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637B1 - 이더넷신호 광 변환 장치를 이용한 열상장비 전원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더넷신호 광 변환 장치를 이용한 열상장비 전원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637B1
KR101412637B1 KR1020120099128A KR20120099128A KR101412637B1 KR 101412637 B1 KR101412637 B1 KR 101412637B1 KR 1020120099128 A KR1020120099128 A KR 1020120099128A KR 20120099128 A KR20120099128 A KR 20120099128A KR 101412637 B1 KR101412637 B1 KR 101412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power control
receiving
termi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051A (ko
Inventor
남창우
서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별
Priority to KR1020120099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6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이더넷신호 광 변환 장치를 이용한 열상장비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광 신호로 변환된 이더넷 데이터를 주고 받는 수신측 단말 및 송신측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은, 상기 수신측 단말에 위치한 DC 출력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측 단말은, 상기 송신측 단말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전원제어 수신부 및 상기 전원제어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전원 제어 신호에 의해 DC 출력이 제어되는 DC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더넷신호 광 변환 장치를 이용한 열상장비 전원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REMOTE POWER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THERMAL IMAGING SYSTEM USING OPTICAL-TO-ETHERNE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개시된 기술은 이더넷신호 광 변환 장치를 이용한 열상장비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지만 제한됨 없이는 원격지로부터 이더넷신호를 수신하여 열상장비의 임계값에 따라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및 현재는 열상장비가 설치되어있는 장소에서 경계 및 감시 관측하여 이상 유무를 직속상관 또는 상위 책임자에게 보고한다. 그리고 직속상관 또는 상위 책임자가 보고 받은 내용을 근거로 상황실에서 지휘 통제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열상장비는 주로 야간에 관측하는 장비이나, 일몰/일출 시간이 변화하며 기상 상황에 따라, 운영 가능한 시간대가 차이가 있다. 그러나 열상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곳이 분산되어 있어 열상장비 운영을 위해 운영자 또는 관리자가 일일이 원격지의 열상 장비가 위치한 장소까지 가서 기기를 ON/OFF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관측 범위의 효율성을 위하여 열상 장비는 높은 곳에 설치하기 때문에 일몰/일출 시간의 변화 및 기상 여건에 따라 운용 시간대가 변화하므로, ON/OFF 시간을 미리 설정해 놓는 것 또한 효율적이지 못하다.
열상장비의 관측 장비의 ON/OFF를 제어하는 종래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9-0025964호 (발명의 명칭 : 열상 장비 검출기 보호 방법 및 장치)가 있다. 여기에서는 열상장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열상장비에서 검출된 열상 신호가 임계 전압을 넘을 경우 자동으로 셔터가 폐쇄되게끔 하고 있으나, 열상장비 가동 자체를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격지에서 효율적으로 열상장비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제 1 측면은, 광 신호로 변환된 이더넷 데이터를 주고 받는 수신측 단말 및 송신측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측 단말은 수신측 단말에 위치한 DC 출력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수신측 단말은, 송신측 단말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전원제어 수신부 및 전원제어 수신부에 수신된 전원 제어 신호에 의해 DC 출력이 제어되는 DC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제 2 측면은, 광 신호로 변환된 이더넷 데이터를 주고 받는 수신측 단말 및 송신측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측 단말은, 수신측 단말에 위치한 DC 출력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수신측 단말은, 송신측 단말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전원 제어 수신부 및 전원 제어 수신부에 수신된 전원 제어 신호에 의해 DC 출력이 제어되는 DC 출력부를 포함하고,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은 수신측 단말과 연결된 열상 장비를 포함하고, 송신측 단말은 열상 장비로부터 수신된 열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열상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하는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제 3 측면은, 광 신호로 변환된 이더넷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스템에서 원격지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단말이 수신측 단말에 위치한 DC 출력부로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 수신측 단말이 송신측 단말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DC 출력부가 전원 제어 신호에 의해 DC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원격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원격지로부터 제공되는 열상 신호를 수신하여 장비의 운용 및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해킹 또는 다른 장비의 신호로 인하여 발생하는 신호교란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원격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원 원격 제어 시스템은 송신측 단말(110), 수신측 단말(120), 광 케이블(130) 및 열상 장비(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송신측 단말(110)은 수신측 단말에 위치한 DC 출력부(122)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제어 신호 생성부(111)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수신측 단말(120)은 송신측 단말(110)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전원제어 수신부(121) 및 전원 제어 수신부(121)에 수신된 전원제어 신호에 의해 DC 출력을 제어하는 DC 출력부(122)를 더 포함한다.
