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202B1 - 엑스레이 검출기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엑스레이 검출기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202B1
KR101413202B1 KR20120069094A KR20120069094A KR101413202B1 KR 101413202 B1 KR101413202 B1 KR 101413202B1 KR 20120069094 A KR20120069094 A KR 20120069094A KR 20120069094 A KR20120069094 A KR 20120069094A KR 101413202 B1 KR101413202 B1 KR 101413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diode
voltage
period
ray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9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471A (ko
Inventor
황강민
이해성
김종철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이언스
Priority to KR20120069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202B1/ko
Priority to PCT/KR2012/005108 priority patent/WO2014003218A1/ko
Priority to US13/535,734 priority patent/US9012858B2/en
Publication of KR2014000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4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emiconductor detectors
    • G01T1/247Detector read-out circuit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H01L31/1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H01L31/115Devices sensitive to very short wavelength, e.g. X-rays, gamma-rays or corpuscular ra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2Transform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0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 G01T1/2018Scintillation-photodiode combinations
    • G01T1/20184Detector read-out circuitry, e.g. for clearing of traps, compensating for traps or compensating for direct h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3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applied to dark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4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emiconductor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엑스레이 검출기 및 그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의 구동 방법은,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에 제 1 전압이 제공되는 오프셋 안정화 단계;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에 상기 제 1 전압과 다른 제 2 전압이 제공되고 엑스레이가 입사되어 엑스레이에 대응하는 광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 및 출력되는 엑스레이 검출 단계; 및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에 상기 제 2 전압이 제공되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광이 공급되어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전하가 충전되는 초기화 단계를 포함하되, 엑스레이의 입사를 알리는 준비신호에 의해 상기 오프셋 안정화 단계, 상기 엑스레이 검출 단계 및 상기 초기화 단계가 단위주기로 진행된다.

Description

엑스레이 검출기 및 그 구동 방법{X-RAY DETECTOR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엑스레이 검출기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잔상 제거 및 오프셋 안정화가 가능한 엑스레이 검출기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FPXD(Flat Panel X-ray Detector) 등의 엑스레이 검출기가 개발되어 의료 산업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엑스레이 검출기는 입사되는 엑스레이를 광으로 변환시키는 신틸레이터(scintillator)와, 신틸레이터로부터 입력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 및 포토 다이오드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진 픽셀을 복수개 구비한 센서패널을 포함한다. 이러한 센서패널에는 픽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읽어내는 신호 검출부와, 신호 검출부가 전기적 신호를 읽어낼 수 있도록 스위칭 소자를 턴온시키는 게이트 드라이버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신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기적 신호는 메인 보드에 구비된 컨트롤러 등에서 일정한 처리 과정을 거쳐 영상 신호로 변환된 후 엑스레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된다.
