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078B1 -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078B1
KR101412078B1 KR1020130135540A KR20130135540A KR101412078B1 KR 101412078 B1 KR101412078 B1 KR 101412078B1 KR 1020130135540 A KR1020130135540 A KR 1020130135540A KR 20130135540 A KR20130135540 A KR 20130135540A KR 101412078 B1 KR101412078 B1 KR 101412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proof cap
unit
switch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혁
김상호
김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지이노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지이노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지이노베이터
Priority to KR1020130135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는, 전기적 스위칭을 위한 스위칭부가 구비된 내부 전장부와, 상기 내부 전장부의 가동을 위한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의 전원 충전을 위한 충전부가 배치되도록 설치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설치 공간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관통되어 돌출된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충전부의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작동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된 방수 캡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 캡에는 상기 작동 공간과 연통되는 노브 홀이 형성되고, 상기 노브 홀에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으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관통된 상기 스위칭부의 일부를 누름시키는 작동 노브가 억지끼움 결합됨으로써, 스위칭 기능 및 방수 기능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A portable power supply unit having lighting function}
본 발명은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휴대가 가능하고, 방수 기능을 수행하는 방수 캡에 구비된 작동 노브를 통하여 스위칭시킴은 물론, 방수 캡을 탈거하여 용이하게 전원부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가능한 전원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휴대가 용이하도록 작은 사이즈로 제작되거나, 우천시 수분으로 인하여 전원장치의 핵심 부분인 내부 전장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 기능을 필수적인 요소로 고려하여 제작된다. 물론, 여기서의 방수는 물에 완전히 잠기는 수준에서의 방수가 아니라 통상의 용어로 사용되는 '생활 방수'의 의미를 가진다고 봄이 상당하다.
특히, 내부 전장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되는 전원부는 통상 교체가 가능한 배터리 및 전원장치의 내부에 고정되고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하여 충전시키는 충전식 배터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원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그런데, 교체가 가능한 배터리를 구동력으로 하는 전원장치의 경우에는, 사용시 별도의 커버를 이용하여 배터리가 장착된 부분을 차폐시키고, 배터리가 방전되면 그 교체를 위하여 커버를 탈거하는데, 배터리를 착탈하는 커버 부분의 방수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한편, 충전식 배터리가 구비된 전원장치의 경우 외부의 전원부와 연결되는 충전 연결단자의 구비가 필수적이고, 충전 연결단자를 통한 수분의 침투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와 같은 충전식 배터리가 구비된 경우에도 물론 충전 연결단자가 구비된 부분에 착탈 가능한 커버를 구비하고, 이 커버 부분이 방수가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휴대용 전원장치의 경우, 필수적으로 전원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칭부가 구비되어야 한다. 스위칭부는 전원장치의 외부에 구비된 작동 노브의 누름 동작 등을 통하여 작동되면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작동시키는 부분으로서 전원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 스위칭부에 대한 방수 또한 전원장치의 양불 판정에 있어서 필수적인 고려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원장치의 경우, 배터리의 교체 또는 충전을 위한 부분과 스위칭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방수하여야 할 부분이 많고, 특히, 배터리 교체형 전원장치의 경우 별도로 여분의 배터리를 소지하고 다녀야 함은 물론, 배터리 충전부 또는 교환부와 스위칭부가 분리되어 있어 내부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선등록된 한국등록특허 제10-1151735호에는, LED 광원(14), 광원에 공급되는 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16a), 가요성 투명 커버(22)가 밀봉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구조에서는 가요성 투명 커버(22)를 이용하여 개구부(20) 주변을 밀봉시켜 방수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나, 접착제(22a)에 의한 밀봉방식을 적용함으로 인해, 조립 및 탈거가 번거로워 사용자 편의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식 배터리로 구동되는 휴대용 전원장치에 있어서, 충전부 및 스위칭부에 대한 방수 기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는, 전기적 스위칭을 위한 스위칭부가 구비된 내부 전장부와, 상기 내부 전장부의 가동을 위한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의 전원 충전을 위한 충전부가 배치되도록 설치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설치 공간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관통되어 돌출된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충전부의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작동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된 방수 캡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 캡에는 상기 작동 공간과 연통되는 노브 홀이 형성되고, 상기 노브 홀에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으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관통된 상기 스위칭부의 일부를 누름시키는 작동 노브가 억지끼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방수 캡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 캡은,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탈거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관통된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충전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시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스위칭부의 일부와 접촉되게 배치되어 전기적인 스위칭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브 홀의 내측면에는 억지끼움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 노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억지끼움 단차부가 삽입되는 