3, 제5, 제9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장치B'는 제2, 제6, 제8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장치C'는 제4, 제7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장치D'는 제10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동작구간을 분산 배치한 것이다. 여기서 각 부하모듈별 분산 배치되는 서브시간 구간의 위치는 반드시 도 4의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한 변형 예가 존재할 수 있다. FIG. 4 shows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on s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tep S220 of FIG. FIG.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 for the first, third, fifth, and ninth sub-time periods, the device B for the second, C 'is for the fourth and seventh sub-time periods, and' device D 'is the operation period for the tenth sub-time period. Here, the position of the sub time interval distributed for each load modul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case of FIG. 4, and there may be more various modifications.

도 4의 경우는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이 높은 부하모듈 순(A, B, C, D 순)(내림차순)으로 상기 동작구간을 순차적으로 배치한 것이다. 물론, 동작구간의 배치에 있어서 단위시간당 전류소모량이 높은 부하모듈 순으로 상기 동작구간을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표 1의 경우는 구동시간 비율이 높은 순과 전류소모량이 높은 순이 서로 동일한 경우(A, B, C, D 순)의 예를 나타내며, 본 실시예가 반드시 이와 같은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case of FIG. 4, the operating sections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load modules (in descending order of A, B, C, and D) in which the ratio of driving time per unit time is high.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equentially arrange the operation sections in order of load modules having high current consumption per unit time in arrangement among the operation openings. In the case of Table 1, examples in which the order of A, B, C, and D are the same in the order of high drive time ratio and the order of high current consumption are shown, and this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xample.

또한, 동작구간을 배치할 때에는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별로 전류소모량의 편차가 최소화되는 방향으로 각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분산 배치하도록 한다. 이는 구동시간 비율 기준 또는 전류소모량 기준의 동작구간 배치 과정에 대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소모량이 가장 높은 장치A의 경우 각 동작구간이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배치하며, 이러한 배치 예는 장치B 등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Further, when arranging the operation sections, the operation sections of the respective load modules are distributed and arr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eviation of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is minimiz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time sections. This can be applied to both the driving time ratio reference and the operation interval setting process based on the current consumption referen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apparatus A having the highest current consumption, the respective operation ports are arranged so as not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for the sub time period, and this arrangement example can also be applied to the apparatus B and the like.

표 2는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될 각 부하모듈 별 단위시간당 전류소모량,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의 정보를 나타낸다.Table 2 shows information on the current consumption per unit time and the ratio of driving time required per unit time for each load module to be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부하모듈Load module 단위시간당 전류소모량,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
Current consumption per unit time,
Percentage of driving time required per unit time
장치ADevice A 200mA, 60%200mA, 60% 장치BDevice B 50mA, 40%50mA, 40% 장치CDevice C 30mA, 30%30 mA, 30% 장치DDevice D 10mA, 20%10mA, 20%

표 2의 경우는 각각의 부하모듈에 대한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총 합(15개 = 6개 + 4개 + 3개 + 2개)이 서브시간 구간의 총 개수(10개)보다 큰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일부 또는 전체 서브시간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에 겹침이 발생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In Table 2, the total number (10 = 6, 4 + 3 + 2) of the number of sub time segments corresponding to the ratio of driving time per unit time to each load module (15 = . In such a case, it is necessary to arrange such that overlapping occurs between the operation port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in a part or all of the sub time periods of the plurality of sub time sections.

도 5는 도 2의 S220 단계에 대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구간 배치 예를 나타낸다. 도 5와 같이, 각 부하모듈 중에서 '장치A'는 제1, 제2, 제4, 제5, 제8, 제9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동작구간이 배치되어 있다. '장치B'는 '장치A'의 동작구간과 겹치지 않도록 제3, 제6, 제7, 제10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동작구간이 배치되어 있다. 이후 '장치C'와 '장치D'는 동작구간이 겹치도록 배치되는데, '장치C'는 제3, 제6, 제10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장치D'는 제1, 제8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동작구간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부하모듈별 분산 배치되는 서브시간 구간의 위치는 반드시 도 5의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한 변형 예가 존재할 수 있다. FIG. 5 shows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operation s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tep S220 of FIG. As shown in FIG. 5, 'device A' among the respective load modules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second, fourth, fifth, eighth, and ninth sub time intervals. The device B is arranged between the operation zones for the third, sixth, seventh, and tenth sub time periods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operation space of the device A '. Hereinafter, the device C and the device D are arranged such that the operation areas overlap each other. The device C is arranged for the third, sixth and tenth sub time sections, the device D is arranged for the first and eighth sub time sections As shown in Fig. Here, the position of the sub time interval distributed for each load modul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case of FIG. 5, and there may be more various modifications.

