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599B1 -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599B1
KR101411599B1 KR1020130132398A KR20130132398A KR101411599B1 KR 101411599 B1 KR101411599 B1 KR 101411599B1 KR 1020130132398 A KR1020130132398 A KR 1020130132398A KR 20130132398 A KR20130132398 A KR 20130132398A KR 101411599 B1 KR101411599 B1 KR 101411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magnet
sensor
vehicl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735A (ko
Inventor
배승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2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59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는 하나의 센서가 2개의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속을 각각 감지하여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을 측정한다. 그러므로,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이 간편하므로 원가가 절감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 {APPARATUS FOR DETECTING STEERING TORQUE AND STEERING ANGLE OF VEHICLE}
본 발명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조향장치란 주행중인 차량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조향 차륜인 전륜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장치이다. 주행중인 차량의 조향 정도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되므로, 조향축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을 측정하여 차량의 조향 정도를 검출한다.
종래에는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을 검출하기 위하여, 조향토크 및 조향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사용한다. 그러므로, 부품수가 증가하고, 설치공정이 복잡하여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는, 조향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1 기어; 상기 조향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1 마그네트;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 기어; 상기 제 2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기어와 동일하게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제 2 마그네트; 및 상기 제 1 및 제 2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속을 각각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는 상기 센서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는 상기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마그네트는 차폐물에 의하여 실딩(Shielding)되고, 상기 센서와 대향하는 상기 제 2 마그네트의 부위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는, 상기 센서가 검출한 감지한 제 1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속으로부터 조향토크를 검출하고, 상기 센서가 감지한 제 2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속으로부터 조향각을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는 하나의 센서가 2개의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속을 각각 감지하여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을 측정한다. 그러므로,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이 간편하므로 원가가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를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를 보인 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를 보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조향축(110)이 마련된다. 조향축(110)은 상단부측에 설치된 핸들(미도시)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하거나,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한다.
조향축(110)의 외주면에는 제 1 기어(121)가 결합되어 조향축(110)과 동일하게 회전하고, 제 1 기어(121)에는 제 2 기어(125)가 맞물려 제 1 기어(121)에 의하여 회전한다. 제 2 기어(125)의 중심부에는 회전축(130)이 관통 설치되는데, 회전축(130)은 제 2 기어(125)에 고정되어 제 2 기어(125)와 동일하게 회전한다.
차량의 일측에는 케이스(140)가 고정되는데, 케이스(140)는 제 1 기어(121) 및 회전축(130)을 감싸서 보호한다. 케이스(140)의 내부에는 한쌍의 지지대(150)가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되는데, 도 1과 같이 지지대(150)에는 회전축(130)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지지된다.
조향축(110)의 외주면에는 조향축(110)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제 1 마그네트(161)가 고정되고, 지지대를 관통한 회전축(130)의 일단부측에는 제 2 마그네트(165)가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스(140)에는 차량의 제어부와 접속된 PCB(170)가 설치되고, PCB(170)에는 센서(175)가 설치된다. 센서(175)는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61,165)에서 발생되는 자속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데, 상기 제어부는 센서(175)에서 감지한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61,165)의 자속으로 조향축(110)의 조향에 필요한 조향토크 및 조향각을 측정한다.
즉, 센서(175)에서 감지된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61,165)의 자속을 상기 제어부가 수신하고 설정된 값과 측정된 값을 비교하여, 제 1 마그네트(161)의 자속으로부터는 조향토크를 측정하고 제 2 마그네트(165)의 자속으로부터는 조향각을 측정한다.
이때, 제 1 마그네트(161)는 2극 이상으로 마련되어 반경방향으로 착자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마그네트(165)는 상면으로 자속 방향이 결정되는 단극착자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는 하나의 센서(175)가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61,165)의 자속을 감지하여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축을 측정하므로,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공정이 간편하여 원가가 절감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를 보인 도로서, 도 1과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61,165)가 상호 인접되게 설치되므로, 제 1 마그네트(161)와 제 2 마그네트(165)의 자속이 상호 간섭을 일으켜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61,165)에서 발생되는 자속을 센서(175)가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마그네트(165)는 차폐물(180)에 의하여 실딩(Shielding)된다. 그러면, 제 1 마그네트(161)와 제 2 마그네트(165)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센서(175)는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61,165)에서 발생되는 자속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 2 마그네트(165)에서 발생되는 자속을 센서(175)가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센 서(175)와 대향하는 제 2 마그네트(165)의 부위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향축: 110
제 1 기어: 121
제 2 기어: 125
회전축: 130
제 1 마그네트: 161
제 2 마그네트: 165
센서: 175