억지끼움 홈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충전부는 충전 연결 단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연결 단자는, 적어도 2 이상의 상이한 사양의 외부 단자와 연결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전장부는, 상기 본체부의 설치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작동 노브의 누름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1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에 직교되게 결합 배치되되, 상기 방수 캡이 구비된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제2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설치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한 쌍의 충전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방수 캡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바디에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캡과 상기 제2 바디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제1 방수링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제2 방수링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바디와 상기 방수 캡 사이에는 상기 작동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작동 공간과 상기 설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충전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일부가 상기 설치 공간에서 상기 작동 공간으로 돌출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는, 전원부 충전을 위한 충전부 및 스위칭부를 본체부의 일측 한곳에 집중하여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생활방수 수준을 너머, 수심 1m~2m 내외에서 완전한 방수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는, 방수 캡을 간단하게 탈거하는 동작으로 충전 연결단자를 외부로 노출시켜 용이하게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는, 충전 연결단자를 사용되는 휴대폰의 충전 연결단자와 동일한 사양 또는 PC의 USB 연결단자와 동일한 사양으로 구비함으로써 제품의 공용화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방수 캡과 작동 노브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내부 전장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제2바디 및 제2 방수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기적 스위칭을 위한 스위칭부(23,24)와, 전원부(26) 및 전원부(26)에의 전원 충전을 위한 충전부(25,28)를 포함하는 내부 전장부(20)가 배치되도록 설치 공간(31)이 형성된 본체부(10,30)와, 설치 공간(31)에서 본체부(10,30)의 외부로 관통되어 돌출된 스위칭부(23,24) 및 충전부(25,28)의 일부를 감싸면서 본체부(10,30)와의 사이에 소정의 작동 공간(45)을 형성하도록 본체부(10,30)의 일측에 결합된 방수 캡(4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1)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써, LED 램프 장치와 같은 이동식 조명기구가 내장된 전원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내부 전장부(20)는, LED 빛을 조사하기 위한 모든 전장 부품을 총칭하는 것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고, 스위칭부(23,24)는, LED 램프 장치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로써, 일반적인 스위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충전부(25,28)는, 외부의 전력을 사용하여 내부에 구비된 전원부(26)에의 전원 충전을 하기 위한 구성이라면 여하한 구성이라도 채용될 수 있음을 전제로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1)에서 충전부는, 후술하는 충전 연결 단자(25,28)를 의미한다.
본체부(10,3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하로 개구되고, 내부에 설치 공간(31)을 형성하는 제1바디(10)와, 제1바디(10)의 일측에 결합되어 개구된 상하 중 어느 일 부분을 차폐하는 제2바디(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0)의 개구된 상하 중 제2바디(30)가 구비된 반대 부분에는 내부 전장부(20)의 일 구성인 광조사부(29)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의 광조사부(29)는, 복수개의 LED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LED 패널부일 수 있다.
제2바디(30)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제1바디(10)의 개구된 일부를 차폐하는 구성으로서, 대략 원형의 뚜껑 형상을 가진다. 제2바디(30)의 외측으로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홈(300)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고, 미끄럼 방지홈(300)의 내부에는 제1바디(1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 홀(38, 이하, 제1바디(10)에 형성된 제1나사 홀(11)과의 구별을 위하여 제2나사 홀(38)이라 칭한다)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전장부(20)는, 일측의 스위칭부(23,24)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스위칭되면 전원부(26)를 구동원으로 하는 광조사부(29)를 통하여 조사되는 빛의 세기를 제어하는 일련의 조립체를 말한다.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방수 캡(40)과 작동 노브(50)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내부 전장부(2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내부 전장부(20)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의 상하로 개구된 부분 중 제2바디(30)가 구비된 반대 부분에 설치되는 광조사부(29)와,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와, 전원부(26), 충전부(25,28) 및 스위칭부(23,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수 캡(40)은, 도 1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체부(10,3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바디(30)는, 제1바디(10)의 상하로 개구된 부분 중 일측에 결합되어 설치 공간(31)의 일측을 차폐시키고, 방수 캡(40)은 제2바디(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바디(30)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인 작동 공간(45)을 형성하게 된다. 제2바디(30)에 방수 캡(40)이 결합되는 방식은 나사 회전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즉, 제2바디(30)에는 암나사산부(32)가 구비되고, 방수 캡(40)의 외주면 일부에는 수나사산부(42)가 구비되어 암나사산부(32)에 수나사산부(42)가 조임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방수 캡(40)과 제 2 바디(30) 사이에는 제1 방수링(49)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수링(49)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수링(49)은, 방수 캡(40)과 제 2 바디(30)가 조임되는 부분의 외측에 배치되어, 방수 캡(40)과 제 2 바디(30) 사이의 조임력이 증가될수록 강하게 밀착되어 보다 좋은 방수 성능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제1 방수링(49)의 방수 성능은, 수심 1m~2m에서도 완전 방수가 가능한 정도이다.
