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264B1 - 식생매트체 및 식생매트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생매트체 및 식생매트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264B1
KR101410264B1 KR1020140023112A KR20140023112A KR101410264B1 KR 101410264 B1 KR101410264 B1 KR 101410264B1 KR 1020140023112 A KR1020140023112 A KR 1020140023112A KR 20140023112 A KR20140023112 A KR 20140023112A KR 101410264 B1 KR101410264 B1 KR 101410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vegetation
auxiliary
hooking
vegetation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정란
Original Assignee
(주)도시와숲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시와숲 filed Critical (주)도시와숲
Priority to KR1020140023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2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otany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매트체 및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이 개시되는 것으로, 식생매트(10)의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 사이에는 이들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에 각각 양측이 고주파 접합되고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연결구멍(13)과 제2연결구멍(14)이 각각 구비되는 보강대연결부(15)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대연결부(15)들의 제1연결구멍(13)을 관통하는 제1보강대(20)와; 상기 보강대연결부(15)들의 제2연결구멍(14)을 관통하고 상기 제1보강대(20)에 대해 교차되도록 위치되는 제2보강대(3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 중 상기 식생매트(10)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에는 각각 보조걸이(16)(16')가 더 구비되며, 2개의 고리체(40)(40')에는, 상기 보조걸이(16)가 걸어지는 보조고리(50)(50')가 각각 더 구비되되 상기 고리체(40)(40')의 상부에는 나사홈부(41)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고리(50)(50')의 하부에는 나사돌부(51)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보조고리(50)(50')는 상기 고리체(40)(40')에 대해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식생매트체 및 식생매트체 시공방법{Floor form of construction work method using folding mat and folding mat}
본 발명은 식생매트체 및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면의 바닥을 시공하는 바닥 시공매트체가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고 설치작업이 신속하고 간단하게 함으로써 일인의 작업자가 쉽고 용이하게 경사면의 바닥에 바닥 시공매트체를 펼쳐 경사면에 대한 바닥 시공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펼쳐진 바닥 시공매트체의 견고성 및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식생매트체 및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부변이나 하천가의 경사면에는 이 경사면에 대해 경관을 보존하고 침하, 침식 등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블록이나 식생블록이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호안블록이나 식생블록은 콘크리트 재질에 의해 양산되어 제작되는 바, 콘크리트 재질에 의해 환경친화적이지 못하고 제작이 어려우며 고중량으로 운반 및 설치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 및 장비를 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재질의 호안블록이나 식생블록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마름모꼴 형태의 식생형 사면 보강재인 절첩매트가 개발되어 오고 있으며, 이러한 접철매트는, 상하로 소정 폭을 갖는 띠 형상으로 길이가 길고 얇은 다수개의 시트가 다수 중첩되는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절첩매트를 이루고 있는 시트는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고밀도의 폴리에틸렌(HDPE) 또는 중간 밀도의 폴리에틸렌(MDPE)으로도 제조된다.
