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999B1 - 에너지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9999B1 KR101409999B1 KR1020120052038A KR20120052038A KR101409999B1 KR 101409999 B1 KR101409999 B1 KR 101409999B1 KR 1020120052038 A KR1020120052038 A KR 1020120052038A KR 20120052038 A KR20120052038 A KR 20120052038A KR 101409999 B1 KR101409999 B1 KR 1014099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pack
- power
- storage device
- attached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4—Parallel/serial switching of connection of batteries to charge or load circui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2—Buck-boost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0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51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52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팩이 탈착 또는 부착되는 접속부와, 접속부에 탈착 또는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팩과, 접속부와 동일 측면에 배치되어, 부착되는 배터리팩과 열을 교환하며, 충전 모드인 경우, 입력되는 외부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방전 모드인 경우, 부착되는 배터리팩으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고, 배터리팩은, 에너지 저장장치와 열교환을 위해 동작하는 팬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팩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팩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상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풍력,소수력 등을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에너지를 저장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가 사용되게 된다.
한편, 에너지 저장장치가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는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 내의 배터리팩의 온도도 영하로 내려가므로, 정상적인 동작을 하기가 어렵게 된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2911호에 의하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시하나, 온도에 따른 동작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개시하지 않는다.
한편, 에너지 저장장치가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는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 내의 배터리팩의 온도도 영하로 내려가므로, 정상적인 동작을 하기가 어렵게 된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2911호에 의하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시하나, 온도에 따른 동작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팩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팩이 탈착 또는 부착되는 접속부와, 접속부에 탈착 또는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팩과, 접속부와 동일 측면에 배치되어, 부착되는 배터리팩과 열을 교환하며, 충전 모드인 경우, 입력되는 외부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방전 모드인 경우, 부착되는 배터리팩으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고, 배터리팩은, 에너지 저장장치와 열교환을 위해 동작하는 팬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팩이 탈착 또는 부착되는 접속부와, 접속부와 동일 측면에 배치되어, 부착되는 배터리팩과 열을 교환하며, 충전 모드인 경우, 입력되는 외부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방전 모드인 경우, 부착되는 배터리팩으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전력 변환부와, 전력 변환부의 열을 접속부에 부착되는 배터리팩으로 전달하도록, 동작하는 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저장장치 내의 전력 변환부를 배터리팩과 동일 측면에 배치하고, 배터리팩이 에너지 저장장치와 열교환을 위한 팬을 구비함으로써, 외부 온도에 따라, 배터리팩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팩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배터리팩의 온도에 따라, 팬을 동작시킴으로써, 배터리팩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너지 저장장치도, 전력 변환부의 열을 배터리팩으로 전달하도록 동작하는 팬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배터리팩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팩은 열선을 포함하고, 전력 변환부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열선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팩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공급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 2는 도 1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배터리팩의 부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배터리팩의 부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회로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배터리팩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에너지 저장장치와 배터리 사이의 열전달을 위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배터리팩의 부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배터리팩의 부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회로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배터리팩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에너지 저장장치와 배터리 사이의 열전달을 위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공급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공급 시스템(10)은, 태양광 기반의 에너지 공급 시스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 공급 시스템은, 태양광 모듈(photovaltic module)(20), dc/dc 컨버터(30), 양방향 dc/ac 컨버터(40), 및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device)(100)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20)은, 태양광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태양광 모듈(20)은, 태양전지 모듈(미도시), 태양전지 모듈의 일면에 위치하는 정션 박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태양전지 모듈은, 복수의 태양 전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복수의 태양전지의 하면과 상면에 위치하는 제1 밀봉재(미도시)와 제2 밀봉재(미도시), 제1 밀봉재의 하면에 위치하는 후면 기판(미도시) 및 제2 밀봉재의 상면에 위치하는 전면 기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태양전지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화하는 반도체 소자로써, 실리콘 태양전지(silicon solar cell),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compound semiconductor solar cell) 및 적층형 태양전지(tandem solar cell), 염료감응형 또는 CdTe, CIGS형 태양전지 등일 수 있다.
그리고, 각 태양전지는,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dc/dc 컨버터(30)는, 태양광 모듈(20)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dc/dc 컨버터(30)는, 스위칭 소자, 및 에너지 저장 소자(예를 들어, 인덕터, 커패시터 등)을 구비하고, 스위칭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30)는, 벅 컨버터(buck converter),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 포워드 컨버터(forward converter) 등이 가능하며,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Cascaded Buck-Boost Converter 등)도 가능하다.
