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935B1 - Prefabricated basic structure of frame of pavilion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basic structure of frame of pavil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935B1
KR101411935B1 KR1020130026082A KR20130026082A KR101411935B1 KR 101411935 B1 KR101411935 B1 KR 101411935B1 KR 1020130026082 A KR1020130026082 A KR 1020130026082A KR 20130026082 A KR20130026082 A KR 20130026082A KR 101411935 B1 KR101411935 B1 KR 101411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main
frame
stee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0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운수
Original Assignee
김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운수 filed Critical 김운수
Priority to KR1020130026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9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9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ase structure of a steel structure tent, comprising multiple main base plate structures having a pair of first and second base plates; multiple medium base plate structures which are made of a single base plate and which detachably connect each bottom of multiple medium steel frames together; a main connection frame of which one end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top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plates of each main base plate structure and of which the other end protrudes a certain length towards a medium base plate structure adjacent to it; and multiple medium connection frames of which the center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top of the single base plate of the medium base plate structures and of which both ends protrude a certain length towards a medium base plate structure and a main base plate structure adjacent to it.

Description

천막 철골구조물의 조립식 기초구조물{Prefabricated basic structure of frame of pavilion}{Prefabricated basic structure of frame of pavilion}

본 발명은 천막 철골구조물의 조립식 기초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막 철골구조물의 전,후방 메인프레임 및 복수의 중간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되는 기초구조물을 조립식으로 구성하는 수단으로 상기 천막 철골구조물을 구축할 때에는 지하 또는 지상에 조립식으로 설치한 후 천막 철골구조물을 철거할 때에는 지하에 매립 설치되어 있는 기초구조물을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2차적인 산업폐기물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조립식 기초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foundation structure of a tent steel fram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foundation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and a plurality of intermediate frames of a tent steel frame structure, When the tent steel frame structure is constructed, the tent steel frame structure is instal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on the ground or on the ground. In the case of removing the tent steel frame structure, the foundation structure buried in the ground can be separated and recover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foundation structure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generate any industrial waste.

일반적으로 생활폐기물이나 산업폐기물 중 매립이 허용된 각종 폐기물의 경우에는 특정 지역의 부지에 미리 선정해 놓은 쓰레기 매립장에 매립하여 왔었으나, 최근에는 수거된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쓰레기에서 재사용 또는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를 선별 및 분리 처리하여 자원화하고 있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In general, in the case of municipal wastes or industrial wastes that are allowed to be landfilled, they have been landfilled in the landfill site previously selected on the site of a specific area. However, recently, the waste contained in the collected wastes can be reused or recycled It is a global trend that the garbage is sorted and separated and treated as resources.

그러나 특정 지역에 선정된 부지에 폐기물 선별 및 처리 시설물을 고정식으로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폐기물 선별 및 분리 처리가 완료된 후 그 폐기물 처리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었던 부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앞서 건설해놓았던 고가의 폐기물 선별 및 처리 시설물을 철거해야 한다는 것이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However, if a waste sorting and disposal facility is fixedly installed on a selected site in a specific area, it is necessary to use the site where the waste disposal facility was installed after the completion of sorting and separation of the waste.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it is uneconomical to dismantle waste sorting and disposal facilities.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956307호를 제안한 바 있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patent registration No. 10-956307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기한 선행특허는 폐기물 선별 및 분리 처리용 터널형 조립식 천막 철골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지상에 구축되는 천막 철골구조물을 조립식으로 구축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설정된 기간 동안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하는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조립하였던 천막 철골구조물을 분리 해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러한 선행특허 역시 폐기물 선별 및 분리 작업을 완료한 후 조립식으로 구축하였던 터널형 천막 철골구조물을 해체 및 철거할 때 2차적인 산업폐기물을 다량으로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relates to a tunnel-type prefabricated tent steel-frame structure for waste sorting and separation processing, which enables to construct and disassemble a tent steel-frame structure constructed on the ground, so as to sort and separate waste The prior art patent also discloses the disassembly and dismantling of the tunnel type tent steel structure which was constructed by assembling the waste ten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orting and sorting of waste. It is pointed out that a large amount of secondary industrial wastes are generated when demolished.

왜냐하면, 상기한 선행특허의 터널형 조립식 천막 철골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천막 철골구조물의 전,후방 메인프레임 및 이들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중간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되는 기초구조물이 철근콘크리트로 구축되어 있으므로 터널형 천막 철골구조물을 해체시에는 반드시 지상 또는 지하에 구축되어 있는 철근콘크리트를 부서뜨리는 방법으로 철거해야 하기 때문이다.In order to construct the tunnel-type prefabricated tent-pole steel structure of the above-mentioned prior patent, in order to fix the front and rear main frames of the tent steel-fram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intermediate frames provided therebetween at regular intervals, Since the structure is constructed of reinforced concrete, it is necessary to dismantle the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ed on the ground or underground when dismantling the tunnel-type tent steel structure.

