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711B1 - 호 시도 통지 - Google Patents

호 시도 통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711B1
KR101410711B1 KR1020127021681A KR20127021681A KR101410711B1 KR 101410711 B1 KR101410711 B1 KR 101410711B1 KR 1020127021681 A KR1020127021681 A KR 1020127021681A KR 20127021681 A KR20127021681 A KR 20127021681A KR 101410711 B1 KR101410711 B1 KR 101410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witch
call
called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2810A (ko
Inventor
토마스 소니
야나단 하리쉬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2011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95Arrangements for calling back a calling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1Call history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성공적이지 않은, 피호출 당사자에게 이루어진 모든 호 시도들을 열거하는 호출 리스트들에 관한 것이다. 실패에 대한 이유로는 무응답으로부터 범위 이탈 또는 네트워크 내의 혼잡을 들 수 있다. 호출 이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실패한 호 시도를 피호출 이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스위치는 호출 이용자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고, 호출 이용자와 피호출 이용자 사이에 통신 세션이 확립될 수 없는지를 결정하면, 스위치가 호출 이용자로의 링크를 종료하고 피호출 이용자에게 호 시도 통지를 송신한다. 피호출 이용자는 호출 이용자에 의해 행해진 호 시도, 호출 이용자의 콘텍트 상세들 및 호 시도의 실패에 대한 이유를 통지받을 것이다.

Description

호 시도 통지{CALL ATTEMPT NOTIFICATION}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실패한 호 시도에 관한 것이다.
OCB(Outgoing Call Barring)는 특정 호출 이용자로부터의 모든 호들 또는 일부 호들이 차단되는 특성이다. OCB 특성은 호출 이용자가 임의의 미지불된 비용을 지불하지 않았거나 피호출 이용자가 호출 이용자로부터의 임의의 호를 수신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스위치는 피호출 이용자의 프로파일을 체크하고, 호출 이용자로부터의 호가 피호출 이용자에 도달될 수 있는지 또는 금지되었는지를 결정한다. 호가 금지되어야 한다고 스위치가 결정하면, 호출 이용자와의 통신 링크가 깨어지고 피호출 이용자는 호출 이용자에 의해 행해진 호 시도를 알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피호출 이용자는 호출 이용자에게 호를 되돌려 줄 수 없을 것이다.
몇몇 상황에서는, 호출 이용자로부터의 호 시도가 일부 네트워크 관련 상태로 인해 실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치로부터 피호출 이용자로의 통신 링크에 대한 교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혼잡이 메모리 과부하, 프로세서 과부하, 대역폭 또는 회로 한계 등과 같은 불충분한 스위치 리소스 때문에 유발된 에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필요한 통신 세션이 호출 이용자와 피호출 이용자 사이에 확립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피호출 이용자는 호출 이용자에 의해 행해진 호 시도를 모를 것이고, 그 호가 중요한 경우에도 피호출 이용자는 호출 이용자에게 호를 되돌려주는 선택권을 갖지 못할 것이다. 예를 들면, 호출 이용자가 의료 응급에 직면하고 있고 피호출 이용자에 의해 행해진 호 시도가 금지된다면, 피호출 이용자는 호출 이용자에 의해 행해진 호 시도를 모를 것이다. 따라서, 피호출 이용자는 호출 이용자에게 호를 되돌려줄 선택권을 갖지 못하며, 호출 이용자는 제시간에 요구되는 의료 보호를 얻지 못할 수 있다.
상술한 관점에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피호출 이용자에게 실패한 호 시도를 통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통신 네트워크에서 호출 이용자에 의해 피호출 이용자에게 호 시도가 이루어진다. 호출 이용자와 피호출 이용자 사이에 통신 세션이 확립될 수 없는 경우에 스위치는 호출 이용자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고 스위치는 피호출 이용자에게 호 시도를 통지한다. 스위치는 호출 이용자의 프로파일을 체크하고, 호출 이용자와 피호출 이용자 사이에 통신 세션이 확립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통지는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한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SIP에 대한 MESSAGE 방법, PSTN-Analog에 대한 CLIP(Calling Line Identification Presentation)에 선행하는 미리 결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링잉 톤(ringing tone), PSTN-ISDN에 대한 FACILITY 메시지(DSS1) 중 적어도 하나로서 전송될 수 있다. 통지는 호출 이용자의 콘텍트 상세들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콘텍트 상세들은 호출 이용자의 콘텍트 번호, 호 시도의 시간 및 호 시도의 실패 이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호출 이용자 및 피호출 이용자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을 수 있거나, 호출 이용자 및 피호출 이용자는 다른 통신 네트워크들에 있을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네트워크,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또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중 어느 하나이다.