이와 같이 중첩되는 형태는 시트가 서로 접하는 측면부위가 일정간격을 두고 접합되고, 그 접합부분이 지그재그로 연속 반복되게 형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각 시트 사이에는 다수의 충진공간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상기 시트의 부분접합은 초음파 또는 고주파 열 융착에 의해 접합이 이루어지며, 이를 펼쳤을 때 다수의 충진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절첩매트는 하천이나 도로변의 사면, 사면과 근접한 평지에도 설치되고, 각 충진공간에는 식생토를 충진시킨 상태에서 식물의 종자를 심으며, 식물이 생장함에 따라 식물의 뿌리와 줄기로 인해 식생토의 응집력이 강화됨으로써 흙의 유실을 방지하고, 지반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절첩매트를 현장에서 시공할 때 1인의 작업자가 펼쳐진 절첩매트의 일측을 잡아주고 그 반대측에서 또 다른 1인의 작업자가 절첩매트를 잡아당겨 절첩매트의 펼쳐짐이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핀을 이용하여 펼쳐진 절첩매트의 상호 대응되는 전후측 가장자리 및 충진공간이 형성된 여러 지점을 각각 지면에 고정함으로써 펼쳐진 절첩매트를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펼쳐진 절첩매트를 고정하기 위한 종래 시공방법은, 1인 이상의 작업자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절첩매트의 시공에 따른 인건비가 올라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펼쳐진 절첩매트가 고정핀에 의해서만 고정되기 때문에 펼쳐진 상태의 절첩매트에 대한 내구성 및 고정성이 저하되어 충진공간에 식생토를 충진하는 과정에서 펼쳐진 상태의 절첩매트가 다시 접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절첩매트의 충진공간이 일정치 못하기 때문에 채워지는 식생토가 충진공간에 균일하게 채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결국 식생토가 채워진 절첩매트의 상부를 로울러 등과 같은 진동 다짐장비를 이용하여 다져주는 과정에서 시트의 변형이 일어나게 되어 지반 지지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종래 기술로서 등록실용 20-0369540호인 벌집형 조립식 저류 식생매트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정육각 형상의 공간 형성벽들에 의해 정육각형으로 만들어지는 다수의 정육각 형상의 식생공간들을 구비하는 사각 형상으로 만들어지며, 각각의 상기 식생 공간들은 공급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공이 바닥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원통벽과 공간 형성벽 사이에 식생 공간으로 공급된 수분을 저류하기 위한 저류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수공의 상방 가장자리에는 원통 형상의 벽이 직립 형성되고, 인접한 각각의 식생 공간들은 상기 공간 형성벽의 각 면에 형성되는 홈을 통해 서로 소통하고, 2개의 측부에 제공되는 결합 돌기들 및 상기 결합 돌기들이 결합되도록 다른 2개의 측부에 제공되는 결합공들에 의해 인접한 벌집형 조립식 저류 식생매트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입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은 정육각형상의 식생매트가 모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식생토가 채워지는 식생공간들이 변형되거나 식생매트를 당기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은 해결할 수 있지만, 식생매트가 고정된 상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에 따른 공간을 너무 많이 차지하고 중량이 무거워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69540호(2004.11.26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50672호(2010.10.15 등록)
본 발명은 식생매트를 접어지고 펼쳐지도록 구비하되 각각의 식생공간부 사이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식생매트의 내구성 및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켜 식생공간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인의 작업만으로도 충분히 식생매트를 펼쳐 시공가능하도록 하여 식생매트 시공에 따른 인건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식생매트체 및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는, 제1구멍들이 관통되는 제1매트부와 상기 제1구멍들에 대응되는 제2구멍들이 관통되는 제2매트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구비되어 서로 접어지고 펼쳐지며 펼쳐질 때 제1매트부와 제2매트부 사이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식생매트와, 상기 제1매트부와 제2매트부를 관통하는 걸이체와, 상기 걸이체의 양측 끝단을 고정하는 고리가 구비되는 2개의 고리체를 포함하는 식생매트체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의 제1매트부와 제2매트부 사이에는 이들 제1매트부와 제2매트부에 각각 양측이 고주파 접합되고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연결구멍과 제2연결구멍이 각각 구비되는 보강대연결부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대연결부들의 제1연결구멍을 관통하는 제1보강대와; 상기 보강대연결부들의 제2연결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제1보강대에 대해 교차되도록 위치되는 제2보강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매트부와 