또한, 상기한 선행기술인 터널형 조립식 천막 철골구조물의 기초구조물을 철근콘크리트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기초구조물의 거푸집을 제작하고, 거푸집의 설치및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는 작업에서부터 콘크리트몰탈을 양생하는데 많은 기간이 소요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Also, in order to construct the basic structure of the tunnel type prefabricated tent steel-frame structure described above as the reinforced concrete, it takes a lot of time to cure the concrete mortar from the work of installing the formwork and pouring the concrete mortar. It is pointed out a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폐기물 선별 및 처리용 터널형 조립식 천막 철골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구조물을 지하에 조립식으로 매립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천막 철골구조물을 해체할 때 2차적인 산업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고 지하에 조립식으로 매립 설치되어 있는 기초구조물의 각 부품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 해체하여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undation structure for constructing a tunnel-type prefabricated tent steel structure for sorting and treating wastes, The invention was invented with the aim of dismantling and recovering each component of a foundation structure that is assembled and installed underground in a basement without causing secondary industrial waste when dismantling the steel structure of the tent can be reu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천막 철골구조물의 전,후 또는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 철골프레임과 및 상기 양측 메인 지지프레임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중간 철골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하에 일정 깊이로 매립 설치되는 천막 철골구조물의 기초구조물에 있어서,A main steel frame which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ent steel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middle steel frames which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main supporting frames; In the foundation structure of the tent steel structure,

상기 기초구조물은,The base structure may include:

지하에 일정 깊이로 매립 설치되며 상면 중심부분에 1개의 수직지주가 볼트로 착탈가능하게 입설되어 있는 제1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1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수평상으로 연결 조립되며 상면에는 2개의 수직지주가 볼트로 착탈가능하게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입설되어 있는 제2 베이스플레이트가 한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입설된 1개의 수직지주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입설된 2개의 수직지주 각각의 상단에 상기한 천막 철골구조물의 양측 메인 철골프레임 각각의 하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과;A first base plate,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bottom of the first base plate and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with one vertical support bolt, and a second base plate which is vertically connected and assembled detachably on one side of the first base plate, A second base plat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base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second base plat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base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of main base plate structures configured to detachably couple the lower ends of each of the two main steel frame frames of the tent steel frame structure to the upper ends of the two vertical legs;

상기 복수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 사이의 지하에 일정깊이 일정간격으로 매립 설치되며 상면에 2개의 수직지주가 볼트로 착탈가능하게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입설되어 있는 단일 베이스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단일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입설된 2개의 수직지주 각각의 상단에 상기한 천막 철골구조물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중간 철골프레임 각각의 하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과;And a single base plate embedded in the basement between the plurality of main base plate structur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having two vertically extending pillars detachab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middle steel frame fram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tent steel frame structure at the upper ends of the two vertical stay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일단은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 각각의 제1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타단은 이웃하는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메인 연결프레임과;A main connecting frame having one end detachably assembl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plates of each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s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to a neighboring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중심부분은 상기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의 단일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양단은 이웃하는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 및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을 향하여 양측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중간 연결프레임;A plurality of intermediate connection frame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ngle base plate of the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 and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 toward the adjacent main base plate structure and the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 및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 각각의 상면에 입설되는 수직지주는 H형강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지주의 상,하단 각각에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과 복수의 메인 철골프레임 및 중간 철골프레임 각각의 하단에 고정 부착된 고정판에 볼트로 체결할 수 있는 상,하부 조립판이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column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upper surfaces of the base plate and a plurality of main and lower steel frame frames, And upper and lower assembling plates which can be fastened with bolts are fixedly attached to a fixing plate fixedly attached to each lower end.

또한,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의 제2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입설된 2개의 수직지주는 서로 마주하는 양측 면에 각각 양단이 용접되는 수평연결간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수평연결간은 H형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wo vertical pillar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plate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through horizontal connections where both ends are welded, Shaped steel.

또한,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의 제1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입설된 1개의 수직지주와, 제2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입설된 2개의 수직지주를 잇는 수평연결간은 보조연결간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연결간의 양단은 복수의 조립볼트에 의해 상기한 수직지주 및 수평연결간에 착탈가능하게 연결 조립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is connected to auxiliary links between one vertical support pos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late and a horizontal connection between two vertical pos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plate, And both ends of the connection are detachably connected and assembled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horizontal connection by a plurality of assembly bolts.

또한, 상기 복수의 메인 연결프레임 및 중간 연결프레임 각각은 H형강으로 구성되며, 양단에는 복수의 볼트조립공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판이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main connection frames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frame is formed of H-shaped steel, and a connecti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bolt assembly hole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is welded and fixed.

