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670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670B1
KR101412670B1 KR20127014056A KR20127014056A KR101412670B1 KR 101412670 B1 KR101412670 B1 KR 101412670B1 KR 20127014056 A KR20127014056 A KR 20127014056A KR 20127014056 A KR20127014056 A KR 20127014056A KR 101412670 B1 KR101412670 B1 KR 101412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backhaul
rbs
resources
relay
facili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14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790A (ko
Inventor
아모드 딘카르 칸데카르
아미르 파라지다나
주안 몬토조
완시 첸
알렉세이 유리에비치 고로코브
팅팡 지
라비 팔란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8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채널을 설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해 활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 및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의 대역-내 반-이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채널이 식별된다. 릴레이 백홀 채널은 FDM 채널, TDM/FDM 채널, 또는 공동의 R-PDCCH/R-PDSCH 채널일 수 있다. 릴레이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R-PDSCH 채널의 지원가능한 랭크들은 R-PDCCH 구역에서 레퍼런스 신호들의 복조를 위해 예약된 리소스들의 수에 의존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BACKHAUL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출원은 2009년 10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 61/256,899 호의 우선권을 청구하며, 그 전체가 레퍼런스로서 여기에 통합된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relay) 백홀(backhaul) 통신과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게, 이 출원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채널을 설계하기 위한 기법들과 관련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들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예를 들면, 대역폭 및 송신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접속 시스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접속 시스템들의 예들에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시스템들,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시스템들,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무선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각 단말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의 송신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한다. 상기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부터 단말기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며, 상기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단말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이 통신 링크는 단일-입력-단일-출력, 다중-입력-단일-출력, 또는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들은 다수의 모바일 사용자 장비들(UE들) 및 다수의 기지(base) 노드들(NodeB들)을 포함한다. NodeB는 일반적으로 고정(fixed)국(station)이며, 또한 기지 트랜시버(transceiver) 시스템(BTS), 액세스 포인트(AP), 기지국(BS), 또는 동일한 의미의 몇몇 다른 용어로 호칭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 대한 발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NodeB의 기능성은 진화해왔으며, 따라서 NodeB는 때때로 진화된 NodeB(eNB)로 지칭된다. 일반적으로, NodeB 하드웨어는, 이용시에, 고정적이면서 정적인 반면, UE 하드웨어는 포터블(portable)하다.
NodeB와는 반대로, 모바일 UE는 포터블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UE는, 또한 단말이나 모바일 국(station)으로도 흔히 지칭되는데, 고정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무선 디바이스, 셀룰러 폰,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무선 모뎀 카드(card) 등일 수 있다. 업링크 통신(UL)은 모바일 UE로부터 NodeB로의 통신을 지칭하는 반면, 다운링크(DL)는 NodeB로부터 모바일 UE로의 통신을 지칭한다.
각 NodeB는, NodeB 주위를 자유롭게 이동하는 모바일 UE들과 직접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각 모바일 UE는 NodeB와 직접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를 포함한다.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모바일 UE들은 서로간에 직접 통신할 수는 없고 NodeB와 통신해야 한다.
릴레이 노드들(RN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기 위해 고려되어 왔다. RN은 다른 기능들을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범위 확장을 제공하고, 데이터 레이트(rate)들을 증가시키며, UE 이동성을 용이하게 하고, 셀 가장자리 커버리지(coverage)를 증가시키기 위해, 단말들, UE들, 및 eNB들과 같은 기지국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이한 형태들의 RN들 - 예를 들어 UE에 대해 독립적인 NodeB로 나타나는 RN을 지칭하는 "형태 1"RN을 포함함 - 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형태 1 RN은 그 자신의 동기화 채널들, 제어 채널들 등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동일 대역 상에서 동일한 시간에 송신 및 수신은 불가능한 대역-내(in-band) 반-이중(half-duplex) RN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백홀 링크 상의 도너(donor) NodeB로부터 DL 통신을 수신하기 위한 "공백 기간(blank period)"을 생성하기 위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인터벌들에 걸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MBSFN)가 사용될 수 있음이 현재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MBSFN의 서브프레임(subframe)들의 성질들(예를 들면, 그들은 1개 또는 2개의 OFDM 심볼들 동안 지속되는 PDCCH 송신들을 포함한다)로 인해, RN은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도너 NodeB로부터 PDCCH 송신들을 듣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그 결과, 하나 이상의 릴레이 제어 채널들(예를 들면, R-PDCCH, R-PHICH, P-PCFICH, 등)은 NodeB와 RN 사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은 그러므로 릴레이 백홀 채널의 설계와 관련된 다양한 양상들을 다룬다.
이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릴레이 노드들(RN들)과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과 관련있다. RN은 다른 기능들을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범위 확장을 제공하고, 데이터 레이트(rate)들을 증가시키며, UE 이동성을 용이하게 하고, 셀 가장자리 커버리지(coverage)를 증가시키기 위해, 단말들, UE들, 및 eNB들과 같은 기지국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RN과 대역-내 반-이중(half-duplex)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릴레이 백홀 채널이 제공된다. 릴레이 백홀 채널은 FDM 채널, TDM/FDM 채널, 또는 공동의(joint) R-PDCCH/R-PDSCH 채널일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있다.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해 활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는 식별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 또한 식별되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은 제1 세트의 리소스(resource) 블록들(RB들)의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의 복조(demodulation)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reference)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이 식별된다.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이 식별되는데, 상기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은 적어도 상기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을 포함한다. 통신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 수행된다.
추가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들과 관련되는데, 상기 장치는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해 활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은 제1 세트의 리소스 블록들(RB들)의 제어부를 포함함 ―,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의 복조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1 세트의 리소스들, 및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서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며 그리고 적어도 상기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을 포함한다.
여전히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관련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해 활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식별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은 제1 세트의 리소스 블록들(RB들)의 제어부를 포함함 ―,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의 복조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은 적어도 상기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되며, 상기 장치는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해 활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은 제1 세트의 리소스 블록들(RB들)의 제어부를 포함함 ―,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의 복조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은 적어도 상기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여기서 설명된 다른 것들 뿐만 아니라, 위에서-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 디바이스들, 장치, 및 시스템과 관련있다. 다양한 추가적 양상들은 또한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아래에서 설명된다.
본 출원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고려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관련하여서 좀더 충분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전체 도면에 걸쳐 유사한 레퍼런스 문자들은 유사한 부분들을 지칭하며, 다음에서:
도 1은 예시적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3은 예시적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NB와 예시적 UE의, 예시적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릴레이 백홀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FDM 릴레이 제어 채널을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REG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FDM 릴레이 백홀 채널의 예시적 설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TDM/FDM 릴레이 제어 채널을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TDM/FDM 릴레이 백홀 채널의 예시적 설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공동의(joint) R-PDCCH/R-PDSCH 릴레이 제어 채널을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릴레이 노드들(RN들)을 갖는 시스템들과 방법들이 개시된다. RN은 다른 기능들을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범위 확장을 제공하고, 데이터 레이트(rate)들을 증가시키며, UE 이동성(mobility)을 용이하게 하고, 셀 가장자리 커버리지(coverage)를 증가시키기 위해, 단말들, UE들, 및 eNB들과 같은 기지국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이한 형태들의 RN들 - 예를 들어 UE에 대해 독립적인 NodeB로 나타나는 RN을 지칭하는 "형태 1"RN을 포함함 - 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형태 1 RN은 그 자신의 동기화 채널들, 제어 채널들 등을 송신할 수 있다.
동일 대역 상에서 동일한 시간에 송신 및 수신이 불가능한 대역-내(in-band) 반-이중(half-duplex) RN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또한 지원될 수 있다. 백홀 링크 상의 도너(donor) NodeB로부터 DL 통신을 수신하기 위한 "공백 기간(blank period)"을 생성하기 위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인터벌들에 걸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MBSFN)가 사용될 수 있음이 현재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MBSFN의 서브프레임 (subframe)들의 성질들(예를 들면, 그들은 1개 또는 2개의 OFDM 심볼들 동안 지속되는 PDCCH 송신들을 포함한다)로 인해, RN은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도너 NodeB로부터 PDCCH 송신들을 듣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 결과, 하나 이상의 릴레이 제어 채널들(예를 들면, R-PDCCH, R-PHICH, P-PCFICH, 등)은 NodeB와 RN 사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릴레이 백홀 채널을 설계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여기에서 설명되는 기법들은 다른 통신 네트워크들 뿐만 아니라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네트워크들, 시 분할 다중 액세스(TDMA)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네트워크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네트워크들, 단일-캐리어 FDMA(SC-FDMA)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것과 같이, 용어들 "네트워크들" 및 "시스템들"은 상호변경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CDMA 네트워크는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TRA"),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CDMA(W-CDMA) 및 로우 칩 레이트(LCR)를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cover)한다. TDMA 네트워크는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진화된(evolved) UTRA(E-UTRA), IEEE 802.11, IEEE 802.16,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E-UTRA 및 GSM은 범용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특히, 롱 텀 에볼루션(LTE)은 E-UTRA를 이용하는 UMTS의 다음(upcoming) 릴리스(release)이다. UTRA, E-UTRA, GSM, UMTS, 및 LTE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GPP)로 명명된 단체로부터 제공된 문서들에서 설명되며, cdma2000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 (3GPP2)로 명명된 단체로부터의 문서들에서 설명된다.