한편, dc/dc 컨버터(30)는, 태양광 모듈(20)로부터 최대 전력이 출력되도록, 최대 전력 검출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모듈(20) 개방 전압(Voc)을 최대전압(V1)에서부터 감소시키면서, 각 전압 별, 전력을 연산하고, 연산된 전이 최대 전력이 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양방향 dc/ac 컨버터(40)는, dc/dc 컨버터(3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계통(50)에 공급하거나, 계통(grid)(50)으로부터의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dc 단(a-b) 또는 dc/dc 컨버터(3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양방향 dc/ac 컨버터(40)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방향 dc/ac 컨버터(40)가 풀 브릿지 인버터(full-bridge inverter)로 구현되는 경우,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 및 하암 스위칭 소자가 한 쌍이 되며, 총 두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스위칭 소자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양방향 dc/ac 컨버터(40)는, 계통(grid)(50)으로 교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그리드(grid)의 교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대략 60Hz), 및 위상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계통(grid)(50)으로부터의 교류 전원, 또는 dc/dc 컨버터(30)의 출력 직류 전원 또는 dc 단(a-b) 직류 전원을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저장된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dc 단(a-b)에 공급하거나, 저장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계통(grid)(50)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다양한 레벨의 직류 전원의 저장 등을 위해, 복수의 배터리팩이 탈착 또는 부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전력 변환부, 제어부, 배터리팩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환된 직류 전원은, 배터리팩으로 전달된다.
한편, 전력 변환부는, 배터리팩에 저장된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거나, 배터리팩에 저장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다음, 배터리팩은, 복수의 배터리셀을 포함하며,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부착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대해서는, 도 6 등을 참조하여 후술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태양광 기반의 에너지 공급 시스템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풍력, 소수력 등을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또는 전기 자동차(EV) 등, 직류 전원이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00)가 에너지 저장을 위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배터리팩의 부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육면체 형상으로서 일면에 개구된 케이스(110)와, 각 배터리팩의 접속 단자와, 결합하는, 접속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ㄷ자 일체형 구조로서, 개구가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우측면(105)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배터리팩들(400a,...,400e)은,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우측면(105)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접속부(130)는,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의 접속 단자들과 결합하도록, 힌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2 배터리팩(400b)의 정극성 전원 단자(431a), 부극성 전원 단자(431b), 및 제어신호 단자(431c) 등과 결합하도록, 제2 정극성 전원 접속부(131a), 부극성 전원 접속부(131b), 및 제어신호 접속부(131c)가, 힌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을 에너지 저장장치(100)와 용이하게 탈착 또는 부착시키기 위해,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의 전면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는, 제2 배터리팩(400b)에 손잡이(415a,415b)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3은, 제1 배터리팩(400a)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우측면(105)의 최하단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2 배터리팩(400b)이 제1 배터리팩(400a) 상에, 부착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가 제2 배터리팩(400b)의 손잡이(415a,415b)를 잡고,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우측면(105)으로, 제2 배터리팩(400b)을 밀어 넣는 경우, 제2 배터리팩(400b)의 정극성 전원 단자(431a), 부극성 전원 단자(431b), 및 제어신호 단자(431c)는,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정극성 전원 접속부(131b), 부극성 전원 접속부(131b), 및 제어신호 접속부(131b)에 결합된다.
한편, 도 2에서는,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우측면에, 5개의 배터리팩(400a,...,400e)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결합가능한 것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다양한 개수의 설정이 가능하다.
한편, 에너지 저장장치(100) 내부에는 도 6 또는 도 7의 내부 회로들이 배치되므로,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폭(W2)이 배터리팩의 폭(W1)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서는, 제1 배터리팩(400a)의 바로 위에, 제2 배터리팩(400b)이 부착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제1 배터리팩(400a)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측면 중 최하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배터리팩(400b)이 제1 배터리팩(400a)와 이격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2 배터리팩(400b)이 제1 배터리팩(400a)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므로,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측면에, 빈 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미도시)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지지부재는, 배터리팩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 형상, 각 접속 단장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는,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측면에, 결합되지 않은 배터리팩 대신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은, 열교환을 위한 팬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의 손잡이(415a,415b 등)가 형성된 앞면에, 2개의 팬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의 뒷면, 즉, 에너지 저장장치(100)와 부착되는 면에, 각각 팬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이 부착되는 측면, 즉 에너지 저장장치의 접속부와 동일한 측면에, 각각 팬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팬을 통해, 에너지 저장장치(100)와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에너지 저장장치(100)가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는 경우, 배터리팩의 온도도 영하로 내려가므로, 정상적인 동작을 하기가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팩의 안전한 보호를 위해, 에너지 저장장치(100) 내의 전력 변환부를 배터리팩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각 배터리팩에 상술한 바와 같이, 팬을 배치함으로써, 열교환이 원할히 수행되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이하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4는 도 1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배터리팩의 부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4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외관은, 도 2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외관과 유사하나, 도 4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케이스(110) 내에, 배터리팩을 구획하는 격벽들(120a,120b,120c,120d)이 배치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러한 격벽들(120a,120b,120c,120d)은,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이 에너지 저장 장치의 우측면에 부착되도록, 가이드(guide)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격벽들(120a,120b,120c,120d)은,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부착되는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과 유사하게, 한편,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은, 열교환을 위한 팬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의 손잡이(415a,415b 등)가 형성된 앞면에, 2개의 팬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의 뒷면, 즉, 에너지 저장장치(100)와 부착되는 면에, 각각 팬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이 부착되는 측면, 즉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접속부와 동일한 측면에, 각각 팬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도 1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6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회로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전력 변환부(310), 제어부(320), 스위칭부(330), 탈부착 감지부(340), 제1 접속부(130), 제2 접속부(305), 탈부착 가능한 배터리팩(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속부(305)는, 교류 전원 단자(305a)와 직류 전원 단자(305b)를 구비할 수 있다.
