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543B1 -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irror Device - Google Patents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irr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543B1
KR101413543B1 KR1020120103316A KR20120103316A KR101413543B1 KR 101413543 B1 KR101413543 B1 KR 101413543B1 KR 1020120103316 A KR1020120103316 A KR 1020120103316A KR 20120103316 A KR20120103316 A KR 20120103316A KR 101413543 B1 KR101413543 B1 KR 101413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handle
user
unit
camer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6777A (en
Inventor
윤양택
최경선
이상준
이욱열
김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2010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543B1/en
Publication of KR20140036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7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5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2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varifocal lenses or mirror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측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거울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image enlarging device that is easy to car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image enlarging device having a mirror function capable of displaying a user-side image.

Description

거울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irror Device}(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s Mirror Device)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측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거울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image enlarging device that is easy to car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image enlarging device having a mirror function capable of displaying a user-side image.

통상 시각장애자라 함은 갖가지 안질환으로 인하여 시력을 잃고 광각까지도 상실하여 명암을 구별하는 일조차 할 수 없게 된 상태를 가리키나, 명암의 구별을 아는 정도 및 눈앞에 있는 손의 움직임을 아는 정도의 심한 약시를 가진 사람도 시각장애인에 포함될 수 있으며, 시각 장애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저시력자는 수정체, 홍채, 망막, 시신경계의 약화의 원인으로 일반적인 안경이나 렌즈로는 문자 또는 그림 등의 피사체를 식별할 수 없는 상태이다.In general, the term "visual impairment" refers to a state in which vision is lost due to various ophthalmologic diseases, and even the wide angle is lost, so that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contrast and darkness. However, the degree of knowing the distinction between contrast and hand Persons with severe amblyopia can also be included in the blind. Low vision, which is the highest percentage of visually impaired persons, is caused by weakening of the lens, iris, retina, and body boundary. It can not be done.

영상 확대 장치는 이러한 저시력자나 노약자들의 시력을 보완해 주기 위해 작은 글씨의 책이나 약병, 수표나 화폐 등과 같이 보기 어려운 피사체의 영상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장치이다.The image magnifying device is a device for magnifying and displaying images of difficult subjects such as books, vials, check or money in order to complement the eyesight of such low vision or aged people.

특히 최근에는 크기가 작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고 조작이 간편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가 선호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크게 받침대형 확대기와 손잡이형 확대기로 구분이 된다.Particularly recently, a portable image enlarging device which is small in size and easy to carry and easy to operate has been preferred, and such a portable image enlarging device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 base enlarger and a hand-held expander.

받침대형 확대기는 본체 밑에 받침대를 두어 지면에 밀착하여 볼 때는 받침대를 펴서 사용하거나 본체를 손으로 감싸고 보는 구조이며, 손잡이형 확대기는 손잡이를 펴서 손으로 들고 보는 구조이다.The base enlarger is a structure in which a pedestal is plac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the pedestal is stretched when viewed close to the ground, or the main body is wrapped around the hand, and the pull magnifier is held by hand.

받침대형 확대기는 손잡이가 없어 사용자가 손에 들고 사용하고자 할 때 본체를 손으로 감싸는 구조로, 손이 불편한 사람이나, 엄지나 검지가 없는 사람은 본체를 들고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또한 받침대형 확대기는 대상을 축소해서 보고자 할 경우 본체를 들고 봐야 하며, 확대해서 보고자 할 경우는 원 영상을 디지털 줌( Digital Zoom)을 통해 단순 확대하여 화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확대기의 조명 사용 시 피사체와 거리가 멀어질 경우 조명의 영향으로 인해 화질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The base enlarger is a structure that wraps the main body with the hand when the user wants to use it because there is no handle, and it is inconvenient to carry the main body by the person who has a hand uncomfortable or a thumb or index finger. In addition, the base enlarger needs to hold the main body when it is desired to reduce the size of the object, and if enlarged, the original image is simply enlarged through the digital zoom to deteriorate the image quality. In addition, when the illuminator of the expander is distant from the subject, the image quality is deteriorat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illumination.

손잡이형 확대기는 손으로 들고 사용하기에는 편리하나 지면에 놓고 사용하기에는 확대기의 무게 중심이 고르지 않아 흔들거리며, 배터리가 본체에 내장되어 있어, 무게 중심이 본체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손으로 들고 보기에는 무겁게 느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상의 손잡이형 확대기는 손잡이가 본체와 일직선상에 위치함으로 눈이 가장 편안한 각도로 확대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손목을 뒤틀어 사용해야 함으로 장시간 사용 시 손목에 무리가 가는 단점이 있다. 이는 손목 터널 증후군과 같이 손목이 약한 사람에게는 사용상 제약이 따른다.The hand-held expander is convenient to carry by hand, but it is wobbled becaus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xpander is wobbly to be used on the ground, and the battery is built in the body, and the center of gravity is directed toward the body, . In addition, since the handle-type expander is located on the straight line with the body, when the expander is to be used at the most comfortable angle, the wrist must be twisted. This is a limitation for people with weak wrists such as wrist tunnel syndrome.