실시예들은 피호출 이용자에게 실패한 호 시도를 통지하기 위한 스위치를 추가적으로 개시하며, 여기에서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호 시도가 호출 이용자에 의해 피호출 이용자에게 이루어진다. 호출 이용자와 피호출 이용자 사이에 통신 세션이 확립될 수 없는 경우에 스위치는 호출 이용자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고 피호출 이용자에게 호 시도를 통지한다. 스위치는 호출 이용자의 프로파일을 체크하고, 호출 이용자와 피호출 이용자 사이에 통신 세션이 확립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스위치는 내부에 위치된 메모리와 외부에 위치된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호출 이용자의 프로파일을 취득한다. 스위치는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한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SIP에 대한 MESSAGE 방법, PSTN-Analog에 대한 CLIP(Calling Line Identification Presentation)에 선행하는 미리 결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링잉 톤, PSTN-ISDN에 대한 FACILITY 메시지(DSS1)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지를 송신한다. 호출 이용자와 피호출 이용자가 동일한 통신 네트워크에 있는 경우, 또는 호출 이용자와 피호출 이용자가 다른 통신 네트워크들에 있는 경우에 스위치가 피호출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스위치는 피호출 이용자로 전송된 통지에서 호출 이용자의 상세들을 송신한다. 본 실시예들의 이러한 양태 및 다른 양태들은 후술하는 설명과 첨부 도면과 함께 고려될 때 더욱 잘 인식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자들에게 접속된 스위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SIP 네트워크에서의 일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MN 네트워크에서의 일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호출 이용자에게 실패한 호 시도를 통지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및 피호출 이용자가 동일 SIP 네트워크에 있는 경우에 피호출 이용자에게 실패한 호 시도를 통지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이용자 및 피호출 이용자가 다른 SIP 네트워크에 있을 경우에 피호출 이용자에게 실패한 호 시도를 통지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이용자 및 피호출 이용자가 다른 PLMN 네트워크에 있을 경우에 피호출 이용자에게 실패한 호 시도를 통지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과 다양한 특징 및 유리한 그 상세들들은 첨부 도면에서 예시되고 후술하는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한정적이지 않은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보다 완전하게 설명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불필요하게 모호해지지 않도록 공지의 요소 및 처리 기술은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예들은 단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실시될 수 있는 방식의 이해를 편리하게 하고, 또한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예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피호출 이용자에게 호출 이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실패한 호 시도를 통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이하, 도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도면 전반에서 일관적으로 대응하는 특징부를 나타낸다.
도 1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자들에게 접속된 스위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용자 A(101)가 이용자 B(103)와의 통신 세션을 개시하기를 원하면, 이용자 A(101)는 스위치(102)를 통해 이용자 B(103)로 호 요청을 전송한다. 통신 네트워크 내의 스위치(102)는 네트워크 내의 이용자들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고 유지한다. 스위치(102)는 이용자 A(101)로부터 이용자 B(103)로의 호를 라우팅한다. 호 요청을 수신하면, 스위치(102)는 이용자 A(101)의 프로파일을 체크하고, 이용자 A(101)가 호를 만들도록 허용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프로파일은 이용자 A(101)의 식별의 상세들, 어드레스, 이용자 A(101)에 대해 적용되는 임의의 호출 금지에 대한 상세들, 과금 스킴, 및 이용자 A(101)의 임의의 다른 상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A(101)의 프로파일을 체크한 후에, 스위치(102)는, 이용자 A(101)로부터의 호들이 금지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용자 A(101)로부터의 호들이 금지되지 않았다면, 스위치(102)는 이용자 A(101)와 이용자 B(103) 사이에 통신 세션을 확립한다. 이용자 A(101)로부터의 호들이 금지되었다면, 스위치(102)는 이용자 A(101)와 이용자 B(103)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하지 않는다. 