교류 전원 단자(305a)는, 도 1의 에너지 공급 시스템 하에서의, 계통(grid)(50)으로부터의 교류 전원을 입력받거나, 계통으로 에너지 저장장치(100)에서 변환된 교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직류 전원 단자(305b)는, dc/dc 컨버터(30)의 출력 직류 전원 또는 dc 단(a-b) 직류 전원을 입력받거나, dc 단(a-b)으로 에너지 저장장치(100)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310)는, 제2 접속부(305)를 통해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된 직류 전원은, 스위칭부(330)와 제1 접속부(130)를 거쳐, 배터리팩(4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전력 변환부(310)는,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 양방향 dc/a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력 변환부(310)는, 배터리팩(400)에 저장된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거나, 교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된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은, 제2 접속부(3050)를 거쳐, 상술한 dc단 또는 계통으로 전달될 수 있다.
스위칭부(330)는, 전력 변환부(310)와 제1 접속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스위칭부(330)는, 전력 변환부(31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제1 접속부(130)로 공급하거나, 제1 접속부(13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전력 변환부(310)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칭부(330)는, 착탈 가능한 배터리팩(400)의 개수에 대응하여, 스위칭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배터리팩(400a)에 대응하는 제1 스위칭 소자(330a)와, 제2 배터리팩(400b)에 대응하는 제1 스위칭 소자(330b)를 예시하나, 그 외, 제3 내지 제5 배터리팩(400c,400d,400e)에 대응하는 제3 내지 제5 스위칭 소자(330c,330d,330e)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탈부착 감지부(340)는, 배터리팩(400)의 탈착 또는 부착을 감지한다. 탈부착 감지부(340)는, 착탈 가능한 배터리팩(400)의 개수에 대응하여, 탈부착 감지수단(340a,340b,...)을 구비할 수 있다.
탈부착 감지수단(340a,340b,...)은, 각각의 정극성 전원 접속부(132a,132b,...)와 부극성 전원 접속부(134a,134b,...) 사이의 전원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검출을 위해, 저항 소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배터리팩(400a,400b,...)이 부착되는 경우, 정극성 전원 접속부(132a,132b,...)와 부극성 전원 접속부(134a,134b,...) 사이의 전위차는, 각 배터리팩(400a,400b,...)이 저장하고 있는 직류 전원에 대응하게 된다. 탈부착 감지수단(340a,340b,...)은, 이 전위차를 감지하여, 각 배터리팩(400a,400b,...)의 탈착 또는 부착 여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제1 배터리팩(400a)이 부착되는 경우, 제1 정극성 전원 접속부(132a)와 제1 부극성 전원 접속부(134a) 사이의 전위차는, 제1 배터리팩(400a)에 저장되 직류 전원에 대응한다. 제1 탈부착 감지수단(340a)은 이를 감지하고, 직류 전원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부착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배터리팩(400a)이 탈착되는 경우, 제1 정극성 전원 접속부(132a)와 제1 부극성 전원 접속부(134a) 사이의 전위차는, 0V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탈부착 감지수단(340a)은 이를 감지하고, 직류 전원 레벨이 소정 레벨 미만 경우, 탈착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탈부착 감지수단(340a,340b,...)은, 각각의 정극성 전원 접속부(132a,132b,...)와 부극성 전원 접속부(134a,134b,...)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전류 검출을 위해, 전류센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터리팩(400a)이 부착되는 경우, 제1 정극성 전원 접속부(132a)와 제1 부극성 전원 접속부(134a) 사이에 페루프(closed loop)가 형성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1 탈부착 감지수단(340a)은 이를 감지하고, 직류 전류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부착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배터리팩(400a)이 탈착되는 경우, 제1 정극성 전원 접속부(132a)와 제1 부극성 전원 접속부(134a) 사이에 개루프(opeen loop)가 형성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즉, 해당 전류는 0A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탈부착 감지수단(340a)은 이를 감지하고, 직류 전류 레벨이 소정 레벨 미만 경우, 탈착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탈부착 감지수단(340a,340b,...)