이러한 다양한 무선 기술들 및 표준들은 해당 분야에서 공지된다. 예를 들면,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는 전세계적으로 적용가능한 3세대(3G) 휴대 전화 사양을 정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원격통신 협회 그룹들 간의 공동연구이다. 3GPP LTE는 범용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 휴대 전화 표준을 개선시키는데 목적을 둔 3GPP 프로젝트이다. 3GPP는 모바일 네트워크들, 모바일 시스템들, 및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차세대 사양들을 정의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장치 및 기법들의 특정 양상들은 LTE를 위해 이하에서 설명되고, LTE라는 용어는 이하의 설명에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설명은 LTE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로 제한되게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그에 따라, 여기서 설명된 장치 및 방법들은 여러가지 통신 시스템들 및 어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단일 캐리어(carrier)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는 단일 캐리어 변조 및 주파수 영역 등화를 활용하는데, 각광받는 하나의 통신 기법이다. SC-FDMA는 OFDMA와 유사한 성능 및 본질적으로 동일한 전체 복잡도(complexity)를 갖는다. 그러나, SC-FDMA 신호는 자신의 고유한 단일 캐리어 구조 때문에 OFDMA 신호보다 더 낮은 피크-대-평균 전력비(PAPR)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SC-FDMA는 낮은 PAPR이 전송 전력 효율성과 관련하여 이동 단말에 큰 장점을 제공하는 업링크 통신들에서 특히 큰 주의를 최근에 끌어왔다. SC-FDMA의 사용은 현재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또는 진화된 UTRA에서 업링크 다중 접속 방식을 위한 작업 전제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논리적 채널들은 제어 채널들 및 트래픽 채널들로 분류될 수 있다. 논리적 제어 채널들은 시스템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다운링크(downlink)(DL) 채널인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CCH), 페이징(paging) 정보를 전달하는 DL 채널인 페이징 제어 채널(PCCH), 및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스케쥴링과 하나 또는 수개의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TCH)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인트-투-멀티포인트(point-to-multipoint) DL 채널인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CCH)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접속을 개설한 후, 이 채널은 오직 MBMS를 수신하는 UE들에 의해 사용된다. 또한, 전용 제어 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DCCH)은 전용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RRC 접속을 갖는 UE들에 의해 사용되는,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양-방향(bi-directional) 채널이다.
논리적 트래픽 채널들은, 사용자 정보의 전달을 위해 하나의 UE에 전용되는 포인트-투-포인트 양-방향 채널인 전용 트래픽 채널(DTCH), 및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포인트-투-멀티포인트 DL 채널인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TCH)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들은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로 분류될 수 있다. DL 전송 채널들은 브로드캐스트 채널(BCH), 다운링크 공유 데이터 채널 (downlink shared data channel)(DL-SDCH), 및 페이징 채널(PCH)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RX 사이클(cycle)이 네트워크에 의해 UE에 표시될 때)PCH는 UE의 전력 절감의 지원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전체 셀에 대해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제어/트래픽 채널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물리적 계층(PHY) 리소스들로 맵핑(mapping)될 수 있다. UL 전송 채널들은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요청 채널 (REQCH), 업링크 공유 데이터 채널(UL-SDCH), 및 다수의 PHY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PHY 채널들은 한 세트의 DL 채널들 및 UL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DL PHY 채널들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Common Pilot Channel (CPICH)
Synchronization Channel (SCH)
Common Control Channel (CCCH)
Shared DL Control Channel (SDCCH)
Multicast Control Channel (MCCH)
Shared UL Assignment Channel (SUACH)
Acknowledgement Channel (ACKCH)
DL Physical Shared Data Channel (DL-PSDCH)
UL Power Control Channel (UPCCH)
Paging Indicator Channel (PICH)
Load Indicator Channel (LICH)
UL PHY 채널들은 다음 세트의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CQICH)
Acknowledgement Channel (ACKCH)
Antenna Subset Indicator Channel (ASICH)
Shared Request Channel (SREQCH)
UL Physical Shared Data Channel (UL-PSDCH)
Broadband Pilot Channel (BPICH)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들을 위해, 다음의 용어 및 축약어가 여기서 사용될 수 있다:
AM Acknowledged Mode
AMD Acknowledged Mode Data
ARQ Automatic Repeat Request
BCCH Broadcast Control Channel
BCH Broadcast Channel
C- Control-
CCCH Common Control Channel
CCH Control Channel
CCTrCH Coded Composite Transport Channel
CP Cyclic Prefix
CRC Cyclic Redundancy Check
CTCH Common Traffic Channel
DCCH Dedicated Control Channel
DCH Dedicated Channel
DL DownLink
DSCH Downlink Shared Channel
DTCH Dedicated Traffic Channel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ACH Forward link Access Channel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L1 Layer 1 (physical layer)
L2 Layer 2 (data link layer)
L3 Layer 3 (network layer)
LI Length Indicator
LSB Least Significant Bit
MAC Medium Access Control
MBMS Mult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CCH MBMS point-to-multipoint Control Channel
MRW Move Receiving Window
MSB Most Significant Bit
MSCH MBMS point-to-multipoint Scheduling Channel
MTCH MBMS point-to-multipoint Traffic Channel
PCCH Paging Control Channel
PCH Paging Channel
PDU Protocol Data Unit
PHY PHYsical layer
PhyCH Physical Channels
RACH Random Access Channel
RLC Radio Link Control
RRC Radio Resource Control
SAP Service Access Point
SDU Service Data Unit
SHCCH SHared channel Control Channel
SN Sequence Number
SUFI SUper FIeld
TCH Traffic Channel
TDD Time Division Duplex
TFI Transport Format Indicator
TM Transparent Mode
TMD Transparent Mode Data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U- User-
UE User Equipment
UL UpLink
UM Unacknowledged Mode
UMD Unacknowledged Mode Data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TRA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N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MBSFN 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MCE MBMS coordinating entity
MCH Multicast channel
DL-SCH Downlink shared channel
MSCH MBMS control channel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CFICH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MIMO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수의 NT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의 NR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한다. NT 송신 및 NR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되는 MIMO 채널은 NS의 독립적인 채널들로 분해될 수 있는데, 이들은 또한 공간(spatial) 채널들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 경우 NS ≤ min{NT, NR}이며, NS의 독립적 채널들 각각은 디멘젼(dimension)에 대응한다. 이는 스펙트럴(spectral) 효율면에서 NS의 증가를 제공한다. MIMO 시스템은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에 의해 생성되는 추가적인 차원수가 활용된다면 개선된 성능(예를 들면, 더 높은 스루풋(throughput) 및/또는 더 큰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별한 디멘젼은 랭크(rank)의 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MIMO 시스템들은 시 분할 듀플렉스(TDD)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구현들 양쪽을 지원한다. 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송신들은 동일 주파수 구역들을 사용하여서, 호혜의 원리는 역방향 링크 채널로부터 순방향 링크 채널의 추정을 허용한다. 이는, 다수의 안테나들이 액세스 포인트에서 이용가능할 때, 액세스 포인트로 하여금 순방향 링크상에서 송신 빔포밍(beamforming) 이득을 추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시스템 설계들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가 빔포밍 및 다른 기능들을 용이하게 하는 다양한 시간-주파수 레퍼런스(reference) 신호들을 지원할 수 있다. 레퍼런스 신호는 알려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신호이며, 파일럿(pilot), 프리앰블(preamble), 트레이닝(training) 신호, 사운딩(sounding) 신호 등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레퍼런스 신호는 수신기에 의해 채널 추정, 동기 복조(coherent demodulation), 채널 품질 측정, 신호 강도 측정 등과 같은 다양한 목적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MIMO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안테나들 사이에서 레퍼런스 신호들을 보내는 것의 조정(coordination)을 위해 제공되지만, LTE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기지국들이나 eNB들로부터 레퍼런스 신호들을 보내는 것의 조정을 위해 제공하지는 않는다.