아울러 사물에 대한 초점, 색상 정보가 부정확하고, 정안인 대비 좁은 시야를 가지고 있는 시각장애자들은 거울을 사용할 때 정안인과 동일하게 사용하더라도 자신의 얼굴 형태나 얼굴 부분에 대해서 볼 수 없는 어려움이 있으며, 보더라도 극히 제한된 부분이고 실시간으로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자세히 볼 수 없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difficulty in visually handicapped people who have a narrow focus on objects, inaccurate color information, and narrow vision compared to those who have the same face, This is a very limited part of the system and it can not be seen in detail because it needs to be grasped in real time.

셀프 카메라 및 거울 기능을 제공하는 전면 카메라를 적용한 핸드폰의 경우 사용자 측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기는 하나, 근접 거리에서는 영상이 선명하지 않고, 제한적인 범위의 영상밖에 확인할 수 없으며, 영상의 확대가 불가능하고, 저시력자가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터치스크린 및 크기가 작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짐으로써 사용상 제약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employing a front camera that provides a self-camera and a mirror function, although the user side image is provided in real time, the image is not clear at close range, only a limited range of images can not be confirmed, And has a touch screen and a small-sized user interface which are difficult to use for a low vision person, and thus, there is a restriction in use.

따라서 저시력자 및 시각장애인들을 위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한 거울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development of a portable image enlarging device having a mirror function that solves the above problems is required for low vision and visually impaired person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측 영상을 제공하며, 근거리 초점이 선명하고, 영상에 대한 확대가 가능한 전면 카메라가 구비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image enlargement device which provides a user-side image and has a front camera capable of sharpening a close- .

또한, 시각 장애인들이 인지하기 용이하며, 사용자 측 거울 영상에 대한 일시 정지 영상 및 실시간 영상 전환과, 일시 정지 영상의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고,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 간 전환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it is easy to recognize that the blind is visually impaired, and it is possible to realize a portable 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a user interface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a still image and a real-time image for a user-side mirror image and enlarging or reducing a still image, And an image enlarging device.

본 발명의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후면에 설치되며, 피사체 측 영상 획득을 위한 제1 카메라부; 상기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사용자 측 영상 획득을 위한 제2 카메라부; 상기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카메라부의 영상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부의 영상을 전송받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몸체의 수평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전면 일단부가 상기 몸체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는 손잡이; 를 포함한다.A portable image magnif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A first camera unit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body for acquiring a subject-side image; A second camera unit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for acquiring a user's image; An output unit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n image of the first camera unit or an image of the second camera unit; And a handle having a front end hinged to a rear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angle of the body can be adjus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 UI;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UI는 몸체의 전면과 일정각도 손잡이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UI tha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for receiving user input; And the first UI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of the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해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 전면에 구비되는 제2 UI를 포함하며, 상기 제2 UI는 상기 손잡이에 음각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UI provided on an entire front surface of one end of the handle for receiving a user's input, and the second UI is provided on the handle in a depressed shap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해 상기 제2 카메라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제3 UI;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UI는 몸체의 전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third UI provid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unit to receive a user input; And the third UI is protruded outside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아울러,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상기 제2 카메라부의 영상은,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연산 모듈을 통해 일시 정지 영상 또는 실시간 영상으로 전환이 가능하며, 상기 일시 정지 영상은 확대 또는 축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mage of the second camera unit output to the output unit can be switched to a pause image or a real time image through a calculation module provided in the body, and the pause image can be enlarged or reduced do.

본 발명의 거울 기능을 갖는 휴대형 영상 확대 장치는, 사용자 측 영상 제공을 위한 전면 카메라를 구비하여 거울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영상 확대 및 선명한 근거리 초점을 통해 저시력자 및 시각 장애인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저시력자 및 시각 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조작에 무리가 없는 장점이 있다.The portable image enlarging apparatus having a mirro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ont camera for providing a user-side image and provides a mirror function. In addition, a portable image enlarging apparatus having a mirror function can be easily used by low- There is an advantage. Especially, it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is easy to use for low vision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so that it is easy to operate.

