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170B1 - 원터치 수중 랜턴 - Google Patents

원터치 수중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170B1
KR101412170B1 KR1020120050815A KR20120050815A KR101412170B1 KR 101412170 B1 KR101412170 B1 KR 101412170B1 KR 1020120050815 A KR1020120050815 A KR 1020120050815A KR 20120050815 A KR20120050815 A KR 20120050815A KR 101412170 B1 KR101412170 B1 KR 101412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ight emitting
thread
light
conducti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6425A (ko
Inventor
윤삼걸
Original Assignee
윤삼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삼걸 filed Critical 윤삼걸
Priority to KR1020120050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170B1/ko
Publication of KR20130126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05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the device being a pocke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6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ractors
    • F21V14/065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ractors in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회전을 통해 전원장치를 제어하고 빛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원터치 수중 랜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부(100), 본체부(200), 후면부(300)로 대분 구성되되 상호 회전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200)의 회전에 의해 제1전도장치(150)를 제어함과 동시에 발광모듈(141)과 렌즈(130)와 의 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고, 상기 제1전도장치(15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1절연부재(151)와 상기 전면부(100)와 본체부(200)가 결합되는 부분에 제 2절연부재(152)가 구성되어 배터리(210)의 전류 흐름의 확산 및 합선 등을 미연에 방지 가능토록 하며 최적의 효율성을 나타내고, 근거리 및 원거리의 시야확보는 물론 수중 속에서 압력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으며 편리성이 부여되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Description

원터치 수중 랜턴{Lantern-touch water}
본 발명은 수중 랜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수중에서 전체적인 방수가 가능하며 회전을 통해 전원장치를 제어하여 ON-OFF를 조절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빛이 발산되는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토록 하여 시야성 확보는 물론 배터리의 전류 흐름의 확산 및 합선을 방지하는 회전을 통해 전원장치를 제어하고 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원터치 수중랜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잠수, 작업 및 수중촬영, 스쿠버다이빙을 할 때 수중에서의 시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중랜턴은 통상 전면에 보호유리가 설치된 케이스 본체 내측으로 할로겐램프가 연결 설치된 전원공급부가 내설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후미로는 작동손잡이와 작동스위치가 구비된 덮개가 방수 처리된 상태로 결합되어진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수중랜턴을 이용하여 다이버들은 수중잠수, 작업 및 수중촬영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에 사용된 할로겐램프는 조명의 색온도가 3200 캘빈으로 붉은 색을 띄고 있어 수중촬영 시 자연색의 영상물을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음은 물론 불빛이 밝지 못하여 시야성이 넓게 확보하지 못하였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쿠버다이빙은 수중 20m 이상까지 잠수하기 때문에 어두운 바닷속을 환하게 비추어주기 위하여 휴대용 손전등의 사용이 필수적이었으며 종래의 랜턴들은 스위치를 누른 후 랜턴이 켜야 되는데 이는 수중속의 압력으로 인해 스위치를 조작하기에는 그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으며 수중 속에서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부의 밀폐력이 갈수록 저하됨에 따라 배터리 등에 바닷물이 침투되어 산화작용이 일어나거나 배터리의 접점단자 등이 누전 및 단락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본원 출원과 동일한 출원인이 출원한 것으로 공개번호 10-2011-0123641(특)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하고, 전면발광체, 반사갓, 외부글라스 및 외부커버로 