에서 각각 감지된 전원 또는 전류는 제어부(32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접속부(305)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감지하는 교류 전원 감지부(미도시)와, 제2 접속부(305)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감지하는 직류 전원 감지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류 전원 감지부(미도시)는, 제2 접속부(305)의 교류 단자(305a) 사이의 전원 또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직류 전원 감지부(미도시)는, 제2 접속부(305)의 직류 전원 단자(305b) 사이의 전원 또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감지된 전원 또는 전류는 제어부(32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2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을 배터리팩(400)으로 저장하도록 제어하거나, 배터리팩(400)에 저장된 직류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20)는, 배터리팩(400)을 충전 모드 또는 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20)는, 제2 접속부(305) 또는 전력 변환부(310)의 출력단에서 감지된 교류 전원 레벨 또는 직류 전원 레벨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탈부착 감지부(340)에서 감지된 배터리팩(400)의 탈착 또는 부착 여부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배터리팩(400)이 탈착되는 경우, 해당 배터리팩(400)에 저장된 직류 전원 레벨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20)는, 제2 접속부(305) 또는 전력 변환부(310)의 출력단에서 감지된 전원 레벨 보다, 배터리팩(400)에 저장된 직류 전원 레벨이 더 큰 경우, 배터리팩(400)의 직류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즉, 에너지 저장장치(100)가 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부(330)의 해당 스위칭 소자를 턴 온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320)는, 제2 접속부(305) 또는 전력 변환부(310)의 출력단에서 감지된 전원 레벨 보다, 배터리팩(400)에 저장된 직류 전원 레벨이 작은 큰 경우, 배터리팩(400)으로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즉, 에너지 저장장치(100)가 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20)는, 스위칭부(330)의 해당 스위칭 소자를 턴 온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320)는, 복수의 배터리팩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부착된 경우, 각 배터리팩에 저장된 직류 전원 레벨을 입력받아, 각 배터리팩 사이에, 전원 밸런싱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제1 배터리팩(400a)과 제2 배터리팩(400b)이, 각각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부착된 경우, 제1 배터리팩(400a)과 제2 배터리팩(400b)의 각각 감지된 직류 전원 레벨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각 감지된 직류 전원 레벨을 비교하여, 전원 밸런싱이 되도록, 제1 배터리팩(400a)과 제2 배터리팩(400b) 중 어느 하나는 충전 모드로 동작하고, 다른 하나는 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제1 배터리팩(400a)의 직류 전원 레벨이, 제2 배터리팩(400b)의 직류 전원 레벨 보다 큰 경우, 제1 배터리팩(400a)을 방전 모드로 동작시키고, 제2 배터리팩(400b)을 충전 모드로 동작시켜, 각 배터리팩(400a,400b)에 동일한 직류 전원이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20)는, 스위칭부(330) 내의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의 결선 관계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20)는, 탈부착 감지부(340)에서 감지된 배터리팩(400)의 탈착 또는 부착 여부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팩(400)이 부착되는 경우, 바로 스위칭부(330)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스위칭 소자가 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팩(400)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부착되는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100) 내부에, 갑작스럽게 돌입 전류(inrush current)가 발생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00) 내의 회로 소자들을 소손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팩(400)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부착되는 경우, 제어부(320)는, 제1 오프 기간 동안, 스위칭부(330)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스위칭 소자가 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1 오프 기간은, 부착된 배터리팩의 개수가 많을수록, 더 길어질 수 있다. 즉, 부착된 배터리팩의 개수가 많을수록, 돌입 전류의 피크치는 더 커질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위칭부(330) 내의 해당 스위칭 소자의 턴 오프 기간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제1 오프 기간 이후에, 배터리팩(400)은, 제어부(920)의 제어 동작에 따라, 충전 모드 또는 동작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즉, 스위칭부(330) 내의 해당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배터리팩(400)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서 탈착되는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100) 내부에, 갑작스럽게 돌입 전류(inrush curremt)가 발생하여, 에너지 저장장치(100) 내의 회로 소자들을 소손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팩(400)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서 탈착되는 경우, 제어부(320)는, 제2 오프 기간 동안, 스위칭부(330)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스위칭 소자가 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제2 오프 기간 이후에, 배터리팩(400)은, 제어부(920)의 제어 동작에 따라, 충전 모드 또는 동작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즉, 스위칭부(330) 내의 해당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될 수 있다.
