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552B1 - 펄스 신호를 이용한 초고주파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펄스 신호를 이용한 초고주파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552B1
KR101413552B1 KR1020120055749A KR20120055749A KR101413552B1 KR 101413552 B1 KR101413552 B1 KR 101413552B1 KR 1020120055749 A KR1020120055749 A KR 1020120055749A KR 20120055749 A KR20120055749 A KR 20120055749A KR 101413552 B1 KR101413552 B1 KR 101413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signal
contact surface
microwave
high frequency
ski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860A (ko
Inventor
양종렬
김관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55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552B1/ko
Publication of KR2013013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초고주파 치료 장치는 복수 개의 펄스 신호 발생부 및 복수 개의 펄스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펄스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펄스 신호들이 중첩되는 영역이 치료 부위에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개개의 펄스 신호의 에너지가 치료에 요구되는 문턱값보다 작게 유지하면서도 치료 부위에는 고에너지의 초고주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료 부위 주위의 정상 세포가 초고주파 신호에 영향받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펄스 신호를 이용한 초고주파 치료장치 {MICROWAVE THERAPY DEVICE USING THE PULSE SIGNALS}
본 발명은 초고주파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펄스 신호를 이용한 초고주파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질병 치료 또는 미용 등의 용도로 초고주파 신호를 신체에 부분적으로 인가하는 초고주파 치료장치가 병원이나 미용 시설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신체에 초고주파를 인가하게 되면, 초고주파가 체내의 물 분자와 반응하거나 세포 내 고유 진동 주파수와 발진함으로써 비정상 세포의 재생을 돕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초고주파 치료장치(100)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초고주파 치료장치(100)는 초고주파 발생장치(110) 및 일측이 초고주파 발생장치(110)에 연결되는 도파관(waveguide)(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치로, 도파관(120)의 타측을 신체(130) 치료부위(131)에 접촉시킨 후 초고주파 발생장치(110)에서 초고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면 발생된 초고주파 신호가 도파관(120)을 통해 치료부위(131)에 전달되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초고주파는 신체(130), 특히 피부 표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종래의 초고주파 치료장치(100)의 경우 도파관(120)의 타측을 치료부위(131)에만 접촉시켜 사용하더라도 치료부위(131)의 비정상 세포 뿐만 아니라 주위 정상부위(132)의 정상 세포에도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치료 효과를 위해서는 소정의 문턱값(threshold) 이상의 에너지를 갖는 초고주파 신호를 발생시켜야 하므로, 도파관(120)이 접촉한 부분에 가까운 정상부위(132)일수록 높은 에너지의 초고주파 신호에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치료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에너지를 증가시킬 경우 이러한 위험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초고주파 치료장치(100)는 초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위치나 면적을 조절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치료부위(131)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원하는 치료부위(131)에만 정확히 초고주파 신호를 인가하거나,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초고주파 치료장치(100)는 크기가 대형이고 도파관(12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적인 치료 내지 미용 용도, 특히 모바일(Mobile)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그 외에도 도파관(120)은 전달하는 주파수에 따라 물리적인 개구면의 크기가 달라져야 하므로 종래의 초고주파 치료장치(100)를 다른 치료 목적으로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파관(120)을 교체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913호(2006.3.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치료부위 주위의 정상부위에 전달되는 에너지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작은 에너지의 초고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면서도 치료 부위에는 문턱값 이상의 에너지를 갖는 초고주파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종래기술에 비해 치료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초고주파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초고주파가 인가되는 위치나 면적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치료부위에만 정확히 초고주파 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며, 치료부위를 자동으로 인식하거나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초고주파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 주파수에 따라 도파관을 교체할 필요가 없고, 휴대 가능한 크기로 구현이 가능하여 개인적인 용도나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초고주파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고주파 치료장치는, 피부 접촉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초고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펄스 신호 발생부, 상기 복수 개의 펄스 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초고주파 신호를 상기 피부 접촉면으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펄스 신호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는 3개 이상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펄스 신호 송수신부의 동작 시간 또는 상기 복수 개의 펄스 신호 송수신부가 온(ON)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펄스 신호 전달부는 안테나일 수 있으며, 피부 접촉면에는 피부에 쉽게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주파 치료장치는, 상기 피부 접촉면 하부를 촬영하도록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고주파 치료장치는, 피부 접촉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초고주파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수신하는 