본 발명에 의하면 폐기물 선별 및 분리 처리용 터널형 조립식 천막 철골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부지의 지하에 일정 깊이로 매립 설치된 조립식 기초구조물은 지내력(地耐力)을 강화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한 천막 철골구조물을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폐기물 선별 및 분리 처리작업이 완료되어 천막 철골구조물을 철거하고자 할 때에는 지하에 매립되어 있던 조립식 기초구조물을 분리 해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천막 철골구조물 철거시 산업폐기물이 추가적으로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fabricated foundation structure embedded in the ground at a certain depth in the site for constructing the tunnel-type prefabricated tent steel-frame structure for waste sorting and separation processing can strengthen the ground resistance, the above-mentioned tent steel- In addition, when the waste sorting and separation processing is completed and the tent steel frame structure is to be demolished, the prefabricated substructure embedded in the underground can be separated and reused to reduce the waste of resources In particula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ndustrial waste is not additionally generated when the tent steel structure is demolished.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천막 철골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구조물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초구조물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초구조물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초구조물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초구조물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초구조물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과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의 연결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초구조물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초구조물의 다른 실시예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foundation structure for constructing a tent-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3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 of the found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of the bas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 of the bas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main base plate structure and an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 of a found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of the bas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7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s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철골 천막구조물의 조립식 기초구조물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도면부호 1은 천막 철골구조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천막 철골구조물(1)은 전,후 또는 좌,우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 철골프레임(1a)(1b)과 상기 메인 철골프레임(1a)(1b)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중간 철골프레임(1c)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tent steel structure 1 includes a main steel frame 1a and a main frame 1b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ent steel frame 1b, And a plurality of intermediate steel frame 1c fixed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frame members 1c.

상기 메인 철골프레임(1a)(1b) 각각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3개의 메인파이프(부호 생략)가 삼각형을 이루면서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복수의 연결파이프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메인 철골프레임(1a)(1b)은 도 2와 같이 아치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3개의 메인파이프 각각의 단부에는 복수의 조립공(11)이 있는 고정판(12)이 하나씩 용접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each of the main frame frames 1a and 1b includes three main pipes (not shown)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having a truss structure, As shown in FIG. 2, the frames 1a and 1b are welded one by one to a fixing plate 12 having a plurality of assembling holes 11 at the ends of each of the three main pipes.

상기 복수의 중간 철골프레임(1c)은 메인 철골프레임(1a)(1b)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각 중간 철골프레임(1c)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메인파이프(부호 생략)가 일정간격을 이룬 채 복수의 연결파이프에 의하여 트러스구조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중간 철골프레임(1c)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아치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2개의 메인파이프 각각의 단부에 복수의 조립공(13)이 있는 고정판(14)이 하나씩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middle steel frame frames 1c are fixed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main steel frame frames 1a and 1b. Each of the middle steel frame frames 1c includes two main pipe frames 1b, (Not show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in a truss structure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plurality of middle steel frame frames 1c are connected to two main pipes each having an arcuate shape as shown in FIG. 3 And a fixing plate 14 having a plurality of assembling holes 13 is fixedly welded one by one to the end of the fixing plate 14.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한 천막 철골구조물(1)을 지상에 구축하기 위하여 지하에 일정 깊이로 매립되는 기초구조물을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at a foundation structure to be buried at a certain depth in the ground to construct the above-described tent-pole steel structure 1 on the ground can be assembled.

본 발명의 기초구조물은 복수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과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로 구성된다.The bas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main base plate structures (2) and a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먼저, 복수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 plurality of main base plate structures 2 will be described.

상기 복수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은 천막 철골구조물(1)의 전,후 또는 좌,우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 철골프레임(1a)(1b)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복수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은 제1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1,22)가 수평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플레이트(21) 각각의 상면 중심부분에는 1개의 수직지주(23)가 입설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베이스플레이트(22)의 상면에는 2개의 수직지주(24,25)가 일정간격으로 입설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main base plate structures 2 are configured to firmly support the main steel frame 1a or 1b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enter frame structure 1,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of the first base plate 21 is install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ase plates 21 and 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plane, And two vertical supports 24 and 25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plate 22 at regular intervals.

상기한 수직지주(23,24,25)들 각각의 상,하단에는 상,하부 조립판(26,27)이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상,하부 조립판(26,27) 각각에는 복수의 볼트조립공(28)이 형성되어 있다.Upper and lower assembling plates 26 and 27 are welded and fix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struts 23, 24 and 25, respectively. Further, upper and lower assembling plates 26 and 27 A plurality of bolt assembling holes 28 are formed.