Claims (6)

  1. 조향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1 기어;
    상기 조향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1 마그네트;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 기어;
    상기 제 2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기어와 동일하게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제 2 마그네트; 및
    상기 제 1 및 제 2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속을 각각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는 상기 센서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마그네트는 상기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마그네트는 차폐물에 의하여 실딩(Shielding)되고, 상기 센서와 대향하는 상기 제 2 마그네트의 부위는 외부로 노출된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검출한 감지한 제 1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속으로부터 조향토크를 검출하고, 상기 센서가 감지한 제 2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속으로부터 조향각을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132398A 2013-11-01 2013-11-01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 KR101411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398A KR101411599B1 (ko) 2013-11-01 2013-11-01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398A KR101411599B1 (ko) 2013-11-01 2013-11-01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649A Division KR20070121873A (ko) 2006-06-23 2006-06-23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735A KR20130133735A (ko) 2013-12-09
KR101411599B1 true KR101411599B1 (ko) 2014-06-24

Family

ID=4998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398A KR101411599B1 (ko) 2013-11-01 2013-11-01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282B1 (ko) * 2022-08-31 2023-02-21 (주)비스포크엔지니어링 인 휠 드라이브 유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811A (ja) * 1999-01-08 2000-07-28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センサ
JP2002257648A (ja) * 2001-02-28 2002-09-11 Honda Motor Co Ltd トルク検出装置及びトルク検出装置を搭載し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811A (ja) * 1999-01-08 2000-07-28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センサ
JP2002257648A (ja) * 2001-02-28 2002-09-11 Honda Motor Co Ltd トルク検出装置及びトルク検出装置を搭載し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282B1 (ko) * 2022-08-31 2023-02-21 (주)비스포크엔지니어링 인 휠 드라이브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735A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7470C (en) Power steering device
JP5580427B2 (ja) 操向トルク及び操向角測定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車両用操向装置
US20150090051A1 (en) Torque Index Sensor
WO2013140864A1 (ja) トルクセンサ
KR20120004031A (ko) 토크앵글센서
KR101650457B1 (ko)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
KR101637597B1 (ko) 자계차폐구조를 가진 토크 인덱스 센서
JP4002174B2 (ja) 磁気式舵角検出装置
KR20120069869A (ko) 토크앵글센서
KR101675531B1 (ko)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
KR101411599B1 (ko)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
JP2009192248A (ja) トルク検出装置
US20180120182A1 (en) Torque angle sensor module
JP2014066561A (ja) 回転角度・トルク検出装置
JP5852484B2 (ja) トルクセンサ
KR20070121873A (ko) 차량의 조향토크 및 조향각 검출장치
JP5948100B2 (ja) トルクセンサ
KR101628295B1 (ko) 토크센서와 조향축의 결합구조
KR20170030854A (ko) 액티브 롤 스테빌라이저 및 이의 토크 측정방법
JP4952709B2 (ja) 無人搬送車
KR20080006308A (ko) 토크 측정장치
KR101783048B1 (ko) 전기 자전거 속도 감지장치
JP5948656B2 (ja) 回転角検出装置
KR101287142B1 (ko) 차량의 파워 조향장치용 토오크 센서장치
KR101509509B1 (ko) 토크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