복수 개의 펄스 신호 송수신부, 상기 복수 개의 펄스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발생된 초고주파 신호를 상기 피부 접촉면으로 전달하고, 피부 접촉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초고주파 신호를 상기 펄스 신호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펄스 신호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고주파 치료장치는, 초고주파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펄스 신호 발생부를 복수 개 구비하고, 상기 펄스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개개의 펄스 신호가 중첩되는 펄스 신호 중첩 영역이 치료 부위에 정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초고주파 치료 장치에 따르면, 치료부위 주위의 정상부위에 전달되는 에너지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작은 에너지의 초고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면서도 치료 부위에는 문턱값 이상의 에너지를 갖는 초고주파 신호가 전달되며, 종래의 초고주파 치료장치에 비해 치료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초고주파 치료 장치에 따르면, 초고주파가 인가되는 위치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치료부위에만 정확히 초고주파 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치료부위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동작하거나,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하여 치료 시간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초고주파 치료 장치에 따르면, 사용 주파수에 따라 도파관을 교체할 필요가 없고, 개인적인 치료 또는 미용 용도나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초고주파 치료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초고주파 치료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파 치료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 신호를 시간축 상에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주파 치료장치의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초고주파 치료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초고주파 처리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파 처리장치의 개념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초고주파 처리장치의 동작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파 치료장치(2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파 치료장치(200)는 몸체부(210), 복수의 펄스 신호 발생부(220) 및 복수의 펄스 신호 전달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210)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동전 크기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여 휴대하기 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측면은 치료 부위에 접촉되는 피부 접촉면(211)으로 형성된다. 치료에는 보통 수 십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상기 피부 접촉면(211)에는 피부에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접착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펄스 신호 발생부(220)는 초고주파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소형의 칩 형태의 트랜스미터(Transmitter)일 수 있으며, 각 펄스 신호 발생부(220)는 동일한 주파수의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랜스미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펄스 신호 전달부(230)는 각 펄스 신호 발생부(220)로부터 발생한 펄스 신호를 피부 접촉면(211)으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몸체부(210) 내에 삽입되어 그 일단은 각 펄스 신호 발생부(220)에 연결되고 타단은 피부 접촉면(211)에 노출되는 폴 안테나(Pole Antenna)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몸체부(210)는 유전체로 형성하고, 펄스 신호 전달부(230)는 몸체부(210)와는 유전율이 다른 유전체 폴 안테나(Dielectric Pole Antenna)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초고주파 치료장치(200)에는 각 펄스 신호 발생부(220)의 펄스 신호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펄스 신호 발생부(220) 및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복수의 펄스 신호 발생부(Tx1, Tx2,...,Txn)로부터 발생되는 펄스 신호의 파형을 시간축 상에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펄스 신호 발생부(Tx1, Tx2,...,Txn)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정 시간에 동작하여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때 펄스 신호를 동시에 발생시키지 않고 각기 다른 시간에 펄스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펄스 신호 발생부(Tx1)는 t1, 제2 펄스 신호 발생부(Tx2)는 t2,..., 제n 펄스 신호 발생부(Txn)은 tn의 시간에 각각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3에는 각 펄스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펄스 신호를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펄스 신호가 온(On), 오프(Off)되면서 소정의 주기로 반복된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3으로부터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어부가 각 펄스 신호 발생부(Tx1, Tx2,...,Txn)의 펄스 신호 발생 시간(t1, t2,...,tn)을 조절함으로써 치료 효과가 발생되는 위치, 즉 초고주파 신호의 에너지가 문턱값 이상이 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각 펄스 신호가 온(On)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Duty Time)을 조절함으로써 치료 효과가 발생되는 면적, 즉 초고주파 신호의 에너지가 문턱값 이상이 되는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주파 치료장치의 원리를 펄스 신호 발생부가 2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는 제1 펄스 신호 발생부(410a) 및 제2 펄스 신호 발생부(420a)에서 동시에 펄스 신호(411a, 421a)를 발생시킨 경우(t1=t2)를 예시한 도면이다. 각 펄스 신호 발생부(410a, 420a)에서 발생된 펄스 신호(411a, 421a)는 각 펄스 신호 발생부(410a, 420a)와 연결된 펄스 신호 전달부에 의해 초고주파 치료장치의 피부 접촉면까지 전달된 후, 피부 표면을 따라 이동한다. 각 펄스 신호(411a, 421a)의 이동 속도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제1 펄스 신호 발생부(410a)로부터 발생된 제1 펄스 신호(411a)와 제2 펄스 신호 발생부(420a)로부터 발생된 제2 펄스 신호(421a)는 동일한 거리(s1=s2)를 이동한 후 서로 중첩되게 되는데, 이때 두 펄스 신호(411a, 421a)가 중첩되는 부분에서는 각 펄스 신호의 위상 일치(in-phase) 현상에 의해 에너지가 배가되는 펄스 신호 중첩 영역(430a)이 나타난다.