한편, 부착시의 제1 오프 기간과, 탈착시의 제2 오프 기간을 비교하면, 부착시의 제1 오프 기간이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320)는, 전력 변환부(310) 내의, dc/dc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거나, 양방향 dc/ac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제1 배터리팩(400a)에 대해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상황에서, 제2 배터리팩(400b)이 부착되는 경우, 제1 오프 기간 동안, 스위칭부(330)의 각 스위칭 소자(330a,330b)를 모두 턴 오프시키다가, 제1 배터리팩(400a)이 아닌 제2 배터리팩(400b)에 대해 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오프 기간 이후에, 제1 스위칭 소자(330a)는 턴 오프 유지하고, 제2 스위칭 소자(330b)는 턴 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배터리팩에 대해, 골고루 충전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각 배터리팩들(400a,...,400e)이 부착되는 측면, 즉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접속부와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는 팬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팬을 구동하기 위한 팬 구동부(3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팬 구동부(345)는 에너지 저장장치(100) 내에 배치되는 팬을 구동하며, 제어부(32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변환부(310)가, 충전 모드 또는 방전 모드 하에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320)는, 부착되는 배터리팩에 대응하는 팬이 회전하도록, 팬 구동부(34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20)는, 상술한, 배터리 탈착 또는 부착 감지를 통해, 배터리팩이 부착되는 지를 판단하고, 부착된 배터리팩에 대응하는 팬을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변환부(310)의 동작시에 발생하는 열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부착되는 배터리팩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전력 변환부(31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320)는, 팬이 회전하지 않도록, 팬 구동부(34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배터리팩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배터리팩(400)은, 배터리팩 케이스(410) 내에, 접속부(430), 배터리 제어부(460), 배터리셀부(480), 온도 조절부(470)를 포함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배터리팩(400)은, 팬 또는 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430)는,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접속부(130)에 부착되도록, 돌출 구조의 접속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극성 전원 단자(431a), 부극성 전원 단자(431b), 및 제어신호 단자(431c) 등의 접속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432,434,436)은, 배터리팩 부착시, 힌지 구조의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접속 단자들과 결합하게 된다.
배터리셀부(480)는, 복수의 배터리셀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배터리셀들은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혼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배터리셀부(480)는, 정극성 전원 단자(431a)와, 부극성 전원 단자(431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470)는, 배터리셀부(480)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온도 조절부(470)는, 온도 감지 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배터리셀부(48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온도 조절부(470)는, 팬 구동 수단(미도시) 또는 열선 구동 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배터리셀부(480)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팬 또는 열선을 구동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제어부(460)는, 배터리팩(4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셀부(480)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 올라간 경우, 배터리 제어부(460)는, 온도 조절부(470)를 제어하여, 온도를 낮추도록, 팬 구동 수단(미도시)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터리셀부(480)의 온도가 하한 온도 이하로 내려간 경우, 배터리 제어부(460)는, 온도 조절부(470)를 제어하여, 온도를 높이도록, 팬 구동 수단(미도시) 또는 열선 구동 수단(미도시)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터리 제어부(460)는, 배터리셀부(480) 내의 각 배터리셀에 저장되는 직류 전원의 밸런싱을 조절할 수 있다. 배터리셀에 저장되는 직류 전원을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직류 전원의 밸런싱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제어부(460)는, 배터리팩(400)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접속부(130)에 부착되는 경우, 배터리팩(400)의 상태 정보(온도, 저장된 전원 레벨 등)를 제어신호 단자(431c)를 통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정보는,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제어부(320)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제어부(360)는, 제어신호 단자(431c)를 통해,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상태 정보(필요 전원 레벨 등)를 수신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에너지 저장장치와 배터리 사이의 열전달을 위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전력 변환부(310)는, 배터리팩이 부착되는 접속부(130)와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 변환부(310)의 동작시, 전력 변환부(310) 주변의 온도가 대략 80℃ 정도까지 올라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열을 이용하여, 배터리팩의 동결을 감지하도록 한다.
통상 외부에 설치되는 에너지 저장장치(100) 특성상, 겨울에 배터리팩이 동결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력 변환부(310)를 배터리팩이 부착되는 접속부(130)와 동일한 측면에 배치하여, 전력 변환부(310)의 동작시 발생하는 열을 배터리팩으로 전달하여, 배터리팩의 동결을 방지하고, 배터리팩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한편, 효율적인 열전달을 위해, 배터리팩의 양 측면에 팬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터리팩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부착되는 일 측면에 배치되는 제1 팬과, 일 측면의 반대 측면에 배치되는 제2 팬을 구비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 배터리팩(400a)의 양 측면에, 각각 제1 팬(441a), 제2 팬(440a)가 배치되며, 제2 배터리팩(400b)의 양 측면에, 각각 제1 팬(441b), 제2 팬(440b)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각 배터리팩(400a,400b)의 배터리 제어부는, 배터리 내부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하한 온도 이하이며, 전력 변환부(310)가 동작 중인 경우, 제1 팬(441a,441b)을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온의 