3GPP 사양 36211-900은 PUSCH 또는 PUCCH의 송신과 관련되지 않은 사운딩 뿐 아니라, PUSCH 또는 PUCCH의 송신과 관련된, 섹션 5.5에서의 복조를 위한 특정 레퍼런스 신호들을 정의한다. 예를 들면, 표 1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상에서 송신될 수 있는 LTE 구현들을 위한 몇몇 레퍼런스 신호들을 열거하며, 각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제공한다. 셀-특정 레퍼런스 신호는 또한 공통 파일럿, 브로드밴드 파일럿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UE-특정 레퍼런스 신호는 또한 전용 레퍼런스 신호로도 지칭될 수 있다.
LTE 레퍼런스 신호들
링크 레퍼런스 신호 설명
다운링크 셀 특정 레퍼런스 신호 노드 B에 의해 보내지고, 채널 추정 및 채널 품질 측정을 위해 UE들에 의해 사용되는, 레퍼런스 신호
다운링크 UE 특정 레퍼런스 신호 노드 B에 의해 특정 UE로 보내지고, 노드 B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레퍼런스 신호
업링크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UE에 의해 보내지고, 채널 추정 및 채널 품질 측정을 위해 노드 B에 의해 사용되는, 레퍼런스 신호
업링크 복조 레퍼런스 신호 UE에 의해 보내지고, UE로부터의 업링크 송신의 복조를 위해 노드 B에 의해 사용되는 레퍼런스 신호
몇몇 구현들에서, 시스템은 시 분할 듀플렉싱(TDD)을 활용할 수 있다. TDD에 대해, 다운링크 및 업링크는 동일한 주파수 스펙트럼 또는 채널을 공유하며, 다운링크 및 업링크 송신들은 동일한 주파수 스펙트럼 상에서 보내진다. 그러므로 다운링크 채널 응답은 업링크 채널 응답과 연관될 수 있다. 호혜의 원리는 다운링크 채널이 업링크를 통해 보내지는 송신들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 업링크 송신들은 (복조 후에 레퍼런스 심볼들로서 사용될 수 있는)레퍼런스 신호들 또는 업링크 제어 채널들일 수 있다. 이 업링크 송신들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통한 공간-선택적 채널의 추정에 대해 허용할 수 있다.
LTE 구현들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은 다운링크를 위해, 즉,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또는 eNodeB(eNB)로부터 단말이나 UE로의 다운링크를 위해 사용된다. OFDM의 사용은 스펙트럼 유연성에 대한 LTE 요구를 충족시키고, 높은 피크(peak) 레이트(rate)들을 갖는 매우 광범위한(wide) 캐리어(carrier)들에 대하여 비용면에서-효율적인 솔루션들을 가능하게 하며, 예를 들면 OFDM은 IEEE 802.11a/g, 802.16, HIPERLAN-2, DVB 및 DAB와 같은 표준들에서 사용되는, 자리잡은 기술이다.
시간 주파수 물리적 리소스 블록들(또한 여기서 리소스 블록들이나 간략히 "RB들"로 표시됨)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되는 전송 캐리어들(예를 들면, 서브-캐리어들)이나 인터벌(interval)들의 그룹들로서 OFDM 시스템들에서 정의될 수 있다. RB들은 시간 및 주파수 주기에 걸쳐 정의된다. 리소스 블록들은 시간-주파수 리소스 엘리먼트들(또한 여기서 리소스 엘리먼트들 또는 간략히 "RE들"로 표시됨)로 구성되는데, 상기 시간-주파수 리소스 엘리먼트들은 한 슬롯에서 시간 및 주파수의 인덱스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LTE RB들 및 RE들의 추가 설명들은 3GPP TS 36.211에서 설명된다.
UMTS LTE는 20MHz부터 아래로 1.4MHz까지 스케일러블(scalable)한 캐리어 대역폭들을 지원한다. LTE에서, RB는, 서브-캐리어 대역폭이 15kHz일 때 12 서브-캐리어들로, 또는 서브-캐리어 대역폭이 7.5kHz일 때 24 서브-캐리어들로 정의된다. 예시적 구현에서는, 시간 영역(domain)에서, 10ms 길이로 정의된 무선 프레임이 있으며, 이 무선 프레임은 각각 1ms인 10개의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된다. 모든 서브 프레임은 2개의 슬롯들로 구성되고, 각 슬롯은 0.5ms이다. 이 경우 주파수 영역에서 서브캐리어의 간격은 15kHz이다. 이 서브캐리어들 중 12개는 함께(슬롯 당) 1개의 RB를 구성하고, 따라서, 이 구현에서 1개의 리소스 블록은 180kHz이다. 6개의 리소스 블록들은 1.4MHz의 캐리어에 적합하고, 100개의 리소스 블록들은 20MHz의 캐리어에 적합하다.
다운링크에는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전형적으로 많은 물리적 채널들이 있다. 특히,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은 제어를 보내기 위해 사용되고, ACK/NACK를 보내기 위한 물리적 하이브리드 ARQ 표시자 채널(PHICH), 제어 심볼들의 수를 규정하기 위한 물리적 제어 포맷(format) 표시자 채널(PCFICH), 데이터 송신을 위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M)을 이용하는 브로드캐스트 송신을 위한 물리적 멀티캐스트 채널(PMCH), 그리고 셀 내의 중요한 시스템 정보를 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이 있다. LTE의 PDSCH 상에서 지원되는 변조 포맷들은 QPSK, 16QAM 및 64QAM이다. 다양한 변조 및 코딩 방식들이 3GPP 사양에서 다양한 채널들에 대해 정의된다.
업링크에서는 전형적으로 3개의 물리적 채널들이 있다.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은 최초의 액세스를 위해서만 오직 사용되며, 그리고 UE가 업링크 동기화(synchronize)되지 않을 때, 데이터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상에서 보내진다. 만약 UE에 대해 업링크 상에서 송신되어야 하는 데이터가 없다면, 제어 정보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상에서 송신될 것이다. 업링크 데이터 채널 상에서 지원되는 변조 포맷들에는 QPSK, 16QAM 및 64QAM이 있다.
만약 가상의 MIMO/ 공간 분할 다중 접속(SDMA)이 도입되면, 업링크 방향에서의 데이터 레이트는 기지국에서의 안테나 수에 의존하여 향상될 수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해서 하나 이상의 모바일은 동일 리소스들을 재사용할 수 있다. MIMO 동작에 대해, 한 사용자의 데이터 스루풋(throughput)을 높이기 위한 단일 사용자 MIMO와, 셀 스루풋을 높이기 위한 다중 사용자 MIMO 사이에서는 차이(distinction)가 만들어진다.
3GPP LTE에서, 모바일 국 또는 디바이스는 "단말",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은 진화된 NodeB 또는 eNB로 지칭될 수 있다. 반-독립(semi-autonomous) 기지국은 home eNB 또는 HeNB로 지칭될 수 있다. HeNB는 그러므로 eNB의 일 예일 수 있다. HeNB 및/또는 HeNB의 커버리지 영역은 펨토셀, HeNB 셀 또는 (액세스가 제한되는)폐쇄 가입자 그룹(CSG) 셀로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여러가지 다른 양상들 및 특징들은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여기에서 교시하는 바들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고 있는 임의의 특정 구조, 기능, 또는 양쪽 모두는 단지 대표적이라는 것은, 분명해야 한다. 여기서의 교시되는 바를 기초로 당업자는 여기에서 개시된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과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양상들 중 둘 이상의 양상들은 다양한 방법들 내에서 결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면, 여기서 제시된 임의의 개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는 구현될 수 있고 또한 방법은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여기서 개시된 양상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하여서 또는 그와는 다른, 다른 구조, 기능성, 또는 구조 및 기능성을 이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되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양상은 청구항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단어 "예시적인"은 여기서 "예, 인스턴스, 또는 예시로서 서빙(serving)하는"을 의미하도록 사용됨이 인식되어야 한다. 여기서 "예시적인"이라고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가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반드시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 이해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 구현의 사항들을 도시하는데, 상기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후속되어 설명될 것과 같은 양상들이 그 위에서 구현될 수 있는 LTE 시스템일 수 있다. 다양한 구현들에서, 도 1의 AP(100)와 같은 액세스 포인트(AP)는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국일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 NodeB, eNodeB, HeNB, 또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의 AT(116)나 AT(122)와 같은 액세스 단말(AT)은, 액세스 단말, 사용자 장비(U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단말, 액세스 단말, 또는 다른 용어에 의해 호칭될 수 있다. AT들(116 및 122)과 UE(100)는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시예들의 다양한 양상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한 그룹은 104 및 106을, 다른 그룹은 108 및 110을, 그리고 추가 그룹은 112 및 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단지 2개의 안테나들만이 각 안테나 그룹에 도시되지만, 더 많거나 더 적은 안테나들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각 안테나 그룹에 대하여 활용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6)은 안테나들(112 및 114)과 통신하는데, 이 경우 안테나들(112 및 114)은 순방향 링크(120)를 통해 AT(116)로 정보를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118)를 통해 AT(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액세스 단말(122)은 안테나들(106 및 108)과 통신하는데, 이 경우 안테나들(106 및 108)은 순방향 링크(126)를 통해 AT(122)로 정보를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124)를 통해 AT(1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FDD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들(118, 120, 124 및 126)은 AP(100)와 AT들(116 및 122)들 간의 통신을 위해 상이한 주파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순방향 링크(120)는 역방향 링크(118)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와는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링크들(124 및 126)은, 서로 상이하거나 그리고/또는 링크들(118 및 120)과는 상이한 주파수들을 사용할 수 있다.