구성된 본체부를 포함하는 손전등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타 측에 결합되며 감지단자, 후면발광체 및 충전단자로 구성되어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 측에 결합되되, 스위치커버, 누름스위치, 스프링 및 차단부로 구성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원 출원과 동일한 출원인이 출원한 것으로 공개번호 10-2006-0114923(특) 전면에 보호유리가 설치된 원통형의 케이스본 내측으로 램프가 연결설치된 전원공급장치를 내설하고 상기 케이스본체 후미로는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작동스위치와 손잡이가 구비된 덮개를 설치하여서 된 통상의 수중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 일측부 외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밀폐고무링과 나사홈을 순차적으로 설치, 형성한 다음 상기 나사홈 외주에 전면으로 볼록렌즈가 설치된 보조케이스의 후미를 끼워 나사결합토록하되, 상기 보조케이스는 케이스본체와 나사 연결되는 후미의 끝단부에 이탈방지체를 나사결합하고, 전면에 설치되는 볼록렌즈는 보조케이스 전면내측에 마련된 걸림턱에 고정시킨 후 그 일 측으로 밀폐고무링과 고정구 그리고 보호유리를 순차적으로 마련하여 고정구로 고정설치하며 또 상기 보조케이스의 일 측 외주 면으로는 미끄럼 방지부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출원과 동일한 출원인이 출원한 것으로 10-2006-0114940 (특) 전면에 보호유리가 설치된 원통형의 케이스본체 내측으로 램프가 연결 설치된 전원공급장치를 내설하고 상기 케이스본체 후미로는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작동스위치와 손잡이가 구비된 덮개를 설치하여서 된 통상의 수중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램프가 연결설치된 전원공급장치의 선단으로 내측에 램프가 안치되는 공간을 가지면서 외주로 나사가 형성된 고정부를 일정길이 돌출구성하여 그 외주에 볼록렌즈가 설치된 설치대를 나사결합하되, 상기 설치대는 그 내측으로 볼록렌즈를 고무링으로 억지고정시킨 후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고정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램프로 부터 볼록렌즈가 설치대에 의해 전, 후 일정거리 가변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공개번호 10-2007-0050174 (특) 방수 스위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격판을 포함하는 하부캡과, 상기 격판의 중앙부에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돌기부와, 상기 격판의 중앙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돌기부와, 상기 제1돌기부의 후단부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동 노브와, 상기 제1돌기부의 선단부에 고정된 절연판과, 상기 절연판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원추형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선단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자유단이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동 전원단자와, 상기 제2돌기부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동 노브의 선단부를 선회시켜서 가동 전원단자의 자유단을 하부캡의 원통부 벽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분리시키는 구동 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원 출원과 동일한 출원인이 출원한 종래 기술은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본체부의 일 측에 결합되는 스위치를 눌러 랜턴의 전원부와 전원공급부를 접지하여 ON 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수중에서의 압력으로 인해 다소 번거로울 수가 있다.
다른 형태의 기술을 살펴보면 통상의 수중랜턴을 설명하고 있으며 방수기능을 중심적으로 기재 하고 있다. 이는 일반적인 구성들로서 방수가 전혀 되지 않는 것 이외에는 다른 특별한 특징이 없으며 스위치를 눌러 수중랜턴을 ON 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증랜턴을 구성함에 있어 별도의 스위치를 구성하지 않고 회전에 의해 ON-OFF가능토록 구성함과 동시에 빛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여 수중에서의 압력으로부터 전혀 무관한 구성에 의해 편리성이 뛰어나고, 전원공급부의 전류에 흐름의 확산 및 합선을 방지 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 할 수 있도록 보완된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 랜턴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수중에서 전체적인 방수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부분에 고무패킹을 구성하고, 회전을 통해 전원장치를 제어하여 ON-OFF 조절과 빛이 발산되는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토록 하여 시야성을 확보하고, 제1전도장치의 외주면에 제 1절연부재를 구성하고, 전면부와 본체부와 결합되는 부분의 사이에 제 2절연부재를 구성하여 배터리의 전류 흐름의 확산 및 합선을 방지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함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는 