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236B1 -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236B1
KR101413236B1 KR1020140017244A KR20140017244A KR101413236B1 KR 101413236 B1 KR101413236 B1 KR 101413236B1 KR 1020140017244 A KR1020140017244 A KR 1020140017244A KR 20140017244 A KR20140017244 A KR 20140017244A KR 101413236 B1 KR101413236 B1 KR 101413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upport
pillow
cervical spine
laryng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종
Original Assignee
(주)티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모드 filed Critical (주)티모드
Priority to KR1020140017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두의 외형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함몰형성되는 후두안치부와, 후두안치부에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후두안치부에 후두를 안치시 경추가 인입되는 홈구조의 경추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두안치부에는 중앙에 지지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분기홈이 더 형성되어, 기능성 베개의 상면에 후두안치부와 경추받침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후두와 경추를 지지하게 되고, 후두안치부에 지지홈과 분기홈을 형성하여 통풍이 이루어져 수면중 발생되는 땀이 용이하게 증발시킴으로서, 쾌적한 수면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베개 { Functionality Pillow }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성 베개의 상면에 후두안치부와 경추받침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후두와 경추를 지지하게 되고, 후두안치부에 지지홈과 분기홈을 형성하여 통풍이 이루어져 수면중 발생되는 땀이 용이하게 증발시킴으로서, 사용자의 목부분이 맞닿는 골형상의 분기홈이 형성되어 경추를 압박 지압하는 효과가 있고, 머리의 후두부분이 분기홈에 배치되는 목부분보다 낮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기도가 자연스럽게 열려 코골이 예방하여 쾌적한 수면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누울 때 머리를 편하게 받쳐 숙면을 취하도록 하는 침구로서, 베개를 잘못 선택할 경우 어깨결림, 코 골이, 두통 불면증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베개는 내부에 솜이나 스펀지 등과 같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쿠션부재가 내장된 몸체로 이루어져 있고, 몸체는 단순히 사람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베개의 관련기술로서 특허등록 제0675262호에는 『쿠션을 유지하기 위해 내용물이 내장되는 몸체의 상부중앙부에는 뒷머리를 받쳐주는 받침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 홈의 좌우측에는 옆머리를 받쳐주는 받침목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베개에 있어서, 상기 받침홈과 받침목에는 돌출된 형태의 목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받침홈, 받침목, 목지지부의 수순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받침목측의 목지지부가 받침홈측의 목지지부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받침목은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목에는 취침자의 귀가 안치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귀받침부가 형성되며, 상기 목지지부의 전방 중앙부에는 사용자의 척추굴곡선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완만한 경사를 갖는 보조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기술이 게시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베개는 “C”와 같은 곡선으로 형성되는 경추와 후두를 받쳐주기 위한 구성이 형성되어 있기는 하나, 통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수면중 발생하는 땀에 의해 쾌적한 수면을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경추의 굴곡대로 지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성 베개의 상면에 후두안치부와 경추받침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후두와 경추를 지지하게 되고, 후두안치부에 지지홈과 분기홈을 형성하여 통풍이 이루어져 수면중 발생되는 땀이 용이하게 증발시킴으로서, 사용자의 목부분이 맞닿는 골형상의 분기홈이 형성되어 경추를 압박 지압하는 효과가 있고, 머리의 후두부분이 분기홈에 배치되는 목부분보다 낮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기도가 자연스럽게 열려 코골이 예방하여 쾌적한 수면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후두의 외형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함몰형성되는 후두안치부와, 후두안치부에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후두안치부에 후두를 안치시 경추가 인입되는 홈구조의 경추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두안치부에는 중앙에 지지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분기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추받침부는 상기 후두안치부와 전면부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후두안치부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지지턱이 형성되며, 순차적으로 상기 전면부 방향으로 간격홈, 받침턱 및 인입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홈은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고, 상기 후두안치부의 내측면을 따라 곡선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홈들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기공에 의해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에는 연통관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기능성 베개는 기능성 베개의 상면에 후두안치부와 경추받침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후두와 경추를 지지하게 되고, 후두안치부에 지지홈과 분기홈을 형성하여 통풍이 이루어져 수면중 발생되는 땀이 용이하게 증발시킴으로서, 사용자의 목부분이 맞닿는 골형상의 분기홈이 형성되어 경추를 압박 지압하는 효과가 있고, 머리의 후두부분이 분기홈에 배치되는 목부분보다 낮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기도가 자연스럽게 열려 코골이 예방하여 쾌적한 수면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기능성 베개(10)는 후두의 외형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함몰형성되는 홈구조의 후두안치부(20)와, 후두안치부(20)에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후두안치부(20)에 후두를 안치시 경추가 인입되는 홈구조의 경추받침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후두안치부(20)에는 중앙에 지지홈(2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분기홈(22)이 더 형성된다. 상기 후두안치부는 반원형의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후두를 인입시킴과 아울러 지지하게 되고, 상기 경추받침부에 사용자의 뒷목부분이 입입됨과 아울러 지지하여 수면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기홈(22)은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두안치부(20)의 외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후두안치부(20)의 내측면을 따라 곡선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홈(21)과 상기 분기홈(22)에 의해 공기가 유동되어 후두부에 공기를 공급하게 됨으로서, 통풍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고 수면중 발생하는 땀을 증발시킬 수 있어 쾌적한 수면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경추받침부(30)는 상기 후두안치부(20)와 전면부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후두안치부(20)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곡선지게 상면이 형성된 지지턱(31)이 형성되며, 순차적으로 상기 전면부 방향으로 간격홈(32), 곡선지게 상면이 형성된 받침턱(33) 및 곡선의 인입홈(34)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턱(31)과 상기 받침턱(33)에 의해 경추를 후두보다 높게 유지시킬 수 있어 일자목 형태로 수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경추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굴곡지게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간격홈(32)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어 통풍이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목부분이 맞닿는 골형상의 분기홈이 형성되어 경추를 압박 지압하는 효과가 있고, 머리의 후두부분이 분기홈에 배치되는 목부분보다 낮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기도가 자연스럽게 열려 코골이 예방하여 쾌적한 수면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베개(10)는 라텍스 또는 메모리 폼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모리 폼과 연질의 합성수지재 이외에 가압시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면 어느재질의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메모리 폼 소재에 대하여는 이미 잘 알려진 소재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베개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블럭구조로 형성되며, 그 이외에 타원형 긴 봉형상 등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분기홈(22)들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기공(23)에 의해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23)에는 연통관(40)이 더 설치된다.
즉, 상기 통기공(23)에 의해 분기홈(22)들의 공기가 유동되어 통풍효과가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연통관(40)을 상기 통기공에 억지끼움 또는 끼움 후 접착고정시킴으로서, 후두의 하중에 의해 통기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후두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10 : 기능성 베개 20 : 후두안치부
30 : 경추받침부 40 : 연통관
21 : 지지홈 22 : 분기홈
23 : 통기공
31 : 지지턱 32 : 간격홈
33 : 받침턱 34 : 인입홈