제2매트부 중 상기 식생매트의 끝단에 위치하는 매트부에는 보조걸이가 더 구비되며, 상기 2개의 고리체에는, 상기 보조걸이가 걸어지는 보조고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리체의 상부에는 나사홈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고리의 하부에는 나사돌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보조고리는 상기 고리체에 대해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걸이체는, 상기 식생매트를 구성하는 제1매트부의 제1구멍들과 상기 제2매트부의 제2구멍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양측에 나사체결돌부가 각각 구비되며 양측단 외면에 결합돌기가 돌설되는 걸이봉과; 상기 걸이봉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나사체결돌부에 나사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체결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봉의 나사체결돌부에 나사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식생매트를 구성하는 제1매트부와 제2매트부들 중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1매트부와 제2매트부 내측에 각각 위치되는 2개의 고정판과; 상기 걸이봉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결합돌기가 인입되는 인입홈부와 상기 인입홈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인입홈부로부터 인입되는 상기 결합돌기가 고정되는 고정홈부가 내주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2개의 고정판이 위치되는 제1매트부와 제2매트부의 외측에 각각 밀착되는 밀착편과 상기 밀착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리체의 고리에 걸어지는 걸이구멍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은, 지반이 다져진 평지 및 사면의 표면에 부직포를 깔아주는 단계, 부직포 상면에 격자판을 안착하는 단계, 격자판의 상면에 식생매트를 포설하는 단계, 포설된 식생매트에 형성된 충진공간에 식생토를 충진하는 단계, 채워진 식생토 상부에 유실방지망을 안착하는 단계, 식생토를 다져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를 포설하는 단계는, 격자판이 안착된 사면의 표면에 고리와 보조고리가 각각 구비되는 제1고리체와 제2고리체를 서로 일정하게 떨어지도록 박아 고정하는 제1공정; 제1보조걸이와 제2보조걸이가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고 제1연결구멍과 제2연결구멍이 관통되는 보강대연결부들이 구비된 식생매트의 제1보조걸이를 사면의 표면에 박혀진 제1고리체의 보조고리에 걸어주는 제2공정; 상기 제1보조걸이가 제1고리체의 보조고리에 걸어진 식생매트를 펼쳐 충진공간을 확보하는 제3공정; 펼쳐진 식생매트의 제2보조걸이를 상기 제2고리체의 보조고리에 걸어주는 제4공정; 걸이체를 상기 펼쳐진 식생매트에 관통시킨 후 걸이체의 양측을 상기 제1고리체의 고리와 제2고리체의 고리에 각각 걸어 고정하는 제5공정; 상기 식생매트의 보강대연결부에 관통된 제1연결구멍과 제2연결구멍에 제1보강대와 제2보강대를 끼워 연결하되 상기 제1보강대와 제2보강대가 서로 교차되도록 연결하는 제6공정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기초 지반이 다져진 평지 및 사면의 표면에 침하방지를 위해 시공되는 식생매트체를 평지 및 사면의 표면에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뿐만 아니라, 1인의 작업자 혼자서도 충분히 작업이 가능하여 인건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의 구성요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의 또 다른 구성요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의 또 다른 구성요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의 제1공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의 제2공정과 제3공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의 제4공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의 제5공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의 제6공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체 및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는, 제1구멍들이 관통되는 제1매트부와 상기 제1구멍들에 대응되는 제2구멍들이 관통되는 제2매트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구비되어 서로 접어지고 펼쳐지며 펼쳐질 때 제1매트부와 제2매트부 사이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식생매트와, 상기 제1매트부와 제2매트부를 관통하는 걸이체와, 상기 걸이체의 양측 끝단을 고정하는 고리가 구비되는 2개의 고리체를 포함하는 식생매트체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10)의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 사이에는 이들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에 각각 양측이 고주파 접합되고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연결구멍(13)과 제2연결구멍(14)이 각각 구비되는 보강대연결부(15)들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식생매트(10)의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식생매트(10)의 펼침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강대연결부(15)들의 