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336B1 -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 - Google Patents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336B1
KR101410336B1 KR1020130027845A KR20130027845A KR101410336B1 KR 101410336 B1 KR101410336 B1 KR 101410336B1 KR 1020130027845 A KR1020130027845 A KR 1020130027845A KR 20130027845 A KR20130027845 A KR 20130027845A KR 101410336 B1 KR101410336 B1 KR 101410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vinyl
winding roller
main body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법용
Original Assignee
이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법용 filed Critical 이법용
Priority to KR1020130027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23Packaging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달임 및 포장을 하는 농축액 포장기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내부에 농축액이 수용되는 달임용기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제1파우치비닐이 권취된 제1권취롤러와; 상기 제1권취롤러와 회전축이 다른 방향으로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제2파우치비닐이 권취된 제2권취롤러와; 상기 제1권취롤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권취롤러에서 인출되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의 인출 방향을 상기 제1권취롤러에서 인출되는 상기 제1파우치비닐의 인출 방향과 동일하게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재와; 상기 달임용기에 수용된 농축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제1권취롤러와 제2권취롤러에서 인출된 상기 제1파우치비닐과 제2파우치비닐을 상호 접착시키고, 그 내부에 상기 배출관의 타단으로부터 배출된 농축액을 담아 파우치팩을 형성하는 포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포장부는 상기 제1권취롤러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방향전환부재에 의해 상기 제1파우치비닐과 제2파우치비닐은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된 후, 상기 배출관의 타단을 중심으로 상기 포장부의 양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 { COMPACT TYPE CONCENTRATE PACKING MACHINE }
본 발명은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달임 및 포장을 하는 농축액 포장기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약의 약재로 이용되는 약재 중 인삼의 효능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바, 이 인삼 중, 홍삼은 6년근 수삼을 정선하여 증숙 건조시켜 인체에 흡수가 잘되도록 제조한 인삼으로서, 그 제조과정에서 약리활성 성분의 파괴를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최근에는 이 홍삼의 약리성분의 파괴를 방지한 상태로 농축액을 추출하여 먹기 편하게 포장팩 즉 파우치팩에 담아 상품화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농축액 추출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농축액 추출기(1)는, 농축액(3)이 수용되는 달임용기(2)와, 파우치비닐이 권취된 권취롤러(5)와, 파우치비닐을 접착시키고 그 내부에 농축액을 담아 포장하는 포장부(4)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권취롤러(5)는 2개로 이루어져 본체의 외부에서 장착되어 있고,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파우치비닐이 권취된 권취롤러(5)가 차지하는 공간이 크게 되고, 이로 인해 농축액 추출기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농축액 추출기는 달임 및 포장만을 할 뿐, 홍삼 등을 직접적으로 제조하는 기능이 없어 별도의 홍삼 제조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224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827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농축액 추출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하면서 달임 및 포장이 가능하고, 뿐만 아니라 수삼 또는 건삼을 증숙, 건조시켜 홍삼을 제조한 후 농축액으로 달여 추출할 수 있는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내부에 농축액이 수용되는 달임용기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제1파우치비닐이 권취된 제1권취롤러와; 상기 제1권취롤러와 회전축이 다른 방향으로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제2파우치비닐이 권취된 제2권취롤러와; 상기 제1권취롤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권취롤러에서 인출되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의 인출 방향을 상기 제1권취롤러에서 인출되는 상기 제1파우치비닐의 인출 방향과 동일하게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재와; 상기 달임용기에 수용된 농축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제1권취롤러와 제2권취롤러에서 인출된 상기 제1파우치비닐과 제2파우치비닐을 상호 접착시키고, 그 내부에 상기 배출관의 타단으로부터 배출된 농축액을 담아 파우치팩을 형성하는 포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향전환부재에 의해 인출방향이 전환된 상기 제2파우치비닐과 상기 제1권취롤러에서 인출되는 상기 제1파우치비닐은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된 후, 상기 배출관의 타단을 중심으로 상기 포장부의 양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권취롤러의 회전축과 상기 제2권취롤러의 회전축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호 수직으로 배치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1권취롤러 및 포장부가 장착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2권취롤러가 장착되는 제2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판에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이 상기 제1권취롤러의 상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방향전환부재는 상기 관통공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제1지지판에 장착되되,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제2파우치비닐은 상기 방향전환부재에 의해 상기 제1파우치비닐의 인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변환된다.
