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560B1 -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560B1
KR101413560B1 KR1020120122872A KR20120122872A KR101413560B1 KR 101413560 B1 KR101413560 B1 KR 101413560B1 KR 1020120122872 A KR1020120122872 A KR 1020120122872A KR 20120122872 A KR20120122872 A KR 20120122872A KR 101413560 B1 KR101413560 B1 KR 101413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ode
light emitting
ligh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681A (ko
Inventor
허두창
김근주
박영진
신기영
양종렬
전성채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2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560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밴드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는, 휴대가 간편한 밴드형으로 구성됨으로써 각 개인이 휴대하면서 외부 전원이 없는 곳에서도 광선치료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손가락 등의 굴곡이 있는 신체 부위에도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 {BAND-TYPE PHOTOTHERAPY DEVICE}
본 발명은 광선치료(phototherapy)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밴드형으로 형성되는 광선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선치료 요법은 자연광 또는 인공광을 신체의 일부에 조사하여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여드름 등의 피부질환 치료 뿐만 아니라 상처 치료, 피부암 치료 등 광범위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환의 성격에 따라 적절한 파장 및 세기의 광을 선택하여 조사하면, 광자(photon)가 피부를 통해 전달 또는 흡수되어 신체의 대사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등의 작용을 하여 질환을 치료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광선치료 장치는 부피가 큰 대형 장치로 이루어져 있어서, 광선치료를 받기 원하는 환자가 광선치료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병원 등에 직접 방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각 가정에서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거나 휴대하면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한 문제가 있다.
또한, 그 크기를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감소시키더라도, 광원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외부 전원에 연결하여야 하므로,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없는 장소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광선치료 장치는 플렉시블(flexible)하지 않아, 굴곡이 있는 치료 부위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선치료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병원 등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각 개인이 휴대하면서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광선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터리를 내장하여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없는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광선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피부에 직접 접착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밴드형으로 형성되어 손가락 등의 굴곡이 있는 치료 부위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광선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밴드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광부는 유연기판 상부에 발광층이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발광층의 상부에 보호층 또는 광확산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층은,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엘이디칩, 상기 제1전극과 연결되는 제1전극부를 통해 상기 엘이디칩과 연결되는 제1배선, 상기 제2전극과 연결되는 제2전극부를 통해 상기 엘이디칩과 연결되는 제2배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배선 및 제2배선은 각각 배선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는 배터리 전극에서 연장된 배터리 전극 연장선을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 전극 연장선이 상기 배선 연장부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상기 발광부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전극 연장선과 상기 배선 연장부 사이에는 전원 차단부가 제거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배터리 전극 연장선과 상기 배선 연장부 사이에 재삽입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는, 상기 배터리가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이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부 또는 외부의 송전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수전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전력 공급 방식으로는 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명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에 따르면, 광선치료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병원 등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각 개인이 휴대하면서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에 따르면,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어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없는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에 따르면, 피부에 직접 접착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밴드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손가락 등의 굴곡이 있는 치료 부위에도 적절히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의 발광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층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의 단면도
도 5는 격자형 구조 광확산층을 적용한 발광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의 사용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100)는 밴드부(110), 상기 밴드부(11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120), 상기 밴드부(11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120)에 전원공급부(131)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밴드부(110)는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10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굴곡이 있는 신체 부위에 접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치료 부위의 면적이나 용도에 따라, 그 크기나 모양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발광부(120)는 광선치료를 위한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LED 칩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그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배터리(130)는 발광부(120)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구성으로서, 발광부(120)와는 전원공급부(131)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공급부(131)는 2개 이상의 도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터리(130)는 공지된 종이 배터리 또는 박형 배터리 등 플렉시블한 배터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터리의 구체적인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는 무관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배터리(130)는 충전이 불가능한 1차 전지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의 발광부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의 발광부(200)는 유연기판(210) 위에 발광층(220)이 적층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발광층(220) 위에 보호층(230) 또는 광확산층(240)이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유연기판(210)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이미드(Polyimide), PDMS(Polydimethylsiloxa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며, 발광층(220)이 적층되는 면의 반대측면이 밴드부(110)에 접착된다. 이때, 유연기판(210)의 일면에는 발광층(220)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반사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반사층은 알루미늄(Al) 등의 금속막일 수 있다. 반사층은 발광층(220)과의 절연을 위하여 발광층(220)이 적층되는 면이 아닌 밴드부(110)에 접착되는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층(220)은 복수의 엘이디칩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층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발광층(3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발광층(300)은 복수의 엘이디칩(310), 상기 엘이디칩(3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배선(320) 및 제2배선(330), 제1, 2배선(320, 330)과 엘이디칩(310)의 제1, 2전극(미도시)을 각각 연결하는 제1전극부(321) 및 제2전극부(331)로 구성된다. 제1배선(320)은 복수의 엘이디칩(310)의 제1전극(미도시)과 인접 배치되어 제1전극과 제1전극부(321)로 연결되며, 제2배선(330)은 복수의 엘이디칩(310)의 제2전극(미도시)과 인접 배치되어 제2전극과 제2전극부(331)로 연결된다. 제1, 2배선(320, 330)은 각각 발광층(300)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전원공급부(131)와 연결됨으로써 배터리(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제1배선 연장부(322) 및 제2배선 연장부(332)를 더 구비한다.