이때, 각 펄스 신호(411a, 421a)의 에너지가 치료를 위해 필요한 문턱값보다 작더라도 펄스 신호 중첩 영역(430a)에는 두 펄스 신호가 중첩되어 높은 에너지가 전달되므로, 각 펄스 신호 발생부(410a, 420a)에서 발생되는 펄스 신호(411a, 421a)의 에너지는 치료를 위해 필요한 문턱값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펄스 신호 중첩 영역(430a)의 주위 영역은 문턱값 이하의 에너지만을 받게 되므로, 종래의 초고주파 치료장치와는 달리 정상 세포가 영향받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초고주파 치료장치에서는 치료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초고주파 신호의 에너지를 높이는 경우 주위 정상 세포도 문턱값 이상의 고에너지를 받게 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초고주파 치료장치는 각 펄스 신호 발생부(410a, 420a)에서 발생되는 펄스 신호(411a, 421a)의 에너지를 문턱값 이하로 유지하면서 가능한 높은 에너지의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주위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펄스 신호 중첩 영역(430a)에는 더 높은 에너지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고주파 치료 장치의 원리를 이용하면, 펄스 신호 중첩 영역의 위치 및 면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데,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도 4(b)는 제1 펄스 신호 발생부(410b) 및 제2 펄스 신호 발생부(420b)에서 서로 다른 시간에 펄스 신호(411b, 421b)를 발생시킨 경우(t1<t2)를 예시한 도면이다. 제1 펄스 신호 발생부(410b)에서 먼저 제1 펄스 신호(411b)가 발생된 후 제2 펄스 신호 발생부(420b)에서 제2 펄스 신호(421b)가 발생되므로, 펄스 신호 중첩 영역(430b)은 도 4(a)와 비교할 때 제2 펄스 신호 발생부(420b) 측에 더 치우친 위치에 나타나게 된다. 반대로, 제1 펄스 신호 발생부(410b)에서 제2 펄스 신호 발생부(420b)보다 더 늦게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에는(t1>t2) 펄스 신호 중첩 영역(430b)이 제1 펄스 신호 발생부(410b)에 더 가까운 위치에 나타남은 물론이다.