송신측 단말(110) 및 수신측 단말(120)은 원격지 간에 이더넷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에서 이더넷 데이터는 ICP/IP 프로토콜에 의해 패킷 형식으로 전송 전송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송신측 단말(110) 및 수신측 단말(120)은 광 케이블(130)에 의해 연결된다. 일례로, 송신측 단말(110) 및 수신측 단말(120)간의 연결은 점대 점(Point to Point)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송신측 단말(110) 및 수신측 단말(120)간의 연결은 1:N 또는 환형 망으로 연결 될 수도 있다.
한편, 개시된 기술에서는 전원 제어 신호를 통한 원격지의 열상 장비(140)의 전원 제어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하부터는 개시된 기술의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송신측 단말(110) 및 수신측 단말(120)간의 연결을 점대 점 연결로 가정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송신측 단말(110) 및 수신측 단말(120)은 광 신호의 손실률이 낮은 1.3㎛대 및 1.5㎛대의 파장을 이용하여 광 신호를 송수신 한다. 따라서, 전기 신호인 이더넷 데이터는 1.3㎛대 및 1.5㎛대의 파장의 빛으로 변조되어 광 케이블(130)을 통해 전송 되게 된다.
한편, 전원제어 신호 생성부(111)는 광 케이블(130)을 통해 DC 출력부(122)의 전원 제어를 위한 신호를 송출한다. 예컨대, 전원제어 신호는 이더넷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1.3㎛대 및 1.5㎛대의 파장이 아닌 다른 파장 대의 빛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 제어신호 생성부(111)는 ON/OFF로 상태가 전환되는 스위치에 의해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위치는 기계적인 조작 또는 물리적인 조작에 의하여 ON/OFF로 전환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원 제어신호 생성부(111)에서 생성한 전원제어 신호는 DC 출력부(122)의 전원을 ON/OFF 시키는 명령 내지 전원 제어 관련 데이터만을 포함하므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넓은 대역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원 제어 신호에 사용되는 광 파장은 파장대에 따른 신호 대 잡음비 및 데이터 손실율을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전원 제어 신호에 사용되는 광 파장은 가시광선 영역대 또는 1.5㎛과 근 적외선 영역 사이의 파장이 사용될 수 있다.
전원제어 신호 생성부(111)가 전원제어 신호에 1.3㎛대 및 1.5㎛대의 파장이 아닌 다른 파장 대의 빛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더넷 데이터 신호와 전원 제어 신호는 파장대를 달리하기 때문에, 송신측 단말(110) 및 수신측 단말(120) 사이에 TCP/IP 프로토콜 상에서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도 장애 여부와 상관없이 전원 제어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송신측 단말(110)이 해킹 등의 이유로 데이터 패킷 제어를 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또는 임의로 전원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조작되는 경우에도 전원 제어 신호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전원제어 신호 생성부(111)의 전원 제어 신호 생성을 위한 레이져 다이오드는 이더넷 데이터 생성에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독립된 제어를 받고, 다른 파장 대의 광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송신측 단말(110)이 해킹되어 시스템을 방해하는 가짜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고 하더라도, 수신측 단말(120)의 전원제어 수신부(121)는 가짜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신측 단말(120)은 전원 제어 신호 수신부(121) 및 DC 출력부(122)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전원 제어 신호 수신부(121) 및 DC 출력부(12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 제어 신호 수신부(121)는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111)에서 생성된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만약 수신된 전원 제어 신호가 '전원 ON' 신호인 경우, 전원 제어 신호 수신부(121)는 DC 출력부(122)를 제어하여 DC 출력부(122)로 하여금 DC 전원을 출력하게 한다. 따라서, 열상 장비(140)에 DC 전원이 인가되어 열상 장비(140)가 동작하게 된다.