각 그룹의 안테나들 및/또는 그들이 통신하도록 설계된 영역은 액세스 포인트의 섹터(sector)로 지칭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안테나 그룹들은 각각 액세스 포인트(100)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의 지정된 한 섹터 내에 있는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면, 안테나들(112 및 114)을 포함하는 안테나 그룹은 도 1에서 섹터 1로 지정되는 섹터에 할당될 수 있는 반면, 안테나들(106 및 108)을 포함하는 안테나 그룹은 섹터 2로 지정되는 섹터에 할당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들(120 및 126)을 통한 통신에서, 액세스 포인트(100)의 송신 안테나들은 (도시되지 않은)다른 것들 뿐 아니라 상이한 액세스 단말들(116 및 122)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의 신호-대-잡음비를 개선시키기 위해 빔포밍(beamforming)을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형적 구현들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커버리지(coverage) 영역에 걸쳐 랜덤하게 산개해있는(scattered) 액세스 단말들로 송신하기 위해 빔포밍을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단일 안테나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의 모든 액세스 단말들로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비해, 이웃하는(neighboring) 셀들 내의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간섭을 적게할 수 있다. 신호를 송신하는 프리코딩(precoding)이 빔포밍을 용이하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도 2는 LTE 네트워크일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200)를 도시한다. 무선 네트워크(200)는 다수의 진화된 Node B들(eNB들)(210)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entity)들을 포함할 수 있다. eNB는 UE들과 통신하는 국일 수 있으며, 또한, 기지국, Node B,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각 eNB(210)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수용력(capacity)을 증가시키기 위해, eNB의 전체 커버리지 영역은 다수의(예를 들면, 3개의) 더 작은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3GPP에서, "셀"이라는 용어는, 이 용어가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eNB의 가장 작은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이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serving)하는 eNB 서브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200)는 또한 릴레이 국들 또는 노드들(RN들)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는 상향(upstream) 국(예를 들면, eNB나 UE)으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송신을 수신하는 국이며, 하향(downstream) 국(예를 들면, UE나 eNB)으로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송신을 보낸다. 도 2에서 도시된 예에서, 릴레이 노드(210z)는 eNB(210a)와 UE(220z)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eNB(210a)와 UE(220z)와 통신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는 또한 릴레이 eNB, 릴레이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여기의 설명에서, "국(station)"은, UE, 릴레이 노드나 RN, 또는 정보를 수신하고 보낼 수 있는 몇몇 다른 엔티티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230)는 한 세트의 eNB들에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eNB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230)는 단일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집단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230)는 백홀을 통해 eNB들(210)과 통신할 수 있다. eNB들(210)은 또한, 예를 들면 무선 또는 유선 백홀을 통해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200)는 오직 매크로(macro) eNB들을 포함하는 동종(homogeneous) 네트워크일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200)는 또한 상이한 형태들의 eNB들, 예를 들면,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펨토 eNB들, 릴레이들, 등을 포함하는 이종(heterogeneous)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러한 상이한 형태들의 eNB들은 무선 네트워크(200)에서, 상이한 송신 전력 레벨들, 상이한 커버리지 영역들을 가질 수 있으며, 간섭에 상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크로 eNB들은 높은 송신 전력 레벨(예를 들면, 20[W])을 가질 수 있는 반면, 피코 eNB들, 펨토 eNB들, 및 릴레이들은 더 낮은 송신 전력 레벨(예를 들면, 1[W])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기법들은 동종 및 이종 네트워크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UE들(220)은 무선 네트워크(200) 도처에 흩어져 있을 수 있으며, 각 UE는 고정적이거나 모바일일 수 있다. UE는 또한, 단말, 모바일 국, 가입자 유닛(unit), 국(station)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E는 셀룰러 폰, 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소형 디바이스, 랩탑(laptop) 컴퓨터, 무선 전화, 무선 로컬 룹(WLL) 국, 등일 수 있다. UE는 다운링크(DL)와 업링크(UL)을 통해 eNB와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eNB로부터 UE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며,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UE로부터 eNB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UE는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펨토 eNB들, 릴레이 노드들, 및/또는 다른 형태들의 eNB들과 통신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도 2에서, 양쪽에 화살표들을 갖는 실선은, UE와,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상에서 UE로 서빙하도록 지정된 eNB인 서빙 eNB 간에, 원하는 송신들을 표시한다. 양쪽 화살표들을 갖는 점선은 UE와 eNB들 간의 송신들을 간섭하는 것을 표시한다.
도 3은 예시적 무선 통신 시스템(300)에서 eNB(310)와 예시적 UE(350)의 예시적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하는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여기서 설명된 양상들 및 기능성들이 구현될 수 있는 LTE 시스템일 수 있다. 릴레이 노드(RN)는, eNB(310) 및 UE(350)와 관련된 송신 및 수신 기능성 모두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시된 eNB(310) 및 UE(35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릴레이 노드 구성에서, RN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너 기지국이나 eNB(DeNB)와 같은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DeNB는 마찬가지로 eNB(31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기능들이 eNB(310)에 도시된 프로세서들 및 메모리들에서(그리고/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컴포넌트들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들에는 예를 들면, 범위 확장이나 또는 다른 릴레이 기능들을 용이하게 하는, (도시되지 않은)다른 eNB들 및/또는 RN들과의 조정이 있으며, 상기 다른 릴레이 기능들에는 여기서 설명된 것과 같은 다른 기능성들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른 eNB들 및 UE들로부터 시그널링(signaling)을 송신하고 수신하는 기능들이 있다. UE(350)는 DL 신호들을 수신하고,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고, 채널 추정들을 수행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며 그리고 공간적 정보를 생성하고, 전력 레벨 정보를 결정하고, 그리고/또는 eNB(310)나 (도시되지 않은)다른 기지국들과 관련된 다른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서, eNB(310) 및/또는 (도시되지 않은 비-서빙(non-serving) 기지국들과 같은)다른 eNB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eNB(310)는, 여기서 설명된 것과 같은 릴레이 기능성과 관련된 시그널링과 같은 시그널링을, 결정하고, 생성하며, 다시 보내기 위해, 여기서 이전에 설명된 것과 같이, 다른 기지국과 조정할 수 있다. 이는 프로세서들(314, 330) 및 메모리(332)와 같이, eNB(31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컴포넌트들)에서 행해질 수 있다. eNB(310)는 송신 모듈들(324)과 같이, eNB(31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송신 모듈 또한 포함할 수 있다. eNB(310)는 여기서 설명된 것과 같은 릴레이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프로세서들(330, 342), 복조기 모듈(340), 및 메모리(332)과 같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간섭 소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eNB(310)는 수신기 및 릴레이 기능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또한 포함할 수 있다. eNB(310)는 (도시되지 않은)코어(core) 네트워크 내의 백홀 시스템들과 같은, 다른 시스템들에 네트워킹을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 모듈(39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350)는 수신기들(354)과 같은, UE(35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UE(350)는 프로세서들(360 및 370) 및 메모리(372)와 같은, UE(35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신호 정보 모듈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E(350)에서 수신된 하나 이상의 신호들은 DL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리고/또는 DL 신호들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프로세스(process)된다. 추가(additional) 프로세싱은, 채널 특성들, 전력 정보, 공간적 정보, 및/또는 eNB(310) 및/또는 (도시되지 않은)다른 기지국들과 같은 eNB들을 고려한 다른 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들(332 및 372)은 여기서 설명된 양상들 및 기능성들과 관련된 프로세스들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들(360, 370 및 338)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상에서 실행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eNB(310)에서의 동작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는 데이터 소스(312)로부터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314)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것은 처리되고 하나 이상의 UE들(350)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각 데이터 스트림은 처리되고 (송신기들(3241 내지 324Nt)로 도시되는)eNB(310)의 개별 송신기 서브-시스템으로 송신된다.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3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한 코딩 방식을 기초로,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포맷팅(formatting)하며, 코딩하고, 그리고 인터리빙(interleaving)한다. 특히, 기지국(310)은 특정 레퍼런스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패턴을 결정하도록, 그리고, 선택된 패턴에서 레퍼런스 신호 및/또는 빔포밍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코딩된 데이터는 OFDM 기법들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공지된 방법으로 프로세스되는 전형적으로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며,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일럿 데이터는 레퍼런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314)에 제공될 수 있으며 코딩된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그 후,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해 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를 들면, BPSK, QSPK, M-PSK, M-QAM, 등)에 기초하여 변조(즉, 심볼 맵핑)될 수 있으며, 데이터 및 파일럿은 상이한 변조 방식들을 사용하여 변조될 수 있다.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rate), 코딩, 및 변조는 메모리(332), 또는 다른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이나, UE(350)의 (도시되지 않은)저장 매체의 명령을 기초로, 프로세서(330)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이 후 (예를 들면 OFDM 구현을 위해) 변조 심볼들을 추가로 프로세스할 수 있는 송신 MIMO 프로세서(320)에 제공될 수 있다. 송신 MIMO 프로세서(320)는 이 후 Nt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t개의 송신기들(TMTR)(3221 내지 322Nt)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심볼들은 송신을 위해 관련된 RB들로 맵핑될 수 있다.