상기 방향전환부재는, 일측에 경사모서리가 형성된 변환부와; 상기 경사모서리가 상기 본체에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게 상기 변환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파우치비닐은 상기 경사모서리에 접하여 그 방향이 전환된다.
상기 경사모서리에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의 이동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동하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과 접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파우치비닐은 상기 절곡부에 접하여 상하방향으로 그 인출 높이가 변경되면서 동시에 그 방향도 전환된다.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과의 사이에 접촉에 따른 마찰력이 작은 필름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변환부에는 상기 경사모서리에 이웃한 모서리에서 상기 절곡부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보강부가 형성되되, 상기 보강부는 일측면이 상기 본체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건조실에 수평방향으로 인출되게 장착된 선반과; 상기 건조실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실 내부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램프와; 상기 건조실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선반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건조공이 관통 형성되고 다수개의 이격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격부의 상면은 상기 건조공이 형성된 상기 선반의 하면보다 높다.
상기 이격부는 상기 선반의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건조공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건조공을 측방향으로 개방 형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에 따르면, 제1권취롤러와 제2권취롤러가 상호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고, 방향전환부재에 의해 파우치비닐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파우치비닐을 본체의 내부에 수용하면서 동시에 농축액 추출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달임 및 포장 뿐만 아니라, 수삼 또는 건삼을 증숙, 건조시켜 홍삼을 제조한 후 농축액을 달여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의 정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의 측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재를 이용한 파우치비닐의 방향전환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조도,
도 6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농축액 포장기의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의 정면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의 측면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재를 이용한 파우치비닐의 방향전환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6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는, 본체(10)와, 달임용기(20)와, 제1권취롤러(31)와, 제2권취롤러(32)와, 방향전환부재(40)와, 배출관(50)과, 포장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대략 6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달임용기(20)가 장착되며, 내부에는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제1권취롤러(31) 및 포장부(60)가 장착되는 제1지지판(11)과, 상기 제2권취롤러(32)가 장착되는 제2지지판(1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판(11)과 제2지지판(12)은 상호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판(11)에는 상기 제2권취롤러(32)에 권취되어 있는 제2파우치비닐(92)이 인출되는 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13)은 상기 제1관취롤러의 상부에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 1에는 상기 제1권취롤러(31)와 제2권취롤러(32)가 외부로 노출되게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덮개를 장착하여 상기 제1권취롤러(31)와 제2권취롤러(3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달임용기(20)는 유리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수삼, 건삼 등을 넣어 증숙을 하고, 홍삼을 넣어 가열 달임함으로써 홍삼농축액을 추출하여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달임용기(20)는 상부가 커버 등에 의해 개폐되며, 하부에는 상기 배출관(5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달임용기(20)의 하부에는 히터가 배치되어 상기 달임용기(20) 내부에 수용된 농축액을 가열한다.
상기 제1권취롤러(31)는 상기 본체(10)의 상기 제1지지판(11)에 장착되고, 제1파우치비닐(91)이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다.
상기 제2권취롤러(32)는 상기 본체(10)의 상기 제2지지판(12)에 장착되고, 제2파우치비닐(92)이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다.
상기 제2권취롤러(32)는 그 회전축이 상기 제1권취롤러(31)의 회전축과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게 상기 본체(10)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권취롤러(31)의 회전축과 상기 제2권취롤러(32)의 회전축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호 수직으로 배치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권취롤러(31)와 제2권취롤러(32)가 상부에서 보았을 때 동일한 방향이 아닌 상호 수직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파우치비닐(91)과 제2파우치비닐(92)을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다른 방향의 공간에 수용할 수 있어, 파우치비닐을 안전하게 보관하면서 전체적으로 농축액 포장기의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권취롤러(31)와 제2권취롤러(32)가 종래의 일반적인 농축액 포장기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제1파우치비닐(91) 및 제2파우치비닐(92)이 동일한 방향의 공간에 수용되어야 하는바,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전체적으로 농축액 포장기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권취롤러(31)와 제2권취롤러(32)가 상부에서 보았을 때 동일한 방향이 아닌 상호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바, 상기 제1파우치비닐(91)과 제2파우치비닐(92)이 상기 본체(10) 내부에 안전하게 배치되면서 서로 다른 공간에 수용될 수 있어, 농축액 포장기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권취롤러(32)에 감겨져 있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92)은 상기 제1지지판(11)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13)을 통해 상기 제1권취롤러(31)의 상부로 인출된다.