따라서 상기 복수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의 제1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1,22) 각각의 상면에 입설되는 각 수직지주(23,24.25)들은 하부 조립판(28)에 형성된 복수의 볼트조립공(28)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1,22) 상면을 관통하여 나사조립되는 복수의 체결볼트(4)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1,22) 각각의 상면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1,22)의 상면에는 각 수직지주(23,24,25)가 조립되는 위치에 하부 조립판(27)에 형성된 복수의 볼트조립공(28)과 연통하는 구멍이 뚫어져 있으며, 상기한 구멍 속에는 상기한 복수의 체결볼트(4)가 나사조립되는 복수의 너트(미도시)가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다.(도 8 참조)Each of the vertical supports 23 and 24.25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plates 21 and 22 of the plurality of main base plate structures 2 includes a plurality of bolts The first and second base plates 21 and 22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4 thread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plates 21 and 22 through the assembly holes 28, The first and second base plates 21 and 22 are formed on the lower assembly plate 27 at positions where the vertical supports 23, 24 and 25 are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plates 21 and 22. [ Holes for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bolt assemblies 28 are drilled. A plurality of nuts (not shown), to which the plurality of bolts 4 are screwed, are fixedly welded to the holes. Reference)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의 제1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1,22) 상면에는 메인 연결프레임(6)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된다.A main connection frame 6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plates 21 and 22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즉, 도 4 도시를 기준하여 볼 때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의 제1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1,22) 상면에는 메인 연결프레임(6)의 일단이 복수의 조립볼트(61)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이를 위해, 상기한 메인 연결프레임(6)에는 복수의 조립공(62)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1,22)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한 복수의 조립공(62)과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 속에 용접으로 고정된 복수의 너트에 상기한 복수의 조립공(62)을 통해 끼워지는 조립볼트(61)를 나사체결하게 되면 상기 메인 연결프레임(6)은 제1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1,22) 상면에 조립식으로 고정 부착되는 것이다.(도 7 참조)4, one end of the main connection frame 6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ssembly bolts 61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plates 21 and 22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 plurality of assembling holes 62 are formed in the main connection frame 6 an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plates 21 and 22, When the assembly bolts 61 inserted through the plurality of assembly holes 62 are screwed into a plurality of nuts fixed to the holes by welding, The connection frame 6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plates 21 and 22 in a assembled manner (see FIG. 7).

또한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의 제2 베이스플레이트(22)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입설된 2개의 수직지주(24,25)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는 수평연결간(7)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의 제1 베이스플레이트(21) 상면에 입설된 1개의 수직지주(23)는 보조연결간(71)에 의하여 수평연결간(7)에 연결되는데, 상기한 보조연결간(71)의 양단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조립볼트(72)에 의하여 제1 베이스플레이트(21)에 입설된 수직지주(23) 및 제1 베이스플레이트(22)에 입설된 2개의 수직지주(24,25)를 잇는 수평연결간(7)에 각각 조립식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wo vertical supports 24 and 25, which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plate 22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nd one vertical column 23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late 21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onnection path 7 by the auxiliary connection path 71 7, both ends of the auxiliary interconnection 71 are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 23 and the first support plate 23, which are installed in the first base plate 21 by the plurality of assembly bolts 72, And the horizontal connection 7 connecting the two vertical supports 24, 25, which are arranged on the plate 22,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수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의 메인 연결프레임(6)의 단부에는 복수의 볼트조립공(63)이 형성된 연결판(64)이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다.A connecting plate 64 having a plurality of bolt assembling holes 63 is welded and fixed to an end of the main connecting frame 6 of the plurality of main base plate structures 2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다음,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will be described.

상기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은 단일 베이스플레이트(31)와, 이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입설되는 2개의 수직지주(32,33)와, 상기한 2개의 수직지주(32,33)가 서로 마주하는 면 각각에 용접으로 고정 연결되는 수평연결간(72) 및 상기한 단일 베이스플레이트(31)의 상면에 중간부분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중간 연결프레임(8)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includes a single base plate 31, two vertical supports 32 and 33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two vertical supports 32 and 33 And a middle connection frame 8 on which an intermediate portion is detachably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ngle base plate 31. The intermediate connection frame 8 is formed of a metal plate,

상기 단일 베이스플레이트(31) 상면에 입설되는 2개의 수직지주(32,33)의 상,하단에는 복수의 볼트조립공(34)이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조립판(35,36)이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단일 베이스플레이트(31)의 상면 내부에는 상,하부 조립판(35,36) 각각에 형성된 볼트조립공(34)을 관통하는 복수의 조립볼트(5)가 나사조립되는 너트(미도시)가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다.Upper and lower assembling plates 35 and 36 having a plurality of bolt assemblies 34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wo vertical supports 32 and 33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ngle base plate 31 are welded And a plurality of assembly bolts 5 passing through the bolt assembly holes 34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assembly plates 35 and 36 are screw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ngle base plate 31 Is welded and fixed.

또한 상기 중간 연결프레임(8)의 중간부분에는 복수의 조립볼트(81)가 관통하는 복수의 조립공(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일 베이스플레이트(31)의 상면에는 복수의 조립공(82)과 일치하는 구멍이 뚫어져 있고 그 구멍 속에는 조립볼트(81)가 나사조립되는 너트(미도시)가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다.A plurality of assembly holes 82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assembly bolts 81 pass are form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frame 8. A plurality of assembly holes 8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ngle base plate 31, And a nut (not shown) to which the assembly bolt 81 is screwed is fixed by welding.

상기 중간 연결프레임(8)의 양단에는 복수의 볼트조립공(83)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판(84)이 용접되어 있다.A connection plate 84 having a plurality of bolt assembly holes 83 is welded to both ends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frame 8.