반면 '전원 OFF' 신호인 경우, 전원 제어 신호 수신부(121)는 DC 출력부(122)를 제어하여 DC 출력부(122)로 하여금 출력중인 DC 전원을 중단하게 한다. 따라서, 열상 장비(140)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상술한 설명은 송신측 단말(110)과 수신측 단말(120)의 점대 점 연결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1:N 연결 및 환형 망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은 이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DC 출력부(122)는 수신측 단말(120)의 전원과는 분리된 별도의 상용 전원을 사용한다. 즉, 수신측 단말(120)의 동작을 위한 전원부와는 독립된 전원으로부터 DC 출력을 생성한다. 수신측 단말(120)이 점검을 목적으로 전원을 OFF 하는 경우에도 DC 출력부(122) 수신측 단말(120)의 동작 여부와는 상관없이 열상 장비(140)에 계속적으로 DC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전원 원격 제어 시스템은 송신측 단말(210), 수신측 단말(220), 광 케이블(230) 및 열상 장비(2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전원 제어신호 생성부(211), 전원 제어신호 수신부(211) 및 DC 출력부(222)는 도 1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는 열상 장비(240)로부터 수신된 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므로, 열상 데이터 분석부(212)를 더 포함한다.
열상 데이터 분석부(212)는 열상 장비(240)로부터 열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열상 데이터의 밝기 정보가 미리 정해둔 값 보다 높은 경우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211)로 하여금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케 한다. 즉, 밤에서 아침으로 시각이 바뀌는 경우, 열상 장비(240)에 수신되는 광량이 점차 증가하며, 열상 데이터의 밝기 또한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때, 햇빛이 열상 장비(240)에 직접 유입될 경우 장비가 손상 될 수 있으므로, 열상 데이터 분석부(212)는 열상 데이터의 밝기 값을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값 보다 높아지면,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211)로 하여금 '전원 OFF'인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케 하여 DC 출력부(222)로 하여금 출력중인 DC 전원을 중단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서 열상 장비(240)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또한,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상 데이터는 수신측 단말(220)이 열상 장비(240)로부터 수신하고 이더넷 데이터 패킷으로 송신측 단말(210)로 송신한다. 따라서, 열상 데이터는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의 영상 포멧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 포멧은 실시자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송신측 단말(210)과 수신측 단말(220)간의 연결 여부 확인은 PING(Packet Internet Groper) 테스트에 의해 수행된다. 예컨대, 송신측 단말(210)과 수신측 단말(220)중 어느 쪽 단말에 DHCP 서버(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Server)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측 단말(210) 및 수신측 단말(220)에 IP를 부여할 수 있어 TCP/IP 레벨에서 데이터 패킷 송수신이 수행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고 있으나, 개시된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원격제어 방법은 송신측 단말이 수신측 단말에 위치한 DC 출력부로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 수신측 단말이 송신측 단말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DC 출력부에서 전원 제어 신호에 의해 DC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송신측 단말이 수신측 단말에 위치한 DC 출력부로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송신측 단말 및 수신측 단말은 원격지 간에 이더넷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에서 이더넷 데이터는 ICP/IP 프로토콜에 의해 패킷 형식으로 전송 전송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송신측 단말 및 수신측 단말은 광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다. 일례로, 송신측 단말 및 수신측 단말 간의 연결은 점대 점(Point to Point)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송신측 단말(110) 및 수신측 단말(120)간의 연결은 1:N 또는 환형 망으로 연결 될 수도 있다.
이하부터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원격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것도 송신측 단말과 수신측 단말의 점 대 점 연결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개시된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이상의 확대된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점 대 점 연결뿐만 아니라 1:N 연결 또는 환형 망도 이용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수신측 단말이 송신측 단말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개시된 기술의 목적에 따라 원격지에 위치하는 열상장비의 전원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송신측 단말 및 수신측 단말은 광 신호의 손실률이 낮은 1.3㎛대 및 1.5㎛대의 파장을 이용하여 광 신호를 송수신 한다. 따라서, 전기 신호인 이더넷 데이터는 1.3㎛대 및 1.5㎛대의 파장의 빛으로 변조되어 광 케이블(130)을 통해 전송 되게 된다.