송신 MIMO 프로세서(330)는 빔포밍(beamforming) 가중치들(weights)을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 및, 심볼이 송신되는,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에 적용할 수 있다. 이는 레퍼런스 신호들 및/또는 UE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들로부터 제공된 공간적 정보에 의해서, 또는 공간적 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채널 추정 정보와 같은 정보를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빔 B=transpose[ b1 b2 ..b Nt ]는 각 송신 안테나에 상응하는 한 세트의 가중치(weight)들을 구성할 수 있다. 빔을 따르는 송신은 그 안테나에 대한 빔 가중치에 의해 스케일되는 모든 안테나들에 따라 변조 심볼 x를 송신하는 것에 상응한다: 이는, 안테나 t 상에서 송신된 신호는 bt*x이다. 다수의 빔들이 송신되면, 안테나 상에서 송신된 신호는 상이한 빔들에 상응하는 신호들의 합이다. 이는 수학적으로, B1x1 + B2x2 + BNsxNs로 표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NS개의 빔들은 송신되고, xi는 빔 Bi를 사용하여 보내지는 변조 심볼이다. 다양한 구현들에서, 빔들은 많은 방법들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빔들은 UE로부터의 채널 피드백이나 eNB에서 이용가능한 채널 지식에 기초하여, 또는 예를 들면 인접한 매크로셀과의 간섭 완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UE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각 송신기 서브-시스템 (3221부터 322Nt)은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개별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MIMO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로 컨디셔닝(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팅(upconverting))한다. 송신기들(3221 내지 322Nt)로부터의 NT개의 변조 신호들은 이 후 각각의 NT개의 안테나들(3241 내지 324Nt)로부터송신된다.
UE(350)에서, 송신된 변조 신호들은 Nr개의 안테나들(3521 내지 352Nr)에 의해 수신되고, 각 안테나(35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개별 수신기(RCVR)(3541 내지 352Nr)로 제공된다. 각 수신기(354)는 개별 수신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면, 필터링, 증폭,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하고,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해 컨디셔닝된 신호들을 디지털화하며, 상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서 샘플들을 추가로 처리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360)는 그 후 Ns개의 송신된 심볼 스트림들의 추정치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Ns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한 특정한 수신기 프로세싱 기법에 기초하여 Nr개의 수신기들(3541 내지 352Nr)로부터 수신된 Nr개의 수신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하여 프로세스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360)는 그 후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서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하고,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하며, 디코딩(decoding)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360)에 의한 프로세싱은 기지국(310)의 송신 MIMO 프로세서(320) 및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314)에 의해 수행되는 그것과 전형적으로 상보적이다.
프로세서(370)는 사용을 위한 프리코딩(precoding) 매트릭스를 주기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그 후 매트릭스 인덱스 부(portion) 및 랭크(rank) 값 부를 포함할 수 있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에서,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을 고려한 다양한 형태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그 후 데이터 소스(336)으로부터의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 또한 수신할 수 있는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338)에 의해 처리될 수 있으며, 그 후 변조기(380)에 의해 변조될 수 있고, 송신기들(3541 내지 354Nr)에 의해 컨디셔닝될 수 있고, 기지국(310)으로 재송신될 수 있다. 기지국(310)으로 재송신된 신호는 기지국(310)으로부터의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한 빔포밍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력 레벨 및/또는 공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310)에서, UE(350)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은, UE(350)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를 추출하기 위해서, 안테나들(3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322)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복조기(340)에 의해 복조되고,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342)에 의해 프로세스된다. 프로세서(330)는 그 후 빔포밍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어떤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사용할지를 결정하고, 그 후 추출된 메시지를 프로세스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400)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 4로, 지금 주의가 향해진다. 시스템(400)은 하나 이상의 eNB들(410)(예를 들면, 도 3의 eNB(31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하나 이상의 관련된 UE들(430)(예를 들면, 도 3의 UE(350))과 개별적으로 UL 및/또는 DL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400)은 eNB(410)와 UE(430) 간의 통신을 향상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는 릴레이 노드들(420)을 지원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420)는, 예를 들면 "형태 1" 릴레이 노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릴레이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형태 1 릴레이는 UE(430)에 독립적인 eNB로 나타나는 릴레이 노드(420)를 지칭한다. 따라서, 형태 1 릴레이 노드는 그 자신의 동기화 채널들, 제어 채널들, 등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릴레이 노드(420)는 동일 대역 상에서 동일 시간에 송신 및 수신을 할 수 없는 대역-내 반-이중(half-duplex) 릴레이 노드일 수 있다. 편의를 위해, 백홀 링크 상의 도너 eNB(410)로부터 DL 통신을 수신하기 위한 "공백 기간(blank period)"을 생성하기 위해,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인터벌들에 걸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MBSFN)가 사용될 수 있음이 현재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MBSFN의 서브프레임들의 성질들(예를 들면, 그들은 1개 또는 2개의 OFDM 심볼들 동안 지속되는 PDCCH 송신들을 포함한다)로 인해, 릴레이 노드(420)는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도너 eNB(410)로부터 PDCCH 송신들을 듣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 결과, 하나 이상의 릴레이 제어 채널들(예를 들면, R-PDCCH, R-PHICH, P-PCFICH, 등)은 eNB(410) 및 릴레이 노드(420) 간에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릴레이 제어 채널은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1)FDM 릴레이 제어 채널(예를 들면, FDM R-PDCCH); (2) TDM/FDM 릴레이 제어 채널(예를 들면, TDM/FDM R-PDCCH); 및 (3) 공동의(joint) R-PDCCH/R-PDSCH 제어 채널로.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론(500)이 설명된다. 첫째,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들(502)과의 통신을 위해 활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 및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이 식별된다(504).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은 제1 세트의 리소스 블록들(RB들)의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의 복조(demodulation)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은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서 식별된다(506).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은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서 식별된다.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은 적어도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통신은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 수행된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FDM 릴레이 제어 채널을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론(600)이 설명된다. 첫째,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해 활용되는 하나 이상의 릴레이 노드들이 식별된다(602).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FDM 릴레이 백홀 채널(또는 FDM 릴레이 제어 채널)은 하나 이상의 릴레이 노드들과의 통신을 위해 식별된다(604). 이 후, 통신은 적어도 하나의 FDM 릴레이 백홀 채널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릴레이 노드들과 수행된다(606).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FDM 릴레이 제어 채널은 주파수 영역에서 개별 리소스 블록들(RB들)을 점유하는 FDM F-PDCCH일 수 있다. 즉, FDM 릴레이 제어 채널은, 이용가능한 RB가 1개 이상 있을 때 주파수 영역에서 분배(distribute)될 수 있다. 상이한 릴레이들은 제어 데이터를 위해 사용되는 이러한 RB들 상에서 함께 인터리빙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이점들을 제공한다: (1)R-PDCCH을 반송(carrying)하는 RB들은 보통의 데이터에 대해 정의되는 그것들(예를 들면, PDSCH)과 비교했을 때 동일하거나 유사한 전용 레퍼런스 심볼(예를 들면, UE-RS) 포맷들을 사용할 수 있다; (2) R-PDCCH와 PDSCH 간의 전력의 신속한 공유; 및 (3) 레거시(legacy) 및 비-레거시 UE들 양쪽으로부터의 데이터와 공유하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seamless) 대역폭. 각 R-PDCCH는 (예를 들면, 프로세싱 시간 이유들을 위해)오직 제한된 수의 RB들에 걸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근법은 복조에 기반한 UE-RS를 허용하기 때문에, 빔포밍은, 스케쥴링된 릴레이들의 수가 UE-RS 포트(port)들의 수보다 더 적을 때 사용될 수 있다. 랭크 1 송신들에서, 예를 들면, 폐-루프 또는 개-루프 빔포밍이 활용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만약 다수의 RB들이 존재하면, 개별 R-PDCCH 승인(grant)들은 프로세싱 시간 이유들을 위해 적은 수의 RB들에 걸쳐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어진 R-PDCCH를 포함하는 RB들은, 릴레이 노드가 그것의 할당을 신속하게 발견하고 따라서 데이터 복조를 수행하기 위해 첫번째로 복조될 수 있다.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 구현들에서(예를 들면, LTE Rel-8), PDCCH, PCFICH, 및/또는 PHICH는 REG의 개념에 기초하여 만들어진다. REG는 4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들(RE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1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는 1개의 톤(tone) 및 1개의 심볼을 나타낸다. REG들은 심볼-당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1개의 심볼 내의 4개의 톤들은 1개의 REG를 생성한다. 만약 심볼 내에 공통 RS 톤들이 없다면 4개의 톤들은 연속일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6개의 톤들마다 2개의 RS 톤들이 있기 때문에, 2개의 RS 톤들을 제외한 후, 4개의 톤들은 6개의 톤들에서 나머지 4개의 톤들로 정의될 수 있다.
