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533B1 -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533B1
KR101412533B1 KR1020120087797A KR20120087797A KR101412533B1 KR 101412533 B1 KR101412533 B1 KR 101412533B1 KR 1020120087797 A KR1020120087797 A KR 1020120087797A KR 20120087797 A KR20120087797 A KR 20120087797A KR 101412533 B1 KR101412533 B1 KR 101412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unit
solar cell
cell panel
tr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1839A (ko
Inventor
이택성
김인호
이경석
장준연
변석주
노주원
정증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87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533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전지 패널부(200)와,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입사되는 태양광을 집속시켜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에 태양광의 초점을 형성하는 태양광 집속부(100)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유닛; 및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태양전지 유닛을 지지하되, 열팽창계수를 달리하는 팽창부재(310)와 고정부재(320)로 이루어져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일방향으로 굴절되면서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이 상기 태양광과 대향하도록 조절하는 태양광 추적부(300);를 포함하는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Concentrating Photovoltaics Apparatus Having Non-Powered Solar Light Tracking Function}
본 발명은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동력원의 도움없이 무동력으로 태양광의 입사각 변화에 대응하여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여 태양전지 패널의 상부면이 상기 태양광과 대향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되어 태양광 발전 효율을 극대화한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광형 태양광 발전(CPV, Concentrated Photovoltaic)은 렌즈나 거울 등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집속시키고 집속되는 지점에 태양전지(Solar Cell)를 배치하여 집속 태양광 빔에 의해 태양광 발전을 하는 기술로써, 태양광의 집속에 따른 태양전지의 재료를 적게 할 수 있어, InGaP, GaAs, InGaAs, Ge와 같은 고가의 Ⅲ-Ⅴ족 화합물 태양전지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 필수적으로 선택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인 평판 태양전지와 달리 상기 집광형 태양광 발전 기술을 적용할 경우, 하루 시간의 변화에 따른 태양의 위치 변화와 계절 변화에 따른 태양의 위도 변화 등에 집속빔의 위치가 변하기 때문에 태양광의 위치에 대응하기 위한 태양광 추적기(Solar Tracker)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상기 태양광 추적기를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추적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태양광 발전기 운용 중에도 태양광을 추적하기 위한 추가적인 동력을 소비하는 측면이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7325호(2012.06.25), 태양광 발전 장치 및 태양광 전지판 조절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동력원의 도움없이 무동력으로 자전에 의한 태양의 위치변화에 따른 태양광 입사각의 변화 및 공전에 의한 태양의 위도변화에 따른 태양광 입사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여 태양전지 패널의 상부면이 상기 태양광과 대향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되어 태양광 발전 효율을 극대화한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전지 패널부(200)와,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입사되는 태양광을 집속시켜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에 태양광의 초점을 형성하는 태양광 집속부(100)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유닛; 및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태양전지 유닛을 지지하되, 열팽창계수를 달리하는 팽창부재(310)와 고정부재(320)로 이루어져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일방향으로 굴절되면서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이 상기 태양광과 대향하도록 조절하는 태양광 추적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의 팽창부재(310)와 고정부재(3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금속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각 측부가 상호 접착되되, 상기 팽창부재(310)는 상기 고정부재(320)보다 상대적으로 큰 열팽창계수를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320)는 상기 팽창부재(3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열팽창계수를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는,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하부에 체결되되,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 내에서 상기 고정부재(320)는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중심위치를 향해 배치되며 상기 팽창부재(310)는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외측 둘레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양측 하부에 복수 개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둘레 하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는,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원주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집속부(100)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는 볼록렌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집속부(100)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와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 