도 5의 경우는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이 높은 부하모듈 순(A, B, C, D 순)으로 상기 동작구간을 순차적으로 배치한 것이다. 물론, 동작구간의 배치에 있어서 단위시간당 전류소모량이 높은 부하모듈 순으로 상기 동작구간을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표 2의 경우는 구동시간 비율이 높은 순과 전류소모량이 높은 순이 서로 동일한 경우(A, B, C, D 순)의 예를 나타내는데, 본 실시예가 반드시 이와 같은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case of FIG. 5, the operation sections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order of load modules (A, B, C, and D in order) having a high driving time ratio per unit tim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equentially arrange the operation sections in order of load modules having high current consumption per unit time in arrangement among the operation openings. Table 2 shows examples of cases in which the order of high driving time ratio and the order of high current consumption are the same (in order of A, B, C, and D),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an example.

또한, 동작구간을 배치할 때에는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별로 전류소모량의 편차가 최소화되는 방향으로 각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분산 배치하도록 한다. 이는 구동시간 비율 기준 또는 전류소모량 기준의 동작구간 배치 과정에 대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Further, when arranging the operation sections, the operation sections of the respective load modules are distributed and arr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eviation of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is minimiz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time sections. This can be applied to both the driving time ratio reference and the operation interval setting process based on the current consumption reference.

예를 들어 도 5의 경우와 같이 장치 A, B 순으로 10개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모두 동작구간이 배치된 이후, 장치 C의 동작구간 배치 시에는 전류소모량이 낮게 할당된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동작구간을 배치한다. 표 2를 참조하면, 장치 A는 장치 B보다 전류소모량이 많으므로, 장치 C의 동작구간은 장치 A의 동작구간이 아닌 장치 B의 동작구간과 겹치도록 배치한다. 즉, 장치 B의 동작구간으로 할당된 제3, 제6, 제7, 제10 서브시간 구간 중 선택된 3개의 서브시간 구간에 장치 C의 동작구간을 할당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all of the 10 sub-time period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devices A and B, and then, during the operation period of the device C, . Referring to Table 2, since the apparatus A consumes more current than the apparatus B, the operating period of the apparatus C is arranged so as to overlap with the operating range of the apparatus B, not the operating range of the apparatus A. That is, an operation period of the device C is allocated to three selected sub time periods of the third, sixth, seventh, and tenth sub time periods allocated to the operation period of the device B.

이후, 장치 D의 동작구간 배치 시에는, 전체 10개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가장 전류소모량이 낮은 구간 즉, 장치 B의 동작구간으로 단독 할당된 제7 서브시간 구간에 대해 먼저 1개를 배치한다. 다음, 장치 D에 대한 나머지 1개는 장치 B와 C, 또는 장치 B와 D의 동작구간이 중복 배치된 제3, 제6, 제7, 제10 중에서도 장치 B와 D의 동작 구간으로 중복 배치된, 가장 전류소모량이 낮은 제7 서브시간 구간에 배치한다. 다만, 장치 D는 두 개의 서브시간 구간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 해당되며, 장치 D에 대한 2개의 동작구간 중에서 1개는 이미 제7 서브시간 구간에 배치되어 있어서, 나머지 1개 동작구간은 제7 서브시간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9개의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가장 전류소모량이 낮은 구간(장치 B와 C가 중복 배치된 제3 또는 제6 서브시간 구간) 상에 배치한다. 이때, 상기 설명과 같이 가장 전류소모량이 낮은 구간에 장치 D의 동작 구간을 배치할 수 있으나, A에 대한 동작 구간만 설정된 제1, 제2, 제4, 제5, 제8, 제9 서브시간 구간에 장치 D의 동작 구간을 배치할 수도 있다. 도 5의 실시예는 장치 D에 대한 동작 구간이 제7 서브시간 구간 및 제3 서브시간 구간에 각각 배치된 예이다.Then, at the time of arrangement of the device D, one device is first allocated to the seventh sub-time period that is allocated to the operation interval of the device B with the lowest current consumption among all the 10 sub-time intervals. Then, the remaining one for the device D is the device B and the device B, and the device D for the device B and the device D for the third, the sixth, the seventh, and the tenth, And is placed in the seventh sub-time period with the lowest current consum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vice D corresponds to a device requiring two sub-time intervals, and one of the two operation intervals for the device D is already arranged in the seventh sub-time period, (The third or sixth sub time interval in which the devices B and C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mong the nine sub time periods except for the sub time period. At this time, although the operation period of the device D can be arranged in the interval of the lowest current consumption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period of the device D can be set to the first, second, fourth, fifth,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operation period of the device D in the interval. The embodiment of FIG. 5 is an example in which the operation period for the device D is arranged in the seventh sub time period and the third sub time period, respectively.