전면으로 보호판(110)이 결합부재(111)에 의해 결합되고, 내부로 중공부를 형성하되 내측면에 안착턱(120)이 구성되어 렌즈(130)가 안착되며 발광모듈(141)이 구성되는 발광장치(140)와 상기 발광장치(140)에 전류를 인가하는 제1전도장치(150)가 각각 구성되며 내측면에 상기 안착턱(120)에 밀착되는 탄성부재(160)가 구성되고, 내측면의 끝부에 나사산(170)이 구성되는 전면부(100)와, 내부로 공간부가 형성되되 배터리(210)가 내설되고, 일 측 외주 면에 나사산(220)과 걸림턱(230)이 각각 구성되며 타 측 내주면의 끝부에 나사산(240)이 구성되어 상기 전면부(100)의 나사산(170)과 상기 나사산(220)을 회전 결합시켜 상기 전면부(100)의 내측에서 전, 후로 유동하는 본체부(200)와, 외주면에 나사산(320)이 구성되며 내부로 제3전도장치(310)가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200) 내측의 나사산(240)과 결합되는 후면부(300)로 구성되어 회전을 통해 전원장치를 제어하고 빛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전도장치(150)의 외주 면으로 제 1절연부재(151)가 구성되며, 상기 전면부(100)와 본체부(200)가 결합되는 부분에 제 2절연부재(151)를 더 구성하여 상기 배터리(210)의 전류 흐름의 확산 및 합선을 방지하여 최적의 효율성을 나타낼 수 있는 수중 랜턴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과제로서 창안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수중 랜턴에 의하면 수중에서 랜턴의 내부로 물이 흘러 들어오지 않아 오작동 및 각 부품들의 부식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고, 무엇보다 시야가 확보 되지 않는 수중 속에서 회전을 통해 전원장치를 제어하며 빛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 할 수가 있어 시야성 확보는 물론 압력과 무관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인해 편리성이 부여되며 배터리의 전류 흐름의 확산 및 합선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에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8 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수중 랜턴은 수중잠수, 작업 및 수중촬영, 스쿠버다이빙을 할 때 수중에서의 시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하지만, 종래의 수중 랜턴은 스위치를 눌러 랜턴의 전원장치와 배터리를 접지하여 발광모듈을 발광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수중에서의 압력으로 인해 다소 불편하며 번거로울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중랜턴을 구성함에 있어 별도의 스위치를 구성하지 않고 회전에 의해 전원장치를 제어하여 ON-OFF 가능토록 구성함과 동시에 빛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여 수중에서의 압력으로부터 전혀 무관한 구성에 의해 편리성이 뛰어나고, 배터리의 전류 흐름의 확산 및 합선을 방지 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전면으로 보호판(110)이 결합부재(111)에 의해 결합되고, 내부로 중공부를 형성하되 내측면에 안착턱(120)이 구성되어 렌즈(130)가 안착되며 발광모듈(141)이 구성되는 발광장치(140)와 상기 발광장치(140)에 전류를 인가하는 제1전도장치(150)가 각각 구성되며 내측면에 상기 안착턱(120)에 밀착되는 탄성부재(160)가 구성되고, 내측면의 끝부에 나사산(170)이 구성되는 전면부(100)와,
내부로 공간부가 형성되되 배터리(210)가 내설되고, 일 측 외주 면에 나사산(220)과 걸림턱(230)이 각각 구성되며 타 측 내주면의 끝부에 나사산(240)이 구성되어 상기 전면부(100)의 나사산(170)과 상기 나사산(220)을 회전 결합시켜 상기 전면부(100)의 내측에서 전, 후로 유동하는 본체부(200)와,
외주면에 나사산(320)이 구성되며 내부로 제3전도장치(310)가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200) 내측의 나사산(240)과 결합되는 후면부(300)로 구성되어 회전을 통해 전원장치를 제어하고 빛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210)의 전류 흐름의 확산 및 합선을 방지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전도장치(150)의 외주 면에 제 1절연부재(151)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부(100)와 본체부(200)가 결합되는 부분에 제 2절연부재(152)가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면부(10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으로 투명하며 수중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보호판(110)이 회전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재(111)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이 되되 상기 보호판(110)의 외주 면에 외부에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패킹(p)이 구성되며 내부로 중공부를 형성하되 내측 외주 면에 중앙부 방향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어 렌즈(130)가 걸림 될 수 있도록 안착턱(120)이 구성되어 상기 렌즈(130)가 안착되며 전류를 인가 받아 발광하는 발광모듈(141)이 구성되는 발광장치(140)와 상기 발광장치(140)에 전류를 인가하는 제1전도장치(150)가 각각 구성되며 내주면의 끝부에는 본체부(200)와 회전 결합 가능토록 나사산(170)이 구성된다.