PDCCH, PCFICH, 및/또는 PHICH는 데이터 구역에서 더 새로운(newer) 무선 네트워크 구현들(예를 들면, LTE-A)의 맥락에서 설계될 수 있다. 기존의 사양들에서, REG 정의는 오직 공통 RS 톤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될 수 있는데, 그러한 사양들에서는 PDCCH가 오직 제어부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더 새로운 사양들에서는, REG 정의는 공통 RS, 전용이거나 UE-특정 RS, 채널 상태 정보 RS 등을 고려해야 한다.
특별히, UE-특정 RS(또는 demod-RS나 DM-RS로 호칭됨)는 CDM 및 FDM이 혼합된 방식(fashion)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6개의 톤들 내에, UE-RS에 의해 점유되는 3개의 톤들이 있을 수 있다. 동일하게, 12개의 톤들 내에, 오직 6개의 톤들만이 PDCCH/PCFICH/PHICH를 위해 남겨질 수 있다. 게다가, UE-RS는 2개 이상의 심볼들에 걸쳐 CDM되기 때문에, 성능의 관점에서는, UE-RS 심볼들에 따라 정렬된 제어를 반송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그 결과, REG는 CDM-당 세트 기준 상에 UE-RS를 포함하는 심볼들에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 CDM 길이가 2이고 UE-RS가 2개의 인접한 심볼들에 걸쳐 정의되면, REG는 2(심볼들) by 2(톤) 행렬로 정의될 수 있다. 이는 도 7에서 도시된다(여기서 DM-RS에 대한 동일한 패턴은, 한 서브프레임 안에서 2개의 심볼들 - 14개의 심볼들 - 에 걸쳐 CDM된 2개의 DM-RS 포트들을 나타낸다). REG에 따라 FDM-기반 릴레이 제어 채널의 설계의 예는 도 8에서 도시된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TDM/FDM 릴레이 제어 채널을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론(900)이 설명된다. 첫째,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해 활용되는 하나 이상의 릴레이 노드들이 식별된다(902).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TDM/FDM 릴레이 백홀 채널(또는 TDM/FDM 릴레이 제어 채널)은 하나 이상의 릴레이 노드들과의 통신을 위해 식별된다(904). 통신은 이 후 적어도 하나의 TDM/FDM 릴레이 백홀 채널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릴레이 노드들과 수행된다(906).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이한 UE들로부터의 릴레이 제어 채널들(예를 들면, R-PDCCH)은 함께 인터리빙될 수 있으나 RB들의 부분들만을 오직 점유한다. 특정 예에 따르면, R-PDCCH는 몇몇 RB들 중 약간의 제1 OFDM 심볼들을 점유할 수 있는데, 즉, RB 한 쌍 중의 제1 RB는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RB 쌍 중의 다른 RB는 데이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주파수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RB들에 걸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도 6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FDM 릴레이 제어 채널과 비교하였을 때, 더 많은 간섭 다양성을 야기할 수 있다. 추가로, R-PDCCH 송신들은 조기에(early) 종료될 수 있으며 추가의 디코딩 시간을 잠재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TDM/FDM-기반의 릴레이 제어 채널의 설계 예는 도 10에서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이 TDM/FDM 릴레이 제어 채널에 대해 사용될 레퍼런스 심볼들과 관련된 다양한 양상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몇몇 경우들에서, 이 채널은 CRS에 의존할 수 없을 수 있는데, CRS가 모든 서브프레임들(예를 들면, MBSFN 서브프레임들)에서 존재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RB의 나머지 절반은 몇몇 경우들에 있어, PDSCH에 대해 사용될 수 있으며, 많은 네트워크 특징들은 PDSCH 복조를 위해 UE-RS의 사용을 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몇몇 UE-RS 패턴들의 설계는 RB의 PDSCH 부분뿐만 아니라 R-PDCCH 부분 양쪽에 대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공통 UE-RS 패턴은 전체 RB에 걸쳐 활용될 수 있는데, 이는 R-PDCCH 및 PDSCH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의 복조를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다른 대안은, UE가 제어부에서 오직 그러한 UE-RS의 심볼들에만 기초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런 예에서, UE-RS는 이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스프레딩(spreading)하는 걸친 심볼들이 제어부에서의 그것들보다 더 많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UE-RS 패턴은 몇몇 경우들에 있어 관련된 RB 상에서 스케쥴링되는 임의의 데이터 송신들에 대해 충분히 높은 랭크(예를 들면, 비록 R-PDCCH가 언제나 랭크 1이라 하더라도)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랭크 1(또는 2) UE-RS 패턴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 송신들은 관련된 RB들이 랭크 1(또는 개별적으로는 2)로 부여될 수 있으며, 데이터 송신들은(예를 들면 동일한 코드 블록들로부터라도) 더 높은 랭크들을 갖는 다른 RB들 상에서 인에이블(enable)될 수 있다. 다른 대안은, 특정한 개수의 UE-RS 포트들이 있으며, 이 경우 다수의 UE-RS 패턴들은 오직 그러한 포트들의 서브셋을 점유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고, 제어 송신이 가정하는 것이다.
만약 패턴들이, 더 높은 랭크 패턴이 사용될 때 더 낮은 랭크 송신들에 대해 사용되는 위치들은 변하지 않도록 설계된다면, 그렇다면 이는 데이터 송신들에게 더 높은 랭크까지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수 있다. 데이터 송신들은 이 후 낮은-랭크 송신들의 경우에 대해 미사용 UE-RS 심볼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E-RS 패턴들은 랭크 1 또는 2에 대한 위치들에서의 값들이, 비록 랭크 4의 패턴들이 대신 사용되더라도 변하지 않기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추가로, 만약 공통 UE-RS가 R-PDCCH 복조에 대해 사용되면, 그 후 R-PDCCH 송신은 몇몇 경우들에 있어 약간의 제1 OFDM 심볼들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오히려, R-PDCCH 리소스 엘리먼트들(RE들)은 효율적인 전력 공유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RB들에 걸쳐 분배될 수 있다.
지금 도 11을 참조하면, 공동의 R-PDCCH/R-PDSCH 릴레이 제어 채널을 통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론(1100)이 설명된다. 첫째,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해 활용되는 하나 이상의 릴레이 노드들이 식별된다(1102).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동의 R-PDCCH/R-PDSCH 릴레이 백홀 채널(또는 R-PDCCH/R-PDSCH 릴레이 제어 채널)이 하나 이상의 릴레이 노드들과의 통신을 위해 식별된다(1104). 통신은 그 후 적어도 하나의 R-PDCCH/R-PDSCH 릴레이 백홀 채널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릴레이 노드들과 수행될 수 있다(1106).