도 4는 도 3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도 4와 같이, 엘이디칩(410)의 양측에 제1배선(420) 및 제2배선(430)이 각각 인접 배치되어, 제1배선(420)과 엘이디칩(410)의 제1전극(411)은 제1전극부(421)을 통해, 제2배선(430)과 엘이디칩(410)의 제2전극(412)은 제2전극부(431)를 통해 연결된다. 도 4에서는 제1전극(411) 및 제2전극(412)이 엘이디칩(410)의 상부에 모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엘이디칩(410)의 구조나 제1, 2전극(411, 412)의 형성 위치에 따라 제1전극부(421) 및 제2전극부(431)의 위치도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1배선(420) 및 제2배선(430)은 유연기판 위에 금속막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패터닝 방법으로는 리프트-오프(lift-off)법이나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등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엘이디칩(410)은 별도로 제작하여 제1,2 배선(420, 430)이 형성된 유연기판 위에 부착한 후 제1, 2전극부(421, 431)를 통해 제1, 2배선(420, 430)과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발광층(220) 상부에는 엘이디칩 및 제1, 2배선, 제1, 2전극부 등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passivation layer)(230)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층(230)으로는 투명한 고분자 물질, 예를 들어 PDMS(Polydimethylsiloxane) 또는 페릴렌(Perylene)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광확산층(240)이 형성될 수 있는데, 광확산층(240)은 복수의 엘이디칩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면균일도 및 광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광확산층(240)은 엘이디칩의 직상방과 엘이디칩들 사이의 위치에서는 광량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광확산층(240)으로는 격자형 구조 혹은 광결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발광층의 일부 단면도로서, 보호층(520) 상부에 광확산층(530)으로서 격자형 구조를 사용한 예이다. 이때 위치에 따라 격자간 간격을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엘이디칩(51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면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엘이디칩(510)의 직상방에 인접한 위치의 격자간 간격(a)은 넓게 하고 엘이디칩(510) 사이에 위치한 격자간 간격(b)는 좁게 하는 식으로 위치별 빛의 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도 5는 광확산층의 한 예일 뿐이며, 다양한 형태의 광확산층이 사용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600)는 밴드부(610), 상기 밴드부(61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620), 상기 밴드부(61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620)에 전원공급부(631)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30), 외부 전원과 연결하여 배터리(63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밴드부(610)는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60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굴곡이 있는 신체 부위에 접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치료 부위의 면적이나 용도에 따라, 그 크기나 모양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발광부(620)는 광선치료를 위한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LED 칩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그 구체적인 구조는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동일하다.