상기 안착턱(120)은 렌즈(130)가 용의하게 안착되며 외부 충격으로 인해 흔들림 및 이탈을 방지케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렌즈(130)는 통상 사용되는 볼록 렌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렌즈의 두께 및 형상은 한정 짓지 않는다.
상기 발광장치(140)는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도장치(150)의 일측과 연결되되 제2전도장치(180)와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1전도장치(150)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아 발광모듈(141)이 발광되는 것으로 통상 전류를 인가 받아 빛을 발광하는 전구, 할로겐램프, 반도체램프 등으로 구성하여도 무관하며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주로 도시 하였지만 사용에 따라 통상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하여 구성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전도장치(150)의 외주 면으로 배터리(210)의 전류 흐름의 확산 및 합선을 미연에 방지토록 전류가 흐르지 않는 재질의 제 1절연부재(151)가 구성된다. 종래의 수중 랜턴의 구성에는 절연시키는 장치가 없어 전류의 흐름 확산 및 합선 등의 잦은 고장으로 인해 사용상에 매우 불편한 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절연부재(151)의 구성에 의해 배터리(210)의 전류 흐름이 제1전도장치(150) 측으로 확산 되지 않아, 수중 속에서 수중 랜턴을 장시간 사용 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장치(140)와 제1전도장치(150)를 감싸되 일정간격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렌즈(130)가 안착되는 안착턱(120)의 타 측에 밀착되며 길이방향으로 탄성부재(160)가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160)는 상기 전면부(100)와 본체부(200)가 결합 상태에서 임의로 회전되어 렌즈(130)와 발광모듈(141)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 1절연부재(151)를 밀착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200)는 도 2 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되 결합 시 상기 제1전도장치(150)와 접지되는 배터리(210)가 다수 개 내설되고, 외주 면에 걸림턱(230)과 나사산(220)이 각각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면부(300)와 결합되는 내측면 끝부에 나사산(240)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부(300)와 결합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210)는 통상 +극과 -극으로 전류가 한 방향으로 흐르는 특성상 상호 접지토록 구성되되 제3전도장치(310)와 접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200)는 전면부(100)와 상호 회전 결합하여 본체부(200)가 전면부(100)의 내측에서 전, 후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외주 면에 형성되는 나사산(240)은 상기 전면부(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나사산(17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는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100)와 결합되는 부분에 수중 랜턴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방지토록 고무패킹(p)이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0)를 전면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전도장치(150)와 발광장치(140)가 상호 접지됨과 동시에 전원이 인가되며 발광모듈(141)이 발광되고, 정회전으로 조금 더 회전 시키게 되면 발광모듈(141)과 렌즈(130)가 근접위치하게 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모듈(141)의 빛은 렌즈(130)를 통해 그 발산각도가 퍼지게 되므로 다이버 및 수중에서 가까운 주변 시야 확보, 수중작업, 주변 촬영에 매우 용이하다.