스위치(102)는 네트워크 관련 상태로 인해 이용자 A(101)와 이용자 B(103) 사이에 통신 세션을 확립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치(102)와 이용자 B(103) 사이의 통신은 스위치(102) 내에서 채널, 대역폭, 메모리 또는 CPU 부하와 같은 불충분한 프리 리소스(free resource)로 인해 기능하지 못할 수 있다. 이용자 A(101)와 이용자 B(103) 사이에 통신 세션이 확립되지 않으면, 이용자 A(101)에 의해 행해진 호 시도가 실패하고, 스위치(102)는 이용자 A(101)에 의해 행해진 호 시도를 나타내는 통지를 이용자 B(103)로 전송한다. 통지는 이용자 A(101)의 콘텍트 상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지는 Message Method로서 전송될 수 있고, Message Method는 이용자 A(101)의 콘텍트 번호, 호 시도의 시간 및 호 시도의 실패에 대한 이유를 포함할 수 있다. 호 시도 통지를 수신하면, 이용자 B(103)는 이용자 A(101)에게 다시 호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SIP 네트워크에서의 일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다.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이용자 A(201)가 SIP 이용자 B(203)와의 통신 세션을 개시하기를 원한다면, SIP 이용자 A(201)는 스위치(202)를 통해 SIP 이용자 B(203)로 호 요청을 전송한다. SIP 네트워크 내의 스위치(202)는 네트워크 내의 이용자들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 및 유지한다. 스위치(202)는 SIP 이용자 A(201)로부터 SIP 이용자 B(203)로의 호를 라우팅한다. 호 요청을 수신하면, 스위치(202)는 SIP 이용자 A(201)의 프로파일을 체크하고, SIP 이용자 A(201)가 호를 만들도록 허용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프로파일은 SIP 이용자 A(201)의 식별의 상세들, 어드레스, SIP 이용자 A(201)에 대해 적용되는 임의의 호출 금지에 대한 상세들, 과금 스킴, 및 SIP 이용자 A(201)의 임의의 다른 상세들을 가질 수 있다. SIP 이용자 A(201)의 프로파일을 체크한 후에, 스위치(202)는, SIP 이용자 A(201)로부터의 호들이 금지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SIP 이용자 A(201)로부터의 호들이 금지되지 않았으면, 스위치(202)는 SIP 이용자 A(201)와 SIP 이용자 B(203) 사이에 통신 세션을 확립한다. SIP 이용자 A(201)로부터의 호들이 금지되었으면, 스위치(202)는 SIP 이용자 A(201)와 SIP 이용자 B(203) 사이에 통신 세션을 확립하지 않는다. 또한, 스위치(202)는 네트워크 관련 상태들로 인해 SIP 이용자 A(201)와 SIP 이용자 B(203) 사이에 통신 세션을 확립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치(202)와 SIP 이용자 B(203) 사이의 통신 네트워크가 기능하지 않을 수 있다. 통신 세션이 SIP 이용자 A(201)와 SIP 이용자 B(203) 사이에 확립되지 않으면, SIP 이용자 A(201)에 의해 행해진 호 시도는 실패하고, 스위치(202)는 SIP 이용자 A(201)에 의해 행해진 호 시도를 나타내는 통지를 SIP 이용자 B(203)로 전송한다. 통지는 SIP 이용자 A(201)의 콘텍트 상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지는 Message Method로서 전송될 수 있고, Message Method는 SIP 이용자 A(201)의 콘텍트 번호, 호 시도의 시간 및 호 시도의 실패에 대한 이유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컨텐트는 텍스트 포맷 또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포맷으로 전송될 수 있다. 호 시도 통지를 수신하면, SIP 이용자 B(203)는 SIP 이용자 A(201)에게 다시 호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PLMN 네트워크에서의 일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다.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이용자 A(301)가 PLMN 이용자 B(303)와의 통신 세션을 개시하기를 원한다면, PLMN 이용자 A(301)는 스위치(302)를 통해 PLMN 이용자 B(303)로 호 요청을 전송한다. PLMN 네트워크 내의 스위치(302)는 네트워크 내의 이용자들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 및 유지한다. 스위치(302)는 PLMN 이용자 A(301)로부터 PLMN 이용자 B(303)로의 호를 라우팅한다. 호 요청을 수신하면, 스위치(302)는 PLMN 이용자 A(301)의 프로파일을 체크하고, PLMN 이용자 A(301)가 호를 만들도록 허용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프로파일은 PLMN 이용자 A(301)의 식별의 상세들, 어드레스, PLMN 이용자 A(301)에 대해 적용되는 임의의 호출 금지에 대한 상세들, 과금 스킴, 및 PLMN 이용자 A(301)의 임의의 다른 상세들을 가질 수 있다. PLMN 이용자 A(301)의 프로파일을 체크한 후에, 스위치(302)는, PLMN 이용자 A(301)로부터의 호들이 금지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PLMN 이용자 A(301)로부터의 호들이 금지되지 않았으면, 스위치(302)는 PLMN 이용자 A(301)와 PLMN 이용자 B(303) 사이에 통신 세션을 확립한다. PLMN 이용자 A(301)로부터의 호들이 금지되었으면, 스위치(302)는 PLMN 이용자 A(301)와 PLMN 이용자 B(303) 사이에 통신 세션을 확립하지 않는다. 