사이에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가열된 열을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하부에는, 상기 집속된 태양광에 의해 가열된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이 배치되며,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는 상기 방열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방열판을 통해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가열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의하면, 외부의 동력원의 도움없이 무동력으로 태양광의 입사각 변화에 대응하여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여 태양전지 패널의 상부면이 상기 태양광과 대향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되어 태양광 발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저가의 비용으로 태양광 추적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운용하는 중에도 태양광을 추적하기 위한 추가적인 동력을 소비하지 않으므로, 태양광 발전 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으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상대적으로 시스템의 수명이 길어지며 시스템의 유지보수가 보다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태양광의 입사각이 변화함에 따라 태양전지 패널부의 상부면에 집속되는 태양광의 초점(P)이 중앙에서 일측방향으로 편중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태양전지 패널부의 일측이 가열되면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태양광 추적부가 굴절되어 태양전지 패널부의 상부면이 상기 태양광과 대향하도록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태양광 추적부가 태양전지 패널부의 하부에 체결되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태양광의 입사각이 변화함에 따라 태양전지 패널부의 상부면에 집속되는 태양광의 초점(P)이 중앙에서 일측방향으로 편중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태양전지 패널부의 일측이 가열되면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일측에 배치된 태양광 추적부가 굴절되어 태양전지 패널부의 상부면이 상기 태양광과 대향하도록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는 태양광의 입사각이 변화함에 따라 태양전지 패널부의 상부면에 집속되는 태양광의 초점(P)이 중앙에서 타측방향으로 편중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태양전지 패널부의 타측이 가열되면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타측에 배치된 태양광 추적부가 굴절되어 태양전지 패널부의 상부면이 상기 태양광과 대향하도록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이하에서는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라 함)는, 외부의 동력원의 도움없이 무동력으로 태양광의 입사각 변화에 대응하여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여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이 상기 태양광과 대향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되어 태양광 발전 효율을 극대화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 유닛 및 태양광 추적부(30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태양전지 유닛는, 입사되는 태양광을 굴절 또는 반사하여 집속시켜 전력을 생성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전지 패널부(200)와,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입사되는 태양광을 집속시켜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에 태양광의 초점(P)을 형성하는 태양광 집속부(10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는 하나의 솔라셀 패널 또는 복수 개의 솔라셀 패널이 다중접합된 솔라셀 어레이일 수 있으며, Ⅲ-Ⅴ족 화합물 태양전지 재료로 이루어진 고효율 태양전지 패널을 이용한다.
상기 태양광 집속부(100)는, 집광형 태양광 발전(CPV)에서 이용되는 태양광 집속부재로서,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되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집속부(100)는 렌즈의 양면 또는 한면이 볼록하여 초점거리가 양(陽)인 볼록렌즈를 이용할 수 있으며, 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며 복수 개의 동그라미띠 모양의 렌즈로 분할 형성되어 각 띠에 프리즘작용을 갖도록 구비된 프레넬 렌즈(Fresnel Lens)가 이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 유닛는 입사되는 태양광을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 상의 일위치에 집속시켜 일반적인 태양전지와 비교하여 보다 발전효율이 증대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는, 자전에 의한 태양의 위치변화에 따른 태양광 입사각의 변화 또는 공전에 의한 태양의 위도변화에 따른 태양광 입사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여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이 태양광과 항상 수직으로 대향하도록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태양전지 유닛을 지지하되, 열팽창계수(Coefficient of Expansion)를 달리하는 팽창부재(310)와 고정부재(320)로 이루어져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평창하면서 상단이 일방향으로 굴절되면서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이 상기 태양광과 대향하도록 조절한다.
여기서, 태양광 추적부(300)의 팽창부재(310)와 고정부재(3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금속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각 측부가 상호 접착되되, 상기 팽창부재(310)는 고정부재(320)보다 상대적으로 큰 열팽창계수를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320)는 팽창부재(3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열팽창계수를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는,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하부에 체결되되,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 내에서 고정부재(320)는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중심위치를 향해 수직 배치되며 상기 팽창부재(310)는 태양전지 유닛의 외측둘레를 향해 수직배치되는 형태로 고정 장착된다.