반대로 상기 본체부(200)를 역회전 시켜 렌즈(130)와 발광모듈(141)과의 거리를 멀리 하게 되면 상기 발광모듈(141)의 빛은 렌즈(130)를 통과 하면서 그 발산각도가 모이게 되므로 수중에서 먼 곳의 시야확보는 물론 빛의 밝기를 높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체부(200)의 회전에 의해 제1전도장치(150)와 배터리(210)를 접지 시켜 회전을 통해 제1전도장치(150)를 제어함과 동시에 빛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200)의 회전에 의해 발광모듈(141)과 렌즈(130)를 근접 시키게 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220)에 의해 일정 부분까지 근접되면 걸림 되어 서로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가 전면부(100)와 회전 결합되는 타 측 끝부의 내주면에 나사산(230)이 형성되어 후면부(300)와 결합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부(100)와 본체부(20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절연부재(152)가 구성되어 사용 시에 배터리(210)의 전류 흐름이 전면부(100)와 상기 전면부(100)의 내부에 구성되는 각 부품들로 확산 및 합선을 방지토록 하게 되어 상기 제 1절연부재(151)와 더불어 최적의 배터리(210) 효율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본체부(200)는 나사산(220)에 의해 전, 후로 일정거리를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렌즈(130)와 발광모듈(141)의 위치, 거리를 변화시켜주게 되는 것으로, 상기 렌즈(130)를 통해 발광모듈(141)의 빛이 외부로 발산 될 때에 빛은 렌즈(130)의 빛이 굴절현상에 따라 그 발산각도가 변화하게 되며 상기 렌즈(130)와 발광모듈(141)의 위치, 거리를 본체부(200)의 회전으로 전, 후로 유동하며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빛의 발산각도를 다양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의 회전으로 제1전도장치(150)를 제어하여 ON-OFF 가능토록 구성되는데 다시 말해 정회전 시켜 상기 제1전도장치(150)와 배터리(210)를 접지 시켜 ON 시키게 되며 반대로 역회전 시켜 상기 제1전도장치(150)와 배터리(210)의 접지된 부분을 떨어지게 하면 OFF 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스위치가 없어 선택적으로 ON-OFF가 가능하며 수중 속에서도 압력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으며 편리성이 부여되는 것이다.
상기 후면부(300)는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 면에 나사산(320)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200)와 결합 되되 상기 후면부(300)와 본체부(200)가 결합되는 부분 또한 고무패킹(p)이 구성되어 수중에서 압력에 의해 외부로 유입되는 물을 효율적으로 차단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에 다수 개 내설되는 배터리(210)와 접지되어 전류의 흐름방향을 제어하는 제3전도장치(310)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3전도장치(310)는 통상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탄성력이 있는 스프링으로 구성하여 탄성력에 의해 용의하게 상기 배터리(210)와 접지 가능토록 도시 하였다.
상기 본체부(200) 내부에 내설되는 배터리(210)의 교체 시 상기 후면부(300)를 분리 시켜 상기 배터리(210)를 교체 한 후 재차 회전 시켜 결합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면부(100), 본체부(200), 후면부(300)가 상호 회전 결합되되 결합되는 일정 부분에 고무패킹(p)이 구성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미연에 방지 하여 합선을 방지함은 물론 그로인한 내부의 부품들이 부식이 되지 않아 내구성 또한 뛰어나 반영구적으로 사용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 수중 속에서 사용 가능한 것이기에 외주에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을 부착 및 결합 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회전을 통해 전원장치를 제어하고 빛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수중 랜턴에 따른 사용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수중다이버, 수중촬영, 수중활동 등에 수중 랜턴을 사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수중랜턴은 수중 밖 또는 수중 속에서 전면부(100) 또는 본체부(200)를 회전 시키게 되면 제1전도장치(150)와 배터리(210)를 접지됨과 동시에 ON되어 빛이 발산되고, 발광모듈(141)에서 발산된 빛은 그 전방의 렌즈(130)와 보호판(110)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어 지게 된다. 빛이 발산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수중 속에서 다양한 작업 및 활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빛의 밝기 및 각도를 선택적으로 상기 전면부(100) 또는 본체부(200)를 회전시켜 조절 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가까운 주변 시야 확보, 수중작업, 주변 촬영 시에 전면으로 회전시켜 발광모듈(141)과 렌즈(130)를 근접하게 조절 하면 상기 발광모듈(141)의 빛은 렌즈(130)를 통해 그 발산각도가 퍼지게 된다.