제2바디(30)는, 도 3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설치 공간(31)과 작동 공간(45)을 구획하는 구획부(39)를 포함하고, 구획부(39)에는, 설치 공간(31)에 구비된 내부 전장부(20) 중 충전부(25,28)와 스위칭부(23,24)의 일부가 관통하여 작동 공간(45)으로 돌출되도록 관통홀(33,34a,34b)이 각각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충전부(25,28)의 일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충전단자 관통홀(34a,34b)이라 칭하고, 스위칭부(23,24)의 일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푸쉬로드 관통홀(33)이라 칭한다.
한편, 방수 캡(40)에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작동 공간(45)과 연통되는 노브 홀(43)이 중앙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노브 홀(43)에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으로 설치 공간(31)에서 작동 공간(45)으로 관통되어 돌출된 스위칭부(23,24)의 일부를 누름시키는 작동 노브(50)가 억지 끼움 결합된다.
여기서, 노브 홀(43)의 내측면에는 억지끼움 단차부(41)가 형성되고, 작동 노브(50)의 외주면에는 억지끼움 단차부(41)가 삽입되는 억지끼움 홈(53)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작동 노브(50)는 억지끼움 홈(53)에 억지끼움 단차부(41)가 억지 끼움시 용이하게 삽입되어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 노브(50)는, 방수 캡(40)의 외부로 돌출된 일부가 라운드지게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누름부(51)와, 스위칭부(23,24)의 일부와 접촉되도록 스위칭부(23,24)를 향하여 연장된 누름력 전달부(52)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방수 캡(40)의 외부로 돌출된 누름부(51)를 누름 조작하면 누름력 전달부(52)를 통하여 작동 공간(45)으로 돌출된 스위칭부(23,24)의 선단부를 누름시키면서 스위칭 조작하게 된다.
한편, 스위칭부(23,24)의 누름 조작에 의하여 작동되는 광조사부(29)는 사용자가 스위칭부(23,24)를 연속적으로 누르는 동작 또는 횟수마다 빛의 조도를 달리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스위칭부(23,24)를 한 번 조작하면 가장 낮은 빛의 조도로 광조사부(29)가 빛을 조사하고, 두 번 연속으로 누름 조작하면 전술한 조도보다는 높은 빛의 조도로 광조사부(29)가 빛을 조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스위칭부(23,24)를 누름 조작할 때마다 각각 상이한 빛의 조도로 광조사부(29)가 빛을 조사하되, 스위칭부(23,24)의 누름 횟수가 일정 횟수를 초과하면 오프 모드로 광조사부(29)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잇도록 설정될 수 있다.
작동 노브(50)는 억지끼움 홈(53)이 형성된 부분과 누름력 전달부(52)가 누름부(51)를 제외하고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방수 캡(40)의 억지끼움 단차부(41)에 작동 노브(50)를 억지끼움 설치할 때 조립자가 큰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장착되도록 함은 물론, 억지끼움 후 스위칭 조작에 관계없이 작동 노브(50)의 노브 홀(43)에 대한 면밀착 결합으로 인해 방수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인쇄회로기판 조립체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체부(10,30) 중 제1바디(10)에 해당하는 설치 공간(31)에 배치되되, 작동 노브(50)의 누름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1인쇄회로기판(21)과, 제1인쇄회로기판(21)에 직교되게 결합 배치되되, 방수 캡(40)이 구비된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제2인쇄회로기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인쇄회로기판(21)은 광조사부(29)와 제2바디(30)의 사이에 구비되고, 제2인쇄회로기판(22)은 제2바디(30)를 향하여 제1인쇄회로기판(21)에 직교되게 결합된다.