도 4(c)는 펄스 신호가 온(On)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Duty Time)을 조절하는 경우의 효과를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도 4(a)와 같이 각 펄스 신호 발생부(410c, 420c)에서 동시에 펄스를 발생시키되 펄스 신호가 온(On)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을 감소시킨 경우이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도 4(a)와 비교할 때 펄스 신호 중첩 영역(430c)의 면적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주파 치료장치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복수의 펄스 신호 발생부에서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간 및 펄스 신호가 온(On)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펄스 신호 중첩 영역의 위치 및 면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치료 부위의 위치 및 면적에 따라 최적의 치료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초고주파 치료장치를 치료 부위에 정확히 정렬하여 부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치료 부위를 선택하거나 치료 부위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등의 방법으로 펄스 신호 중첩 영역이 치료 부위에 정렬되도록 스스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도 4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펄스 신호 발생부가 2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펄스 신호 발생부가 2개인 경우에는 펄스 신호 중첩 영역이 여러 영역에서 나타날 수 있고, 그 위치 및 면적을 정밀하게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초고주파 치료장치는 펄스 신호 발생부가 3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펄스 신호 발생부의 수가 증가할수록 펄스 신호 중첩 영역의 위치 및 면적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펄스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펄스 신호의 에너지가 더 작더라도 펄스 신호 중첩 영역에서는 문턱값 이상의 고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어 정상 세포가 영향 받는 문제 및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초고주파 치료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초고주파 치료장치(500)를 피부 접촉면(511) 측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초고주파 치료장치(500)의 몸체부(510) 소정의 위치에 카메라 모듈(540)이 장착되어 치료 부위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면에는 카메라 모듈(540)이 3개의 펄스 신호 전달부(530a,b,c)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초고주파 치료장치(500) 하부의 치료 부위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초고주파 치료장치(500)의 상면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540)에서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50)가 구비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550)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초고주파 치료장치(500)에 의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50)를 통해 카메라 모듈(540)로부터 전송되어진 치료 부위 영상을 관찰하면서, 치료 부위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을 통해 치료 부위를 직접 선택함으로써 해당 위치에 대하여 치료를 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초고주파 처리장치(500)의 동작 흐름도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초고주파 처리장치(500)가 치료 부위 상부에 부착된 후 카메라 모듈(540)이 동작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50)를 통해 정확한 치료 부위의 위치를 확인한다(S610 단계).
정확한 치료 부위의 위치를 확인한 후에는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55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치료를 원하는 위치를 선택한다(S620 단계).
상기 선택된 위치 정보는 내부 회로나 무선 통신 등 초고주파 치료장치(500)에 구비된 정보 전달 수단에 의해 제어부로 전달되며(S630 단계),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위치 정보와 복수의 펄스 신호 발생부 및 펄스 신호 전달부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펄스 신호 중첩 영역이 나타나도록 각 펄스 신호 발생부의 동작 시간을 결정한다(S640 단계). 이때 선택적으로는, 펄스 신호가 온(On)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Duty Time)도 함께 결정함으로써, 펄스 신호 중첩 영역의 면적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S640 단계에 의해 펄스 신호 발생부의 동작 시간이 결정되면, 제어부는 이에 근거하여 각 펄스 신호 발생부를 동작시킴으로써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고 치료를 진행한다(S650).
도 5, 6에서는 초고주파 처리장치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초고주파 처리장치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초고주파 처리장치의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수단으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고,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치료 부위를 확인하여 치료를 원하는 위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초고주파 처리장치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블루투스(Bluetooth) 규격을 통해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컴퓨터 모니터 등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이처럼 초고주파 치료장치(500)에 카메라 모듈(540)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치료를 원하는 위치를 직접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 치료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치료 효과를 육안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적정 시간에 장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파 처리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고주파 처리장치(700)는, 몸체부(710), 복수의 펄스 신호 송수신부(720) 및 복수의 펄스 신호 전달부(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710)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동전 크기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여 휴대하기 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측면은 치료 부위에 접촉되는 피부 접촉면(711)으로 형성된다. 