한편, 송신측 단말은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원제어 신호 생성부는 광 케이블을 통해 수신측 단말이 포함하는 DC 출력부의 전원 제어를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전원제어 신호는 이더넷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1.3㎛대 및 1.5㎛대의 파장이 아닌 다른 파장 대의 빛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DC 출력부에서 전원 제어 신호에 의해 DC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에 있어서, 전원 제어신호 생성부는 기계적 조작에 의해 ON/OFF 상태가 전환하는 스위치에 의해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전원 제어 신호는 DC 출력부의 전원을 ON/OFF 시키는 명령이거나 또는 오직 전원 제어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넓은 대역을 요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원 제어 신호에 사용되는 광 파장은 파장대에 따른 신호 대 잡음비 및 데이터 손실률을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전원 제어 신호에 사용되는 광 파장은 예컨대, 가시광선 영역대 또는 1.5㎛과 근 적외선 영역 사이의 파장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원제어 신호 생성부가 전원제어 신호에 1.3㎛대 및 1.5㎛대의 파장이 아닌 다른 파장 대의 빛을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더넷 데이터 신호와 전원 제어 신호는 서로 파장대를 달리하기 때문에, 송신측 단말과 수신측 단말 사이의 TCP/IP 프로토콜 상에서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그에 따른 장애 여부와 상관없이 전원 제어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다. 그리고 송신측 단말이 해킹 등의 이유로 데이터 패킷 제어를 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또는 임의로 전원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조작되는 경우에도 전원 제어 신호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전원제어 신호 생성부의 전원 제어 신호 생성을 위한 레이져 다이오드는 이더넷 데이터 생성에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독립된 제어를 받고, 다른 파장 대의 광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만약에 송신측 단말이 해킹되어 시스템을 방해하는 가짜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고 하더라도, 수신측 단말의 전원제어 수신부는 가짜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원격제어 방법에 있어서, DC 출력부는, 만약 수신된 전원 제어 신호가 '전원 ON' 신호인 경우, 전원 제어 신호 수신부의 제어에 따라 DC 전원을 출력하게 한다. 따라서, 열상 장비에 DC 전원이 인가되어 열상 장비를 동작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전원 OFF' 신호인 경우에도 전원 제어 신호 수신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다만, 신호가 '전원 OFF'이므로, 이 경우에는 DC 출력부에서 출력중인 DC 전원을 중단하게 한다. 따라서, 열상 장비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또한, DC 출력부는 수신측 단말의 전원과는 분리된 별도의 상용 전원을 사용한다. 즉, 수신측 단말의 동작을 위한 전원부와는 독립된 전원으로부터 DC 출력을 생성한다. 수신측 단말에서는 점검을 목적으로 전원을 OFF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해서, DC 출력부는 수신측 단말의 동작 여부와는 상관없이 열상 장비에 계속적으로 DC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을 통한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
110 : 송신측 단말
111 : 전원 제어신호 생성부
120 : 수신측 단말
121 : 전원 제어신호 수신부
122 : DC 출력부
130 : 광 케이블
140 : 열상 장비

Claims (10)

  1. 광 신호로 변환된 이더넷 데이터를 주고 받는 수신측 단말 및 송신측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은 상기 수신측 단말에 위치한 DC 출력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측 단말은 상기 송신측 단말로부터 상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전원 제어 수신부; 및
    상기 전원제어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전원 제어 신호에 의해 DC 출력이 제어되는 DC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이더넷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광 파장과는 파장 대역을 달리하는 광 신호 생성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상기 전원 제어 신호가 상기 이더넷 광 신호와 파장을 달리하되,
    상기 송신측 단말 및 상기 수신측 단말은,
    1.3㎛대 및 1.5㎛대의 파장의 빛으로 상기 이더넷 데이터를 변조하여 주고 받고,
    상기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는,
    상기 광 신호 생성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상기 1.3㎛대 및 1.5㎛대의 파장과 서로 다른 파장 대의 빛을 생성하는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 출력부는,
    상기 수신측 단말의 전원과 분리된 별도의 상용 전원을 사용하는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 제어 신호 생성부는,
    ON/OFF 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치에 의해 상기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은,
    상기 수신측 단말과 연결된 열상 장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측 단말은 상기 열상 장비로부터 수신된 열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열상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하는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상 데이터 분석부는,
    수신된 열상 데이터의 밝기 정보가 미리 설정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원 제어신호 생성부로 하여금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케 하는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상 데이터는,
    상기 이더넷 데이터 형식으로 수신되는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과 상기 수신측 단말간의 연결 여부 확인은,
    상기 송신측 단말이 상기 수신측 단말로 PING(Packet Internet Groper) 테스트를 실시하여 확인하는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
  9. 광 신호로 변환된 이더넷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스템에서 원격지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단말이 수신측 단말에 위치한 DC 출력부로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
    수신측 단말이 상기 송신측 단말로부터 상기 전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DC 출력부에서 상기 전원 제어 신호에 의해 DC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 제어 신호는,
    상기 이더넷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광 파장과는 파장 대역을 달리하는 광 신호 생성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전원 제어 신호가 상기 이더넷 광 신호와 파장을 달리하되,
    상기 이더넷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광 파장은 1.3㎛대 및 1.5㎛대의 빛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 신호는 상기 광 신호 생성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상기 1.3㎛대 및 1.5㎛대의 파장과는 서로 다른 파장으로 생성되는 전원 원격제어 방법.