상기 방향전환부재(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권취롤러(32)로부터 상기 관통공(13)을 통해 인출되어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92)의 인출 방향을 상기 제1권취롤러(31)에서 인출되는 상기 제1파우치비닐(91)의 인출 방향과 동일하게 전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권취롤러(3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10)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방향전환부재(40)에 의해 상기 제2파우치비닐(92)의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파우치비닐(91)과 제2파우치비닐(92)은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된 후, 상기 배출관(50)의 타단을 중심으로 상기 포장부(60)의 양측으로 인입되게 된다.
즉, 상기 방향전환부재(40)에 의해 인출방향이 전환된 상기 제2파우치비닐(92)과, 상기 제1권취롤러(31)에서 인출되는 상기 제1파우치비닐(91)은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된 후, 상기 배출관(50)의 타단을 중심으로 상기 포장부(60)의 양측으로 인입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전환부재(40)는 상기 관통공(13)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제1지지판(11)에 장착되고, 상기 관통공(13)을 관통한 상기 제2파우치비닐(92)은 상기 방향전환부재(40)에 의해 상기 제1파우치비닐(91)의 인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변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향전환부재(40)가 상기 관통공(13)의 상부에서 상기 제1지지판(11)에 장착되도록 하였다.
상기 방향전환부재(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부(41)와 고정부(43)로 이루어진다.
상기 변환부(41)는 일측에 경사모서리(42)가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변환부(41)는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43)는 상기 변환부(41)를 상기 본체(10)에 고정 결합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변환부(4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43)에 의해 상기 경사모서리(42)는 상기 본체(10)에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배치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모서리(42)는 약 45도 정도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위와 같은 상기 방향전환부재(40)에 의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3)을 관통한 상기 제2파우치비닐(92)은 상기 경사모서리(42)를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접하여서 휘어져 그 방향이 대략 90도 전환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재(40)는 상기 경사모서리(42)에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92)의 이동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동하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92)과 접하는 절곡부(44)가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곡부(44)는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44)에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92)과의 사이에 접촉에 따른 마찰력이 작은 필름(46)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절곡부(44)에 접하면서 이동하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92)은 상기 절곡부(44)에 접하여 상하방향으로 그 인출 높이가 변경되면서 동시에 그 방향도 전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환부(41)에는 상기 경사모서리(42)에 이웃한 모서리에서 상기 절곡부(44)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보강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45)는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부(45)는 일측면이 상기 본체(10)에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방향전환부재(40)는 상기 고정부(43)와 보강부(45)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제1지지판(11)에 견고하게 고정결합되고, 상기 경사모서리(42) 및 절곡부(44)를 통해 상기 제2파우치비닐(92)의 인출방향을 90도 방향으로 전환시켜 상기 제1파우치비닐(91)과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관(50)은 일단이 상기 달임용기(2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달임용기(20)에 수용된 농축액을 타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포장부(60)는 상기 본체(10)의 제1지지판(11)에 장착되어, 상기 제1권취롤러(31)와 제2권취롤러(32)에서 인출된 상기 제1파우치비닐(91)과 제2파우치비닐(92)을 상호 접착시키고, 그 내부에 상기 배출관(50)의 타단으로부터 배출된 농축액을 담아 파우치팩을 형성한다.
상기 포장부(60)는 상기 제1권취롤러(31)의 측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상기 포장부(60)의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일반적인 구성부품과 동일한 바, 자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부(60)의 상부에는 상기 방향전환부재(40)에 의해 그 방향이 90도 변환된 상기 제1파우치비닐(91)을 하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농축액 추출기는, 건삼 또는 수삼 등을 건조하여 홍삼을 제조하기 위해, 건조실(15), 선반(70), 적외선램프(80), 팬(85)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건조실(15)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반(70)은 상기 건조실(15)에 수평방향으로 인출되게 장착된다.
상기 적외선램프(80)는 상기 건조실(15)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실(15) 내부에 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증숙된 건삼 또는 수삼이 건조되어 홍삼이 되도록 한다.