또한, 스위치(302)는 네트워크 관련 상태로 인해 PLMN 이용자 A(301)와 PLMN 이용자 B(303) 사이에 통신 세션을 확립하지 못할 수 있다. 통신 세션이 PLMN 이용자 A(301)와 PLMN 이용자 B(303) 사이에 확립되지 않으면, PLMN 이용자 A(301)에 의해 행해진 호 시도는 실패하고, 스위치(302)는 PLMN 이용자 A(301)에 의해 행해진 호 시도를 나타내는 통지를 PLMN 이용자 B(303)로 전송한다. 통지는 PLMN 이용자 A(301)의 콘텍트 상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로서 전송될 수 있고, SMS는 PLMN 이용자 A(301)의 콘텍트 번호, 호 시도의 시간 및 호 시도의 실패에 대한 이유를 포함할 수 있다. 두번째 예에서, 통지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로서 전송될 수 있다. 호 시도 통지를 수신하면, PLMN 이용자 B(303)는 PLMN 이용자 A(301)에게 다시 호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스위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호출 이용자가 피호출 이용자와의 통신 세션을 개시하기를 원한다면, 호출 이용자는 스위치(102)를 통해 피호출 이용자로 호 요청을 전송한다. 스위치(102)는 네트워크에서 이용자들 사이에 통신 세션을 확립 및 유지한다. 스위치(102)는 호출 이용자로부터의 호를 피호출 이용자에게 라우팅한다. 스위치(102) 내의 프로토콜 엔진(403)은 호 요청을 수신하고, 호출 이용자가 피호출 이용자와의 통신 세션을 개시하기를 원하는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프로토콜 엔진(403)은 호 제어 엔진(402)에 호출 이용자로부터의 호 요청을 알린다. 호출 이용자로부터의 호 요청을 통지받으면, 호 제어 엔진(402)은 가입자 프로파일 엔진(404)으로부터 호출 이용자의 상세들을 취득한다. 가입자 프로파일 엔진(404)은 호출 이용자의 프로파일 상세들을 갖는다. 예를 들면, 가입자 프로파일 엔진(404)은 호출 이용자의 식별의 상세들, 어드레스, 호출 이용자에게 적용되는 임의의 호출 금지에 대한 상세들, 과금 스킴, 호출 이용자에게 주어진 특권, 가입 정보 및 호출 이용자의 임의의 다른 상세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호출 이용자의 상세들은 스위치(102) 외부에 위치된 메모리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출 이용자의 상세들은 HLR(Home Location Register)에 저장될 수 있다. 호출 이용자의 상세들이 스위치(102) 외부에 위치된 메모리에 존재한다면, 스위치(102)는 외부에 위치된 메모리로부터 상세들을 취득한다. 호출 이용자의 상세들을 취득한 후에, 호 제어 엔진(402)은, 호출 이용자와 피호출 이용자 사이에 통신 세션이 확립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호출 이용자의 상세들이 호출 이용자와 피호출 이용자 사이에 통신 세션이 확립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면, 호 제어 엔진(402)은 프로토콜 엔진(403)에게 통신 세션을 확립할 것을 지시한다. 호출 이용자로부터의 상세들이 호출 이용자로부터의 호들이 금지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면, 호 제어 엔진(402)은 프로토콜 엔진(403)에게 호출 이용자와의 통신 링크를 종료할 것을 지시한다. 또한, 프로토콜 엔진(403)은 호가 금지되었다는 것을 호출 이용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호출 이용자로부터의 호 요청는 몇몇 네트워크 관련 상태로 인해 실패할 수 있거나, 호출 이용자가 호출하기에 부족한 금액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호 제어 엔진(402)은 프로토콜 엔진(403)에게 실패한 호 시도를 나타내는 통지를 피호출 이용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프로토콜 엔진(403)에 의해 전송된 통지는 호출 이용자의 콘텍트 상세들과 호 시도의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출 이용자 및 피호출 이용자가 SIP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 프로토콜 엔진(403)은 Message Method로서 통지를 송신할 수 있고, 이용자들이 PLMN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 프로토콜 엔진(403)이 SMS로서 통지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토콜 엔진(403)은 피호출 이용자로 통지를 전송하기 전에 통지 내에 모든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401)는 스위치(102)의 기능을 제어한다.
도 5는 피호출 이용자에게 실패한 호 시도를 통지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호출 이용자가 피호출 이용자와의 통신 세션을 개시하기를 원하면, 호출 이용자는 피호출 이용자로 호 요청을 전송한다(501). 스위치(102)는 호 요청을 수신하고(502), 호출 이용자가 피호출 이용자와의 통신 세션을 개시하기를 원하는지를 결정한다. 스위치(102)는 호출 이용자의 프로파일을 체크하고, 호출 이용자와 피호출 이용자 사이에 통신 세션이 확립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503). 호출 이용자와 피호출 이용자 사이에 통신 세션이 확립될 수 있으면, 스위치(102)는 이용자들 사이에 통신 세션을 확립한다(504). 통신 세션이 호출 이용자와 피호출 이용자 사이에 확립될 수 없으면, 스위치(102)는 호출 이용자와의 링크를 종료하고(506), 또한 피호출 이용자에게 실패한 호 시도를 알리는 통지를 피호출 이용자로 전송한다(505). 호출 이용자가 호를 만들도록 허용되지 않거나 스위치(102)가 몇몇 네트워크 상태로 인해 피호출 이용자와의 통신 링크를 확립할 수 없다면, 스위치(102)가 호출 이용자와의 링크를 종료할 수 있다. 