열이, 각 배터리팩(400a,400b)으로 전달되어 각 배터리팩(400a,400b)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팬(441a,441b)외에, 추가로 제2 팬(440a,440b)을 더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각 배터리팩(400a,400b)의 배터리 제어부는, 배터리 내부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하한 온도 이하이며, 전력 변환부(31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제2 팬(440a,440b)을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복수의 배터리팩 중 2개의 배터리팩만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부착되는 것을 예시하나, 5개의 배터리팩이 모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각 배터리팩으로, 전력 변환부(3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하기 위해, 전력 변환부(310)의 케이스(110) 접촉면이, 복수의 배터리팩들이 케이스(110)와 접촉하는 면적 보다 더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력 변환부(310)에서 발생하는 열이, 케이스(110)를 거쳐, 각 배터리팩들로 고르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배터리팩의 양 측면에 팬이 구비되는 것이 도 9와 동일하나, 제1 배터리팩(400a)에 열선(443)이 더 배치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러한 열선(443)은, 제1 배터리팩(400a)의 제1 팬(441a)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팩 중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일측면 중 최하단에 부착되는 제1 배터리팩(400a)은, 배터리 온도 보상을 위한 기준 배터리팩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배터리팩(400a)은, 에너지 저장장치(100)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 모드로만 동작하고, 에너지 저장장치(100)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배터리팩(400a)에 저장되는 직류 전원은, 감지 온도가 하한치 이하인 경우, 팬(441a,440a), 또는 열선(443)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배터리팩(400a)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1은, 도 9에 대응하나, 제1 팬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구비되고, 배터리팩의 일 측면에 제2 팬이 구비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즉, 도 11에서는, 전력 변환부(310)와 제1 배터리팩(400a) 사이에, 제1 팬(140a)이 배치되며, 제1 배터리팩(400a)의 다른 측면에, 제2 팬(440a)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전력 변환부(310)와 제2 배터리팩(400b) 사이에, 제1 팬(140b)이 배치되며, 제2 배터리팩(400b)의 다른 측면에, 제2 팬(440b)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제어부(320)는, 주변 온도가 하한 온도 이하이며, 전력 변환부(310)가 동작 중인 경우, 제1 팬(140a,140b)을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온의 열이, 각 배터리팩(400a,400b)으로 전달되어 각 배터리팩(400a,400b)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배터리팩(400a,400b)의 배터리 제어부는, 제2 팬(440a,440b)을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각 배터리팩(400a,400b)의 배터리 제어부는, 배터리 내부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하한 온도 이하이며, 전력 변환부(31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제2 팬(440a,440b)을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제1 팬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구비되고, 배터리팩의 일 측면에 제2 팬이 구비되는 것이 도 11과 동일하나, 제1 배터리팩(400a)에 열선(443)이 더 배치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러한 열선(443)은, 제1 배터리팩(400a)의 제1 팬(441a)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팩 중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일측면 중 최하단에 부착되는 제1 배터리팩(400a)은, 배터리 온도 보상을 위한 기준 배터리팩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배터리팩(400a)은, 에너지 저장장치(100)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 모드로만 동작하고, 에너지 저장장치(100)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배터리팩(400a)에 저장되는 직류 전원은, 감지 온도가 하한치 이하인 경우, 열선(443)을 구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배터리팩(400a)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한편,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는, 배터리 착탈시, 돌입전류 방지를 위해, 동작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에너지 저장장치가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 돌입전류 방지를 위한 다양한 동작을 예시한다.
먼저,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입력되는 외부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제1 배터리팩에 충전한다.
제어부(320)는, 제2 접속부(305) 또는 전력 변환부(310)의 출력단에서 감지된 전원 레벨을 입력받으며, 부착된 제1 배터리팩(400a)의 직류 전원 레벨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제어부(320)는, 제2 접속부(305) 또는 전력 변환부(310)의 출력단에서 감지된 전원 레벨 보다, 배터리팩(400)에 저장된 직류 전원 레벨이 더 작은 경우,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변환하여, 배터리팩으로 출력하도록, 즉, 에너지 저장장치(100)가 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부(330)의 해당 스위칭 소자(330a)를 턴 온시킬 수 있다.
도 13a는, 제1 스위칭 소자(330a)가 턴 온되어, 전력 변환부(310)와 제1 배터리팩(400a)을 전기적으로 온(on)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 또는 직류 전원이, 전력 변환부(310)에서 변환되어, 제1 스위칭 소자(330a)를 거쳐, 제1 배터리팩(400a)에 충전되게 된다. 즉, 제1 전류(I1)가 전력 변환부(310)에서 제1 배터리팩(400a)으로 흐르게 된다.
다음,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제어부(320)는, 제2 배터리팩 부착되는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와, 제1 및 제2 배터리팩 의 전기적 연결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20)는, 탈부착 감지부(340)로부터 탈부착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터리팩(400b)에 대응하는 제2 탈부착 감지수단(340b)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제2 탈부착 감지수단(340b)에서 감지된 직류 전원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부착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제2 배터리팩 부착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100) 내로의 돌입 전류(inrush current)를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배터리팩 의 전기적 연결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이에 따라, 스위칭부(330)의 해당 스위칭 소자(330a,330b)를 포함하여, 모든 스위칭 소자를 턴 오프(off)시킬 수 있다.