이때, 상기 팽창부재(310)가 갖는 열팽창계수는, 태양전지 패널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열의 온도크기에 대비하여 태양광 추적부(300)의 상단이 굴절되는 각도를 반복적으로 측정하여 얻어진 데이터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도 1과 같이 태양광이 수직으로 입사하여 태양광 집속부(100)에 의해 집속되는 초점(P)의 위치가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중앙부위치에 배치되면 태양광 추적부(300)는 동작하지 않고 수직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태양광에 의해 태양전지 패널부(200)가 일정온도 이상 가열되어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로 가열된 열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의 상단이 굴절되지 않도록 열팽창계수에 의해 굴절되기 시작하는 임계치가 설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의 입사각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태양광 집속부(100)에 의해 집속되는 태양광의 초점(P)이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중앙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일측부분이 가열되면서 하부에 배치된 태양광 추적부(300)로 전달되고, 가열된 열을 전달받은 태양광 추적부(300)는 전달된 열에 의해 팽창하면서 길어지게 되어 상기 전달된 열에 대응하는 정도로 태양광 추적부(300)의 상단이 일방향으로 굴절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와 태양전지 패널부(200) 사이에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가열된 열을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가 배치되거나,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하부에는 집속된 태양광에 의해 가열된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이 배치되며,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는 상기 방열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방열판을 통해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가열된 열을 전달받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가열된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태양광 추적부(300)로 전달하여 태양광 추적부(300)의 상단이 용이하게 굴절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가열된 열을 외부(태양광 추적부(300))로 방출함으로써 태양전지 패널부(200)를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의 입사각이 변화함에 따라 태양광 집속부(100)에 의해 집속되는 태양광의 초점(P)이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중앙부 또는 일측위치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이 태양광과 대향하지 않게 동작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양측 하부에 복수 개의 태양광 추적부(300)가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는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둘레 하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가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될 경우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는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원주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체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태양광 추적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이 양방향으로 기울어면서 자동적으로 태양광과 대향하도록 동작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태양광 입사각이 변화하면서 상기 태양광 집속부(100)에 의한 태양광의 초점(P)이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에서 일정 형태의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게 되더라도,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된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원주 둘레의 하부에 체결된 각 태양광 추적부(300)가 선택적으로 굴절되므로 항상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이 태양광과 수직되게 대향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10)은 태양광 집속부(100)와 태양전지 패널부(200)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지지부로서, 태양광 집속부(100)와 태양전지 패널부(200) 사이에 케이싱되어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측면을 커버함과 동시에 태양광 추적부(300)가 굴절되면서 태양전지 패널부(200)가 기울어지는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태양광 집속부(100)도 함께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에 대하여 태양광 집속부(1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태양광이 수직으로 입사하여 태양광 집속부(100)에 의해 집속되는 초점(P)의 위치가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중앙부위치에 배치되면 태양광 추적부(300)는 동작하지 않고 수직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태양광에 의해 태양전지 패널부(200)가 일정온도 이상 가열되더라도,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로 전달되는 열은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의 상단이 굴절되지 않도록 열팽창계수에 의해 굴절되기 시작하는 임계치에 미치지 않으므로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는 수직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지구의 자전에 의한 태양의 위치변화에 따라 태양광 입사각의 변화하거나, 지구의 공전에 의한 태양의 위도변화에 따라 태양광 입사각이 변화하면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광 집속부(100)에 의해 집속되는 태양광의 초점(P)이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중앙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일측부분이 가열되면서 하부에 배치된 태양광 추적부(300)로 전달되고, 도 3 및 도 6과 같이 가열된 열을 전달받은 태양광 추적부(300)는 전달된 열에 의해 팽창하면서 길어지게 되어 상기 전달된 열에 대응하는 정도로 태양광 추적부(300)의 상단이 일방향으로 굴절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반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광 집속부(100)에 의해 집속되는 태양광의 초점(P)이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중앙부 또는 일측위치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타측부분이 가열되면서 하부에 배치된 태양광 추적부(300)로 전달되고, 도 8과 같이 가열된 열을 전달받은 태양광 추적부(300)는 전달된 열에 의해 팽창하면서 길어지게 되어 상기 전달된 열에 대응하는 정도로 태양광 추적부(300)의 상단이 일방향으로 굴절되도록 동작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외부의 동력원의 도움없이 무동력으로 태양광의 입사각 변화에 대응하여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여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이 상기 태양광과 대향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되어 태양광 발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저가의 비용으로 태양광 추적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운용하는 중에도 태양광을 추적하기 위한 추가적인 동력을 소비하지 않으므로, 태양광 발전 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으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조가 간소화되므로 상대적으로 시스템의 수명이 길어지며 시스템의 유지보수가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태양광 집속부 110...지지부