한편,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 및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 각각의 베이스플레이트(21,22)(31)는 도로 등을 굴착하는 공사현장에서 각종 차량이 통행할 수 있게 도로를 덮어주조록 설치되는 복공판과 같은 철제구조로 제작된 것이 사용되며, 또한 상기한 각 베이스플레이트(21,22,23)(31)의 상면에 조립식으로 고정 부착되는 각 수직지주(23,24,25)(32,33)과, 상기 제2 베이스플레이트(22)에 입설된 2개의 수직지주(24,25)를 잇는 수평연결간(7), 제1 베이스플레이트(21)에 입설된 1개의 수직지주(23)와 수평연결간(7)을 연결하는 보조연결간(7)과, 상기 단일 베이스플레이트(31)의 상면에 입설된 2개의 수직지주(34,35)와 이를 잇는 수평연결간(73) 및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을 구성하는 메인 연결프레임(6) 및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을 구성하는 중간 연결프레임(8)은 천막 철곡구조물(1)의 메인 철골프레임(1a)(1b)과 복수의 중간 철골프레임(1c)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H형강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base plates 21, 22 and 31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nd the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 3 respectively cover the roads so that various vehicles can pass through at the construction site where roads and the like are excavated. 24, and 25 (hereinafter, referred to as " base plates ")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base plates 21, 22, A horizontal connection line 7 connecting the two vertical supports 24 and 25 installed in the second base plate 22 and one vertical support member 23 and the horizontal connection 7 and two vertical supports 34 and 35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ngle base plate 31 and a horizontal connection 73 connecting them. And the main connection frame 6 and the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 3 constituting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The intermediate connecting frame 8 is composed of an H-shaped steel capable of firmly supporting the main steel frame 1a and the plurality of middle steel frame 1c of the steel framed structure 1.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식 기초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막 철골구조물(1)을 구축하고자 하는 부지를 일정 깊이(가상선 표시 참조)로 굴착한 다음 그 굴착된 지하에 복수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과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을 지하에 매립 설치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prefabricated found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constructed by excavating the site where the tent steel-frame structure 1 is to be constructed at a predetermined depth (see a virtual line) A plurality of main base plate structures (2) and a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are buried underground.

상기 복수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은 구축하고자 하는 천막 철골구조물(1)의 전,후 또는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메인 철골프레임(1a)(1b) 각각의 양단이 위치하게 되는 지하에 매립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은 상기한 메인 철골프레임(1a)(1b)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중간 철골프레임(1c) 각각의 양단이 위치하게 되는 지하에 매립 설치되는 것이다.The plurality of main base plate structures 2 are installed in a basement in which both ends of each of the main steel frame frames 1a and 1b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ent construction 1, And a plurality of middle steel frame frames 1c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the main steel frame frames 1a and 1b, As shown in FIG.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1,22) 각각의 상면에 1개의 수직지주(23)와 2개의 수직지주(24,25)가 조립되어 있고, 상기 제1 베이스플레이트(21) 상면에 조립 설치된 1개의 수직지주(23)와 상기 제2 베이스플레이트(22) 상면에 조립 설치된 2개의 수직지주(24,25)를 잇는 수평연결간(7)을 보조연결간(71)으로 연결 조립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1,22) 각각의 상면에는 메인 연결프레임(6)의 일단이 복수의 조립볼트(61)에 의하여 조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단일 베이스플레이트(31)의 상면에 수평연결간(34)이 용접되어 있는 2개의 수직지주(32,33)와 중간 연결프레임(8)의 중간부분이 복수의 조립볼트(81)에 의해 조립 부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has one vertical column 23 and two vertical columns 24 and 25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plates 21 and 22 as shown in FIG. A horizontal connection 23 connecting one vertical column 23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late 21 and two vertical columns 24 and 25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plate 22, And one end of the main connection frame 6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plates 21 and 22 by a plurality of assembly bolts 61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ngle base plate 31 as shown in FIG. The middle portions of the supports 32 and 33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frame 8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ssembly bolts 81 It will be installed in the assembly attached.

상기 복수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 중 도 1의 도시를 기준하여 도면상 좌측에 설치되는 일측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은 메인 연결프레임(6)이 도면상 우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설치되며, 도 1의 좌측에 설치되는 타측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은 메인 연결프레임(6)이 도면상 좌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On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installed on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with reference to the view of FIG. 1 is instal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main connection frame 6 protrudes rightward in the figure, The other main base plate structure 2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Fig. 1 is provided so that the main connection frame 6 protrudes toward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그리고 상기 양측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의 사이에는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들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인데, 상기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들은 단일 베이스플레이트(31)의 상면에 조립 부착된 중간 연결프레임(8)이 양측을 향해 균등한 길이로 돌출되어 있다.A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s 2 on both sides.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And an intermediate connection frame 8 assembled to the frame member 8 is protruded to both sides in equal length.

따라서 상기 양측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과 이들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들은 양측의 메인 연결프레임(6)의 끝단에 부착된 연결판(64)과 복수의 중간 연결프레임(8)의 양단에 부착된 연결판(84)을 일직선상으로 일치하도록 맞대어놓고 복수의 체결볼트(9)로 나사조립하게 되면 양측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과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은 일체로 연결 결합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s 2 on both sides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therebetween have a connecting plate 64 attached to the ends of the main connecting frames 6 on both sides, When the connecting plates 84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frame 8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and screwed together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9, The base plate structures 3 are integrally connected.