  10. 삭제
KR1020120099128A 2012-09-07 2012-09-07 이더넷신호 광 변환 장치를 이용한 열상장비 전원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412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128A KR101412637B1 (ko) 2012-09-07 2012-09-07 이더넷신호 광 변환 장치를 이용한 열상장비 전원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128A KR101412637B1 (ko) 2012-09-07 2012-09-07 이더넷신호 광 변환 장치를 이용한 열상장비 전원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051A KR20140036051A (ko) 2014-03-25
KR101412637B1 true KR101412637B1 (ko) 2014-06-30

Family

ID=50645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128A KR101412637B1 (ko) 2012-09-07 2012-09-07 이더넷신호 광 변환 장치를 이용한 열상장비 전원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6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525Y1 (ko) * 2003-07-28 2003-12-24 이창성 유선케이블과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data 및 tod,ccd, cctv의 영상과 음향을 전송하는 장치
KR100919834B1 (ko) * 2009-03-26 2009-10-01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열상 장비 검출기 보호 방법 및 장치
KR100920992B1 (ko) * 2007-06-13 2009-10-09 강병학 원격 제어 멀티탭/콘센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525Y1 (ko) * 2003-07-28 2003-12-24 이창성 유선케이블과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data 및 tod,ccd, cctv의 영상과 음향을 전송하는 장치
KR100920992B1 (ko) * 2007-06-13 2009-10-09 강병학 원격 제어 멀티탭/콘센트 장치
KR100919834B1 (ko) * 2009-03-26 2009-10-01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열상 장비 검출기 보호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051A (ko) 201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6590B2 (en) Smart optical transceiver having integrated optical dying gasp function
CN202840685U (zh) 集成红外及可见光监测部件的监测系统及变电站网络
JP6240238B2 (ja) 高電圧直流送電システムの二重化制御装置及び方法
EP4179646B1 (en) Trigger-based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1188072A (ja) 障害検知復旧システム、障害検知復旧方法、及びその復旧用プログラム
US9287970B2 (en) Optical transmission device and optical transmission method
KR20210124101A (ko) RS-485 통신 모듈을 이용한 IoT 기기 제어 및 감지 시스템
KR101788328B1 (ko) 단방향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1412637B1 (ko) 이더넷신호 광 변환 장치를 이용한 열상장비 전원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19193550A (ja) ソーラーモジュール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ソーラーシステム及びソーラーモジュールの制御方法
KR101736933B1 (ko) 차단기용 제어 유닛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40189384A1 (en) Method and arrangment for remote controlling a power consumption state of a network device
CN104009790A (zh) 光收发装置
KR20140123854A (ko) 직렬 연결된 전력선 통신 장치 및 방법
CN105929326A (zh) 开关载波隔离监测装置及应急电源
CN102437940B (zh) 一种光电转换接入装置
KR101927117B1 (ko) 무선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식별자 히든 요청신호를 제공하는 통합 광통신 단말장치 및 그 것의 동작 방법
JP3615121B2 (ja) 電力線搬送を用いた監視制御システム
CN203675227U (zh) 一种视频监控测试仪
US20150380987A1 (en) Reversible powering device
US20210409113A1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unused channel verification method
KR101125621B1 (ko) 초저속 전력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카메라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cctv 시스템
CN111315097A (zh) 一种变电站中灯光控制方法和装置
CN104144324A (zh) 一种矿用综采工作面网络视频监控系统
WO2013173964A1 (zh) 中继器及环回模式切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