아울러 저시력자는 초점 거리가 짧아 일반 거울을 사용할 경우 눈 이외의 부위를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거울 영상에 대한 일시 정지 기능을 통해 얼굴의 특정 부위 확인이 용이하고, 확대 기능을 통해 보다 명확하게 영상의 인지가 가능하여 저시력자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 region other than the eye when a general mirror is used because the focal length of the low vision eye is short, but it is easy to identify a specific region of the face through the pause function for the mirror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image more clearly so that the low vision power can be used effe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손잡이 작동 상태도 (오른손 사용 시)
도 5는 본 발명의 손잡이 작동 상태도 (왼손 사용 시)
도 6은 본 발명의 손잡이 작동 상태도 (공통 사용 시)
도 7은 본 발명의 손잡이 작동 상태도 (틸트 각도 조절)
도 8은 본 발명의 받침대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 블럭도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image enlar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image enl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the image enl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knob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the right h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knob (when using the left h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grip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mon use)
FIG. 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knob (adjusting the tilt angle)
Fig. 8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enlar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100)는 몸체(100a), 제1 카메라부(110), 출력부(120), LED조명부(130), 입력부(140), UI부(User interface part, 150, 210, 310), 받침대(160), 연산모듈(170), 손잡이(200), 제2 카메라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4, an image enlar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a, a first camera unit 110, an output unit 120, an LED illumination unit 130, an input unit 140, a UI A user interface part 150, 210 and 310, a pedestal 160, a calculation module 170, a grip 200 and a second camera part 30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몸체(100a)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두께가 있는 직사각형의 함체 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성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가로 방향을 길이방향, 세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몸체(100a)의 출력부(120)가 위치한 면을 전측, 제1 카메라부(110)가 형성되는 면을 후측으로 정의한다. 몸체(100a) 후면에는 폭 방향 중앙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카메라부(110), LED조명부(130)와 같이 피사체의 촬영을 담당하는 입력부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100a) 후면의 폭 방향 일측에는 손잡이(200)가 결합되며, 손잡이(200)의 후면 및 몸체(100a)의 폭 방향 타측에는 받침대(160)가 구비된다. 몸체(100a)의 전면에는 사용자 측 촬영을 담당하는 제2 카메라부(300) 및 촬영되는 피사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출력부(120)가 형성되고, 몸체(100a)의 전면 및 손잡이(200)에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한 UI부(150, 210, 310)가 형성 된다. 몸체(100a)의 내부에는 상기 구성들을 연결하며, 연산모듈(170)과 같은 제어 회로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영상 확대 장치(100)는 손잡이(200)가 구비되므로, 몸체(100a)의 크기는 손 보다 커도 무방하다.
1 to 3, the body 100a is formed in a rectangular enclosure having a space therein and having a thickness. 3, the later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lateral direction, the side where the output section 120 of the body 100a is located is referred to as a front side, the first camera section 110) is defined as a rear side.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100a, an input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such as the first camera unit 110 and the LED illumination unit 13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A knob 2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body 100a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pedestal 16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knob 200 and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00a. A second camera unit 300 for taking a picture of a user and an output unit 120 for displaying a subject to be imaged are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100a and a front surface of the body 100a and a handle 200 UI units 150, 210, and 310 for operational convenience are formed. Inside the body 100a,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may be connected, and a control circuit such as a calculation module 170 may be incorporated. Since the image magnifying apparatus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provided with the handle 200, the size of the body 100a may be larger than the hand.

도 3을 참조하면, 제1 카메라부(110)는 직하면 또는 원거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a) 후면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카메라부(110)는 렌즈부와 CMOS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렌즈부는 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며, 상기 CMOS센서부는 상기 렌즈부를 통해 획득된 물리적인 영상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CMOS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은 영상데이터화 된다. 일예로 상기 영상은 CMOS센서부를 통해 SVGA(800*600), YUV422, 30f/s, Progressive 등과 같은 포맷으로 영상데이터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camera unit 110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100a so that the first camera unit 110 can photograph a straight object or a long distance object. The first camera unit 110 includes a lens unit and a CMOS sensor. The lens unit acquires an image of a subject, and the CMOS sensor unit converts a physical image signal obtained through the lens unit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refore, the image acquired by the CMOS sensor unit is image data. For example, the image may be converted into image data in a format such as SVGA (800 * 600), YUV 422, 30f / s, Progressive, etc. through a CMOS sensor unit.

LED조명부(130)는 몸체(100a)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카메라부(110)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제1 카메라부(110)가 피사체의 영상 획득이 용이하도록 피사체를 밝게 비추기 위함이다. LED조명부(130)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발광다이오드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LED조명부(130)는 피사체의 접사 시에만 동작하기 위해 연산 모듈(17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한다. 따라서 전력 소모를 줄이고, 휴대용 장치의 단점인 한정된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 LED조명부(130)는 복수개가 구성되며,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작동되는 LED조명의 수가 가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LED illumination unit 13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100a.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camera unit 110. This is for brightening the subject so that the first camera unit 110 can easily acquire an image of the subject. The LED lighting unit 130 may be a commonly used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t this time, the LED illumination unit 130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alculation module 170 to operate only when the subject is close-up. Thus,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the limited use time, which is a disadvantage of portable devices, can be increased. A plurality of LED lighting units 130 are configured, and the number of LED lights opera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subject can be adjusted.

제2 카메라부(300)는 출력부(120)가 형성되는 사용자 측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몸체(100a) 전면에 설치되며, 출력부(12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몸체(100a)의 길이방향 일측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부(300)는 제1 카메라부(110)의 구성과 동일한 렌즈부 및 CMOS센서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사용자 측 거울 영상을 획득하며, 상기 CMOS센서부는 상기 렌즈부를 통해 획득된 물리적인 영상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CMOS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은 영상데이터화 된다. 일예로 상기 영상은 CMOS센서부를 통해 SVGA(800*600), YUV422, 30f/s, Progressive 등과 같은 포맷으로 영상데이터와 될 수 있다.The second camera unit 30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0a so as to capture an image of the user side on which the output unit 120 is formed and is dispos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a Can be installed in the center. The second camera unit 300 may have the same lens unit and CMOS sensor unit as the first camera unit 110. The lens unit acquires a user side mirror image, and the CMOS sensor unit converts a physical image signal obtained through the lens unit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refore, the image acquired by the CMOS sensor unit is image data. For example, the image may be converted into image data in a format such as SVGA (800 * 600), YUV 422, 30f / s, Progressive, etc. through a CMOS sensor unit.