제1연결구멍(13)을 관통하는 제1보강대(20)와, 상기 보강대연결부(15)들의 제2연결구멍(14)을 관통하고 상기 제1보강대(20)에 대해 교차되도록 위치되는 제2보강대(3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 중 상기 식생매트(10)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에는 각각 보조걸이(16)(16')가 더 구비되며, 상기 2개의 고리체(40)(40')에는, 상기 보조걸이(16)가 걸어지는 보조고리(50)(50')가 각각 더 구비되되 상기 고리체(40)(40')의 상부에는 나사홈부(41)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고리(50)(50')의 하부에는 나사돌부(51)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보조고리(50)(50')는 상기 고리체(40)(40')에 대해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는, 고리체(40)(40')에 식생매트(10)의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에 각각 구비되는 보조걸이(16)(16')를 이용하여 펼친 상태에서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1인의 작업자가 충분히 작업할 수 있어 작업에 따른 인건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의 상기 걸이체(60)는, 상기 식생매트(10)를 구성하는 제1매트부(11)의 제1구멍(11a)들과 상기 제2매트부(12)의 제2구멍(12a)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양측에 나사체결돌부(61)가 각각 구비되며 양측단 외면에 결합돌기(62)가 돌설되는 걸이봉(63)과, 상기 걸이봉(63)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나사체결돌부(61)에 나사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체결홈부(64)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봉(63)의 나사체결돌부(61)에 나사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식생매트(10)를 구성하는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들 중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 내측에 각각 위치되는 2개의 고정판(65)과, 상기 걸이봉(63)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결합돌기(62)가 인입되는 인입홈부(66a)와 상기 인입홈부(66a)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인입홈부(66a)로부터 인입되는 상기 결합돌기(62)가 고정되는 고정홈부(66b)가 내주면에 구비되는 고정부(66)와 상기 고정부(66)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2개의 고정판(65)이 위치되는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의 외측에 각각 밀착되는 밀착편(67)과 상기 밀착편(67)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리체(40)(40')의 고리(42)(42')에 걸어지는 걸이구멍(68)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걸이체(60)를 이용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고리체(40)(40')에 식생매트(10)의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에 각각 구비되는 보조걸이(16)(16')가 연결되어 고정된 식생매트체(10)에 상기 걸이체(60)를 연결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이 용이하다.
즉, 상기 걸이체(60)의 걸이봉(63)을 식생매트(10)를 구성하는 제1매트부(11)의 제1구멍(11a)들과 상기 제2매트부(12)의 제2구멍(12a)들에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식생매트(10)의 가장자리 끝단측에 위치하는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의 제1구멍(11a)들과 제2구멍(12a)들에 걸이봉(63)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기 전, 걸이봉(63)에 상기 고정판(65)을 끼워 준 후 고정판(65)이 끼워진 걸이봉(63)의 양측을 상기 식생매트(10)의 가장자리 끝단측에 위치하는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의 제1구멍(11a)들과 제2구멍(12a)들에 끼워 걸이봉(63)의 양측이 상기 식생매트(10)의 가장자리 끝단측에 위치하는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의 제1구멍(11a)들과 제2구멍(12a)들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식생매트(10)의 가장자리 끝단측에 위치하는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의 제1구멍(11a)들과 제2구멍(12a)들의 외측에 노출된 걸이봉(63)의 양측에 상기 고정부(66)를 체결한 후 고정부(66)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걸이구멍(68)을 상기 고리체(40)(40')의 고리(42)(42')에 걸어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고정부(66)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인입홈부(66a)와 상기 인입홈부(66a)로부터 연장되는 고정홈부(66b)에 상기 걸이봉(63)에 돌출구성되는 결합돌기(62)를 끼워 줌으로써 고정부(66)와 걸이봉(63)의 체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걸이체(60)를 연결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된다.