200...태양전지 패널부 300...태양광 추적부
310...팽창부재 320...고정부재

Claims (10)

  1.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전지 패널부(200)와,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입사되는 태양광을 집속시켜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에 태양광의 초점을 형성하는 태양광 집속부(100)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유닛; 및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태양전지 유닛을 지지하되, 열팽창계수를 달리하는 팽창부재(310)와 고정부재(320)로 이루어져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일방향으로 굴절되면서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이 상기 태양광과 대향하도록 조절하는 태양광 추적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의 팽창부재(310)와 고정부재(3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금속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각 측부가 상호 접착되되,
    상기 팽창부재(310)는 상기 고정부재(320)보다 상대적으로 큰 열팽창계수를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320)는 상기 팽창부재(3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열팽창계수를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는,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하부에 체결되되,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 내에서 상기 고정부재(320)는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중심위치를 향해 배치되며 상기 팽창부재(310)는 상기 태양전지 유닛의 외측 둘레를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양측 하부에 복수 개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둘레 하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는,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원주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집속부(100)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는 볼록렌즈인 것을 특징을 하는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집속부(100)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9.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와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 사이에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가열된 열을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10.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하부에는,
    상기 집속된 태양광에 의해 가열된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이 배치되며,
    상기 태양광 추적부(300)는 상기 방열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방열판을 통해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200)의 가열된 열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120087797A 2012-08-10 2012-08-10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412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797A KR101412533B1 (ko) 2012-08-10 2012-08-10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797A KR101412533B1 (ko) 2012-08-10 2012-08-10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839A KR20140021839A (ko) 2014-02-21
KR101412533B1 true KR101412533B1 (ko) 2014-07-03

Family

ID=5026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797A KR101412533B1 (ko) 2012-08-10 2012-08-10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5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399A (ko) 2015-04-11 2016-10-19 김홍래 무전원 태양광 추적 장치
KR20210007682A (ko) 2019-07-12 2021-01-20 김기웅 바이메탈 원리가 적용된 태양광 모듈 자동각도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981B1 (ko) * 2015-11-03 2017-03-10 주식회사 브리콘 부유식 태양에너지 발전유닛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200A (ko) * 2007-10-19 2009-04-2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마이크로렌즈를 이용한 태양전지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31084A (ko) * 2008-06-17 2009-12-28 김도엽 무동력 태양추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200A (ko) * 2007-10-19 2009-04-2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마이크로렌즈를 이용한 태양전지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31084A (ko) * 2008-06-17 2009-12-28 김도엽 무동력 태양추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399A (ko) 2015-04-11 2016-10-19 김홍래 무전원 태양광 추적 장치
KR20210007682A (ko) 2019-07-12 2021-01-20 김기웅 바이메탈 원리가 적용된 태양광 모듈 자동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839A (ko) 201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8309B1 (en) Curved focal plane receiver for concentrating light in a photovoltaic system
Luque et al. Photovoltaic concentration at the onset of its commercial deployment
US20080149162A1 (en) Spectral Splitting-Based Radiation Concentration Photovoltaic System
WO2007057894A3 (en) Multiple heliostats concentrator
US20140150865A1 (en) Concentrating solar cell
CN103165717A (zh) 一种由小型菲涅尔透镜阵列组成的聚光太阳能模组
KR101412533B1 (ko) 무동력 태양광 추적기능이 구비된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KR20110087159A (ko) 집광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082707B1 (ko) 자동 태양광 트래킹이 가능한 휴대형 태양광 발전장치
KR20190029176A (ko) 태양광 발전장치
US20130319506A1 (en) Solar concentrator assembly
CN101388625A (zh) 一种太阳能聚光发电装置
CN103137762A (zh) 一种太阳能聚光光伏发电组件
KR20180063629A (ko) 태양광 발전장치
US10090804B2 (en) Concentrator photovoltaic module and the align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120180847A1 (en) Method for improving solar energy condensation efficiency in solar energy condensation electric power facility
KR101959272B1 (ko) 집광 태양 전지를 이용한 수상형 복합 발전 시스템
KR101213768B1 (ko) 태양광발전장치
EP2579335B1 (en) Multi sensor solar collection system
KR101921567B1 (ko) 자체유지보수 기능을 구비한 집광 태양 전지를 이용한 수상형 복합 발전 시스템
CN104539235A (zh) 一种能流密度均匀分布的空间太阳能电站光路传输结构
US20140048134A1 (en) Concentrator solar receiver with improved homogenizer
KR101418049B1 (ko) 타워형 태양에너지 발전장치
CN204258714U (zh) 一种能流密度均匀分布的空间太阳能电站光路传输结构
CN104333315B (zh) 太阳能组件中菲涅尔透镜与次级光学元件的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