제2 카메라부(3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은 연산모듈(170)을 통해 정지 영상 또는 실시간 영상으로 전환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지 영상은 연산모듈(170)을 통해 확대 또는 축소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second camera unit 300 can be controlled to be switched to a still image or a real time image through the calculation module 170. [ Also, the still image can be controlled to be enlarged or reduced through the calculation module 170. [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UI부는 제1 UI(150), 제2 UI(210) 및 제3 UI(310)로 구성된다. 제1 UI(150)는 몸체(100a)의 전면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된다. 제1 UI(150)는 몸체(100a)의 전면과 일정각도 손잡이(200)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된다. 이는 사용자가 손잡이(200)를 파지하였을 때 엄지손가락으로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UI(150)는 사용자의 입력 값을 버튼의 클릭으로 받아들여 입력부(140)를 통해 연산 모듈(170)에 전달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4, the UI unit includes a first UI 150, a second UI 210, and a third UI 310. The first UI 15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face of the body 100a. The first UI 150 is provid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ront of the body 100a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200 at a predetermined angle. This is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the adjustment with the thumb when the user grasps the grip 200. The first UI 150 accepts a user's input value as a click of a button and transmits the input value to the operation module 170 through the input unit 140.

제1 UI(150)는 몸체(100a)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되며, 일예로 제1 버튼 내지 제3 버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UI 15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tton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00a,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the first button and the third button.

제1 버튼은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색상을 변경 시키도록 클릭을 통해 입력부(140)에 입력 값을 전달하게 된다.The first button transmits an input value to the input unit 140 through a click to change the color of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20.

제2 버튼은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밝기를 변경하도록 클릭을 통해 입력부(140)에 입력 값을 전달한다.The second button transmits an input value to the input unit 140 through a click to change the brightness of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20.

제3 버튼은 영상 확대 장치의 배율을 조절하도록 클릭을 통해 입력부(140)에 입력 값을 전달한다.The third button transmits the input value to the input unit 140 through clicking to adjust the magnification of the image enlarging device.

제2 UI(210)는 손잡이(200)의 전면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된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200)를 파지하였을 때, 엄지손가락에 대응되는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UI(210)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사용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제2 UI(210)는 버튼 형태로 구성되되, 손잡이(200)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음각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UI(210)는 사용자의 입력 값을 버튼의 클릭을 통해 입력부(140)에 전달하게 된다.The second UI 2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ndle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face. That is,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200, it can be dispos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umb. Accordingly, the second UI 210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used while the user holds the handle. The second UI 210 is formed in a button shape and can be applied in the form of a depressed shape so as to be depressed in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200.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carelessness of the user. The second UI 210 transmits the input value of the user to the input unit 140 through the click of the button.

제2 UI(210)는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정지 또는 실시간 영상 전환이 가능하도록 클릭을 통해 입력부(140)에 입력 값을 전달하게 된다.The second UI 210 transmits an input value to the input unit 140 through the click so that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20 can be stopped or converted in real time.

제3 UI(310)는 몸체(100a)의 전면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된다. 특히 제2 카메라부(300)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 UI(310)는 버튼 형태로 구성되되, 몸체(100a)의 전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양각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저시력자 또는 시각 장애자와 같이 버튼의 확인이 불가능한 사용자에게 버튼 위치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The third UI 310 is provid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face of the body 100a. And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unit 300. The third UI 3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utton, and may be embossed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0a.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guide the button position to a user who can not confirm the button, such as a low vision person 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제3 UI(310)는 제1 카메라부(110) 또는 제2 카메라부(300)에서 수집되는 영상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클릭을 통해 입력부(140)에 입력 값을 전달하게 된다.
The third UI 310 transmits the input value to the input unit 140 through clicking the image so that the image collected by the first camera unit 110 or the second camera unit 300 can be switched.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손잡이(200)는 한 손으로 파지 가능한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손잡이(200)의 일단부에는 제1 힌지결합부(201)가 형성되며, 몸체(100a)와 수평한 방향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몸체(100a)의 길이방향 타측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손잡이(200)는 접철 시 몸체(100a)의 후면 폭 방향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된다. 손잡이(200)의 힌지 회동에 의한 전개 시에는 몸체(100a)와의 기울기에 따라 아래와 같이 변형시킬 수 있다. 손잡이(200)는 4단계 각도가 조절되는데, 1단계는 본체(100a) 하부에 밀착되어 접철된 상태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 역할을 하며, 2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 사용자에게 편안한 각도를 제공하며, 3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a)와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일반적인 손잡이형 확대기와 같은 각도이며, 이는 일반적인 돋보기와 같이 본체(100a)와 수평을 이룬다. 이는 기존 돋보기에 익숙한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4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 사용자에게 손목에 무리가 없는 편안한 각도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손에 관계없이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는 위치에 손잡이(200)를 위치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손잡이(200)의 구성은 제2 카메라부(300)를 이용한 거울 기능 사용 시 손잡이(2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얼굴 정면, 왼쪽 또는 오른쪽을 볼 때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제2 UI(210)를 통한 정지 영상을 통해 보이지 않는 영역에 대한 영상을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야각이 좁은 시각 장애인이 자신의 이목구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to 6, the handle 200 has a bar shape which can be gripped by one hand. A first hinge coupling part 20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andle 200 and is hinged to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100a so as to be hi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100a. Therefore, the grip 200 is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in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100a at the time of folding. When the knob 200 is unfolded by the rotation of the hinge, it can be deform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100a. 3, the handle 200 is adjusted in four steps. In the first stage, the handle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a and functions as a pedestal as shown in FIG. 3. In the second stage, And the third step is the same angle as that of a general hand-held expander by keeping it horizontal with the main body 100a as shown in FIG. 6, which is horizontal to the main body 100a like a general magnifying glass. This is suitable for users familiar with conventional magnifying glasses. Step 4 provides the left-handed user with a comfort-free, comfortable angle to the wrist,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handle 200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does not feel uncomfortable in the hand regardless of the hand used by the user. The structure of the handle 200 a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used when viewing the front face, left or right side of the user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handle 200 when using the mirror function using the second camera unit 300, An image of an area that is not visible through a still image through the second UI 210 can be confirm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visually impaired person with a narrow viewing angle can easily confirm his /