한편, 위와 같은 엑스레이 검출기는 어느 한번의 엑스레이 입사 후 다음회의 엑스레이 입사가 수행되기 전에 복수의 픽셀의 포토 다이오드에 저장된 전하가 모두 일정하도록 초기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는 이전회에 입사된 엑스레이에 의한 잔상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초기화 작업은 센서패널 후면에 배치된 발광 시트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포토 다이오드에 전하를 충전시킴으로써 포토 다이오드를 포화(saturation)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포토 다이오드의 오프셋 레벨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은 일반적으로 네가티브인 바이어스 전압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우 대기 시간 동안 스위칭 소자를 통한 누설 전류(leakage current)에 의해 포토 다이오드에 전하가 불필요하게 충전되는 등 포토 다이오드의 오프셋 레벨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잔상 제거가 가능하면서, 포토 다이오드의 오프셋 레벨을 적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엑스레이 검출기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는, 입사된 엑스레이에 대응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 및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픽셀이 구비된 센서패널;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광을 제공하는 발광부; 및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제 1 및 제 2 전압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전압 제공부를 포함하고, 엑스레이의 입사를 알리는 준비신호에 의해,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에 제 1 전압이 제공되는 오프셋 안정화 과정,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에 상기 제 1 전압과 다른 상기 제 2 전압이 제공되고 엑스레이가 입사되어 엑스레이에 대응하는 광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 및 출력되는 엑스레이 검출 과정, 및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에 상기 제 2 전압이 제공되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광이 공급되어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전하가 충전되는 초기화 과정이 단위주기로 진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의 구동 방법은,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에 제 1 전압이 제공되는 오프셋 안정화 단계;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에 상기 제 1 전압과 다른 제 2 전압이 제공되고 엑스레이가 입사되어 엑스레이에 대응하는 광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 및 출력되는 엑스레이 검출 단계; 및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에 상기 제 2 전압이 제공되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광이 공급되어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전하가 충전되는 초기화 단계를 포함하되, 엑스레이의 입사를 알리는 준비신호에 의해 상기 오프셋 안정화 단계, 상기 엑스레이 검출 단계 및 상기 초기화 단계가 단위주기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엑스레이 검출기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잔상 제거가 가능하면서, 포토 다이오드의 오프셋 레벨을 적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엑스레이 검출기의 센서패널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의 검출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 또는 간격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100)는 입사되는 엑스레이를 광으로 변환시키는 신틸레이터부(130)와, 신틸레이터부(130)에 의해 변환된 광을 입력받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픽셀이 구비된 센서패널부(120)와, 센서패널부(120)의 후면에 배치되고 픽셀들의 초기화를 위하여 광을 제공하는 발광부(110)를 포함한다.
신틸레이터부(130)는 기판, 및 기판 상에 형성된 NaI(Tl), ZnS(Ag), CsI(Tl), LiI(Tl) 등의 신틸레이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10)는 예컨대, EL(electro luminescence) 시트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패널부(120)의 픽셀들로 광을 제공할 수 있으면 어떠한 장치든 무방하다.
센서패널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나아가, 복수의 픽셀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패널부(120)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도 2는 도 1의 엑스레이 검출기의 센서패널부(120)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패널부(120)는 복수의 픽셀(PX)이 배치된 픽셀부(122)와, 픽셀(PX)의 제어를 위하여 픽셀부(122)의 외측에 배치되는 게이트 드라이버(124), 신호 검출부(126) 및 전압 제공부(128)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픽셀부(122)에는 일 방향(예컨대, 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 GL2, GL3, …) 및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 DL2, DL3, …)이 배치되고, 게이트 라인(GL1, GL2, GL3, …)과 데이터 라인(DL1, DL2, DL3, …)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픽셀(PX)이 배치된다.
픽셀(PX) 각각은 입력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PD) 및 포토 다이오드(PD)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예컨대,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한다. 여기서, 포토 다이오드(PD)의 출력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Tr)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포토 다이오드(PD)의 입력단은 바이어스 라인(BL)을 통하여 바이어스 전압(Vbias) 또는 그라운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제공부(128)에 연결된다. 또한, 트랜지스터(Tr)의 출력단은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DL)을 통하여 신호 검출부(126)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Tr)의 제어단인 게이트는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GL)을 통하여 게이트 드라이버(124)에 연결된다.
전압 제공부(128)는 바이어스 라인(BL)과 제 1 전압단, 일례로 그라운드 전압단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 및 바이어스 라인(BL)과 제 2 전압단, 일례로 바이어스 전압단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제공부(128)는 바이어스 라인(BL)으로 그라운드 전압 또는 바이어스 전압(Vbias)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며, 이를 위하여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제2 스위치는 오프 상태이고,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때 제2 스위치는 온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 제공부(128)가 두 개의 제1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압 제공부(128)는 바이어스 라인(BL)으로 그라운드 전압 또는 바이어스 전압(Vbias)을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면 족하다. 바이어스 전압(Vbias)은 네가티브 전압일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124)는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 라인(GL1, GL2, GL3, …)으로 인가한다. 게이트 신호의 인가는 게이트 라인(GL1, GL2, GL3, …) 별로 즉, 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게이트 신호는 트랜지스터(Tr)를 턴온시키는 신호 및 트랜지스터(Tr)를 턴오프시키는 신호 사이에서 스윙할 수 있다. 게이트 신호의 인가에 따라 해당 게이트 라인(GL)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가 턴온되면, 포토 다이오드(PD)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가 턴온된 트랜지스터(Tr)를 통하여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DL)으로 전달된다.