도 13b는, 제1 스위칭 소자(330a) 및 제2 스위칭 소자(330b)가 턴 오프되어, 전력 변환부(310)와, 제1 배터리팩(400a) 및 제2 배터리팩(400b)이 전기적으로 오프(off)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 또는 직류 전원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부착되는 모든 배터리팩으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에너지 저장장치(100) 장치 내에, 돌입 전류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에너지 저장장치(100) 내의 회로 소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제어부(320)는, 제1 오프 기간이 경과하는 경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제1 및 제2 배터리팩 중 어느 하나에 충전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제1 오프 기간이 경과하면, 다시 충전 모드에 따라, 배터리팩으로, 전력 변환부(310)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이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부착된 제1 배터리팩(400a)의 직류 전원 레벨과, 제2 배터리팩(400b)의 직류 전원 레벨을 입력받아, 더 낮은 직류 전원 레벨을 가지는 배터리팩이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c는, 제2 스위칭 소자(330b)가 턴 온되어, 전력 변환부(310)와 제2 배터리팩(400b)을 전기적으로 온(on)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 또는 직류 전원이, 전력 변환부(310)에서 변환되어, 제2 스위칭 소자(330b)를 거쳐, 제2 배터리팩(400b)에 충전되게 된다. 즉, 제2 전류(I2)가 전력 변환부(310)에서제2 배터리팩(400b)으로 흐르게 된다.
다음,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제어부(320)는, 제2 배터리팩이 탈착되는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와, 제1 및 제2 배터리팩 의 전기적 연결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탈부착 감지부(340)로부터 탈부착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터리팩(400b)에 대응하는 제2 탈부착 감지수단(340b)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제2 탈부착 감지수단(340b)에서 감지된 직류 전원 레벨이 소정 레벨 미만, 예를 들어, 0V 인 경우, 탈착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제2 배터리팩이 탈착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너지 저장장치(100) 내로의 돌입 전류(inrush current)를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배터리팩 의 전기적 연결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이에 따라, 스위칭부(330)의 해당 스위칭 소자(330a,330b)를 포함하여, 모든 스위칭 소자를 턴 오프(off)시킬 수 있다.
도 13d는, 제1 스위칭 소자(330a) 및 제2 스위칭 소자(330b)가 턴 오프되어, 전력 변환부(310)와, 제1 배터리팩(400a) 및 제2 배터리팩(400b)이 전기적으로 오프(off)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 또는 직류 전원이,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부착되는 모든 배터리팩으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에너지 저장장치(100) 장치 내에, 돌입 전류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에너지 저장장치(100) 내의 회로 소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에너지 저장장치(100)의 제어부(320)는, 제2 오프 기간 경과하는 경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제1 배터리팩에 충전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제2 오프 기간이 경과하면, 다시 충전 모드에 따라, 배터리팩으로, 전력 변환부(310)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이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13a와 같이, 제1 스위칭 소자(330a)가 턴 온되어, 전력 변환부(310)로부터의 직류 전원이 제1 배터리팩(400a)에 충전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팩 사이의 전원 밸런싱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20)는, 에너지 저장장치(100)에 부착되는 배터리팩의 직류 전원 레벨을 수신하고, 그 레벨 차이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전원 밸런싱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스위칭 소자(330a) 및 제2 스위칭 소자(330b)가 모두 턴 온되어, 전력 변환부(310)와, 제1 배터리팩(400a) 및 제2 배터리팩(400b)이 전기적으로 오프(off)되며, 대신에, 제1 배터리팩(400a)과 제2 배터리팩(400b)이 전기적으로 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9)
-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팩이 탈착 또는 부착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에 탈착 또는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팩; 및
상기 접속부와 동일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부착되는 배터리팩과 열을 교환하며, 충전 모드인 경우, 입력되는 외부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방전 모드인 경우, 부착되는 배터리팩으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팩은, 상기 배터리팩의 양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력변환부와의 열교환을 위해 동작하는, 제1 팬과 제2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부착되는 배터리팩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전력 변환부의 상기 케이스 접촉면은, 상기 접속부에 부착되는 배터리팩의 상기 케이스 접촉면 보다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은, 상기 배터리팩의 온도에 따라, 상기 팬을 동작시키는 배터리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팬이 동작하며, 상기 전력 변환부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팬이 동작하거나 상기 배터리팩 내에 배치되는 열선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 중 최하단에 부착되는 제1 배터리팩은, 일 측면에 배치되는 열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팩은, 직류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제1 배터리팩에 저장되는 직류 전원은, 상기 팬, 또는 상기 열선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전력 변환부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이 상기 접속부에 부착되는 제1 배터리팩에 충전되도록 스위칭하며, 상기 방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접속부에 부착되는 배터리팩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상기 전력 변환부로 전달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제1 배터리팩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에 제2 배터리팩이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배터리팩 및 상기 제2 배터리팩과의 전기적 연결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팩이 탈착 또는 부착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와 동일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부착되는 배터리팩과 열을 교환하며, 충전 모드인 경우, 입력되는 외부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방전 모드인 경우, 부착되는 배터리팩으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전력 변환부;