상기 걸이봉(63)의 결합돌기(62)는 상기 고정부(66)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인입홈부(66a)로부터 먼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66)를 돌려주면 인입홈부(66a)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고정홈부(66b)측으로 상기 결합돌기(62)가 위치되기 때문에 걸이봉(63)과 고정부(66)와의 결합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식생매트의 시공 및 이에 따라 얻어지는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에 의해 더욱 명백해진다.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은, 본 발명의 식생매트체를 이용하여 지반에 싱생매트체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지반이 다져진 평지 및 사면의 표면에 부직포를 깔아주는 단계, 부직포 상면에 격자판을 안착하는 단계, 격자판의 상면에 식생매트를 포설하는 단계, 포설된 식생매트에 형성된 충진공간에 식생토를 충진하는 단계, 채워진 식생토 상부에 유실방지망을 안착하는 단계, 식생토를 다져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식생매트를 포설하는 단계를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인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의 상기 식생매트를 포설하는 단계(S1)는, 격자판(101)이 안착된 사면의 표면에 고리(42)와 보조고리(50)가 각각 구비되는 제1고리체(40)와 제2고리체(40')를 서로 일정하게 떨어지도록 박아 고정하는 제1공정(S11), 제1보조걸이(16)와 제2보조걸이(16')가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고 제1연결구멍(13)과 제2연결구멍(14)이 관통되는 보강대연결부(15)들이 구비된 식생매트(10)의 제1보조걸이(16)를 사면의 표면에 박혀진 제1고리체(40)의 보조고리(50)에 걸어주는 제2공정(S12), 상기 제1보조걸이(16)가 제1고리체(40)의 보조고리(40)에 걸어진 식생매트(10)를 펼쳐 충진공간을 확보하는 제3공정(S13), 펼쳐진 식생매트(10)의 제2보조걸이(16')를 상기 제2고리체(40')의 보조고리(50')에 걸어주는 제4공정(S14), 걸이체(60)를 상기 펼쳐진 식생매트(10)에 관통시킨 후 걸이체(60)의 양측을 상기 제1고리체(40)의 고리(42)와 제2고리체(40')의 고리(42')에 각각 걸어 고정하는 제5공정(S15), 상기 식생매트(10)의 보강대연결부(15)에 관통된 제1연결구멍(13)과 제2연결구멍(14)에 제1보강대(20)와 제2보강대(30)를 끼워 연결하되 상기 제1보강대(20)와 제2보강대(30)가 서로 교차되도록 연결하는 제6공정(S16)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공정(S11)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식생매트체를 시공하는 공간의 지반의 다져신 평지 및 사면의 표면에 깔린 부직포의 가장자리측에 상기 제1고리체(40)와 제2고리체(40')를 각각 서로 대응되도록 박아 고정한다.
상기 제2공정(S12)은, 상기 제1공정(S11)에서 서로 대응되게 박혀진 제1고리체(40)와 제2고리체(40') 중 상기 제1고리체(40)에 식생매트(10)의 제1보조걸이(16)를 제1고리체(40)의 보조고리(50)에 걸어준다.
이와 같이 제1고리체(40)의 보조고리(50)에 제1보조걸이(16)를 걸어준 상태에서 상기 제3공정(S13)에 의해 상기 식생매트(10)를 제2고리체(40')측으로 당겨 식생매트(10)를 펼쳐준 후, 펼쳐진 식생매트(10)의 제2보조걸이(16')를 상기 제1고리체(40)와 대응되게 위치하고 있는 제2고리체(40')의 보조고리(50')에 걸어준다.
또한, 상기 제4공정(S14)에서 제2보조걸이(16')를 상기 제2고리체(40')의 보조고리(50')에 걸어준 다음, 제5공정(S15)에서 걸이체(60)를 펼쳐진 식생매트(10)에 관통시켜 걸이체(60)의 양측을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고 있는 제1고리체(40)와 제2고리체(40')의 고리(42)에 각각 걸어줌으로써 걸이체(60)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걸이체(60)의 시공이 완료된 후, 제6공정(S16)에서 제1보강대(20)와 제2보강대(30)를 상기 보강대연결부(15)에 관통된 제1연결구멍(13)과 제2연결구멍(14)에 각각 끼움으로써 식생매트(10)의 펼쳐진 상태에서의 내구성 및 견고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식생매트(10)의 보강대연결부(15)에 관통된 제1연결구멍(13)과 제2연결구멍(14)에 제1보강대(20)와 제2보강대(30)를 끼워 연결하되 상기 제1보강대(20)와 제2보강대(30)가 서로 교차되도록 연결함으로써 격자형으로 제1보강대(20)와 제2보강대(30)를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어 펼쳐진 상태에서의 식생매트(10)가 식생토 다짐 공정 등에 의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식생매트 11 : 제1매트부
11a : 제1구멍 12 : 제2매트부
12a : 제2구멍 13 : 제1연결구멍
14 : 제2연결구멍 15 : 보강대연결부
16, 16' : 보조걸이 20 : 제1보강대
30 : 제2보강대 40, 40' : 고리체
41 : 나사홈부 42, 42' : 고리
50, 50' : 보조고리 51 : 나사돌부
60 : 걸이체 61 : 나사체결돌부
62 : 결합돌기 63 : 걸이봉
64 : 나사체결홈부 65 : 고정판
66 : 고정부 66a : 인입홈부
66b : 고정홈부 67 : 밀착편
68 : 걸이구멍 S1 : 식생매트 포설단계
S11 : 제1공정 S12 : 제2공정
S13 : 제3공정 S14 : 제4공정
S15 : 제5공정 S16 : 제6공정

Claims (2)