호 시도 통지를 수신하면, 피호출 이용자는 호출 이용자에게 호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방법(500)에서의 다양한 액션들은 제시된 순서대로 실행될 수 있거나, 다른 순서 또는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도 5에 기재된 일부 액션들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은, 호출 이용자 및 피호출 이용자가 동일한 SIP 네트워크에 있을 경우에 피호출 이용자에게 실패한 호 시도를 통지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SIP 이용자 A(201)가 SIP 이용자 B(203)와의 통신 세션을 개시하기를 원하면, SIP 이용자 A(201)는 스위치(202)를 통해 SIP 이용자 B(203)로 호 요청을 전송한다. 예를 들면, 호 요청는 초청 B(601) 메시지로서 전송될 수 있다. 호 요청을 수신하면, 스위치(202)는 SIP 이용자 A(201)의 프로파일을 체크하고, SIP 이용자 A(201)가 호를 만들도록 허용되는지를 결정한다. SIP 이용자 A(201)의 프로파일을 체크한 후에, 스위치(202)는, SIP 이용자 A(201)로부터의 호들이 금지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SIP 이용자 A(201)로부터의 호들이 금지되었다면, 스위치(202)는 SIP 이용자 A(201)와 SIP 이용자 B(203) 사이의 통신 세션을 확립할 수 없다. 스위치(202)는 네트워크 관련 상태로 인해 SIP 이용자 A(201)와 SIP 이용자 B(203) 사이에 통신 세션을 확립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치(202)는 SIP 이용자 B(203)에게 호 요청을 라우팅하지 못할 수 있다. SIP 이용자 A(201)와 SIP 이용자 B(203) 사이에 통신 세션이 확립되지 않으면, SIP 이용자 A(201)에 의해 행해진 호 시도는 실패하고, 스위치(202)는 SIP 이용자 A(201)에 의해 행해진 호 시도를 나타내는 통지를 SIP 이용자 B(203)로 전송한다. 통지는 SIP 이용자 A(201)의 콘텍트 상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지는 SIP MESSAGE(602)로서 전송될 수 있다. 스위치(202)로부터 통지를 수신하면, SIP 이용자 B(203)의 통신 단말은 통지의 수신을 나타내는 수신확인을 스위치(202)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수신확인은 200 OK(603) 메시지로서 전송될 수 있다. 수신확인을 수신하면, 스위치(202)는 호 시도의 실패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SIP 이용자 A(201)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스위치(202)에 의해 SIP 이용자 A(201)로 전송된 메시지는 SIP 에러 응답 코드 4XX/5XX/6XX(604)일 수 있다. 또한, 스위치(202)는 SIP 이용자 A(201)와의 링크를 종료한다.
도 7은, 호출 이용자 및 피호출 이용자가 다른 SIP 네트워크에 있을 경우에 피호출 이용자에게 실패한 호 시도를 통지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SIP 이용자 A(201)가 SIP 이용자 B(203)와의 통신 세션을 개시하기를 원하면, SIP 이용자 A(201)는 스위치 A(202)를 통해 SIP 이용자 B(203)로 호 요청을 전송한다. 예를 들면, 호 요청는 초청 B(701) 메시지로서 전송될 수 있다. 호 요청을 수신하면, 스위치 A(202)는 SIP 이용자 A(201)의 프로파일을 체크하고, SIP 이용자 A(201)가 호를 만들도록 허용되는지를 결정한다. SIP 이용자 A(201)의 프로파일을 체크한 후에, 스위치 A(202)는, SIP 이용자 A(201)로부터의 호들이 금지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SIP 이용자 A(201)로부터의 호들이 금지되었다면, 스위치 A(202)는 SIP 이용자 A(201)와 SIP 이용자 B(203) 사이에 통신 세션을 확립하지 않는다. 스위치 A(202)는 네트워크 관련 상태로 인해 SIP 이용자 A(201)와 SIP 이용자 B(203) 사이에 통신 세션을 확립하지 못할 수도 있다. 통신 세션이 SIP 이용자 A(201)와 SIP 이용자 B(203) 사이에 확립되지 않으면, SIP 이용자 A(201)에 의해 행해진 호 시도는 실패하고, 스위치 A(202)는 SIP 이용자 A(201)에 의해 행해진 호 시도를 나타내는 통지를 스위치 B(202)를 통해 SIP 이용자 B(203)로 전송한다. 통지는 SIP 이용자 A(201)의 콘텍트 상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지는 SIP MESSAGE(702)로서 전송될 수 있다. 통지를 수신하면, 스위치 B(202)는 메시지를 SIP 이용자 B(203)에게 라우팅한다. 예를 들면, 스위치 B(202)에 의해 전송된 통지는 SIP MESSAGE(703)로서 전송될 수 있다.
통지를 수신하면, SIP 이용자 B(203)의 통신 단말은 통지의 수신을 나타내는 수신확인을 스위치 B(202)를 통해 스위치 A(202)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SIP 이용자 B(203)에 의해 스위치 B(202)로 전송된 수신확인은 200 OK(704)로서 전송될 수 있고, 스위치 B(202)에 의해 스위치 A(202)로 전송된 수신확인은 200 OK(705) 메시지로서 전송될 수 있다. 수신확인을 수신하면, 스위치 A(202)는 호 시도의 실패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SIP 이용자 A(201)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스위치 A(202)에 의해 SIP 이용자 A(201)로 전송되는 메시지는 SIP 에러 코드 4XX/5XX/6XX(706)일 수 있다. 또한, 스위치 A(202)는 SIP 이용자 A(201)와의 링크를 종료한다.