이와 같은 과정은 장치 A의 전류소모량(200mA)은 장치 B와 C의 전류소모량을 합한 값(80mA) 또는 장치 B와 D의 전류소모량을 합한 값(60mA)보다 크고, 장치 B와 C의 전류소모량을 합한 값(80mA)은 장치 B와 D의 전류소모량을 합한 값(60mA)보다 큰 것에 기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외에도 각 서브시간 구간별로 총 전류소모량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시간 구간별 편차 계산 과정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This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current consumption (200mA) of device A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current consumption of devices B and C (80mA) or the current consumption of devices B and D (60mA) (80mA) is based on the sum of the current consumption of devices B and D (60mA).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urther add a substantial time interval deviation calculation process for minimizing the deviation of the total current consumption for each sub time interval.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간에 따른 전류소모량 편차를 줄인 예를 나타낸다. 도 6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하지 않은 A의 경우는 복수의 부하모듈이 동시 구동될 때 전류소모량의 피크 점이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를 적용한 B의 경우는 복수의 부하모듈이 동시에 구동되더라도 각각의 부하모듈에 대한 동작 구간을 미소 시간구간 별로 분산 배치하여 시간 흐름에 따른 전류소모량의 편차를 확연히 줄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포이케르트의 법칙(Peukert's Law)에 따르도록 전지로부터 끌어내는 시간당 부하 전류량을 작도록 조절하여, 기존에 비하여 보다 많은 에너지를 끌어내어 사용할 수 있으며 전지의 사용 기간을 늘릴 수 있다.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urrent consumption variation over time is redu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6, it can be seen that a peak point of the current consumption occurs intermittently when a plurality of load modules are simultaneously driven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A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case of 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even when a plurality of load modules are simultaneously driven, the operation intervals for the respective load modules are distributed and arranged in each of the minute time periods,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variation in current consumption over time .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mount of load current per hour drawn from the battery is adjusted to be small according to the Peukert's Law, so that more energy can be drawn out and used, .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 내의 부하모듈 간의 에너지 부하를 시간적으로 분산하여 전지의 순간 최대 부하율을 감소시키고 전지의 가용 에너지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시간에 따른 최대 순간 에너지량을 제한할 수 있으며, 개별 시간 구간 내에 할당할 수 있는 각 부하모듈의 에너지량 요구를 제한적으로 배당하여, 단말기의 전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load between the load modules in the terminal is temporally dispersed to reduce the instantaneous maximum load factor of the battery and maximize the available energy capacity of the battery.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limit the maximum instantaneous energy amount over time and allocate the energy amount demand of each load module that can be allocated within the individual time interval, thereby efficiently managing the battery energy of the terminal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전기 가용량 관리 장치 110: 정보 수집부
120: 동작구간 배치부 130: 구동신호 전송부
100: electricity availability management device 110:
120: operation section arrangement section 130: drive signal transmission section

Claims (16)