이 실시예에서, 주어진 RB는 동일한 릴레이 노드에 대해 R-PDCCH 및 R-PDSCH 송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 UE-RS는, RB가 릴레이에 대해 프리코딩(precoding)될 수 있는 것에 기초하여 모든 RB에 걸쳐 활용될 수 있다. 개별 릴레이들에는 할당들/확인응답들에 대해 모니터하기 위한 릴레이-특정 RB(예를 들면, LTE에서의 PDCCH/PHICH)가 할당될 수 있다. 만약 PDCCH가 정말로 수신되면, 릴레이는, 그것의 데이터가 PDCCH/PHICH 주위를 둘러싸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PDCCH/PHICH에 의해 펑쳐링(puncturing) 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만약 이 릴레이를 송신하기 위한 PDCCH들/PHICH들이 없다면, eNB는 이 RB를, PDCCH/PHICH 할당을 인식할 수 없는 다른 UE 및/또는 릴레이에 할당할 수 있다.
일 예에서, R-PDCCH는 또한 더 나은 다양성을 얻기 위해 다수의 RB들(또는 다수의 RB들의 부분들)에 걸칠 수 있다. TDM/FDM 릴레이 제어 채널 경우에서처럼, UE-RS 패턴은 관련된 RB 상에 스케쥴링되는 임의의 데이터 통신들에 대해 충분히 높은 랭크(예를 들면, 비록 R-PDCCH가 언제나 랭크 1이더라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랭크 1(또는 2) UE-RS 패턴들은 사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들은 관련된 RB에 랭크 1(또는, 개별적으로는 2)을 부여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들은(예를 들면, 비록 동일한 코드 블록으로부터라도) 더 높은 랭크들을 갖는 다른 RB들 상에서 인에이블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은 동일한 코드 블록의 상이한 랭크들 중 코드 레이트들에서 몇몇 부조화(mismatch)를 이끌 수 있다. 유사하게, 만약 패턴들이, 더 높은 랭크 패턴이 사용될 때 더 낮은 랭크 통신들에 대해 사용된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설계되면, 이는 이 후 데이터 송신들에 더 높은 랭크들까지 제공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데이터 송신들은 이 후 낮은-랭크 송신들의 경우 미사용 UE-RS 심볼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만약 주어진 릴레이가 제어를 갖지만(예를 들면, UL, PDCCH, PHICH 등) 데이터는 갖지 않으면, 위의 옵션이 활용되는 몇몇 경우들에서 주어진 RB의 나머지 부분은 다른 릴레이들/UE들에 할당될 수 없을 수 있다. 이 제한을 우회할 수 있는 한 가지 옵션은, 예를 들면, 제어 데이터에 대해서 몇몇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비-제어 데이터에 대해서는 다른 리소스들을 사용함으로써, RB를 더 작은 부분들로 나누는 것이다. PDCCH 승인들은 이 후 서브-RB들을 인덱스할 수 있으며 PDSCH 송신들에 대하여 eNB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RB의 그러한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할당할 수 있다.
이 대안에서, R-PDCCH는 전체 RB들 도처에 걸쳐 분배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클러스터링(clustering)(예를 들면, RB의 최초 몇몇의 OFDM 심볼들에서) 될 수 있음이 인식될 수 있다. 게다가, 이 경우, 릴레이는 몇몇 경우들에 있어 미사용 제어 리소스들은 낭비될 가능성이 완화되기 때문에, 다수의 RB들을 모니터하도록 요청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릴레이 PDCCH 리소스들은 다른 릴레이들/UE들에 대해 PDSCH 리소스들과 공유될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된 TDM/FDM 릴레이 제어 채널과 그것을 실질적으로 유사하도록 만들 수 있다.
임의의 위의 옵션들에 대해, R-PDCCH의 설계는 단지 릴레이만을 지원하도록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채널은 추가적으로 다른 비-레거시 UE들에 할당을 보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개시된 프로세스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나 계층은 예시적 접근법들의 예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나 계층은 재배열될 수 있는 반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수반되는 방법 청구항들은 동일한 순서 내의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며, 그리고 제공된 특정 순서나 계층에 제한되도록 의미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임의의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나타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위의 설명을 통해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명령어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 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 필드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나타내질 수 있다.
당업자는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양쪽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추가로 인식해야 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성을 명백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위에서 일반적으로 그들의 기능성 측면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성들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한들에 달려있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설명된 기능성을 각각의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그러한 구현의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영역을 벗어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목적의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으나, 대안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 둘의 조합 내에서 직접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제거가능한 디스크, CD-ROM, 해당 분야에서 공지된 저장 매체의 임의의 다른 형태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연결되어서,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거나 또는 정보를 쓸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필수적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존재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 단말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 내의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 양상들의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개시내용을 만들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에게 수월하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서 정의된 포괄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내용의 사상이나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내용은 여기서 도시된 실시예들에 제한되게 의도되지는 않으나, 여기서 개시된 본 원리들 및 새로운 특성들에 일치하는 가장 넓은 영역에 부합되어야 한다.

Claims (63)

  1.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relay) 백홀(backhaul)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해 활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식별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은 제1 세트의 리소스(resource) 블록들(RB들)의 제어부를 포함함 ―;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의 복조(demodulation)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reference)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은 적어도 상기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은 제2 세트의 RB들의 비-제어(non-control)부를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RB들 및 상기 제2 세트의 RB들은 오버랩(overlap)되지 않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제어부는 상기 제2 세트의 RB들 중 모든 세트의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RB들 및 상기 제2 세트의 RB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트의 RB들의 비-제어부는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 속하는 리소스들을 갖지 않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은 상기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과 관련된 송신의 랭크(rank)는 상기 제1 세트의 리소스들에 의해 제한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은 상기 제1 세트의 리소스들보다 더 큰(larger),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과 관련된 송신의 랭크는 상기 제2 세트의 리소스들에 의해 제한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들은 공통(common) 레퍼런스 신호들인,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들은 릴레이 노드 특정 레퍼런스 신호들인,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세트의 RB들 중 모든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세트의 RB들 중 오직 일부의 리소스들만을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은 R-PDCCH, R-PHICH, 또는 R-PCFICH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식별하는 단계는 주파수 영역에서 개별 RB들을 점유하는 R-PDCCH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RB들 상의 다중(multiple) 릴레이 노드들을 인터리빙(interleav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빙하는 단계는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REG는 4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들(RE들)을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RE들은 한 개의 OFDM 심볼 내의 상기 주파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4개의 RE들을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각각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은 9개의 REG들의 입상도(granularity)를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식별하는 단계는 주파수 영역에서 개별 RB들의 시간-영역 부분들을 점유하는 R-PDCCH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식별하는 단계는 R-PDCCH 송신 및 PDSCH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RB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해 활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은 제1 세트의 리소스 블록들(RB들)의 제어부를 포함함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의 복조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는,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 내의 제1 세트의 리소스들; 및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고 그리고 적어도 상기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 내의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은 제2 세트의 RB들의 비-제어부를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RB들 및 상기 제2 세트의 RB들은 오버랩되지 않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비-제어부는 상기 제2 세트의 RB들 중 모든 세트의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RB들 및 상기 제2 세트의 RB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트의 RB들의 비-제어부는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 속하는 리소스들을 갖지 않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은 상기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과 관련된 송신의 랭크는 상기 제1 세트의 리소스들에 의해 제한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3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은 상기 제1 세트의 리소스들보다 더 큰,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33.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과 관련된 송신의 랭크는 상기 제2 세트의 리소스들에 의해 제한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34.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들은 공통 레퍼런스 신호들인,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3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들은 릴레이 노드 특정 레퍼런스 신호들인,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3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세트의 RB들 중 모든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3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세트의 RB들 중 오직 일부의 리소스들만을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3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은 R-PDCCH, R-PHICH, 또는 R-PCFICH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3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은 주파수 영역에서 개별 RB들을 점유하는 R-PDCCH를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40.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해 활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식별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은 제1 세트의 리소스 블록들(RB들)의 제어부를 포함함 ―;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의 복조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을 식별하는 단계 ― 상기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은 적어도 상기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을 포함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은 제2 세트의 RB들의 비-제어부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RB들 및 상기 제2 세트의 RB들은 오버랩되지 않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제어부는 상기 제2 세트의 RB들 중 모든 세트의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RB들 및 상기 제2 세트의 RB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트의 RB들의 비-제어부는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 속하는 리소스들을 갖지 않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4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은 상기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과 관련된 송신의 랭크는 상기 제1 세트의 리소스들에 의해 제한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48.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은 상기 제1 세트의 리소스들보다 더 큰,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49.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과 관련된 송신의 랭크는 상기 제2 세트의 리소스들에 의해 제한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50.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들은 공통 레퍼런스 신호들인,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5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신호들은 릴레이 노드 특정 레퍼런스 신호들인,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5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세트의 RB들 중 모든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5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세트의 RB들 중 오직 일부의 리소스들만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54.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은 R-PDCCH, R-PHICH, 또는 R-PCFICH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55.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식별하는 단계는 주파수 영역에서 개별 RB들을 점유하는 R-PDCCH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RB들 상의 다중 릴레이 노드들을 인터리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빙하는 단계는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REG는 4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들(RE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RE들은 한 개의 OFDM 심볼 내의 상기 주파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4개의 RE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60. 제57항에 있어서,