도 7을 참조하면, 손잡이(200)는 몸체(100a)와 수직한 방향으로 몸체(100a)와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손잡이(200)는 제1 손잡이(200a)와 제2 손잡이(200b)로 구성된다. 제1 손잡이(200a)의 일단부는 몸체(100a)와 제1힌지결합부(201)를 통해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는 제2 손잡이(200b)의 일단부와 제2 힌지결합부(250)를 통해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제2 손잡이(200b)는 힌지 회동에 의해 몸체(100a)의 수직한 방향으로 몸체(100a)와 다단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지면에 손목을 붙이고 사용할 때 제2 손잡이(200b)를 지면 방향으로 밀어서 손목이 편한 상태를 유지하며, 본체(100a)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어 보다 안정적인 화질과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제2 손잡이(200b)와 본체(100a)의 각도는 3단계로 구성이 되며, 1단계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인 상태이고, 2단계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금 기울어진 상태이며, 3단계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이 기울어진 상태이다. 본실시 예에서는 제2 손잡이(200b)와 본체(100a)의 각도가 3단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기재 하였으나, 2단 또는 4단 이상의 다단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Referring to FIG. 7, the handle 200 has the following structure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handle 200 with respect to the body 100a can be adjus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dy 100a. The knob 200 is composed of a first knob 200a and a second knob 200b. One end of the first handle 200a is hinged through the body 100a and the first hinge coupling part 201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ne end of the second handle 200b and the second hinge coupling part 250 Lt; / RTI > Accordingly, the second handle 200b can be angularly adjusted in multiple stages with the body 100a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100a by the hinge rotation. The second handle 200b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to keep the wrist comfortable, and the main body 100a is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ground to provide more stable image quality and ease of use .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handle 200b and the main body 100a is in the form of three steps, the first step is horizontal as shown in FIG. 7A, the second step is a slightly inclined state as shown in FIG. , And the third step is much tilted as shown in FIG. 7C. Although it is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at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handle 200b and the main body 100a is adjusted to three stages, it is obvious that the angle may be adjusted to two or more stages.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손잡이(200b)와 본체(100a)의 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이유는, 사람마다 사용하는 각도가 다름으로 사용자마다 선호하는 각도를 사용하게 하기 위한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손잡이(200)에는 영상 확대 장치(100)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이는 손잡이(200)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 시 무게를 손잡이에 분산 시켜 영상 확대 장치(100)가 가볍게 느껴지며, 파지하는 느낌이 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why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handle 200b and the main body 100a can be adjusted in a multi-stage manner as described above is that in order to provide the flexibility to use preferred angles for each user because the angle used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to be. A battery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image magnifying apparatus 100 may be incorporated in the handle 200.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grasp the handle 200 and disperse the weight on the handle when using the handle 200 so that the image enlarging device 100 feels light and easy to grasp.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받침대(160)는 제1 받침대(161), 제2 받침대(162) 및 제3 받침대(163)로 구성된다. 제1 받침대(161)는 접철 및 전개 가능하도록 상단부가 몸체(100a)의 하면 폭 방향 타측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제1 받침대(161)의 높이는 손잡이(200)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제1 받침대(161)는 전개 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0)와 함께 영상 확대 장치(100)를 지면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손잡이(200)는 몸체(100a)에 접철 시 받침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받침대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정 1단계)Referring to FIG. 8, the pedestal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edestal 161, a second pedestal 162, and a third pedestal 163. The first pedestal 161 is hinged to the other side in the bottom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00a so that the first pedestal 161 can fold and unfold. The height of the first pedestal 161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handle 200. Accordingly, the first pedestal 161 fixes the image magnifying apparatus 100 together with the grip 200 on the ground as shown in FIG. 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handle 200 plays a role of a pedestal when folded on the body 100a,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pedestal can be simplified. (Fixed Step 1)