전기 가용량 관리 장치를 이용한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부하모듈로부터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과 상기 단위시간당 전류소모량을 각각 전송받는 단계;
상기 단위시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시간에 따라 분산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부하모듈의 개별 동작구간에 대응하는 온오프 구동신호를 해당 부하모듈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시간에 따라 분산 배치하는 단계는,
각각의 상기 부하모듈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일부 서브시간 구간에 상기 부하모듈의 동작 구간을 배치하며,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이 높은 부하모듈 순으로 상기 동작구간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
A method for managing an electricity availability using an electricity availability management apparatus,
Receiving a driving demand time ratio per unit time and a current consumption amount per unit time from a plurality of load modules;
Distributing an operation period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according to time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sub time periods constituting the unit time by considering the drive time ratio per unit time; And
And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on-off drive signal between the individual operation ports of the load module to the corresponding load module,
The step of distributing and arranging the operation period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according to time may include:
For each of the load modules, an operation section of the load module is arranged in a part of a sub tim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drive time ratio per unit time among the plurality of sub time sections, And sequentially arranging the operation sections in module order.
전기 가용량 관리 장치를 이용한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부하모듈로부터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과 상기 단위시간당 전류소모량을 각각 전송받는 단계;
상기 단위시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시간에 따라 분산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부하모듈의 개별 동작구간에 대응하는 온오프 구동신호를 해당 부하모듈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시간에 따라 분산 배치하는 단계는,
각각의 상기 부하모듈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일부 서브시간 구간에 상기 부하모듈의 동작 구간을 배치하며, 상기 전류소모량이 큰 부하모듈 순으로 상기 동작구간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
A method for managing an electricity availability using an electricity availability management apparatus,
Receiving a driving demand time ratio per unit time and a current consumption amount per unit time from a plurality of load modules;
Distributing an operation period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according to time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sub time periods constituting the unit time by considering the drive time ratio per unit time; And
And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on-off drive signal between the individual operation ports of the load module to the corresponding load module,
The step of distributing and arranging the operation period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according to time may include:
For each of the load modules, an operation section of the load module is arranged in a part of a sub-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drive time ratio per unit time among the plurality of sub-time sections, And the operation period is sequentially arrang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부하모듈에 대한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총 합이 상기 서브시간 구간의 총 개수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별로 상기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배치하는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the total sum of the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time per unit time for each of the load modules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number of the sub time periods,
And arranging the operation period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so that the operation sections of the load modules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sub time sections.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부하모듈에 대한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총 합이 상기 서브시간 구간의 총 개수보다 큰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일부 또는 전체 서브시간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에 겹침이 발생하도록 배치하는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the total sum of the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time per unit time for each of the load modules is larger than the total number of the sub time periods,
So that overlapping occurs between the operation port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in a part or all of the sub time intervals among the plurality of sub time interval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시간에 따라 분산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별로 상기 전류소모량의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분산 배치하는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istributing and arranging the operation period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according to time may include:
Wherein the operating period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are distributed and arranged such that the deviation of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is minimiz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 time periods.
삭제dele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시간에 따라 분산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별로 상기 전류소모량의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분산 배치하는 전기 가용량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of distributing and arranging the operation period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according to time may include:
Wherein the operating period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are distributed and arranged such that the deviation of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is minimiz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 time periods.
복수의 부하모듈로부터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과 상기 단위시간당 전류소모량을 각각 전송받는 정보 수집부;
상기 단위시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시간에 따라 분산 배치하는 동작구간 배치부; 및
상기 부하모듈의 개별 동작구간에 대응하는 온오프 구동신호를 해당 부하모듈에 각각 전송하는 구동신호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구간 배치부는,
각각의 상기 부하모듈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일부 서브시간 구간에 상기 부하모듈의 동작 구간을 배치하며,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이 높은 부하모듈 순으로 상기 동작구간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전기 가용량 관리 장치.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receiving a driving demand time ratio per unit time and a current consumption amount per unit time from a plurality of load modules;
An operation section arrangement section which distributes and arranges operation section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sub time sections constituting the unit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drive request time ratio per unit time; And
And a drive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on-off drive signal between the individual operation ports of the load module to the corresponding load module,
Wherein the operation section arrangement section comprises:
For each of the load modules, an operation section of the load module is arranged in a part of a sub tim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drive time ratio per unit time among the plurality of sub time sections, And sequentially arranging the operation sections in order of modules.
복수의 부하모듈로부터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과 상기 단위시간당 전류소모량을 각각 전송받는 정보 수집부;
상기 단위시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에 대하여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요구시간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시간에 따라 분산 배치하는 동작구간 배치부; 및
상기 부하모듈의 개별 동작구간에 대응하는 온오프 구동신호를 해당 부하모듈에 각각 전송하는 구동신호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구간 배치부는,
각각의 상기 부하모듈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일부 서브시간 구간에 상기 부하모듈의 동작 구간을 배치하며, 상기 전류소모량이 큰 부하모듈 순으로 상기 동작구간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전기 가용량 관리 장치.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receiving a driving demand time ratio per unit time and a current consumption amount per unit time from a plurality of load modules;
An operation section arrangement section which distributes and arranges operation section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sub time sections constituting the unit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drive request time ratio per unit time; And
And a drive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on-off drive signal between the individual operation ports of the load module to the corresponding load module,
Wherein the operation section arrangement section comprises:
For each of the load modules, an operation section of the load module is arranged in a part of a sub-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drive time ratio per unit time among the plurality of sub-time sections, And the operation section is sequentially arranged.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부하모듈에 대한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총 합이 상기 서브시간 구간의 총 개수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별로 상기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배치하는 전기 가용량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When the total sum of the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time per unit time for each of the load modules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number of the sub time periods,
And arranges the operation section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so that the operation sections of the load modules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sub time sections.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부하모듈에 대한 상기 단위시간당 구동시간 비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총 합이 상기 서브시간 구간의 총 개수보다 큰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 중에서 일부 또는 전체 서브시간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에 겹침이 발생하도록 배치하는 전기 가용량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When the total sum of the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time per unit time for each of the load modules is larger than the total number of the sub time periods,
Wherein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are arranged such that overlap occurs between the operation port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in a partial or entire sub time interval among the plurality of sub time intervals.
삭제delet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동작구간 배치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별로 상기 전류소모량의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분산 배치하는 전기 가용량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operation section arrangement section comprises:
And distributes the operation section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so as to minimize the deviation of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 time periods.
삭제delet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동작구간 배치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시간 구간별로 상기 전류소모량의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복수의 부하모듈의 동작구간을 분산 배치하는 전기 가용량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operation section arrangement section comprises:
And distributes the operation sections of the plurality of load modules so as to minimize the deviation of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 time periods.
KR1020130016315A 2013-02-15 2013-02-15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usable capacity and apparatus thereof KR1014144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315A KR101414444B1 (en) 2013-02-15 2013-02-15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usable capacity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315A KR101414444B1 (en) 2013-02-15 2013-02-15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usable capacity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4444B1 true KR101414444B1 (en) 2014-07-04