상기와 같이 양측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과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을 일직선상으로 연결 조립한 다음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의 각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흙을 복토하게 되는데, 이때 각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입설된 수직지주(23,24,25)(32,34)들 각각의 상단에 용접된 상부 조립판(26)(35)이 노출되도록 복토하게 되면 지하에 매립되는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 및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이 설치되어 있는 부지는 지내력이 증강되며, 이에 따라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 및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은 지하에 견고하게 매립 설치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on both sides are connected and assembled in a straight line, and then the soil is laid on the base plates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When the top assembled plates (26) and (35) welded to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struts (23, 24, 25) (32, 34)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base plate are covered so as to be exposed, The site on which the plate structure 2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are installed is reinforced so that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are rigid in the ground .

상기와 같이 지하에 매립 설치되는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 및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에 수직상으로 입설된 각 수직지주들은 복토된 지반 위에 노출되어 있는데, 상기한 각 수직지주들의 상단에 용접되어 있는 상부 조립판(26)(35) 각각에 형성된 볼트조립공(28)(34)과 천막 철골구조물(1)의 양측 메인 철골프레임(1a)(1b) 및 복수의 중간 철골프레임(1c) 각각의 하단에 형성된 조립판(12)(14)에 형성된 조립공(11)(13)을 통해 체결볼트(15)(17)를 관통시키고 너트(16)(18)에 나사조립하게 되면 상기한 메인 철골프레임(1a)(1b) 및 복수의 중간 철골프레임(1c)을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 및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에 견고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base struts vertically installed in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which are buried in the ground, are exposed on the covered ground. The bolt assemblies 28 and 34 formed on each of the upper assembly plates 26 and 35 welded to the upper and lower steel frame structures 1 and 2 and the main steel frame frames 1a and 1b on both sides of the steel frame structure 1 and the plurality of middle steel frame frames 1c The fastening bolts 15 and 17 are screwed into the nuts 16 and 18 through the assembly holes 11 and 13 formed in the assembly plates 12 and 14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fastening bolts 15 and 17, The main frame frame 1a and the plurality of middle frame frames 1c can be firmly assembled to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

상기와 같이 지하에 매립 설치된 양측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 및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에 조립식을 고정 설치된 천막 철골구조물(1)을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한 후에는 철거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천막 철골구조물(1)을 철거할 때 함께 철거되는 기초구조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fter the tent steel frame structure 1 having the prefabricated type fixed to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on both sides installed in the ground as described above is used for a set period of time, Is to recover and reuse the foundation structure which is demolished together without damaging the tenter frame structure 1 when demolishing the tenter frame structure 1.

상기 천막 철골구조물(1)을 철거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지반 위로 노출된 각 수직지주에 메인 철골프레임(1a)(1b) 및 복수의 중간 철골프레임(1c)을 연결하고 있던 체결볼트(15)(17)를 나사풀림하여 상기한 메인 철골프레임(1a)(1b) 및 복수의 중간 철골프레임(1c)을 해체한다.When the tent structure 1 is to be removed, first, the vertical bolts 15a (1b) and the plurality of middle steel frame 1c are fastened to the vertical struts exposed on the ground 17 are unscrewed to disassemble the main frame 1 a and 1 b and the plurality of middle frames 1 c.

이어서,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 및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을 덮어주고 있는 흙을 굴착하고 매립되어 있는 각 구조물을 인출하는데, 이때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의 메인 연결프레임(6)과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의 중간 연결프레임(8)을 나사체결하고 있는 복수의 체결볼트(9)를 나사풀림하게 되면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과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이 분리되는 것이며, 또한 분리된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 및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에 조립되어 있는 각 부품들 예를 들면, 수직지주(23,24,25)(32,33), 보조연결간(71), 메인 연결프레임(6), 중간 연결프레임(8) 등을 분리하게 되면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 및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을 재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회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분리 회수된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 및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은 다른 장소에 새로 구축되는 천막 철골구조물(1)의 기초구조물로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soil covering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is excavated and the respective structures embedded in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re taken out. At this time, When the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9 screwed to the intermediate connection frame 8 of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are unscrewed,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s 2, The structure 3 is to be separated and also the parts that are assembled in the separated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for example, vertical supports 23, 24, 25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auxiliary connection links 71, the main connection frame 6, the intermediate connection frame 8, So that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thus separated and recovered can be recovered as a basic structure of the tent steel-frame structure 1 newly constructed at another place It can be reus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구축되는 천막 철골구조물(1)을 구축하기 위해 지하에 매립되는 기초구조물을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천막 철골구조물(1)의 철거시에도 분리 해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전량 회수할 수 있으므로써 천막 철골구조물(1)이 구축되었던 부지에 산업폐기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struct a tent-pole steel structure 1 constructed in a prefabricated manner, not only a foundation structure to be buried in the ground can be assembled, but also the tent steel-frame structure 1 can be re- So that the industrial wastes are not generated on the site where the tent steel-frame structure 1 is constructed.