제2 받침대(162)는 접철 및 전개 가능하도록 상단부가 손잡이(200)의 하면 폭 방향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제3 받침대(163)는 접철 및 전개 가능하도록 상단부가 몸체(100a)의 하면 폭 방향 타측에 힌지 결합된다. 이때 제3 받침대(163)의 높이는 제2 받침대(162)의 높이와 손잡이(200) 높이의 합과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받침대(162) 및 제3 받침대(163)는 전개 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확대 장치(100)를 지면에 고정시킨다. (고정 2단계)The upper end of the second pedestal 162 is hinged to one side in the lower width direction of the handle 200 so as to be folded and unfolded. The upper end of the third pedestal 163 is hing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wer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00a so as to be folded and unfolded. The height of the third pedestal 163 is equal to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second pedestal 162 and the height of the handle 200. Accordingly, the second pedestal 162 and the third pedestal 163 fix the image magnifying apparatus 100 on the ground as shown in FIG. (Fixed Stage 2)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몸체(100a)를 지면에 고정 시 2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통상의 1단 받침대의 경우 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배율을 낮추고자 할 경우 확대기를 들어서 배율을 낮추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실제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구조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2단 받침을 두어 높은 받침은 저 배율로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본실시 예에는 받침대(160)의 구성이 2단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2단 이상의 다단으로도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height of the body 100a can be adjusted in two stages when the body 100a is fixed to the ground.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ingle-stage pedestal, when the magnification is to be lower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the magnification is lowered by lifting the magnifier, which is inconvenient for a user to us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a two-step pedestal is provided so that a high pedestal provides convenience to users who want to use the pedestal at a low magnification. 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160 is described as two stages in this embodiment, it is obvious that the pedestal 160 may be configured as two or more stages.

연산모듈(170)은 몸체(100a)의 내부에 회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연산모듈(170)은 이미지 센서 모듈, 거리센서부, 자동 초점 구동 드라이버, 영상 처리 모듈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모듈이다.The calculation module 170 may be installed in a circuit form inside the body 100a. The calculation module 170 is a central processing module for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module, the distance sensor unit, the autofocus driver, and the image processing module.

도 9를 참조하면, 연산모듈(170)은 영상획득모듈(171), 노이즈필터부(미도시), 확대필터부(미도시), 색상필터부(미도시), 임계치산출부(172), 이진화부(1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9, the calculation module 170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module 171, a noise filter unit (not shown), an enlargement filter unit (not shown), a color filter unit (not shown), a threshold value calculation unit 172, And a binarization unit 173.

영상획득모듈(171)은 제1 카메라부(110) 또는 제2 카메라부(300)를 통해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이진화 영상에 필요한 문턱 값(Threshold) 결정을 위한 히스토그램(Histogram)을 추출하여 문턱 값을 결정한다.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71 stores imag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camera unit 110 or the second camera unit 300 in a memory and generates a histogram for determining a threshold value required for the binarized image. And the threshold value is determined.

노이즈필터부는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해 일반적인 영상노이즈인 가우시안 노이즈 및 salt & pepper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노이즈필터부는 상기 영상데이터의 미세 떨림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The noise filter unit removes Gaussian noise and salt & pepper noise, which are general image noise, on the image data. In addition, the noise filter unit performs the following process in order to remove the fine tremble phenomenon of the image data.

노이즈필터부는 제 N-1프레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블록이미지 및 제 N프레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블록이미지 간의 차영상(difference image)을 산출한다. 상기 산출된 상기 차영상을 이용하여 소정의 프레임 간 지연시간에 따른 움직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이즈필터부는 제 N-1프레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블록이미지 및 제 N프레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블록이미지를 이치화시켜 XNOR연산 등에 의해 모션벡터를 추정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프레임 간 지연시간에 따른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게 된다.The noise filter section calculates a difference image between a block image of the image data of the (N-1) th frame and a block image of the image data of the Nth frame. And the degree of mo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nter-frame delay time can be measured using the calculated difference image. Accordingly, the noise filter unit binarizes the block image of the image data of the (N-1) -th frame and the image data of the N-th frame, estimates the motion vector by an XNOR operation or the like, .

따라서 노이즈필터부는 상기 움직임 정도가 선정된(predetermined) 값보다 이하인 경우 상기 제 N-1프레임의 영상데이터를 유지하고, 상기 움직임 정도가 상기 선정된 값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제 N프레임의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noise filter unit maintains the image data of the (N-1) -th frame when the degree of mo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outputs the image data of the N-th frame when the degree of motion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이즈필터부는 상기 움직임 정도가 선정된(predetermined) 값보다 이하인 경우 상기 제 N-1프레임의 영상데이터를 유지함으로써 후술되는 영상 이진화에 의한 미세한 떨림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oise filt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minute tremors caused by image binariz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maintaining the image data of the (N-1) -th frame when the degree of mo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

즉, 본 발명의 노이즈필터부는 소정의 프레임 간 지연시간에 따른 움직임이 미세하여 움직임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을 경우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도록 구현하는 것이다.That is, the noise filt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mo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nter-frame delay time is fine and the degree of motion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noise filter unit is regarded as no motion.