신호 검출부(126)는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전달된 전기적 신호를 읽어낸다. 이를 위하여 신호 검출부(126)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 DL2, DL3, …)과 일대일 대응으로 연결된 증폭기 및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된 멀티 플렉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신호 검출부(126)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신호 검출부(126)에서 검출된 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메인 보드의 컨트롤러 등으로 전달되고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엑스레이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다. 신호 검출부(126)에서의 신호 검출 및 그 이후의 과정은 본 발명의 특징과 무관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3과 함께 전술한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의 구동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의 검출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a)는 엑스레이 검출기(100)로 입사되는 엑스레이를 나타내는 파형도이고, (b)는 게이트 드라이버(140)의 게이트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고, (c)는 발광부(110)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고, (d)는 전압 제공부(110)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엑스레이 검출기(100)는 오프셋 안정화 구간(P1), 엑스레이 검출구간(P2) 및 초기화 구간(P3)을 1 주기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주기는 엑스레이 촬영시마다 반복된다.
편의상 엑스레이 검출구간(P2)를 먼저 살펴보면, 엑스레이 검출 구간(P2)은 엑스레이 검출기(100)로 엑스레이가 입사되는 시점부터, 입사된 엑스레이에 대응하는 광이 픽셀부(122)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 검출부(126)로 전달되는 시점까지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제5 시점(t5)에서 엑스레이 입사(EX 참조)가 시작되면 신틸레이터부(130)에 의해 변환된 광이 픽셀(PX)의 포토 다이오드(PD)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그에 따라 포토 다이오드(PD)에는 전하가 충전된다. 이러한 전하의 충전은 기 설정된 제6 시점(t6)까지 계속된다.
제6 시점(t6)에서 게이트 드라이버(124)의 게이트 신호는 트랜지스터(Tr)의 턴오프 신호에서 턴온 신호로 변환된다. 그에 따라 포토 다이오드(PD)에 충전된 전하가 턴온된 트랜지스터(Tr) 및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DL)을 통하여 신호 검출부(126)로 전달된다. 한편, 도 3에서는 제6 시점(t6)에서 엑스레이 입사(EX)가 중지되는 동시에 게이트 신호가 턴온 신호로 변환되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엑스레이 입사(EX)의 중지 시점과 게이트 신호의 변환 시점 사이에 일정한 딜레이가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포토 다이오드(PD)에 충전된 전하의 신호 검출부(126)로의 전달은 기 설정된 제7 시점(t7)에서 완료되고 게이트 신호는 다시 턴오프 신호로 변환된다. 그에 따라 엑스레이 입사(EX) 및 검출(RD)이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엑스레이 촬영 후 즉, 엑스레이 검출 구간(P2) 후에 초기화 구간(P3)이 제공된다. 초기화 구간(P3)은, 엑스레이 검출 구간(P2) 후에 복수의 픽셀(PX)의 포토 다이오드(PD)에 잔류하는 전기적 신호를 모두 일정하게 하여 후속의 엑스레이 촬영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는 구간이다.