피부 접촉면(711)에는 피부에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접착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펄스 신호 송수신부(720)는 도 2의 펄스 신호 발생부(220)와는 펄스 신호 수신 기능을 더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초고주파 펄스 신호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거나 수신할 수 있는 소형의 칩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펄스 신호 전달부(730)는 각 펄스 신호 송수신부(720)로부터 발생한 펄스 신호를 피부 접촉면(711)으로 전달하거나, 피부 접촉면(711)으로부터 전달되는 펄스 신호를 펄스 신호 송수신부(720)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몸체부(710) 내에 삽입되어 그 일단은 각 펄스 신호 송수신부(720)에 연결되고 타단은 피부 접촉면(711)에 노출되는 폴 안테나(Pole Antenna)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몸체부(710)는 유전체로 형성하고, 펄스 신호 전달부(730)는 몸체부(710)와는 유전율이 다른 유전체 폴 안테나(Dielectric Pole Antenna)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초고주파 치료장치(700)에는 각 펄스 신호 송수신부(720)의 펄스 신호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펄스 신호 송수신부(720) 및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는 도 7(a)의 초고주파 처리장치(700)를 피부 접촉면 측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카메라 모듈이 없다는 차이가 있다. 도 7의 초고주파 처리장치(700)는 카메라 모듈이 없긴 하지만, 펄스 신호 발생부를 펄스 신호 송수신부(720)로 대체하였으므로, 자동으로 치료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정상 세포 부위와 비정상 세포 부위에서의 펄스 신호 이동 속도 및 반사 특성 차이를 이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펄스 신호 송수신부가 3개 구비된 경우, 그중 하나를 펄스 신호 송신부로, 나머지 두개를 펄스 신호 수신부로 동작시키면서 펄스 신호 수신부들이 수신하는 펄스 신호 크기 및 위상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검출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3개의 펄스 신호 송수신부를 차례대로 펄스 신호 송신부로 동작시키고 나머지 2개의 펄스 신호 송수신부를 펄스 신호 수신부로 동작시키면서 동일한 작업을 반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결과를 이용한 스캐터링 매트릭스(Scattering Matrix) 계산을 통해 자동으로 치료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스캐터링 매트릭스 계산이란, 임의의 물체를 통과하거나 물체에 의해 반사하는 신호에 대하여 각각의 송신신호와 수신신호의 입출력 관계를 매트릭스로 간단히 표현하여 계산하는 방식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널리 알려진 계산 방법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초고주파 처리장치(700)의 동작 흐름도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초고주파 처리장치(700)를 치료 부위 상부에 부착한다(S810 단계).
그 다음, 제어부에서 복수개의 펄스 신호 송수신부를 송신부 또는 수신부로 동작시키면서 스캐터링 매트릭스 법을 사용하여 정확한 치료 부위의 위치를 결정한다(S820 단계).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위치 정보와 복수의 펄스 신호 송수신부(720) 및 펄스 신호 전달부(730)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위치에 펄스 신호 중첩 영역이 나타나도록 각 펄스 신호 송수신부(720)의 동작 시간을 결정한다(S830 단계). 이때 선택적으로는, 펄스 신호가 온(On)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Duty Time)도 함께 결정함으로써, 펄스 신호 중첩 영역의 면적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S830 단계에 의해 펄스 신호 송수신부의 동작 시간이 결정되면, 제어부는 이에 근거하여 각 펄스 신호 송수신부(720)를 동작시킴으로써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고 치료를 진행한다(S840).
이처럼 도 7의 초고주파 처리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치료 부위를 관찰하여 직접 선택하지 않더라도 치료 부위가 자동적으로 계산되므로 더 편리하게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캐터링 매트릭스 계산에 의해 치료 진행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초고주파 처리장치의 작동 시간을 미리 선택하지 않더라도 동작이 스스로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500, 700: 초고주파 치료장치
220: 펄스 신호 발생부
230, 530, 730: 펄스 신호 전달부
411a,b,c: 제1 펄스 신호, 421a,b,c: 제2 펄스 신호
430a,b,c: 펄스 신호 중첩 영역
540: 카메라 모듈
550: 디스플레이부
720: 펄스 신호 송수신부

Claims (12)

  1. 피부 접촉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초고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펄스 신호 발생부;
    상기 복수 개의 펄스 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초고주파 신호를 상기 피부 접촉면으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펄스 신호 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신호를 이용한 초고주파 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면 하부를 촬영하도록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파 치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파 치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파 치료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파 치료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펄스 신호 발생부의 동작 시간 또는 상기 복수 개의 펄스 신호 발생부가 온(ON)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파 치료 장치.
  7. 피부 접촉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초고주파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수신하는 복수 개의 펄스 신호 송수신부;
    상기 복수 개의 펄스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발생된 초고주파 신호를 상기 피부 접촉면으로 전달하고, 피부 접촉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초고주파 신호를 상기 펄스 신호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펄스 신호 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신호를 이용한 초고주파 치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펄스 신호 송수신부의 동작 시간 또는 상기 복수 개의 펄스 신호 송수신부가 온(ON) 상태로 지속되는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파 치료 장치.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신호 전달부는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파 치료 장치.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면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파 치료 장치.
  11.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는 3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파 치료 장치.