도 8은, 호출 이용자와 피호출 이용자가 다른 PLMN 네트워크에 있을 경우에 피호출 이용자에게 실패한 호 시도를 통지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PLMN 이용자 A(301)가 PLMN 이용자 B(303)와의 통신 세션을 개시하기를 원하면, PLMN 이용자 A(301)는 스위치 A(302)를 통해 PLMN 이용자 B(303)로 호 요청을 전송한다. 호 요청을 수신하면, 스위치 A(302)는 PLMN 이용자 A(301)의 프로파일을 체크하고, PLMN 이용자 A(301)가 호를 만들도록 허용되는지를 결정한다. PLMN 이용자 A(301)의 프로파일을 체크한 후에, 스위치 A(302)는, PLMN 이용자 A(301)로부터의 호들이 금지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PLMN 이용자 A(301)로부터의 호들이 금지되었으면, 스위치 A(302)는 PLMN 이용자 A(301)와 PLMN 이용자 B(303) 사이에 통신 세션을 확립하지 않는다. 또한 스위치 A(302)는 네트워크 관련 상태로 인해 PLMN 이용자 A(301)와 PLMN 이용자 B(303) 사이에 통신 세션을 확립하지 못할 수도 있다. PLMN 이용자 A(301)와 PLMN 이용자 B(303) 사이에 통신 세션이 확립되지 않으면, PLMN 이용자 A(301)에 의해 행해진 호 시도는 실패하고, 스위치 A(302)는 PLMN 이용자 A(301)에 의해 행해진 호 시도를 나타내는 통지를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A(801), SMSC B(801) 및 스위치 B(302)를 통해 PLMN 이용자 B(303)로 전송한다. 통지는 PLMN 이용자 A(301)의 콘텍트 상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지는 SM(Short Message)로서 전송될 수 있고 SMSC A(801)로 전송된 메시지는 MO(Mobile Originating) 포워드(802) 메시지일 수 있다. SMSC A(801)는 스위치(302)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착신지로 라우팅한다. 통신 링크가 확립될 수 없으면, SMSC A(801)는 메시지를 저장하고, 통신 링크가 착신지와 확립될 수 있을 때 그 메시지를 착신지로 포워딩한다.
메시지를 수신하면, SMSC A(801)는 메시지의 수신을 나타내는 수신확인을 스위치(302)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SMSC A(801)에 의해 스위치 A(302)로 전송된 수신확인은 MO 포워드 SM-ACK(803) 메시지일 수 있다. 그리고, SMSC A(801)는 PLMN 이용자 B(303)로 메시지를 라우팅하라는 정보를 요구하는 조회를 PLMN 이용자 B(303)의 네트워크 내의 SMSC B(801)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송신된 조회는 서비스 라우팅(804) 메시지일 수 있다. SMSC B(801)는 필요한 라우팅 정보를 SMSC A(801)로 전송함으로써 그 조회에 응답한다. 예를 들면, 정보는 SRI(Service Routing Information)-ACK(805) 메시지로서 전송될 수 있다.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면, SMSC A(801)는 수신된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SM를 SMSC B(801)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SM는 MT(Mobile Terminating) 포워드(806) 메시지를 이용하여 SMSC B(801)로 전송될 수 있다. 그 후, SMSC B(801)는 스위치 B(302)를 통해 PLMN 이용자 B(303)로 SM를 전송한다. 예를 들면, 스위치(302)로 전송된 메시지는 MT 포워드(807) 메시지일 수 있고, 스위치 B(302)로부터 PLMN 이용자 B(303)로 전송된 메시지는 SM(808) 신호일 수 있다. PLMN 이용자 B(303)의 통신 단말은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을 확인하는 수신확인을 스위치 B(302)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PLMN 이용자 B(303)의 통신 단말로부터 스위치 B(302)로 전송된 수신확인은 전달(Delivery) ACK(809) 메시지일 수 있다. 그 후에, 스위치 B(302)는 SMSC B(801)를 통해 SMSC A(801)로 수신확인을 포워딩한다. 예를 들면, 스위치 B(302)에 의해 SMSC B(801)로 전송된 수신확인은 MT 포워드 SM-ACK(8010) 메시지일 수 있고, SMSC B(801)에 의해 SMSC A(801)로 전송된 수신확인은 MT 포워드 SM-ACK(8011) 메시지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호출 이용자 및 피호출 이용자는 동일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있을 수 있거나, 호출 이용자 및 피호출 이용자는 다른 PSTN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피호출 이용자가 Analog PSTN 이용자이면, 통지는 미리 결정된 구간 동안 링잉 전류에 따라 FSK(Frequency Shift Keying) 송신을 통해 피호출 이용자의 통신 단말로 CLIP-A(Calling Line Presentation-Analog)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피호출 이용자가 ISDN PSTN 이용자이면, 통지는 피호출 이용자의 통신 단말로 DSS1 FACILITY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호출 이용자 및 피호출 이용자가 다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네트워크에 있는 경우에, 통지는 CCS7(Common Channel Signaling 7) 프로토콜(SCCP-TCAP 메시지)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고 네트워크 요소들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관리 기능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 요소들은 하드웨어 디바이스 또는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는 블록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피호출 이용자에게 호출 이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실패한 호 시도를 통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특정한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서버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적절한 프로그래밍가능한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때, 보호 범위는 이러한 프로그램으로 확장되며, 그 내부에 메시지를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수단에 추가하여,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수단은 본 방법의 하나 이상의 단계들의 구현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방법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VHDL(Very high speed integrated circuit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로 기재된 코드 또는 임의의 다른 코딩 언어를 통해 또는 이와 함께 구현되거나, 하나 이상의 VHDL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몇몇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구현된다. 