배터리(630)는 발광부(620)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구성으로서, 발광부(620)와는 전원공급부(631)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공급부(631)는 2개 이상의 도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는 배터리(630)가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전 단자부(640)는 외부전원공급부(641)로 배터리(630)와 연결되어 있고,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외부 전원과 접속하여 배터리(630)를 충전하며, 그 단자의 규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배터리(630)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700)는 밴드부(710), 상기 밴드부(71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720), 상기 밴드부(71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720)에 전원공급부(731)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730), 외부의 송전부(75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730)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수전부(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의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700)는 도 6의 장치와 비교하여 충전단자부(640) 대신에 수전부(740)를 구비하였다는 점을 제외하면 그 구성이 동일한데, 도 6의 장치는 충전단자부(640)를 통해 유선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반면, 도 7의 장치는 수전부(740)를 통해 무선으로 배터리를 충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무선충전 방식으로는 자기유도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즉 외부의 송전부(750) 및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700)의 수전부(740)에 각각 코일을 내장하고, 외부의 송전부(750)에 내장된 코일에 전류를 흘려주면 자기장이 형성되면서 이에 근접하여 위치시킨 수전부(740) 코일에 유도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730)를 충전시키는 방식이다. 이때 송전부(750)로는 전용 충전기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무선송전기능을 내장한 노트북,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가 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기기를 송전부(750)로 사용할 경우 별도의 전용 충전기를 소지하지 않아도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의 휴대성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방식이 자기유도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기공명방식 등 다른 무선충전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한편, 배터리와 발광부가 전원공급부를 통해 항상 연결된 상태로 있게 되면, 실제로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배터리가 소모되게 되므로, 전원공급부에는 배터리와 발광부를 절연시키는 전원차단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8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부(800)는, 배터리 전극(83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배터리 전극 연장선(840)이 발광부의 배선연장부(820)과 접촉하여 배터리 전력을 발광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전극 연장선(840)과 배선연장부(820) 사이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전원차단부재(850)가 삽입되어,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발광부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배터리 전극 연장선(840)은 전원차단부재(850)를 제거하면 배선 연장부(820)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하방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탄성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금속제의 판스프링일 수 있다. 이때,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의 피부 접촉면 측에 구비되는 커버부재를 전원차단부재(850)로 사용하여, 커버를 벗기면 자연스럽게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원차단부재(850)를 제거하여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를 일정 시간 사용한 후에, 전원차단부재(850)를 배터리 전극 연장선(840)과 배선 연장부(820) 사이에 다시 삽입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막을 수 있다. 이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배터리 전극 연장선(840)을 들어올리고 전원차단부재(850)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는 사용 전에는 전원차단부재에 의해 발광부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있으므로, 우선 전원차단부재를 제거하여 발광부로 배터리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S910).
다음은 치료 부위에 발광부가 접하도록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를 부착하며(S920), 소정의 치료 시간 동안 치료를 진행한다(S930). 이때, 치료 목적에 맞는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가 구비된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를 부착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치료 시간이 완료되면,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를 탈착하며(S940),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거하였던 전원차단부재를 이용하여 배터리와 발광부의 전기적인 접속을 다시 차단한다(S950). 배터리가 2차 전지인 경우에는, 외부 전원 또는 외부 송전부를 이용한 충전을 이어서 진행할 수도 있다(S960).
이상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600, 700: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
110, 610, 710: 밴드부
120, 200, 620, 720: 발광부
130, 630, 730: 배터리
131, 631, 731, 800: 전원공급부
210, 810: 유연기판
220, 300: 발광층
230, 520: 보호층
240, 530: 광확산층
310, 410, 510: 엘이디칩
320, 420: 제1배선
330, 430: 제2배선
321, 421: 제1전극부
331, 431: 제2전극부
322, 820: 제1배선 연장부, 332, 820: 제2배선 연장부
411: 제1전극, 412: 제2전극
640: 충전단자부
740: 수전부, 750: 송전부
641, 741: 외부전원 공급부
830: 배터리 전극, 840: 배터리전극 연장선
850: 전원차단부

Claims (11)

  1.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밴드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유연기판 상부에 발광층이 적층된 구조이고,
    상기 발광층은,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엘이디칩;