상기 팬(85)은 상기 건조실(15)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실(15) 내부의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선반(70)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건조공(7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선반(70)의 상면에 놓인 증숙된 수삼 등의 하부에도 공기가 순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선반(70)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이격부(7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격부(72)의 상면은 상기 건조공(71)이 형성된 상기 선반(70)의 하면보다 높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건조공(71)의 상부에 상기 증숙된 수삼 등이 놓여도 상기 이격부(72)가 상기 수삼 등을 지지하는바, 상기 건조공(71)의 상부가 수삼 등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수삼 등의 하부로 공기가 잘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72)는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선반(70)의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건조공(71)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건조공(71)을 측방향으로 개방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상기 이격부(72)의 형상에 의해, 상기 이격부(72)의 상부에 상기 수삼 등이 놓여도 상기 건조공(71)은 상부가 막히지 않으면서, 하부 및 측방향으로 개방 연통된 구멍을 통해 공기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삼 등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보다 잘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농축액 포장기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상기 제1권취롤러(31) 및 제2권취롤러(32)에 각각 상기 제1파우치비닐(91)과 제2파우치비닐(92)을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제1권취롤러(31)와 제2권취롤러(32)는 서로 동일한 방향이 아닌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바, 상기 제1파우치비닐(91)과 상기 제2파우치비닐(92)은 상기 본체(10)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 서로 다른 공간에 삽입 배치되게 된다.
상기 제1권취롤러(31)에 장착된 상기 제1파우치비닐(91)의 일단을 상기 포장부(60)의 우측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포장부(60)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제1파우치비닐(91)은 파우치팩을 형성하는 내측면이 상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권취롤러(32)에 장착된 상기 제2파우치비닐(9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3)을 관통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모서리(42) 및 절곡부(44)에 접하면서 그 방향이 90도 전환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파우치비닐(91)의 인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파우치비닐(92)은 내측면이 상기 관통공(13)을 관통한 상태에서는 상부를 향하고 있다가, 상기 방향전환부재(4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면서 하부를 향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제2파우치비닐(92)은 상기 가이드롤러에 의해 하방향으로 방향이 전된 후 상기 포장부(60)의 좌측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포장부(60)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92)은 상기 방향전환부재(40) 및 상기 가이드롤러에 의해 상기 파우치팩을 형성하는 내측면이 상방향으로 배치되게 된다.
상기 달임용기(20)에 수용된 홍삼 등의 농축액을 상기 배출관(50)을 통해 배출시키게 되면, 상기 포장부(60)는 상기 제1파우치비닐(91)과 제2파우치비닐(92)의 상호 접착시키면서 그 내부에 상기 농축액이 수용되도록 하여, 파우치팩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포장부(60)에 의해 제조된 파우치팩은 상기 포장부(60)의 하부에 위치한 경사가이드판을 타고 내려가게 되어 파우치팩이 상기 포장부(60)의 하부에서 적층되어 정체됨이 없이 계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증숙된 수삼 등을 건조시켜 홍삼으로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선반(70)을 상기 본체(10)의 건조실(15)로부터 인출시킨다.
그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삼을 상기 선반(70)의 하면에 올려 놓는다.
이때, 상기 수삼은 상기 이격부(72)에 의해 상기 건조공(71)을 덮지 않고, 상기 선반(70)의 하면과 이격되게 되어, 상기 수삼의 하부는 상기 건조공(71)을 통해 하부로 유입된 공기가 순환될 수 있게 된다.
수삼이 올려진 상기 선반(70)을 상기 건조실(15)에 삽입한 후, 상기 적외선램프(80)와 팬(85)을 작동시켜 상기 수삼을 건조하여 홍삼을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삼의 하면은 상기 선반(70)의 하면과 이격되어 있는바, 상기 수삼은 전체적으로 공기가 순환되어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인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본체, 11 : 제1지지판, 12 : 제2지지판, 13 : 관통공, 15 : 건조실,
20 : 달임용기,
31 : 제1권취롤러, 32 : 제2권취롤러
40 : 방향전환부재, 41 : 변환부, 42 : 경사모서리, 43 : 고정부, 44 : 절곡부, 45 : 보강부, 46 : 필름,
50 : 배출관,
60 : 포장부,
70 : 선반, 71 : 건조공, 72 : 이격부,
80 : 적외선램프, 85 : 팬,
91 : 제1파우치비닐, 92 : 제2파우치비닐,

Claims (9)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내부에 농축액이 수용되는 달임용기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제1파우치비닐이 권취된 제1권취롤러와;
    상기 제1권취롤러와 회전축이 다른 방향으로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제2파우치비닐이 권취된 제2권취롤러와;
    상기 제1권취롤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권취롤러에서 인출되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의 인출 방향을 상기 제1권취롤러에서 인출되는 상기 제1파우치비닐의 인출 방향과 동일하게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재와;