한편, 본 발명은 천막 철골구조물(1)의 메인 철골프레임(1a)(1b) 및 복수의 중간 철골프레임(1c)을 지지하기 위한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 및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 및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 각각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된 각 수직지주들 위에 별도로 제작된 보조조지주(100)(200)를 조립식으로 연결하는 수단으로 천막 철골구조물(1)을 높게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nd a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for supporting a main frame frame 1a and a plurality of middle frame frames 1c of a tent structure 1, ).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each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s 2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as shown in FIG. 9, The tent steel structure 1 can be constructed to be high by means of assembling the auxiliary geology 100 (200).

1 : 천막 철골구조물 1a : 메인 철골프레임
1b : 중간 철골프레임 11,13 : 조립공
12,14 : 고정판 15,17 : 체결볼트
16,18 : 너트 2 :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
3 :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
21,22 : 제1, 제2 베이스플레이트
23,24,25,32,33 : 수직지주 26,35 : 상부 조립판
27,36 : 하부 조립판 28,34 : 볼트조립공
4,5 : 체결볼트 6 : 메인 연결프레임
7,73 : 수평연결간 71 : 보조연결간
8 : 중간 연결프레임 61,72,81 : 조립볼트
62,82 : 조립공 63,83 : 볼트조립공
64,84 : 연결판 9 : 체결볼트
1: Aperture steel frame 1a: Main frame frame
1b: middle steel frame 11, 13:
12, 14: fixing plate 15, 17: fastening bolt
16,18: Nut 2: Main base plate structure
3: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
21, 22: first and second base plates
23, 24, 25, 32, 33: vertical supports 26, 35:
27, 36: Lower assembly plates 28, 34: Bolt assembly
4,5: fastening bolt 6: main connection frame
7,73: between horizontal connections 71: between secondary connections
8: intermediate connection frame 61, 72, 81: assembly bolt
62,82: Assembly 63,83: Bolt assembly
64,84: connecting plate 9: fastening bolt

Claims (5)

천막 철골구조물(1)의 전,후 또는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 철골프레임(1a)(1b)과 및 상기 양측 메인 지지프레임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중간 철골프레임(1c)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하에 일정 깊이로 매립 설치되는 천막 철골구조물의 조립식 기초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기초구조물은,
지하에 일정 깊이로 매립 설치되며 상면 중심부분에 1개의 수직지주(23)가 체결볼트(4)로 착탈가능하게 입설되어 있는 제1 베이스플레이트(21)와, 상기 제1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수평상으로 연결 조립되며 상면에는 2개의 수직지주(24,25)가 체결볼트(4)로 착탈가능하게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입설되어 있는 제2 베이스플레이트(22)가 한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입설된 1개의 수직지주(23)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입설된 2개의 수직지주(24,25) 각각의 상단에 상기한 천막 철골구조물(1)의 양측 메인 철골프레임(1a)(1b) 각각의 하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과;
상기 복수의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 사이의 지하에 일정깊이 일정간격으로 매립 설치되며 상면에 2개의 수직지주(32,33)가 체결볼트(5)로 착탈가능하게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입설되어 있는 단일 베이스플레이트(31)로 구성되며, 상기 단일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입설된 2개의 수직지주(32,33) 각각의 상단에 상기한 천막 철골구조물(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중간 철골프레임(1c) 각각의 하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과;
일단은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의 제1 및 제2 베이스플레이트(21.22)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타단은 이웃하는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메인 연결프레임(6)과;
중심부분은 상기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의 단일 베이스플레이트(31)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양단은 이웃하는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 및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을 향하여 양측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중간 연결프레임(8);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철골구조물의 조립식 기초구조물.
A main steel frame 1a and a plurality of middle steel frame 1c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the main support frame and the main frame 1b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ent structure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foundation structure of a tent steel frame structure,
The prefabricated foundation structure comprises:
A first base plate 21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lower part and having a vertical column 23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detachably installed with a fastening bolt 4; And a second base plate 22 having two vertical supports 24 and 25 detachably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fastening bolt 4 in a pair, A first vertical support 23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late 23 and two vertical supports 24 and 25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plate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ent steel structure 1 A plurality of main base plate structures (2)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main frame frames (1a, 1b);
Two vertical supports (32, 33) are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s (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regular intervals and detachably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fastening bolts (5) And a single base plate 31.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supports 32 and 33 are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supports 32 and 33, A plurality of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s (3)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respective steel frame frames (1c);
One end of which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plates 21.22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adjacent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 3 A main connection frame (6);
The center portion is detachably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ngle base plate 31 of the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 3 and has both ends fix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nd the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 3, A plurality of intermediate connection frames (8) formed to protrude in length;
Wherein the tentative structure of the tent steel structure is constructed by a plurality of tentative structural memb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 및 중간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3) 각각의 상면에 입설되는 수직지주들은 H형강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지주의 상,하단 각각에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과 메인 철골프레임(1a)(1b) 및 중간 철골프레임(1c) 각각의 하단에 고정 부착된 고정판(12)(14)에 체결볼트(4)(5)(15)(17)로 체결할 수 있는 상,하부 조립판(26,27)(35,36)이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철골구조물의 조립식 기초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Vertical strut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nd the intermediate base plate structure 3 are formed of H-shaped steel.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strut, (5), (15) and (17) that can be fastened to fastening plates (12) and (14) fixedly attached to the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teel frame (1b) (26, 27) (35, 36) are fixedly attach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의 제2 베이스플레이트(22)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입설된 2개의 수직지주(24,25)는 서로 마주하는 양측 면에 각각 양단이 용접되는 수평연결간(7)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수평연결간(7)은 H형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철골구조물의 조립식 기초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wo vertical supports 24 and 25, which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plate 22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re connected to horizontal connection spaces 7, , And the horizontal connection space (7) is an H-shaped ste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베이스플레이트 구조물(2)의 제1 베이스플레이트(21) 상면에 입설된 1개의 수직지주(23)와, 제2 베이스플레이트(22) 상면에 입설된 2개의 수직지주(24,25)를 잇는 수평연결간(7)은 보조연결간(71)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연결간(71)의 양단은 복수의 조립볼트에 의해 상기한 수직지주(23) 및 수평연결간(7(에 착탈가능하게 연결 조립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철골구조물의 조립식 기초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vertical column 23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late 21 of the main base plate structure 2 and two vertical columns 24 and 25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plate 22 The horizontal connection 7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nection 71 and both ends of the auxiliary connection 71 are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 23 and the horizontal connection 7 Wherein the tentative structure is detachably connected and assemb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연결프레임(6) 및 중간 연결프레임(8) 각각은 H형강으로 구성되며, 양단에는 복수의 볼트조립공(63)(83)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판(64)(84)이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철골구조물의 조립식 기초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main connection frame 6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frame 8 is formed of an H-shaped steel and the connection plates 64 and 84 having a plurality of bolt assembly holes 63 and 83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re welded Wherein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attached to the foundation structure.
KR1020130026082A 2013-03-12 2013-03-12 Prefabricated basic structure of frame of pavilion KR1014119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082A KR101411935B1 (en) 2013-03-12 2013-03-12 Prefabricated basic structure of frame of pavil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082A KR101411935B1 (en) 2013-03-12 2013-03-12 Prefabricated basic structure of frame of pavil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935B1 true KR101411935B1 (en) 2014-06-26