Claims (4)

  1. 후두의 외형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함몰형성되는 후두안치부와, 후두안치부에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후두안치부에 후두를 안치시 경추가 인입되는 홈구조의 경추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두안치부에는 중앙에 지지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분기홈이 더 형성된 기능성 베개에 있어서,
    상기 경추받침부는 상기 후두안치부와 전면부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후두안치부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지지턱이 형성되며, 순차적으로 상기 전면부 방향으로 간격홈, 받침턱 및 인입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홈은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고, 상기 후두안치부의 내측면을 따라 곡선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홈들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기공에 의해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에는 연통관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KR1020140017244A 2014-02-14 2014-02-14 기능성 베개 KR101413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244A KR101413236B1 (ko) 2014-02-14 2014-02-14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244A KR101413236B1 (ko) 2014-02-14 2014-02-14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236B1 true KR101413236B1 (ko) 2014-06-30

Family

ID=5113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244A KR101413236B1 (ko) 2014-02-14 2014-02-14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2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6739A (zh) * 2015-05-11 2016-11-23 韩商艾得股份有限公司 功能性枕头
KR20230032561A (ko) * 2021-08-31 2023-03-07 리탠다드 주식회사 수면 자세 개선을 위한 베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4935U (ja) * 1984-02-01 1985-08-23 大関 栄一 健康枕
KR20110007957U (ko) * 2010-02-05 2011-08-11 김희수 숙면용 정형 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4935U (ja) * 1984-02-01 1985-08-23 大関 栄一 健康枕
KR20110007957U (ko) * 2010-02-05 2011-08-11 김희수 숙면용 정형 베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6739A (zh) * 2015-05-11 2016-11-23 韩商艾得股份有限公司 功能性枕头
KR20230032561A (ko) * 2021-08-31 2023-03-07 리탠다드 주식회사 수면 자세 개선을 위한 베개
KR102532428B1 (ko) * 2021-08-31 2023-05-15 리탠다드 주식회사 수면 자세 개선을 위한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894B1 (ko) 베개
KR101614621B1 (ko) 체형교정 건강베개
KR100970809B1 (ko) 건강 베개
US20130298333A1 (en) Balance pillow
US9968197B2 (en) Travel pillow
US9289082B1 (en) Pillow
JP4250592B2 (ja) 患者支持面用ヘッドレスト
US20120060292A9 (en) Methods for using head positioning pillows to optimize respiratory titration
GB2486859B (en) Travel pillow providing head and neck alignment during use
US20160375214A1 (en) Headgear with a hydrophilic wicking material
KR101413236B1 (ko) 기능성 베개
KR101697554B1 (ko) 척추자세 교정기
KR101966297B1 (ko) 라운드형 베개
KR101418696B1 (ko) 베개
US20150305913A1 (en) Support devices
KR20140130885A (ko) 경추베개
US20180169366A1 (en) Cushion cover and patient interface device using same
US10639444B2 (en) Facial mask with internal intermediate maxilla support for use with ventilation and positive air pressure systems
US10821252B2 (en) Nasal pillow and patient interface including the same
CN208958437U (zh) 一种耳部矫正器
CN208756270U (zh) 一种耳廓矫正器
KR101822283B1 (ko) 황토볼이 내장된 베개
JP2015205015A (ja)
KR102102538B1 (ko) 기능성 베개
KR20120035882A (ko) 높이 조절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