제2인쇄회로기판(22)에는 상술한 스위칭부(23,24) 및 충전부(25,28)가 결합되어, 스위칭부(23,24)의 스위칭 조작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컨택터(23)가 구비되어 있음은 물론, 전원부(26)와의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스위칭부(23,24)는, 작동 노브(50)의 누름력 전달부(52)와 접촉 가능하게 푸쉬로드 관통홀(33)을 통하여 설치 공간(31)에서 작동 공간(45)으로 돌출된 푸쉬 로드(24)와, 푸쉬 로드(24)가 움직일 때 연동함으로써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컨택터(23)를 포함한다. 컨택터(23)는, 제2인쇄회로기판(22)의 내부에 내설되되, 푸쉬 로드(24)는 제2인쇄회로기판(22)에 의하여 움직임이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전원부(26)는 제1인쇄회로기판(21)과 제2바디(30) 사이의 설치 공간(31)에 구비되되, 제2인쇄회로기판(22)을 사이에 두고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전원부(26)는, 외부의 전원부(26)로부터 충전이 가능한 한 쌍의 배터리(Battery)일 수 있다.
충전부(25,2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인쇄회로기판(22)에 배치되되, 푸쉬 로드(24)의 좌우에 각각 전원부(26)에의 충전을 위하여 구비된 충전 연결 단자(25,28)일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연결 단자(25,28)는, 적어도 2 이상의 상이한 사양의 외부 단자와 연결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충전 연결 단자(25,28)는, PC(개인용 컴퓨터)의 USB 단자로부터 제공되는 저전력용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USB 커넥터 중 하나(25)일 수 있고, 일반 핸드폰 배터리 충전시 사용되는 5핀 타입용 커넥터(28)일 수 있다.
USB 커넥터는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C에의 접근성이 강하고, 5핀 타입용 커넥터(28)의 경우 광범위하게 보급된 휴대폰의 필수 부속품이어서 이 또한 접근성이 강하여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원장치(1)의 충전을 위한 별도의 부속품 구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충전 연결 단자(25,28)는 충전단자 관통홀(34a,34b)을 통하여 각각 작동 공간(45)으로 노출된다.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제2바디 및 제2 방수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원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제1바디(10)와, 제1바디(10)에 결합된 제2바디(30)를 포함하는 본체부(10,30)의 일측으로 스위칭부(23,24)의 일부(즉, 푸쉬 로드(24))와 충전부(25,28)(즉, 충전 연결 단자(25,28))가 설치 공간(31)에서 작동 공간(45)이 구비된 본체부(10,30)의 일측으로 관통하여 돌출되고, 사용시 방수 캡(40)에 의하여 작동 공간(45)을 차폐하며, 충전이 필요할 때에는 방수 캡(40)을 작동 공간(45)을 노출시키도록 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종래 본체부(10,30) 곳곳의 특정 위치에 산재해 있던 충전부(25,28) 및 스위칭부(23,24)를 작동 공간(45)의 한 군데로 집약하여 배치하고, 동시에 우천시 수분의 침투에 의한 내부 전장부(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 공간(45)을 효율적으로 방수하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원장치(1)는, 스위칭부(23,24)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작동 노브(50)를 이용하여 스위칭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방수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수분 침투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수 성능의 향상이라는 효과는, 제1바디(10)와 제2바디(30) 사이의 결합 부분을 방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에 의하여 더욱 기대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에는, 테두리를 따라 제2바디(30) 측으로 관통된 제1나사 홀(11)이 형성되고, 제2바디(30)에는 제1나사 홀(11)을 통하여 제1체결 나사(미도시)가 제1바디(10)를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수용 홀(36)이 형성되며, 제2바디(3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홈(300)에 제2나사 홀(38)이 제2바디(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1바디(10)와 제2바디(30)는 제1나사 홀(11) 및 제2나사 홀(38)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각각의 테두리 부분에서 체결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된다.