반대로 원거리의 시야확보 시에는 상기 본체부(200)를 역회전 시키게 되면 상기 발광모듈(141)의 빛은 렌즈(130)를 통과하면서 그 발산각도가 모이게 되므로 수중의 먼 곳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의 상황에 맞춰 선택적으로 빛의 각도를 조절 하여 사용 가능 하고, 수중 작업 후 본체부(200)를 역회전 시켜 제1전도장치(150)와 배터리(210)의 접지부분을 떨어지게 하면 발광모듈(141)이 자동적으로 꺼지게 되며 최종적으로 수중 랜턴은 OFF가 되는 것이다.
종래에 있어 스위치를 통해 랜턴을 조작 하여 수중 속에서 압력으로 인해 다소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결합되는 부분에 고무패킹(p)이 구성되어 내부로 물이 흘러 들어오지 않아 오작동 및 부품들의 부식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고, 무엇보다 시야가 확보 되지 않는 수중 속에서 회전을 통해 제1전도장치(150)를 제어하며 빛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 할 수가 있어 근거리 및 원거리의 시야성 확보를 할 수 있으며 압력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아 편리성이 부여되며 배터리(210)의 전류 흐름의 확산 및 합선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100 : 전면부 110 : 보호판 111 : 결합부재
120 : 안착턱 130 : 렌즈 140 : 발광장치
141 : 발광모듈 150 : 제 1전도장치 151 : 제 1절연부재
152 : 제 2절연부재 160 : 탄성부재 170 : 나사산
180 : 제 2전도장치
200 : 본체부 210 : 배터리 220 : 나사산
230 : 걸림턱 240 : 나사산
300 : 후면부 310 : 제3전도장치 320 : 나사산
p : 고무패킹

Claims (5)

  1. 전면으로 보호판(110)이 결합부재(111)에 의해 결합되고, 내부로 중공부를 형성하되 내측면에 안착턱(120)이 구성되어 렌즈(130)가 안착되며 발광모듈(141)이 구성되는 발광장치(140)와 상기 발광장치(140)에 접지되어 양극의 전류를 전도하는 제1전도장치(150) 및 음극의 전류를 전도하는 제2전도장치(180)가 각각 구성되며 내측면에 상기 안착턱(120)에 밀착되는 탄성부재(160)가 구성되고, 내측면의 끝부에 나사산(170)이 구성되는 전면부(100);
    내부로 공간부가 형성되되 배터리(210)가 내설되고, 일 측 외주 면에 나사산(220)과 걸림턱(230)이 각각 구성되며 타 측 내주면의 끝부에 나사산(240)이 구성되어 상기 전면부(100)의 나사산(170)과 상기 나사산(220)을 회전 결합시켜 상기 전면부(100)의 내측에서 전, 후로 유동하는 본체부(200);
    외주면에 나사산(320)이 구성되며 내부로 제3전도장치(310)가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200) 내측의 나사산(240)과 결합되는 후면부(300); 로 구성되되,
    상기 배터리(210)의 전류 흐름의 확산 및 합선을 방지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전도장치(150)와 제2전도장치(180) 사이에 제 1절연부재(151)가 구성되어 회전을 통해 전원장치를 제어하고 빛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수중 랜턴.