확대필터부는 영상데이터를 출력부(120)의 LCD 해상도에 맞게 확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확대필터부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이중선형 보간법(bilinear interpolation)을 통해 확대하게 된다.The enlargement filter unit enlarges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LCD resolution of the output unit 120. The enlargement filter unit enlarges the image data through bilinear interpolation.

색상필터부는 영상데이터에 대해 제1 UI(150)에서 전달되는 사용자 입력 값을 전달받아 밝기 및 고대비를 적용시키게 된다.The color filter unit receives the user input value transmitted from the first UI 150 to the image data, and applies the brightness and the high contrast.

임계치산출부(172)는 상기 영상데이터의 휘도신호를 통해 최대 픽셀(pixel) 휘도 값 및 최소 픽셀 휘도 값을 추출하고, 상기 최대 픽셀 휘도 값 및 상기 최소 픽셀 휘도 값을 통해 임계치를 산출한다. 상기 임계치는 해당 프레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최대 픽셀 휘도 값 및 최소 픽셀 휘도 값의 평균값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threshold value calculation unit 172 extracts a maximum pixel luminance value and a minimum pixel luminance value through the luminance signal of the image data, and calculates a threshold value through the maximum pixel luminance value and the minimum pixel luminance value. The threshold value may be implemented as an average value of a maximum pixel luminance value and a minimum pixel luminance value for image data of a corresponding frame.

또한, 임계치산출부(172)는 산출된 임계치에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받은 가중치를 적용한 값을 영상 이진화를 위한 임계치로 이용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중치를 통해 상기 이진화 영상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중치에 따라 달리하는 상기 이진화 영상의 배경색 영역을 통해 상기 이진화 영상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threshold value calculation unit 172 may use a value obtained by applying a weight value selected and input from the user to the calculated threshold value as a threshold value for image binarization. In this case, the brightness of the binarized image can be adjusted through the weight. That is, the brightness of the binarized image can be adjusted through the background color region of the binarized image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weight.

이진화부(173)는 상기 임계치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이진화 영상을 생성한다. 즉, 이진화부(173)는 해당 픽셀의 휘도 값이 상기 임계치보다 이하인 경우 상기 해당 픽셀의 색상을 배경색으로 구현하고, 상기 해당 픽셀의 휘도 값이 상기 임계치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해당 픽셀의 색상을 글자색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 binarization unit 173 generates a binarized image for the image data on the basis of the threshold value. That is, the binarization unit 173 implements the color of the corresponding pixel as a background color when the luminance value of the corresponding pixe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and when the luminance value of the corresponding pix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

이진화부(173)는 제1 UI(15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 값에 따라 설정된 배경색 및 글자색을 영상 이진화를 위한 색상으로 이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설정된 상기 배경색 및 상기 글자색이 각각 검정색 및 녹색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진화부(173)는 상기 임계치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배경색 및 상기 글자색이 각각 검정색 및 녹색인 이진화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The binarization unit 173 uses the background color and the color set according to the input valu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first UI 150 as a color for image binarization. For example, the background color and the text color se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put may be black and green,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binarization unit 173 may convert the image data into a binary image in which the background color and the character color are black and green, respectively, based on the threshold value.

출력부(120)는 이진화부(173)를 통해 최종 결정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출력부(120)가 몸체(100a)의 타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출력부(120)는 통상의 LCD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20 outputs the finally determined image data through the binarization unit 173. Therefore, the output unit 120 is ex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100a, and the output unit 120 may be a conventional LCD panel.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출력부(120)를 통해 깨끗하고 선명한 이진화 영상을 제공하여 황반변성, 안구진탕 등으로 인해 휘어져 보이거나, 퍼져 보이는 현상 및 영상 이진화에 의한 미세 떨림 현상을 제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사체 또는 시각매체에 대한 집중력 및 인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 and bright binary image through the output unit 120 to eliminate blurring or blurring due to macular degeneration and eye shaking, The concentration and cognition of the user on the subject or the visual medium can be improved.

또한, 이동 시에도 책이나 신문, 사진 등을 확대해 볼 수 있고,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게 상기 이진화 영상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학습, 재활 및 정보 접근의 도구로서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근접한 피사체 이외에도 원거리 피사체를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을 통해 별도의 조작 없이 선명하게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large a book, a newspaper, a photograph, and the like even when moving, and the user can change the color of the binarized image according to his or her own preferenc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tool for learning, rehabilitation, have. In addition to the proximity of the subject, the remote subject can be clearly seen through the auto-focus function without additional operation.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The technical idea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영상 확대 장치 100a : 몸체
110 : 제1 카메라부
120 : 출력부
130 : LED조명부
140 : 버튼 입력부
150 : 제1 UI
161 : 제1 받침대 220 : 제2 받침대
162 : 제3 받침대
170 : 연산 모듈 171 : 영상획득 모듈
172 : 임계치 산출부 173 : 이진화부
200 : 손잡이 200a : 제1 손잡이
200b : 제2 손잡이 201 : 제1 힌지결합부
210 : 제2 UI 250 : 제2 힌지결합부
300 : 제2 카메라부 310 : 제3 UI
100: image enlarging device 100a: body
110: first camera section
120: Output section
130: LED lighting part
140: button input section
150: First UI
161: first pedestal 220: second pedestal
162: Third base
170: Operation module 171: Image acquisition module
172: threshold value calculation unit 173: binarization unit
200: handle 200a: first handle
200b: second handle 201: first hinge coupling part
210: second UI 250: second hinge coupling part
300: second camera unit 310: third UI