구체적으로, 엑스레이 검출(RD)이 완료된 제7 시점(t7)에서 발광부(110)는 포토 다이오드(PD)에 전하를 충전시키기 위한 광의 제공(EL 참조)을 시작한다. 광의 제공(EL)은 기 설정된 제8 시점(t8)까지 계속될 수 있고, 이로써 포토 다이오드(PD)가 포화되어 엑스레이 검출구간(P2)에 의한 잔상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광의 제공(EL)은 초기화 구간(P3) 전부에서 수행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초기화 구간(P3)의 일부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초기화 구간(P3)은 광의 제공(EL)이 이루어지는 제7 시점(t7) 내지 제8 시점(t8)의 구간과 나머지 구간인 제8 시점(t8) 내지 제9 시점(t9)의 구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초기화 구간(P3) 중 광의 제공(EL)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 즉, 제8 시점(t8) 내지 제9 시점(t9)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트랜지스터(Tr)는 턴온 상태(SC)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포토 다이오드(PD)의 전하가 트랜지스터(Tr)를 통하여 빠져나가기 때문에, 포토 다이오드(PD)의 오프셋 레벨이 낮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8 시점(t8) 내지 제9 시점(t9)의 구간 전부에서 트랜지스터(Tr)가 턴온 상태(SC)인 경우로 나타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트랜지스터(Tr)의 턴온 상태(SC)는 제8 시점(t8) 내지 제9 시점(t9) 사이에 적절히 나타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초기화 구간(P3)에서는 광의 제공(EL)을 통하여 포토 다이오드(PD)를 포화시킴으로써 엑스레이 촬영에 의한 잔상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광의 제공(EL) 후에 게이트 드라이버(124)의 게이트 신호를 적절히 변환시켜 트랜지스터(Tr)의 턴온/턴오프를 제어함으로써 포토 다이오드(PD)의 오프셋 레벨을 보다 낮은 상태에서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제7 시점(t7)에서 게이트 신호가 턴오프 신호로 변환되는 동시에 발광부(110)의 광 제공(EL)이 시작된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게이트 신호의 변환 시점과 광 제공(EL) 시점 사이에 일정한 딜레이가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엑스레이 촬영 전, 다시 말해 엑스레이 검출구간(P2) 이전에 오프셋 안정화 구간(P1)이 제공된다. 오프셋 안정화 구간(P1)은 초기화 구간(P3) 후 대기 시간 동안의 누설 전류로 인한 포토 다이오드(PD)의 불필요한 전하량 증가 및 이에 따른 포토 다이오드의 오프셋 레벨 변동을 해소하기 위한 구간이다.
구체적으로, 오프셋 안정화 구간(P1)의 최초 제1 시점(t1)에서 전압 제공부(128)는 바이어스 전압단에 연결된 제 2 스위치를 턴오프하고 그라운드 전압단에 연결된 제 1 스위치를 턴온시킨다. 그에 따라, 포토 다이오드(PD)의 입력단으로 바이어스 라인(BL)을 통한 그라운드 전압 인가(GND)가 수행된다. 이와 같이 그라운드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다시 말해, 그라운드 전압 인가(GND)가 수행되는 제1 시점(t1) 내지 제4 시점(t4)의 구간 일부 예컨대, 제2 시점(t2) 내지 제3 시점(t3)의 구간에서, 트랜지스터(Tr)는 턴온 상태(SC)일 수 있고, 이로써 포토 다이오드(PD)는 포화된다. 그라운드 전압 인가(GND)가 시작되는 제1 시점(t1)은 엑스레이 검출구간(P2)의 엑스레이 입사(EX)를 알리는 소정 준비 신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그라운드 전압 인가(GND)는 오프셋 안정화 구간(P1) 전부에서 수행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오프셋 안정화 구간(P1)의 일부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오프셋 안정화 구간(P1)은 그라운드 전압 인가(GND)가 이루어지는 제1 시점(t1) 내지 제4 시점(t4)의 구간과 나머지 구간인 제4 시점(t4) 내지 5 시점(t5)의 구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오프셋 안정화 구간(P1) 중 그라운드 전압 인가(GND)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 즉, 제4 시점(t4) 내지 제5 시점(t5)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트랜지스터(Tr)는 턴온 상태(SC)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포토 다이오드(PD)의 전하가 트랜지스터(Tr)를 통하여 빠져나가기 때문에, 포토 다이오드(PD)의 오프셋 레벨이 낮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4 시점(t4) 내지 제5 시점(t5)의 구간 전부에서 트랜지스터(Tr)가 턴온 상태(SC)인 경우로 나타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트랜지스터(Tr)의 턴온 상태(SC)는 제4 시점(t4) 내지 제5 시점(t5) 사이에 적절히 나타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프셋 안정화 구간(P1)에서는 포토 다이오드(PD)의 입력단에 바이어스 전압 대신 그라운드 전압을 인가하여 누설 전류에 의한 포토 다이오드(PD)의 전하량 증가 및 그에 따른 오프셋 레벨 변동을 해소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그라운드 전압 인가(GND) 후에 게이트 드라이버(124)의 게이트 신호를 적절히 변환시켜 트랜지스터(Tr)의 턴온/턴오프를 제어함으로써 포토 다이오드(PD)의 오프셋 레벨을 보다 낮은 상태에서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구동 방법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검출기는 엑스레이 검출 구간(P2) 직전의 오프셋 안정화 구간(P1) 동안 포토다이오드(PD)의 오프셋 레벨을 안정화하고, 엑스레이 검출구간(P2) 후의 초기화 구간(P3) 동안 포토 다이오드(PD)를 포화시켜 잔상을 제거한다.