제1바디(10)와 제2바디(30) 사이에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제2 방수링(70)이 개재될 수 있다. 제2 방수링(70)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제1바디(10)와 제2바디(30)의 과도한 결합력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제1바디(10)와 제2바디(30) 사이의 틈새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바디(30)의 테두리에는 제2 방수링(70)이 삽입되는 방수링 홈(35)이 가공 형성된다. 방수링 홈(35)은 제2바디(30)에 형성된 수용 홀(36)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방수링(70)에는 제1체결 나사가 관통하여 제2바디(30)의 수용 홀(36)에 체결되도록 제1고정 홀(7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 홀(7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체결 나사에 의하여 제2 방수링(70)이 방수링 홈(35)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제2바디(30)의 제2나사 홀(38)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수용 홀(36)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제2바디(30)의 내측면에는 수용 홀(36)이 형성된 테두리 부분보다 내측에 위치되되, 미끄럼 방지홈(300)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나사 보스(37)가 형성되고, 나사 보스(37)를 관통하는 제2나사 홀(38)에 체결된 제2체결 나사가 제1인쇄회로기판(21)에 형성된 체결홀(21a)에 각각 고정되어 제1인쇄회로기판(21)이 제2바디(30)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바디(10)와 제2바디(30) 사이에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와 제2바디(30) 사이의 틈새를 외부에서 차단하는 밴드 링(6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바디(10)의 개구된 상하 부분 중 제2바디(30)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광조사부(29)인 LED 패널부를 지지하는 미들 서포터(90)가 설치되고, 미들 서포터(90)의 내측에 LED 패널부가 안착되되 LED 지지링(100)에 의하여 LED 패널부의 외측 테두리 및 미들 서포터(90)의 내측 테두리 부분이 지지된다.
LED 지지링(100)은, 제1바디(10)와 제2바디(30)가 제2체결 나사에 의하여 체결될 때 조임력이 증가하면, 광조사부(29)인 LED 패널부와 제1바디(10) 사이의 틈새를 더욱 견고하게 차폐시키면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방수링(49)은 제2바디(30)와 방수 캡(4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제2 방수링(70)은 제1바디(10)와 제2바디(3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LED 지지링(100)은, 광조사부(29)인 LED 패널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광조사부(29)와 제1바디(1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제1 방수링(49), 제2 방수링(70) 및 LED 지지링(100)에 의하여 외부와의 완전한 수밀 구조가 완성됨으로써, 적어도 수심 1m~2m 사이에서 완전 방수가 되도록 하여, 생활 방수는 물론, 낮은 수심의 개천 등지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방수 캡(40)에는 다용도 고리(80)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다용도 고리(80)는 방수 캡(40)의 외측 테두리 부분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고리 체결홀(도면부호 미표기)에 각각 체결되어 고리 체결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1)에 상기 다용도 고리(80)가 구비됨에 따라, 휴대용 전원장치(1)의 일 실시예로써의 이동식 조명기구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용도 고리(80)는 고리 체결홀을 중심으로 다단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바닥면에 본체부(10,30)를 거치하여 사용할 때 빛의 조사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다용도 고리(80)를 이용하여 벽이나 나무 등에 걸어서 사용할 때에도 다용도 고리(80)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여 임의로 빛의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1)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원장치(1)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다용도 고리(80)를 이용하여 사용 장소에 사용자가 원하는 조사 각도로 빛이 조사되도록 거치한 후, 작동 노브(50)를 누름 조작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원장치(1)의 전원부(26)가 방전되면, 사용자는 방수 캡(40)을 본체부(10,30)로부터 탈거하여 작동 공간(45)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동작으로 충전부(25,28)인 충전 연결 단자(25,28)를 노출시킨 후, 충전 연결 단자(25,28)의 사양에 맞는 외부 단자를 연결하여 전원부(26)를 충전시킨다.