  12. 초고주파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펄스 신호 발생부를 복수 개 구비하고,
    상기 펄스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개개의 펄스 신호가 중첩되는 펄스 신호 중첩 영역이 치료 부위에 정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주파 치료 장치.
KR1020120055749A 2012-05-25 2012-05-25 펄스 신호를 이용한 초고주파 치료장치 KR101413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749A KR101413552B1 (ko) 2012-05-25 2012-05-25 펄스 신호를 이용한 초고주파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749A KR101413552B1 (ko) 2012-05-25 2012-05-25 펄스 신호를 이용한 초고주파 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860A KR20130131860A (ko) 2013-12-04
KR101413552B1 true KR101413552B1 (ko) 2014-07-02

Family

ID=49980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749A KR101413552B1 (ko) 2012-05-25 2012-05-25 펄스 신호를 이용한 초고주파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213B1 (ko) 2022-11-24 2023-06-02 (주)쉬엔비 피부의 미용적 개선효과를 위한 고주파 펄스의 피부 인가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피부 미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753B1 (ko) * 2020-11-19 2023-03-20 지앨에스 주식회사 의료용 진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957A (ko) * 2003-11-15 2005-05-19 모승기 실시간 피드백 제어 기법을 이용한 기능 연동 방식의 전기치료 장치
KR20090054973A (ko) * 2006-07-27 2009-06-01 폴로젠 리미티드 피부 조직의 비-침습적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136243A (ko) * 2009-06-18 2010-12-28 송미희 다주파수 다전극 심부투열 패드 및 이를 구비한 다주파수 다전극 심부투열 장치
KR20110028110A (ko) * 2009-09-11 2011-03-17 대양의료기(주) 3상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미용치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957A (ko) * 2003-11-15 2005-05-19 모승기 실시간 피드백 제어 기법을 이용한 기능 연동 방식의 전기치료 장치
KR20090054973A (ko) * 2006-07-27 2009-06-01 폴로젠 리미티드 피부 조직의 비-침습적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136243A (ko) * 2009-06-18 2010-12-28 송미희 다주파수 다전극 심부투열 패드 및 이를 구비한 다주파수 다전극 심부투열 장치
KR20110028110A (ko) * 2009-09-11 2011-03-17 대양의료기(주) 3상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미용치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213B1 (ko) 2022-11-24 2023-06-02 (주)쉬엔비 피부의 미용적 개선효과를 위한 고주파 펄스의 피부 인가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피부 미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860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24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ntrol of noninvasive electrotherapy
US20230172582A1 (en) Universal ultrasound device and related apparatus and methods
US2021040218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stimulation treatment
KR101248190B1 (ko) 몸체 부착 패치형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신 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US10589119B2 (en) Smartphone interface device for phototherapy
US201500650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w energy wake-up and pairing for use with implantable medical devices
WO2019023265A1 (en) HIGH POWER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APPLICATOR SYSTEM
JP7365053B2 (ja) 電磁波を放出するモジュール
KR101413552B1 (ko) 펄스 신호를 이용한 초고주파 치료장치
KR20140090349A (ko) Rf 치료장치 및 rf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CN106039600B (zh) 一种无线控制的可穿戴式超声神经刺激装置
WO2008038193A2 (en) Feedback loop for focused ultrasound application
CN108096704B (zh) 用于治疗不孕不育的装置、系统以及进行体液调节、神经经络调节的方法
WO200902343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sound therapy
US98778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itrating in vivo cellular reaction and gene expression using varying oscillation frequencies
EP2566579B1 (en) Medical device for magnetotherapy
KR101525608B1 (ko) 전립선 질환 치료기
US20230113606A1 (en) Wireless charging of medical devices
US20230059663A1 (en) Wearable ultrasonic therapeutic device controlled by mobile electronic device
WO2021236424A1 (en) Systems for therapy delivery using near field magnetic induction devices
KR101632336B1 (ko) 전립선 질환 진단 및 치료용 삽입장치
WO2023094397A1 (en) Device communication management in user activity monitoring systems
KR20120049682A (ko) 초음파 진단장치
TW202112312A (zh) 生物體取像及治療系統及方法
KR20050060706A (ko) 저주파치료기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