    각각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은 9개의 REG들의 입상도를 갖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6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식별하는 단계는 주파수 영역에서 개별 RB들의 시간-영역 부분들을 점유하는 R-PDCCH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6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식별하는 단계는 R-PDCCH 송신 및 PDSCH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RB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63.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개별 사용자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해 활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은 제1 세트의 리소스 블록들(RB들)의 제어부를 포함함 ―;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의 복조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세트의 RB들의 제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위해 구성되는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2 세트의 리소스들은 적어도 상기 제1 세트의 리소스들을 포함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백홀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릴레이 백홀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KR20127014056A 2009-10-30 2010-10-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12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689909P 2009-10-30 2009-10-30
US61/256,899 2009-10-30
US12/916,407 US9014080B2 (en) 2009-10-30 2010-10-29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backhaul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2/916,407 2010-10-29
PCT/US2010/054884 WO2011053883A1 (en) 2009-10-30 2010-10-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backhaul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790A KR20120088790A (ko) 2012-08-08
KR101412670B1 true KR101412670B1 (ko) 2014-06-26

Family

ID=4343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14056A KR101412670B1 (ko) 2009-10-30 2010-10-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14080B2 (ko)
EP (1) EP2494834B1 (ko)
JP (1) JP5479608B2 (ko)
KR (1) KR101412670B1 (ko)
CN (1) CN102598821B (ko)
TW (1) TW201125417A (ko)
WO (1) WO2011053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43371C (en) * 2008-11-13 2017-09-12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educed complexity channel estimation 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v-mimo demodulation
WO2011008047A2 (ko) * 2009-07-16 201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링크를 위한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1013962A2 (ko) 2009-07-26 2011-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를 위한 제어 정보 및 시스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9203584B2 (en) * 2009-11-02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TDM-FDM relay backhaul channel for LTE advanced
US8630267B1 (en) * 2009-11-24 2014-01-14 Cisco Technology, Inc. Interference suppression in wireless backhaul network using collaborative weight update scheme
GB201000449D0 (en) 2010-01-12 2010-02-24 Nec Corp Relay communication system
KR101053635B1 (ko) 2010-01-28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릴레이 노드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2918905B (zh) * 2010-04-07 2015-09-23 诺基亚公司 中继控制信道搜索空间配置
US9197363B2 (en) * 2010-04-13 2015-11-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CN102281636B (zh) * 2010-06-12 2016-04-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中继链路的物理下行控制信道的资源分配方法及系统
KR101769375B1 (ko) 2010-10-21 2017-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75611B1 (ko) 2010-11-22 2018-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확인응답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638464B2 (en) * 2011-04-01 2020-04-2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ntrol channels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8599711B2 (en) * 2011-04-08 2013-12-03 Nokia Siemens Networks Oy Reference signal port discovery involving transmission points
CN103597893B (zh) * 2011-06-13 2017-08-08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使用中继的无线通信系统中的子载波分配
CN102843701B (zh) * 2011-06-21 2018-02-13 爱立信(中国)通信有限公司 时分双工通信网络中的中继部署方法和设备
US9750030B2 (en) 2011-08-03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downlink rate adaptation for LTE heterogeneous network base stations
US9698955B2 (en) * 2011-08-16 2017-07-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base station to mulitiplex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1492380B1 (ko) * 2011-10-12 2015-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브프레임에서 제어 채널의 탐색 영역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368869B (zh) * 2011-11-23 2014-07-30 武汉邮电科学研究院 Fdd-lte下行pdsch功率控制在dsp中实现的方法
PL2792096T3 (pl) 2012-01-13 2016-12-30 Sposób generowania i transmitowania sygnałów odniesienia demodulacji
US9680614B2 (en) * 2012-01-17 2017-06-13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Interleaving, modulation, and layer mapping in an LTE physical control channel
KR102086517B1 (ko) 2012-10-04 202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포트 관계를 고려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432175B2 (en) 2012-11-09 2016-08-30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channel management for relay backhaul
CN104254077B (zh) * 2013-06-27 2018-01-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中继配置方法和设备
US20160143002A1 (en) * 2014-11-14 2016-05-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source configuration
CN106330789B (zh) * 2015-07-01 2019-08-23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多用户叠加传输的pmch传输方法和装置
US10015717B1 (en) * 2017-10-25 2018-07-03 Sprint Spectrum Lp Cell reselection priority based on properties of communication bands
CN110366206A (zh) 2018-03-26 2019-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330A (ko) * 2009-08-19 201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국의 참조신호 이용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중계국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0002B2 (en) 2001-06-14 2006-03-07 At&T Corp. Broadband network with enterpris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residential and business environment
US7065367B2 (en) 2002-07-11 2006-06-20 Oliver Michaelis Interface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583132B2 (en) 2006-05-18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channel structur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432504B1 (en) * 2007-10-30 2021-06-2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pparatuses, system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source allocation
CN103825638B (zh) * 2008-07-22 2017-05-24 Lg电子株式会社 用于分配针对多个上行链路码字的phich的方法
US8406171B2 (en) * 2008-08-01 2013-03-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Network MIMO reporting, control signaling and transmission
GB0816992D0 (en) * 2008-09-17 2008-10-22 Vodafone Plc Reference symbol design for relay
US9203564B2 (en) * 2008-10-20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via a relay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068047A2 (en) * 2008-12-11 2010-06-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performed by relay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400674A4 (en) * 2009-02-18 2017-03-22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for a relay node, and relay node using the method
WO2010095874A2 (ko) * 2009-02-19 2010-08-26 (주)엘지전자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6411384B (zh) * 2009-02-20 2019-10-18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接入系统中接收参考信号的方法
WO2010150417A1 (ja) * 2009-06-25 2010-12-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ならびに無線通信方法
WO2011019168A2 (en) * 2009-08-13 2011-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s in communication systems
EP2465320B1 (en) * 2009-08-14 2015-10-2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DL backhaul control channel design for relays
US8761074B2 (en) * 2009-08-27 2014-06-24 Futurewei Technologies, Inc. Relay backhaul in wireless communication
KR20110041386A (ko) * 2009-10-15 2011-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릴레이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신호 전송방법 및 장치
KR101789326B1 (ko) 2009-10-21 2017-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8787245B2 (en) 2009-10-25 2014-07-22 Lg Electronics Inc. Backhaul downlink signal decoding method of relay station and relay station us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330A (ko) * 2009-08-19 201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국의 참조신호 이용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중계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03295A1 (en) 2011-05-05
WO2011053883A1 (en) 2011-05-05
JP2013509834A (ja) 2013-03-14
CN102598821B (zh) 2015-01-07
EP2494834B1 (en) 2020-07-29
KR20120088790A (ko) 2012-08-08
US9014080B2 (en) 2015-04-21
JP5479608B2 (ja) 2014-04-23
CN102598821A (zh) 2012-07-18
EP2494834A1 (en) 2012-09-05
TW201125417A (en) 201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67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백홀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567496B1 (en) Expanded search space for r-pdcch in lte-a
US903097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ort block size determination
US9380567B2 (en) Search space design for 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R-PDCCH)
US8780766B2 (en) Interleaving for rela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R-PDCCH)
KR101407035B1 (ko) 크로스-셀 조정 및 시그널링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US8705468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ownlink and uplink grant desig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140113987A (ko) 허가된 무선 또는 유선 백홀 링크 및 미허가된 액세스 링크를 갖는 롱 텀 에볼루션 (lte) 사용자 장비 중계기들
WO2010148371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eamforming for femto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