본 발명에서 방수 캡(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30)에 결합되어 스위칭 조작할 수 있도록 작동 노브(50)가 구비됨은 물론, 스위칭부(23,24) 및 충전부(25,28)를 작동 공간(45)이라는 집약된 부분에 배치한 후 방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제품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원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휴대용 전원장치 10: 제1바디,본체부
20: 내부 전장부 21: 제1인쇄회로기판
22: 제2인쇄회로기판 23: 컨택터
24: 푸쉬 로드 25: 충전 연결 단자
26: 전원부 28: 충전 연결 단자
29: 광조사부 30: 제2바디
31: 설치 공간 32: 암나사산부
33: 푸쉬로드 관통홀 34a,34b: 충전단자 관통홀
35: 방수링 홈 36: 수용 홀
37: 나사 보스 38: 제2나사 홀
40: 방수 캡 41: 억지끼움 단차부
42: 수나사산부 43: 노브 홀
45: 작동 공간 49: 제1 방수링
50: 작동 노브 51: 누름부
52: 누름력 전달부 53: 억지끼움 홈
60: 밴드 링 70: 제2 방수링
80: 다용도 고리 90: 미들 서포터
100: LED 지지링

Claims (10)

  1. 전기적 스위칭을 위한 스위칭부가 구비된 내부 전장부와, 상기 내부 전장부의 가동을 위한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의 전원 충전을 위한 충전부가 배치되도록 설치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설치 공간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관통되어 돌출된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충전부의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작동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된 방수 캡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 캡에는 상기 작동 공간과 연통되는 노브 홀이 형성되고,
    상기 노브 홀에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으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관통된 상기 스위칭부의 일부를 누름시키는 작동 노브가 결합되며,
    상기 방수 캡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방수 캡은,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탈거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관통된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충전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시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스위칭부의 일부와 접촉되게 배치되어 전기적인 스위칭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 홀의 내측면에는 억지끼움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 노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억지끼움 단차부가 삽입되는 억지끼움 홈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충전부는 충전 연결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충전 연결 단자는, 적어도 2 이상의 상이한 사양의 외부 단자와 연결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장부는,
    상기 본체부의 설치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작동 노브의 누름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1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에 직교되게 결합 배치되되, 상기 방수 캡이 구비된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제2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설치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한 쌍의 충전 가능한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방수 캡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바디에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캡과 상기 제2 바디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제1 방수링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제2 방수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와 상기 방수 캡 사이에는 상기 작동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작동 공간과 상기 설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충전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일부가 상기 설치 공간에서 상기 작동 공간으로 돌출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
KR1020130135540A 2013-11-08 2013-11-08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 KR101412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540A KR101412078B1 (ko) 2013-11-08 2013-11-08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540A KR101412078B1 (ko) 2013-11-08 2013-11-08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078B1 true KR101412078B1 (ko) 2014-07-01

Family

ID=5174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540A KR101412078B1 (ko) 2013-11-08 2013-11-08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0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8343A1 (en) * 2000-08-11 2002-02-14 Wilfried Steger Focusing waterproof flashlight
KR101151735B1 (ko) * 2007-10-27 2012-06-15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휴대용 방수 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8343A1 (en) * 2000-08-11 2002-02-14 Wilfried Steger Focusing waterproof flashlight
KR101151735B1 (ko) * 2007-10-27 2012-06-15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휴대용 방수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7145365A (ru) Ручное электр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HK1086875A1 (en) A flashlight or lighting device
US8132943B2 (en) Adjustable recessed lighting fixture
KR101954555B1 (ko) 조명을 가지는 텐트와 텐트 프레임
WO2007143007A3 (en) Recharging power source with lighting accessory
US20160061426A1 (en) Luminous Shoe
KR101412078B1 (ko)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원장치
CN207065178U (zh) 野营灯
KR20180023165A (ko) 방수 및 감전방지 타입 엘이디 조명장치
CN204127681U (zh) 密封效果好的磁吸式手电筒
KR101814512B1 (ko) 휴대용 엘이디 랜턴
CN207922051U (zh) 一种太阳能led壁灯
CN204611371U (zh) 防爆手提灯
CN205299174U (zh) 便携式太阳能多功能照明装置
US111874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ell phone cases with charging port illumination
JP2018137182A (ja) 照明器具
CN220958340U (zh) 一种驱动可更换的照明灯具
CN213146224U (zh) 带有防水结构的灯具
KR101288555B1 (ko) 휴대기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조명장치
CN203481294U (zh) 一种led灯电池盒
KR20140003164U (ko) 탈부착식 중장비차량의 실내조명등
CN110855231B (zh) 多功能太阳能装置及其装配工艺
CN218010656U (zh) 一种美容仪
CN219783560U (zh) 美容仪
CN220066906U (zh) 储能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