삭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0: 센서패널부 122: 픽셀부
124: 게이트 드라이버 126: 신호 검출부
128: 전압 제공부 PX: 픽셀
Tr: 트랜지스터 PD: 포토 다이오드
DL: 데이터 라인 BL: 바이어스 라인
GL: 게이트 라인

Claims (8)

  1. 입사된 엑스레이에 대응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 및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픽셀이 구비된 센서패널;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광을 제공하는 발광부; 및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제 1 및 제 2 전압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전압 제공부를 포함하고,
    엑스레이의 입사를 알리는 준비신호에 의해,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에 제 1 전압이 제공되는 오프셋 안정화 과정,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에 상기 제 1 전압과 다른 상기 제 2 전압이 제공되고 엑스레이가 입사되어 엑스레이에 대응하는 광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 및 출력되는 엑스레이 검출 과정, 및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에 상기 제 2 전압이 제공되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광이 공급되어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전하가 충전되는 초기화 과정이 단위주기로 진행되는, 엑스레이 검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은 그라운드 전압이고, 상기 제 2 전압은 바이어스 전압인, 엑스레이 검출기.
  3. 엑스레이 검출기의 구동 방법으로서,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에 제 1 전압이 제공되는 오프셋 안정화 단계;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에 상기 제 1 전압과 다른 제 2 전압이 제공되고 엑스레이가 입사되어 엑스레이에 대응하는 광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 및 출력되는 엑스레이 검출 단계; 및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입력단에 상기 제 2 전압이 제공되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광이 공급되어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전하가 충전되는 초기화 단계를 포함하되,
    엑스레이의 입사를 알리는 준비신호에 의해 상기 오프셋 안정화 단계, 상기 엑스레이 검출 단계 및 상기 초기화 단계가 단위주기로 진행되는, 엑스레이 검출기의 구동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은 그라운드 전압이고, 상기 제 2 전압은 바이어스 전압인, 엑스레이 검출기의 구동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단계는,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간 동안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광이 제공되고,
    상기 제2 구간 중 적어도 일부 동안 픽셀의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는, 엑스레이 검출기의 구동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안정화 단계는,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간 동안 상기 제 1 전압이 제공되고,
    상기 제2 구간 중 적어도 일부 동안 픽셀의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는, 엑스레이 검출기의 구동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안정화 단계는,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간 동안 상기 제 1 전압이 제공되고,
    상기 제1 구간의 일부 동안 픽셀의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는, 엑스레이 검출기의 구동 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안정화 단계는,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간 동안 상기 제 1 전압이 제공되고,
    상기 제1 구간의 일부 동안 및 상기 제2 구간 중 적어도 일부 동안 픽셀의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는, 엑스레이 검출기의 구동 방법.