    상기 제1전극과 연결되는 제1전극부를 통해 상기 엘이디칩과 연결되는 제1배선;
    상기 제2전극과 연결되는 제2전극부를 통해 상기 엘이디칩과 연결되는 제2배선;
    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층 상부에 광확산층이 더 구비되고,
    상기 광확산층은 격자간 간격이 위치에 따라 상이한 격자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 상부에 보호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선 및 제2배선은 각각 배선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는 배터리 전극에서 연장된 배터리 전극 연장선을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 전극 연장선이 상기 배선 연장부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상기 발광부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극 연장선과 상기 배선 연장부 사이에는 전원 차단부가 제거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배터리 전극 연장선과 상기 배선 연장부 사이에 재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
  9. 제1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이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
  10. 제1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이고,
    외부의 송전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수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부는 상기 송전부로부터 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명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


KR1020120122872A 2012-11-01 2012-11-01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 KR101413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872A KR101413560B1 (ko) 2012-11-01 2012-11-01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872A KR101413560B1 (ko) 2012-11-01 2012-11-01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681A KR20140055681A (ko) 2014-05-09
KR101413560B1 true KR101413560B1 (ko) 2014-08-06

Family

ID=5088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872A KR101413560B1 (ko) 2012-11-01 2012-11-01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5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380A (ko) 2018-12-24 2020-07-03 주식회사 한아아이티 파장조절기능을 갖는 부착식 광선 치료기
KR20210114738A (ko) 2020-03-11 2021-09-24 주식회사 에보레이 피부질환 치료용 초소형 광 치료장치
WO2021235865A1 (ko) * 2020-05-21 2021-11-25 (주)케이디엔에이 스마트 헬스 케어용 스트레처블 근적외선 led 밴드
KR20220127577A (ko) 2021-03-11 2022-09-20 주식회사 한걸음 아크 발생기를 이용한 온열 발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371B1 (ko) 2016-12-09 2018-10-02 금강어드밴스 주식회사 아크 발생 장치
KR102067101B1 (ko) * 2017-11-17 2020-01-15 한국광기술원 스트레처블 패치
KR20200063866A (ko) 2018-11-28 2020-06-05 (주)링크옵틱스 Uv led를 이용한 패치형 백반증 치료장치
CN113950177B (zh) * 2021-10-11 2024-05-14 北京翌光医疗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柔性光医疗器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594B1 (ko) * 2008-01-15 2010-08-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2상 초음파 진동 발생기 및 led소자를 구비한 휴대용복합 물리 치료기
KR100982946B1 (ko) * 2008-11-19 2010-09-17 주식회사 썬라이팅 발광다이오드램프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594B1 (ko) * 2008-01-15 2010-08-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2상 초음파 진동 발생기 및 led소자를 구비한 휴대용복합 물리 치료기
KR100982946B1 (ko) * 2008-11-19 2010-09-17 주식회사 썬라이팅 발광다이오드램프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380A (ko) 2018-12-24 2020-07-03 주식회사 한아아이티 파장조절기능을 갖는 부착식 광선 치료기
KR20210114738A (ko) 2020-03-11 2021-09-24 주식회사 에보레이 피부질환 치료용 초소형 광 치료장치
WO2021235865A1 (ko) * 2020-05-21 2021-11-25 (주)케이디엔에이 스마트 헬스 케어용 스트레처블 근적외선 led 밴드
KR20220127577A (ko) 2021-03-11 2022-09-20 주식회사 한걸음 아크 발생기를 이용한 온열 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681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560B1 (ko) 밴드형 광선치료 장치
ES2796327T3 (es) Sistema de vendaje para fototerapia
CN101711173A (zh) 包括光和冷治疗形态的治疗设备
US20160344238A1 (en) Midfield coupler
KR102067101B1 (ko) 스트레처블 패치
US20190240494A1 (en) External power devices and systems
KR101385707B1 (ko) 가시광선을 이용한 색광 치료 시스템
US10561854B2 (en) PAMS technology-based skin adhesive-type low level light irradiator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40303692A1 (en) Therapeutic Laser Treatment Device
KR101846795B1 (ko)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
CN107507935A (zh) 绑带以及包括绑带的电子设备
KR101497020B1 (ko) 패치형 전자파 치료기
EP3436146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rmal repair management devices
KR101364973B1 (ko) 휴대용 무선충전 전력공급장치
KR100869229B1 (ko) 내시경용 마이크로캡슐의 무선 전력전달 시스템 및 무선전력전달 시스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내시경용마이크로캡슐
US20150190652A1 (en) Flexible lipolysis stimulating device
US20220152416A1 (en) Penis phototherapy device
CN209751975U (zh) 一种便携式弱激光照射治疗仪
CN205268845U (zh) 穿戴式光动力装置
CN109107050A (zh) Led红光脸部理疗带及其控制方法
Liu et al. Development of low-cost devices for image-guided photodynamic therapy treatment of oral cancer in global health settings
CN219481334U (zh) 一种护理仪
KR102643375B1 (ko) 남성 생식기 웨어러블 장치
Rusakov et al. Wireless optogenetic modules for mice
CN106474628A (zh) 用于改善糖尿病足皮肤损伤的柔性可穿戴式光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