    상기 달임용기에 수용된 농축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제1권취롤러와 제2권취롤러에서 인출된 상기 제1파우치비닐과 제2파우치비닐을 상호 접착시키고, 그 내부에 상기 배출관의 타단으로부터 배출된 농축액을 담아 파우치팩을 형성하는 포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포장부는 상기 제1권취롤러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방향전환부재에 의해 인출방향이 전환된 상기 제2파우치비닐과 상기 제1권취롤러에서 인출되는 상기 제1파우치비닐은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된 후, 상기 배출관의 타단을 중심으로 상기 포장부의 양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권취롤러의 회전축과 상기 제2권취롤러의 회전축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호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1권취롤러 및 포장부가 장착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2권취롤러가 장착되는 제2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판에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이 상기 제1권취롤러의 상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방향전환부재는 상기 관통공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제1지지판에 장착되되,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제2파우치비닐은 상기 방향전환부재에 의해 상기 제1파우치비닐의 인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
  4.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재는,
    일측에 경사모서리가 형성된 변환부와;
    상기 경사모서리가 상기 본체에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게 상기 변환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파우치비닐은 상기 경사모서리에 접하여 그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경사모서리에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의 이동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동하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과 접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파우치비닐은 상기 절곡부에 접하여 상하방향으로 그 인출 높이가 변경되면서 동시에 그 방향도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제2파우치비닐과의 사이에 접촉에 따른 마찰력이 작은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
  7.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에는 상기 경사모서리에 이웃한 모서리에서 상기 절곡부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보강부가 형성되되,
    상기 보강부는 일측면이 상기 본체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건조실에 수평방향으로 인출되게 장착된 선반과;
    상기 건조실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실 내부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램프와;
    상기 건조실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선반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건조공이 관통 형성되고 다수개의 이격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격부의 상면은 상기 건조공이 형성된 상기 선반의 하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상기 선반의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건조공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건조공을 측방향으로 개방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
KR1020130027845A 2013-03-15 2013-03-15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 KR10141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845A KR101410336B1 (ko) 2013-03-15 2013-03-15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845A KR101410336B1 (ko) 2013-03-15 2013-03-15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336B1 true KR101410336B1 (ko) 2014-06-24

Family

ID=51133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845A KR101410336B1 (ko) 2013-03-15 2013-03-15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3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2504A (en) * 1999-03-03 2000-09-05 Slidell, Inc. Bulk bagging machine
KR200402695Y1 (ko) * 2005-07-18 2005-12-06 홍승도 이동식 파렛트 랩 포장기
JP2006315754A (ja) * 2005-05-16 2006-11-24 Showa Kogyo Kk 封袋装置及び結束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2504A (en) * 1999-03-03 2000-09-05 Slidell, Inc. Bulk bagging machine
JP2006315754A (ja) * 2005-05-16 2006-11-24 Showa Kogyo Kk 封袋装置及び結束装置
KR200402695Y1 (ko) * 2005-07-18 2005-12-06 홍승도 이동식 파렛트 랩 포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T2241230E (pt) Receptáculo para cápsulas ou pastilhas utilizadas para máquinas de alimentos líquidos ou bebidas
CA2664469A1 (en) Laundry machine
CN105050468B (zh) 分配系统
KR101410336B1 (ko) 콤팩트형 농축액 포장기
WO2013150510A1 (en) An apparatus for drying dishes and glasses
CN107635878A (zh) 具有铰链盖的用于烟草制品的硬质包装
KR20160063146A (ko) 앰플 마스크팩
KR20120001911U (ko) 이쑤시개와 꽂이 및 면봉용 멀티 수납케이스
CN105534344B (zh) 果蔬清洗机
CN203044023U (zh) 一种玻片存储装置
CN103357047B (zh) 两端开口式多层医疗器械消毒灭菌盒
CN214713268U (zh) 一种中药药剂科用配药车
CN215708035U (zh) 一种基于石榴叶茶生产用的存储装置
CN206612428U (zh) 一种中药科药物储藏装置
CN215843030U (zh) 一种折叠式防潮试剂柜
CN107416315A (zh) 一种多功能伸缩式零食盒
CN104192430A (zh) 储米装置
CN207860837U (zh) 一种茶叶加工的容置装置
CN209379562U (zh) 液袋包装机超声波膜纸清洗装置
CN215437636U (zh) 一种空间环境设计矩阵式收纳装置
CN110337411A (zh) 衣物处理装置
CN214139490U (zh) 一种方便内托盘展开抽取的双心包装铁盒
CN215827408U (zh) 一种青少年儿童用食品收纳储存装置
KR20130056380A (ko) 컵 살균 건조기
CN208054081U (zh) 一种组合式水果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