하드웨어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서버 또는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임의의 종류의 컴퓨터, 또는 예를 들면, 하나의 프로세서와 2개의 FPGA와 같은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여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ASIC와 같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수단, 또는 예를 들면, ASIC와 FPGA와 같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수단의 조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그 내부에 위치된 소프트웨어 모듈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일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은 순수한 하드웨어, 또는 일부의 하드웨어와 일부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복수의 CPU들을 이용하여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들 상에 구현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의 상술한 설명은, 다른이들이 현재의 지식을 응용함으로써 본질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도 이러한 특정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수정하고/수정하거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개조할 수 있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의 일반적인 속성을 매우 충분하게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러한 개조 및 수정은 개시된 실시예들의 등가물의 의미와 범위 내에 드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그렇게 의도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채용된 표현 또는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청구항들의 사상 및 범위 내의 수정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101: 이용자 A 103: 이용자 B
201: SIP 이용자 A 202, 302: 스위치
203: SIP 이용자 B 301: PLMN 이용자 A
303: PLMN 이용자 B 402: 호 제어 엔진
403: 프로토콜 엔진

Claims (14)

  1. 피호출 이용자 B(203)에게 실패한 호 시도를 통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호 시도는 발신 통신 네트워크 내의 호출 이용자 A(201)에 의해 착신 통신 네트워크(terminating communication network) B(202) 내의 상기 피호출 이용자 B(203)에게 행해지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
    발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스위치 A(202)가 상기 호출 이용자 A(201)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치 A(202)가 상기 호출 이용자 A(201)의 호들이 금지되었는지, 또는 네트워크 관련 상태들로 인해 확립될 수 없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 A(202)가 상기 호출 이용자의 호들이 금지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관련 상태들로 인해 확립될 수 없다고 결정한 경우에, 상기 스위치 A(202)가 상기 피호출 이용자 B(203)에게 상기 호 시도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A(202)는 상기 호출 이용자의 프로파일을 체크하고, 상기 호출 이용자 A(201)와 상기 피호출 이용자 B(203) 사이에 통신 세션이 확립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통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SSAGE 방법;
    DSS1(Digital Subscriber Signaling System No.1) FACILITY 방법; 및
    CLIP(Calling Line Identification Presentation)에 선행하는 미리 결정된 시간의 지속기간 동안의 링잉 톤 중 적어도 하나로서 전송되는, 통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상기 호출 이용자 A(201)의 콘텍트 상세들(details)을 포함하고, 상기 콘텍트 상세들은,
    상기 호출 이용자의 콘텍트 번호;
    상기 호 시도의 시간; 및
    상기 호 시도의 실패에 대한 원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지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이용자 및 상기 피호출 이용자는 동일한 통신 네트워크에 있는, 통지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이용자 및 상기 피호출 이용자는 다른 통신 네트워크들에 있는, 통지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통신 네트워크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네트워크;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또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중 어느 하나인, 통지 방법.
  8. 피호출 이용자 B(203)에게 실패한 호 시도를 통지하기 위한 스위치 A(202)로서, 상기 호 시도는 발신 통신 네트워크 내의 호출 이용자 A(201)에 의해 착신 통신 네트워크 B(202) 내의 상기 피호출 이용자에게 행해지는, 상기 스위치 A(202)에 있어서,
    상기 호출 이용자 A(201)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호출 이용자 A(201)의 호들이 금지되는지, 또는 네트워크 관련 상태들로 인해 확립될 수 없는지를 결정하고,
    통신 세션이 상기 호출 이용자와 상기 피호출 이용자 사이에 확립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피호출 이용자 B(203)에게 상기 호 시도를 통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포함하는, 스위치 A(202).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A(202)는 상기 호출 이용자의 프로파일을 체크하고, 상기 호출 이용자 A(201)와 상기 피호출 이용자 B(203) 사이에 통신 세션이 확립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A(202).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A(202)는:
    내부에 위치된 메모리(304); 및
    외부에 위치된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호출 이용자 A(201)의 프로파일을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A(202).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A(202)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SSAGE 방법(SIP);
    DSS1(Digital Subscriber Signaling System No.1) FACILITY 방법; 및
    CLIP(Calling Line Identification Presentation)에 선행하는 미리 결정된 시간의 지속기간 동안의 링잉 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통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A(202).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A(202)는 상기 피호출 이용자로 전송된 상기 통지 내에 상기 호출 이용자의 상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A(202).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A(202)는 상기 호출 이용자 및 상기 피호출 이용자가 동일한 통신 네트워크에 있을 경우에, 상기 피호출 이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A(202).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A(202)는 상기 호출 이용자 A(201) 및 상기 피호출 이용자 B(203)가 다른 통신 네트워크들에 있을 경우에, 상기 피호출 이용자 B(203)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A(202).