KR20120069094A 2012-06-27 2012-06-27 엑스레이 검출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413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9094A KR101413202B1 (ko) 2012-06-27 2012-06-27 엑스레이 검출기 및 그 구동 방법
PCT/KR2012/005108 WO2014003218A1 (ko) 2012-06-27 2012-06-28 엑스레이 검출기 및 그 구동 방법
US13/535,734 US9012858B2 (en) 2012-06-27 2012-06-28 X-ray detector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9094A KR101413202B1 (ko) 2012-06-27 2012-06-27 엑스레이 검출기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471A KR20140001471A (ko) 2014-01-07
KR101413202B1 true KR101413202B1 (ko) 2014-06-27

Family

ID=4977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9094A KR101413202B1 (ko) 2012-06-27 2012-06-27 엑스레이 검출기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12858B2 (ko)
KR (1) KR101413202B1 (ko)
WO (1) WO201400321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298A (ko) * 2008-03-05 2009-09-09 주식회사바텍 엑스선 이미지센서의 구동방법
KR20110125864A (ko) * 2010-05-14 2011-11-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광검출 픽셀의 구동방법 및 이 광검출 픽셀을 포함하는 엑스레이 검출기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6746B2 (ja) * 2000-07-28 2012-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4307322B2 (ja) * 2004-05-18 2009-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像装置及び放射線撮像システム
KR100936477B1 (ko) * 2008-03-05 2010-01-13 주식회사바텍 X선 이미지센서의 옵셋 안정화방법
KR20090102185A (ko) * 2008-03-25 2009-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레이 검출기의 구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엑스레이검출기
KR100969707B1 (ko) * 2008-06-17 2010-07-14 주식회사바텍 X선 이미지센서의 옵셋 레벨 안정화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298A (ko) * 2008-03-05 2009-09-09 주식회사바텍 엑스선 이미지센서의 구동방법
KR20110125864A (ko) * 2010-05-14 2011-11-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광검출 픽셀의 구동방법 및 이 광검출 픽셀을 포함하는 엑스레이 검출기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12858B2 (en) 2015-04-21
WO2014003218A1 (ko) 2014-01-03
US20140003581A1 (en) 2014-01-02
KR20140001471A (ko)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1951B2 (en) Method of driving x-ray detector and x-ray detector using the same
KR101528147B1 (ko) 발광표시장치
KR102559087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2348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01763817B (zh) 包含静电保护电路的平板显示器
KR102262856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090231253A1 (en) Lcd with the function of eliminating the power-off residual images
US20160299587A1 (en) Touch display screen and time division driving method thereof
KR20150120001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EP3646013B1 (en) Photo-detection pixel circuit, detector panel, and photoelectric detection apparatus
US909300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US11238801B2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compensation parameter for pixel data and AMOLED display panel
US20190096306A1 (en) Gate driver and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JP2013098825A5 (ko)
KR2016006021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12014861A1 (ja) 表示装置
KR101413202B1 (ko) 엑스레이 검출기 및 그 구동 방법
US8410450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X-ray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10264958B (zh) 显示装置
KR102182190B1 (ko) 표시장치 및 타이밍 컨트롤러
KR20120075172A (ko) 엑스레이 검출기 및 엑스레이 검출기의 구동 방법
JP4614286B2 (ja) 光電変換装置、イメージセンサ、光学読み取り装置
KR101278899B1 (ko) 능동 감광 픽셀
KR20110100840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JP2009182901A (ja) 固体撮像装置、及び固体撮像装置用混入ノイズ抑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