  1. 제1구멍들이 관통되는 제1매트부와 상기 제1구멍들에 대응되는 제2구멍들이 관통되는 제2매트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구비되어 서로 접어지고 펼쳐지며 펼쳐질 때 제1매트부와 제2매트부 사이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식생매트와, 상기 제1매트부와 제2매트부를 관통하는 걸이체와, 상기 걸이체의 양측 끝단을 고정하는 고리가 구비되는 2개의 고리체를 포함하는 식생매트체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10)의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 사이에는 이들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에 각각 양측이 고주파 접합되고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연결구멍(13)과 제2연결구멍(14)이 각각 구비되는 보강대연결부(15)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대연결부(15)들의 제1연결구멍(13)을 관통하는 제1보강대(20)와;
    상기 보강대연결부(15)들의 제2연결구멍(14)을 관통하고 상기 제1보강대(20)에 대해 교차되도록 위치되는 제2보강대(3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 중 상기 식생매트(10)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에는 각각 보조걸이(16)(16')가 더 구비되며,
    상기 2개의 고리체(40)(40')에는,
    상기 보조걸이(16)가 걸어지는 보조고리(50)(50')가 각각 더 구비되되 상기 고리체(40)(40')의 상부에는 나사홈부(41)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고리(50)(50')의 하부에는 나사돌부(51)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보조고리(50)(50')는 상기 고리체(40)(40')에 대해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걸이체(60)는,
    상기 식생매트(10)를 구성하는 제1매트부(11)의 제1구멍(11a)들과 상기 제2매트부(12)의 제2구멍(12a)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양측에 나사체결돌부(61)가 각각 구비되며 양측단 외면에 결합돌기(62)가 돌설되는 걸이봉(63)과;
    상기 걸이봉(63)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나사체결돌부(61)에 나사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체결홈부(64)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봉(63)의 나사체결돌부(61)에 나사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식생매트(10)를 구성하는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들 중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 내측에 각각 위치되는 2개의 고정판(65)과;
    상기 걸이봉(63)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결합돌기(62)가 인입되는 인입홈부(66a)와 상기 인입홈부(66a)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인입홈부(66a)로부터 인입되는 상기 결합돌기(62)가 고정되는 고정홈부(66b)가 내주면에 구비되는 고정부(66)와 상기 고정부(66)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2개의 고정판(65)이 위치되는 제1매트부(11)와 제2매트부(12)의 외측에 각각 밀착되는 밀착편(67)과 상기 밀착편(67)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리체(40)(40')의 고리(42)(42')에 걸어지는 걸이구멍(68)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체.
  2. 청구항 1항의 식생매트체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지반이 다져진 평지 및 사면의 표면에 부직포를 깔아주는 단계, 부직포 상면에 격자판을 안착하는 단계, 격자판의 상면에 식생매트를 포설하는 단계, 포설된 식생매트에 형성된 충진공간에 식생토를 충진하는 단계, 채워진 식생토 상부에 유실방지망을 안착하는 단계, 식생토를 다져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생매트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를 포설하는 단계(S1)는,
    격자판(101)이 안착된 사면의 표면에 고리(42)와 보조고리(50)가 각각 구비되는 제1고리체(40)와 제2고리체(40')를 서로 일정하게 떨어지도록 박아 고정하는 제1공정(S11);
    제1보조걸이(16)와 제2보조걸이(16')가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고 제1연결구멍(13)과 제2연결구멍(14)이 관통되는 보강대연결부(15)들이 구비된 식생매트(10)의 제1보조걸이(16)를 사면의 표면에 박혀진 제1고리체(40)의 보조고리(50)에 걸어주는 제2공정(S12);
    상기 제1보조걸이(16)가 제1고리체(40)의 보조고리(40)에 걸어진 식생매트(10)를 펼쳐 충진공간을 확보하는 제3공정(S13);
    펼쳐진 식생매트(10)의 제2보조걸이(16')를 상기 제2고리체(40')의 보조고리(50')에 걸어주는 제4공정(S14);
    걸이체(60)를 상기 펼쳐진 식생매트(10)에 관통시킨 후 걸이체(60)의 양측을 상기 제1고리체(40)의 고리(42)와 제2고리체(40')의 고리(42')에 각각 걸어 고정하는 제5공정(S15);
    상기 식생매트(10)의 보강대연결부(15)에 관통된 제1연결구멍(13)과 제2연결구멍(14)에 제1보강대(20)와 제2보강대(30)를 끼워 연결하되 상기 제1보강대(20)와 제2보강대(30)가 서로 교차되도록 연결하는 제6공정(S16)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체 시공방법.