KR1020127021681A 2010-02-22 2010-02-22 호 시도 통지 KR101410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0/000623 WO2011101700A1 (en) 2010-02-22 2010-02-22 Call attempt notif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810A KR20120112810A (ko) 2012-10-11
KR101410711B1 true KR101410711B1 (ko) 2014-06-24

Family

ID=4301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681A KR101410711B1 (ko) 2010-02-22 2010-02-22 호 시도 통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045723A1 (ko)
EP (1) EP2540067A1 (ko)
JP (1) JP5749746B2 (ko)
KR (1) KR101410711B1 (ko)
CN (1) CN102771107A (ko)
TW (1) TW201203999A (ko)
WO (1) WO20111017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6134B2 (en) 2009-09-30 2014-01-07 8631654 Canada Inc. Method and system for passing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during overload
CN110225559B (zh) * 2019-05-20 2022-05-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通话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891058B (zh) * 2019-11-26 2022-02-18 深圳震有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sip协议实现通话的方法、智能终端及储存介质
US11683411B1 (en) * 2020-03-06 2023-06-20 Noble Systems Corporation Processing blocked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calls in a contact center call handler
CN114051070B (zh) * 2022-01-11 2023-03-07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来电通知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8234A (ja) * 2002-05-27 2003-12-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話端末使用規制システム、方法および電話端末使用条件監視サーバ
US6826397B1 (en) * 1999-08-20 2004-11-30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to notify subscribers of call terminating treatme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0696C2 (sv) * 1996-06-27 2003-08-12 Ericsson Telefon Ab L M Sätt att alstra textmeddelande med en anropande parts telefonnummer och namninformation och överföra detta till en anropad mobilstation
US7212543B1 (en) * 1998-10-12 2007-05-01 Teliasonera Ab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 networks
KR100401702B1 (ko) * 2001-09-12 2003-10-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번호 이력 제공 장치
US20050047561A1 (en) * 2003-08-27 2005-03-03 Frank Seiferth Advanced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missed mobile calls
JP2005244421A (ja) * 2004-02-25 2005-09-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サービス提供方法、発信頻度測定式発信元規制装置、および発信頻度測定式発信元規制プログラム
CN101247632B (zh) * 2007-02-13 2013-01-30 华为技术有限公司 在通信系统中应用ims通信业务标识的方法、系统及装置
JP2010016906A (ja) * 2009-10-21 2010-01-21 Kazuhiro Yamamoto 迷惑電話防止システム
US8401545B2 (en) * 2010-03-18 2013-03-19 On-Q Telecom Systems Co., Inc. Dropped call re-establishment system with inter-network capabili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6397B1 (en) * 1999-08-20 2004-11-30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to notify subscribers of call terminating treatment
JP2003348234A (ja) * 2002-05-27 2003-12-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話端末使用規制システム、方法および電話端末使用条件監視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71107A (zh) 2012-11-07
JP2013520903A (ja) 2013-06-06
WO2011101700A1 (en) 2011-08-25
JP5749746B2 (ja) 2015-07-15
TW201203999A (en) 2012-01-16
EP2540067A1 (en) 2013-01-02
US20130045723A1 (en) 2013-02-21
KR20120112810A (ko)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8155B1 (en) Network-assisted automatic confirmation of short message service delivery
US8374323B2 (en) Availability notification system with inter-network capabilities
US8909266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short message service (SMS) forwarding
KR101410711B1 (ko) 호 시도 통지
US6473422B2 (en)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for screening incoming circuit switched calls
JP2018512022A (ja) メッセージングゲートウェイに関する改善
US87436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S termination overload protection
KR100882941B1 (ko) 아웃 바운드 로밍 이동 단말기에 대한 등기 문자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5382379B2 (ja) Smsトランスポートリソースコントロール
KR20070000752A (ko) 이동전화 교환국에서의 단문메시지 유실 방지 방법
KR100936887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814248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개별통화 수신거부 시스템 및 방법
KR101051021B1 (ko) 착신 이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71310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업로딩/다운로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61080B1 (ko) 국제로밍차단 가입자에 대한 안내 문자 또는 재난 문자를 전송하는 관문 위치 등록기 및 방법
KR101655460B1 (ko) 착신전환 방법
KR100637535B1 (ko) 불완료 단문메시지 전송 방법
KR101717977B1 (ko) 단문메시지의 부가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6736B1 (ko)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31786A (ko) 착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765971B1 (ko) 수신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수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1054085B1 (ko) 메시지 읽음 확인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KR101136042B1 (ko) 만료시간이 설정된 메시지의 전송 방법
JP2013093773A (ja) 回線リソース管理サーバ、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20150041991A (ko) 착신망의 호 처리 기능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