  2. 전면으로 보호판(110)이 결합부재(111)에 의해 결합되고, 내부로 중공부를 형성하되 내측면에 안착턱(120)이 구성되어 렌즈(130)가 안착되며 발광모듈(141)이 구성되는 발광장치(140)와 상기 발광장치(140)에 접지되어 양극의 전류를 전도하는 제1전도장치(150) 및 음극의 전류를 전도하는 제2전도장치(180)가 각각 구성되며 내측면에 상기 안착턱(120)에 밀착되는 탄성부재(160)가 구성되고, 내측면의 끝부에 나사산(170)이 구성되는 전면부(100);
    내부로 공간부가 형성되되 배터리(210)가 내설되고, 일 측 외주 면에 나사산(220)과 걸림턱(230)이 각각 구성되며 타 측은 막힘 되고 그 내부로 제3전도장치(310)가 구성되어 지는 본체부(200)로 구성되되,
    상기 배터리(210)의 전류 흐름의 확산 및 합선을 방지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전도장치(150)와 제2전도장치(180) 사이에 제 1절연부재(151)가 구성되어 회전을 통해 전원장치를 제어하고 빛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수중 랜턴.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00)와 본체부(200)의 사이에 제2절연부재(152)가 구성되어 회전을 통해 전원장치를 제어하고 빛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수중 랜턴.
KR1020120050815A 2012-05-11 2012-05-11 원터치 수중 랜턴 KR101412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815A KR101412170B1 (ko) 2012-05-11 2012-05-11 원터치 수중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815A KR101412170B1 (ko) 2012-05-11 2012-05-11 원터치 수중 랜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425A KR20130126425A (ko) 2013-11-20
KR101412170B1 true KR101412170B1 (ko) 2014-06-25

Family

ID=4985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815A KR101412170B1 (ko) 2012-05-11 2012-05-11 원터치 수중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2814B (zh) * 2014-01-24 2016-08-17 梁宁 一种led集束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059Y1 (ko) * 1986-03-06 1994-05-12 매그 인스트먼트, 인크(Mag Instrument, Inc) 후래쉬(Flashlight)
KR20040107641A (ko) * 2003-06-09 2004-12-23 김남용 다기능 플래쉬
KR100625519B1 (ko) * 2005-10-07 2006-09-18 윤삼걸 수중라이트
KR20120027895A (ko) * 2010-09-14 2012-03-22 방주원 수중랜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059Y1 (ko) * 1986-03-06 1994-05-12 매그 인스트먼트, 인크(Mag Instrument, Inc) 후래쉬(Flashlight)
KR20040107641A (ko) * 2003-06-09 2004-12-23 김남용 다기능 플래쉬
KR100625519B1 (ko) * 2005-10-07 2006-09-18 윤삼걸 수중라이트
KR20120027895A (ko) * 2010-09-14 2012-03-22 방주원 수중랜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425A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78582B (zh) 多模式手电筒装置及系统
US7549766B2 (en) Light including an electro-optical “photonic” selector switch
KR101572607B1 (ko) 발광장치 및 렌즈의 개별적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수중랜턴
US7755461B1 (en) Portable light system having a sealed switch
JP3114446U (ja) 携帯型多目的ランプ
US4870550A (en) Waterproof flashlight
US6126291A (en) Umbrella having detachable illuminative grip
US10330295B1 (en) Swivel lamp
JP6200724B2 (ja) ライト
AU2019367425B2 (en) Auto-darkening welding helmet
KR20120027895A (ko) 수중랜턴
KR101412170B1 (ko) 원터치 수중 랜턴
US10184620B2 (en) Battery life extender for portable lighting
JP6453956B2 (ja) ライト
US6789918B2 (en) Hand-held flashlight applicable for illumination of long distance and 360-degree sector
KR100741512B1 (ko) 방수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
CN220771052U (zh) 一种j20潜水电筒
US11236900B2 (en) Torch
US20180231214A1 (en) Multi-functional flash lights
CN103486445A (zh) 夜间钓鱼用手电筒
CN211040558U (zh) 一种尾部控制的潜水手电筒
CN218895295U (zh) 一种手势感应头灯
CN216011962U (zh) 一种枪械用横向锁止机构
KR20170122359A (ko) 다기능 휴대용 랜턴
KR20200074653A (ko) 수면부상기능을 구비한 원격제어 모듈형 휴대용 랜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