KR1020140023112A 2014-02-27 2014-02-27 식생매트체 및 식생매트체 시공방법 KR101410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112A KR101410264B1 (ko) 2014-02-27 2014-02-27 식생매트체 및 식생매트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112A KR101410264B1 (ko) 2014-02-27 2014-02-27 식생매트체 및 식생매트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264B1 true KR101410264B1 (ko) 2014-06-20

Family

ID=5113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112A KR101410264B1 (ko) 2014-02-27 2014-02-27 식생매트체 및 식생매트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2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540Y1 (ko) 2004-09-17 2004-12-16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벌집형 조립식 저류 식생매트
KR100979632B1 (ko) 2008-02-25 2010-09-01 김교철 녹색산업에 적합한 호안블럭의 현장 제조방법
KR200455472Y1 (ko) 2008-12-23 2011-09-06 이용천 식생 보호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540Y1 (ko) 2004-09-17 2004-12-16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벌집형 조립식 저류 식생매트
KR100979632B1 (ko) 2008-02-25 2010-09-01 김교철 녹색산업에 적합한 호안블럭의 현장 제조방법
KR200455472Y1 (ko) 2008-12-23 2011-09-06 이용천 식생 보호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4073B2 (en) Water-permeable ground grid for pavings
KR101474515B1 (ko) 버팀대와 흙막이패널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및 이 시공 공법
JP2008144440A (ja) 土留め構造体及び土留め施工方法
KR100980818B1 (ko) 시공성과 생태공간 확보를 위해 개선된 조립식 지주형 보강토 생태옹벽 및 그 구축공법
KR101162548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JP2011032815A (ja) 擁壁および擁壁の構築方法
KR101410264B1 (ko) 식생매트체 및 식생매트체 시공방법
KR101334975B1 (ko) 하천 사면 또는 절개지에 형성되는 식생돌망태 시공방법
JP2017179963A (ja) ジオグリッド・ハニカム擁壁
KR101373904B1 (ko) 절첩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0966512B1 (ko) 식생토류옹벽 및 그 시공방법
IT202000014176A1 (it) Elemento modulare migliorato per realizzare strutture interrate per bacini di gestione delle acque meteoriche o per il contenimento di terreno
KR101365658B1 (ko) 토낭 받침대
KR101311313B1 (ko) 친환경 개비온 철망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4330504B2 (ja) 遮水シート法面上の客土安定構造の構築方法
KR101799952B1 (ko) 강재 시스템 가설벽을 이용한 물재하용 제방 축조 공법
KR20190142927A (ko) 옹벽구조물
KR101938988B1 (ko) 메쉬망을 이용한 토류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91849B1 (ko) 일괄 조립식 지주형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317750B1 (ko) 지반 보강용 지오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160014436A (ko) 하천호안 및 법면보호용 매트리스 및 이의 시공방법
RU165503U1 (ru) Геомодуль
KR101775431B1 (ko) 친환경 식생 호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JP7025850B2 (ja) 農業用ハウス内の地盤構造及び前記地盤構造の施工方法
KR101012653B1 (ko)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