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610B1 -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610B1
KR101411610B1 KR1020120121627A KR20120121627A KR101411610B1 KR 101411610 B1 KR101411610 B1 KR 101411610B1 KR 1020120121627 A KR1020120121627 A KR 1020120121627A KR 20120121627 A KR20120121627 A KR 20120121627A KR 101411610 B1 KR101411610 B1 KR 101411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hip
door
pai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6678A (ko
Inventor
변철욱
이명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6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56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09Hydrocarbon fuels, e.g. methane or acetylene
    • F02M21/0212Hydrocarbon fuels, e.g. methane or acetylene comprising at least 3 C-Atoms, e.g. liquefied petroleum gas [LPG], propane or but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21Fuel storage reservoirs, e.g. cryogenic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5High pressure fuel supply systems; Rails; Pumps; Arrangement of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탱크의 연료가 공급되는 공급관의 유입구를 둘러싸는 한 쌍의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도어부를 포함하는 연료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부는 외측으로 회전이 불가능하게 설치되는 선박의 연료공급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의 연료공급장치{FUEL SUPPLY APPARATUS OF A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Natural Gas)는 생산지에서 극저온으로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LNG)의 상태로 만들어진 후 LNG 운반선에 의해 목적지까지 원거리에 걸쳐 수송된 후, LNG 부유식 저장 및 재기화 장치(FSRU, 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또는 육상의 하역 터미널을 거치면서 재기화되어 소비지로 공급된다.
LNG 재기화선(RV, LNG Regasification Vessel)에 의해 LNG가 수송되는 경우에는, LNG가 LNG 부유식 저장 및 재기화 장치 또는 육상의 하역 터미널을 거치지 않고도 LNG 재기화선 자체에서 재기화되어 소비지로 직접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저장된 LNG를 추진 연료로 사용하는 LNG운반선의 경우, LNG 저장 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Boil off gas)를 연료로 사용하지만, 증발가스가 추진 장치에서 요구하는 연료가스 양보다 부족한 경우, 화물창 내에 설치된 연료공급펌프가 화물창 내 LNG를 이송하고 이를 기화하여 추진 장치에 공급함으로써 부족분을 채울 수 있도록 설계 되어 있다.
여기서 선박이 공선 상태로 운항할 경우 증발가스의 양이 많이 부족하여 연료 공급 펌프가 작동해야 하며, 이 때 공급을 가능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LNG를 남겨 두는데 이를 힐(heel) 이라고 한다.
그러나 액화천연가스를 남겨두는 힐 양이 최소화해야 운항 효율이 극대화 되는데 파도가 거친 악조건 운항 시 선박의 운동에 의해 연료공급펌프 주위의 힐 수위가 변화함으로써 순간적인 저수위에 의해 연료공급펌프의 구동이 멈추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5096호(2010. 10. 27. 공개, 선박의 화물창 내 연료가스 공급구조물)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선박의 좌우 롤링시에도 연료 공급관에 안정적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관 주위로 연료수용부를 구비한 선박의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탱크의 연료가 공급되는 공급관의 유입구를 둘러싸는 한 쌍의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도어부를 포함하는 연료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부는 외측으로 회전이 불가능하게 설치되는 선박의 연료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도어부가 외측으로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탱크에 형성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도어부는 상기 공급관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도어부는 상기 탱크의 바닥면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연료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선박의 좌우 롤링시에도 연료 공급관에 안정적으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공급장치가 선박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공급장치의 다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연료공급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S)의 연료공급장치는 공급관(100) 및 연료수용부(200)를 포함한다.
공급관(100)은 탱크의 연료를 연료공급펌프에 의하여 연료공급라인에 공급하는 것으로, 선박(S)의 안정적이고 정상적인 운영을 위하여 안정적으로 연료를 공급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S)의 연료공급장치는 공급관(100) 주변으로 연료수용부(200)를 구비하는 것이다.
연료수용부(200)는 선박(S)이 좌우로 롤링(rolling)시에도 공급관(100)으로의 연료의 공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공급관(10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연료를 공급관(100) 주변에 일정시간 가두어 두는 역할을 하게된다.
구체적으로, 연료수용부(200)는 선박(S)을 기준으로 전후 양면은 탱크의 바닥면에 접하고, 좌우 양측면은 탱크의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공급관(100)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선박(S)은 전후의 롤링보다 좌우의 롤링이 상대적으로 훨씬 많아 이러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박(S)이 좌우로 롤링시 공급관(100)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연료수용부(200)에 의하여 연료를 공급관(100) 주변에 가두어 두게 되고, 이로써 안정적으로 연료를 공급관(100)에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선박(S)의 좌우 롤링시 연료수용부(200)의 좌우 양측면이 탱크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선박(S)이 좌측으로 롤링시 연료수용부(200)에 가두어진 연료의 일부는 좌측 연료수용부(200)의 이격된 공간으로 빠져나가고, 동시에 우측 연료수용부(200)의 이격된 공간으로 연료수용부(200)내로 연료가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일정시간 동안 연료수용부(200) 내의 연료의 수위를 유지시킬 수 있어 공급관(100)에 연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S)의 연료공급장치의 연료수용부(200)는 전후 한 쌍의 측벽부(210) 및 측벽부(210)를 좌우 양측면에서 연결하는 도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후 한 쌍의 측벽부(210)는 하부가 탱크의 바닥면과 접하도록 형성되고, 좌우 한쌍의 도어부(220)는 하부가 탱크의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도어부(220)는 상부가 좌우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선박(S)이 좌우로 롤링시 한 쌍의 도어부(220) 또한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도어부(220)는 외측으로 회전이 불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이 좌측으로 롤링시 좌측의 도어부(220)는 좌측으로 회전이 불가능하여 탱크 바닥면과의 본래 상태를 유지하나, 우측의 도어부(220)는 연료수용부(200) 내측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즉, 선박(S)이 좌측으로 롤링시 좌측 도어부(220)는 본래 상태를 유지하여 좌측 도어부(220) 하부 및 탱크의 바닥면의 일정간격 이격된 공간으로 조금씩 연료가 연료수용부(200)로부터 빠져나가게 되나, 우측 도어부(220)는 내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연료수용부(200)에서 빠져나가는 연료의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의 연료가 연료수용부(200)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로써, 연료수용부(200)내의 연료의 수위는 안정적일 수 있고, 따라서 공급관(100)에 연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이 우측으로 롤링시 우측의 도어부(220)는 우측으로 회전이 불가능하여 탱크 바닥면과의 본래 상태를 유지하나, 좌측의 도어부(220)는 연료수용부(200) 내측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즉, 선박(S)이 우측으로 롤링시 우측 도어부(220)는 본래 상태를 유지하여 우측 도어부(220) 하부 및 탱크의 바닥면의 일정간격 이격된 공간으로 조금씩 연료가 연료수용부(200)로부터 빠져나가게 되나, 좌측 도어부(220)는 내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연료수용부(200)에서 빠져나가는 연료의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의 연료가 연료수용부(200)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로써, 연료수용부(200)내의 연료의 수위는 안정적일 수 있고, 따라서 공급관(100)에 연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S)의 연료공급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300)는 탱크의 바닥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좌우 한 쌍의 도어부(220)가 외측으로 회전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좌측 도어부(220)의 외측으로 탱크의 바닥에 형성되어 선박(S)이 좌측으로 롤링시 좌측으로 좌측 도어부(220)가 회전하는 것을 막고, 우측 도어부(220)의 외측으로 탱크의 바닥에 형성되어 선박(S)이 우측으로 롤링시 우측으로 우측 도어부(220)가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 선박 100: 공급관
200: 연료수용부 210: 측벽부
220: 도어부 300: 스토퍼