Family

ID=51740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315A KR101414444B1 (en) 2013-02-15 2013-02-15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usable capacity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44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062B1 (en) * 2017-11-10 2019-04-26 네모시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distributed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524A (en) * 1998-09-12 2000-04-15 윤종용 Portable terminal equipment for low power
KR20100111701A (en) * 2008-02-07 2010-10-15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System and methods for scheduling power us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524A (en) * 1998-09-12 2000-04-15 윤종용 Portable terminal equipment for low power
KR20100111701A (en) * 2008-02-07 2010-10-15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System and methods for scheduling power us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062B1 (en) * 2017-11-10 2019-04-26 네모시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distribute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8341B2 (en) Method of allocating unique identifier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CN106740224B (en) Electric automobi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KR20130026249A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ier allowcation of multi-slave in battery pack
US10790695B2 (en) Splicing display screen, method for powe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20110161024A1 (en) Battery multi-series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03733492B (en) The method of communication equipment, electrical source exchange system and control electrical source exchange system
CN105027658A (en) Scalable discovery in contention-based peer-to-peer wireless networks
US20130158727A1 (en) Control system of energy storage cluster and method for distributing energy using the same
KR102366739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e or discharge of batteries, system for controlling charge or discharge of batteri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e or discharge of batteries
CN111083245A (en) Address allocation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grid connection of multiple batteries
CN103782486A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nd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nd power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nd charging system
KR20130058373A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ier allowcation of multi-bms
CN104427555A (en) Method for cutting off SP (service period), network controller and STA (station)
CN103972956A (en) Battery and method for regulating a battery voltage using switch-on probabilities
CN105608859A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wireless control in tools
US10404069B2 (en) Driving circuit, driving arrangement and driving method, suitable for grid feeding
JP2019033626A (en) Light feeding system
CN104950829A (en) Bus system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02609075A (en) Power management circuit of multi-core processor
CN103683387A (en) Charger, charging method and device, and control chip
KR101414444B1 (en)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usable capacity and apparatus thereof
JP4586587B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US20100100252A1 (en) Centralized Energy Management in Distributed Systems
US11437812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istributed direct current power supply system
US20130057072A1 (en) Uninterrupted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supplying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