Family

ID=5113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082A KR101411935B1 (en) 2013-03-12 2013-03-12 Prefabricated basic structure of frame of pavil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93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05A (en) * 1996-07-03 1998-01-20 Asahi Chem Ind Co Ltd Mat founda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H10131300A (en) * 1996-10-29 1998-05-19 Fujita Corp Execution method for building by preceding erection of steel frame
KR100956307B1 (en) 2010-01-29 2010-05-10 주식회사 아성엠엔에스아이 Tunnel type prefabricated pavillion structure with iron frame
KR20120083020A (en) * 2011-01-17 2012-07-25 윤석천 Precast module foot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wit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05A (en) * 1996-07-03 1998-01-20 Asahi Chem Ind Co Ltd Mat founda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H10131300A (en) * 1996-10-29 1998-05-19 Fujita Corp Execution method for building by preceding erection of steel frame
KR100956307B1 (en) 2010-01-29 2010-05-10 주식회사 아성엠엔에스아이 Tunnel type prefabricated pavillion structure with iron frame
KR20120083020A (en) * 2011-01-17 2012-07-25 윤석천 Precast module foot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wi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18775A (en) Novel prefabricated frame structure
KR101617221B1 (en) Joint structure of remodeling modular unit for seismic retrofitting and joint method of using it
KR101011252B1 (en) Rigid-frame bridge fram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rigid-frame bridge having it
KR101202609B1 (en) A Sidewalk Enlargement Installation for Slope Way
CN105604091B (en) A kind of cap excavation method cover system construction method
CN105256836A (en) Construction method for fast restoring road traffic in construction of underground project
KR101632840B1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road way having drain structure of temporary and permanent wall
KR101317316B1 (en) Precast module foot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with
JP2014152590A (en) Column-beam joining part and steel frame beam joining method in column-beam joining part
KR101411935B1 (en) Prefabricated basic structure of frame of pavilion
KR102178849B1 (en) Reinforced bracing system apparatus using the cubic arch-structures
JP2011032684A (en) Lining structure and lining method
CN207484676U (en) A kind of buckling restrained brace reinforced concrete frame dry type flexible beam-column connection
JP4658005B2 (en) Seismic isolation method for existing buildings
KR102413915B1 (en) Noise barrier construction system using block module
KR101545330B1 (en) Prefab type land-side protection wall device
KR200446787Y1 (en) Sk panel
KR101772468B1 (en) The modular support member for construction precast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CN211037290U (en) Detachable and replaceable frame structure system with full life cycle
JP6368758B2 (en) Foundation structure and foundation structure
KR101431009B1 (en) A temporary skeleton structure used a top down underground construction method
KR101017894B1 (en) A post for temporary soundproofing walls
CN217538057U (en) Detachable assembled protective shed
JP3208100U (en) Scaffolding device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KR200362177Y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H-beam colum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