Claims (4)

  1. 탱크의 연료가 공급되는 공급관의 유입구를 둘러싸는 한 쌍의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도어부를 포함하는 연료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부는 외측으로 회전이 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도어부는 상기 탱크의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이격된 공간으로 상기 연료가 왕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가 외측으로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탱크에 형성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도어부는 상기 공급관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4. 삭제
KR1020120121627A 2012-10-30 2012-10-30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KR101411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627A KR101411610B1 (ko) 2012-10-30 2012-10-30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627A KR101411610B1 (ko) 2012-10-30 2012-10-30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678A KR20140056678A (ko) 2014-05-12
KR101411610B1 true KR101411610B1 (ko) 2014-06-26

Family

ID=5088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627A KR101411610B1 (ko) 2012-10-30 2012-10-30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6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983B1 (ko) * 2000-12-19 2004-04-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체임버구조
KR20060073710A (ko) * 2004-12-24 2006-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셔 리저버 장치
KR100681283B1 (ko) 2005-08-31 2007-02-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엘피엘아이 연료시스템의 연료탱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983B1 (ko) * 2000-12-19 2004-04-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체임버구조
KR20060073710A (ko) * 2004-12-24 2006-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셔 리저버 장치
KR100681283B1 (ko) 2005-08-31 2007-02-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엘피엘아이 연료시스템의 연료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678A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790B1 (ko) 벙커링 선박
KR100827398B1 (ko) 혼합 형태 화물창을 갖는 액화천연가스운반선
US201101826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ffshore natural gas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
WO2005110016A3 (en) Quick lng offloading
KR101941314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258932B1 (ko) Lng 재기화 설비
AU2021200706A1 (en) Fuel gas distribution method
KR100999620B1 (ko) 엘앤지 연료 공급 시스템
KR101291246B1 (ko) Bog를 선박위치제어장치에 이용하는 선박
KR101411610B1 (ko)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KR20120133360A (ko) Lng 연료 선박
JP2007085403A (ja) バルクコンテナを用いた液化天然ガスの輸送方法
KR20140086204A (ko)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장치
KR102261772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JP2004308844A (ja) 燃料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AP1759A (en) Floating system for liquefying natural gas.
KR101471376B1 (ko) 액화천연가스 공급선박
KR101240739B1 (ko) 자연기화가스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73947B1 (ko) Lng 재기화 선박
JP6646907B2 (ja) 船舶用の液化ガス燃料供給機構
KR20110004667U (ko) 독립형 저장탱크 구조물
KR20220049030A (ko) 선박에 장착되고, 액체상 및 기체상의 가스를 저장 및/또는 이송하기 위해 탱크 내에 수용된 가스를 처리하는 시스템
KR20100115096A (ko) 선박의 화물창 내 연료가스 공급구조물
KR20100113663A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지지구조
KR20170064782A (ko) Lng 화물창의 횡동요 방지를 위한 탄성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화물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