Claims (5)

몸체;
상기 몸체의 후면에 설치되며, 피사체 측 영상 획득을 위한 제1 카메라부;
상기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사용자 측 영상 획득을 위한 제2 카메라부;
상기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카메라부의 영상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부의 영상을 전송받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몸체의 수평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전면 일단부가 상기 몸체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는 손잡이;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해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 전면에 구비되는 제2 UI; 및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해 상기 제2 카메라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제3 UI;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UI는, 상기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에 근접 배치되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손잡이에 음각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3 UI는, 사용자의 손에서 이격 배치되며, 사용자에게 버튼 위치를 안내하도록 몸체의 전면에 양각 형태로 구비되는, 거울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Body;
A first camera unit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body for acquiring a subject-side image;
A second camera unit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for acquiring a user's image;
An output unit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n image of the first camera unit or an image of the second camera unit;
A handle having a front end hinged to a rear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be adjust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ody;
A second UI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one end of the handle to receive a user input; And
A third UI provid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unit to receive a user input; / RTI >
Wherein the second UI is disposed in close proximity to the thumb of the user and is provided in a depressed shape on the handle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carelessness of the user and the third UI is spaced apart from the user's hand, Wherein the body of the portable image enlarging device has a mirror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 UI;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UI는 몸체의 전면과 일정각도 손잡이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rtable image enlarging device includes:
A first UI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for receiving user input; / RTI >
Wherein the first UI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of the body and toward the handle of a predetermined ang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는 상기 제2 카메라부의 영상은,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연산 모듈을 통해 일시 정지 영상 또는 실시간 영상으로 전환이 가능하며, 상기 일시 정지 영상은 확대 또는 축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of the second camera unit, which is output to the output unit,
Wherein the controller is capable of switching to a pause image or a real time image through a calculation module provided in the body, and the pause image can be enlarged or reduced.
KR1020120103316A 2012-09-18 2012-09-18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irror Device KR1014135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16A KR101413543B1 (en) 2012-09-18 2012-09-18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irr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16A KR101413543B1 (en) 2012-09-18 2012-09-18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irr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777A KR20140036777A (en) 2014-03-26
KR101413543B1 true KR101413543B1 (en) 2014-07-02

Family

ID=5064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316A KR101413543B1 (en) 2012-09-18 2012-09-18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irro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5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707B1 (en) 2014-09-25 2016-01-28 (주) 씨앤피 Potable Magnifying Apparatus having the pen-type camera
WO2018079872A1 (en) * 2016-10-26 2018-05-03 (주)씨앤피 Portable electronic image-magnify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1592A (en) * 2005-09-13 2007-03-29 Aruze Corp Cellular phone
KR20120040824A (en) * 2010-10-20 2012-04-30 이광복 Accessories for bar type cellular phone
KR101180317B1 (en) * 2012-02-15 2012-09-07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ulti Hand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1592A (en) * 2005-09-13 2007-03-29 Aruze Corp Cellular phone
KR20120040824A (en) * 2010-10-20 2012-04-30 이광복 Accessories for bar type cellular phone
KR101180317B1 (en) * 2012-02-15 2012-09-07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ulti Ha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777A (en)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317B1 (en)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ulti Handle
US101295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dynamic “region of interest” in a display system
EP2747412A2 (en) Magnification system
US20090059038A1 (en) Image magnifier for the visually impaired
JP6436430B2 (en) Image photograph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image photographing display device
US20140176767A1 (en) Handheld magnification device with a two-camera module
CN110352033A (en) Eyes degree of opening is determined with eye tracks device
US8194154B2 (en) Portable video magnifying apparatus
KR101359926B1 (en)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Auto Focusing
KR101413543B1 (en)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irror Device
KR101323313B1 (en) Video magnifying apparatus
KR100846355B1 (en) method for the vision assistance in head mount display unit and head mount display unit therefor
US9426342B1 (en) Handheld electronic magnifier having a multi-orientation handle
JP2006238094A (en) Magnifying viewer
KR101113596B1 (en) Video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ouse Type Input device
KR101589707B1 (en) Potable Magnifying Apparatus having the pen-type camera
EP3259636B1 (en) Articulated desktop magnifier
CN103200389A (en) Double-focal-length split type electronic typoscope
KR200484466Y1 (en) A camera unit of a smart phone for a gray hair in youth
Jacobs A comparison of the Viewpoint CCTV magnifier with three conventional CCTV magnifiers
WO2000054134A1 (en) Input/output device for a user terminal
US10971033B2 (en) Vision assistive device with extended depth of field
JP4731448B2 (en) Observation device and photographing device
JP2022058008A (en) Display terminal, document data display system, and document data display method
NZ532300A (en) Image magnifier for the visually impair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