상기 전력 변환부의 열을 상기 접속부에 부착되는 배터리팩으로 전달하도록, 동작하는 제1 팬; 및
상기 접속부에 탈착 또는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팩;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팩은,
상기 제1 팬의 반대 측면에 배치되는 제2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은, 상기 배터리팩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2 팬을 동작시키는 배터리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팬이 동작하며, 상기 전력 변환부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팬이 동작하거나 상기 배터리팩 내에 배치되는 열선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 중 최하단에 부착되는 제1 배터리팩은, 일 측면에 배치되는 열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팩은, 직류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제1 배터리팩에 저장되는 직류 전원은, 상기 팬, 또는 상기 열선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전력 변환부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이 상기 접속부에 부착되는 제1 배터리팩에 충전되도록 스위칭하며, 상기 방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접속부에 부착되는 배터리팩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상기 전력 변환부로 전달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제1 배터리팩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에 제2 배터리팩이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배터리팩 및 상기 제2 배터리팩과의 전기적 연결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2038A KR101409999B1 (ko) | 2012-05-16 | 2012-05-16 | 에너지 저장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2038A KR101409999B1 (ko) | 2012-05-16 | 2012-05-16 | 에너지 저장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8181A KR20130128181A (ko) | 2013-11-26 |
KR101409999B1 true KR101409999B1 (ko) | 2014-06-20 |
Family
ID=4985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2038A KR101409999B1 (ko) | 2012-05-16 | 2012-05-16 | 에너지 저장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999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3425A (ko) | 2015-03-19 | 2016-09-29 | 세방전지(주) | 에너지저장시스템의 과온차단장치 및 방법 |
KR20230083155A (ko) * | 2021-12-02 | 2023-06-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에너지저장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5748B1 (ko) * | 2014-02-07 | 2014-05-19 | 에스피브이(주) | 태양 에너지 저장장치 |
KR101654438B1 (ko) * | 2014-12-31 | 2016-09-06 |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 태양전지가 설치된 에너지 저장장치 |
KR102130723B1 (ko) * | 2019-12-23 | 2020-07-06 | 주식회사 에이유테크 | 열선 내장 배터리팩 |
KR102343510B1 (ko) * | 2020-11-13 | 2021-12-30 | 주식회사 모비 | 배터리 모듈을 탈부착 가능한 확장형 에너지 저장장치 및 배터리 모듈 교환에 따른 과금 방법 |
KR20220151347A (ko) * | 2021-05-06 | 2022-11-15 | 굿바이카 주식회사 | 배터리 착탈/교환이 가능한 이동형 전원공급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330008A (ja) | 2006-06-07 | 2007-12-2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充電回路、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方法 |
WO2011068151A1 (ja) | 2009-12-04 | 2011-06-09 | 三洋電機株式会社 | 蓄電ユニットおよび発電システム |
-
2012
- 2012-05-16 KR KR1020120052038A patent/KR1014099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330008A (ja) | 2006-06-07 | 2007-12-2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充電回路、充電システム、及び充電方法 |
WO2011068151A1 (ja) | 2009-12-04 | 2011-06-09 | 三洋電機株式会社 | 蓄電ユニットおよび発電システム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3425A (ko) | 2015-03-19 | 2016-09-29 | 세방전지(주) | 에너지저장시스템의 과온차단장치 및 방법 |
KR20230083155A (ko) * | 2021-12-02 | 2023-06-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에너지저장장치 |
KR102669127B1 (ko) * | 2021-12-02 | 2024-05-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에너지저장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8181A (ko) | 2013-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0000B1 (ko) | 에너지 저장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1409999B1 (ko) | 에너지 저장장치 | |
US8482155B2 (en) | Power converting device for renewable energy storage system | |
JP5660130B2 (ja) | 蓄電ユニット、蓄電池の容量値の補正方法および蓄電システム | |
US8907522B2 (en) | Grid-connected power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rid-connected power storage system | |
JP5155373B2 (ja) | 系統連係型電力保存システム及びそれを制御する方法 | |
US20110210701A1 (en) | Battery system | |
EP2355291B1 (en) | Modular electric power system with a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ng apparatus | |
US20120235631A1 (en) | Storage Unit, Power Generation System, and Charge/Discharge System | |
JP2011109901A (ja) | 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る系統連係型電力保存システム | |
CN104247201A (zh) | 蓄电系统、以及盒 | |
JP2015133901A (ja) | 太陽光モジュール | |
KR101898587B1 (ko) | 태양광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시스템 | |
KR101688485B1 (ko) | 에너지 저장 장치 | |
WO2020069274A1 (en) | Portable solar power generator with energy storage | |
JP2017169443A (ja) | 太陽光モジュール | |
KR20140115502A (ko) | 배터리 가온 기능을 갖는 전원 변환 장치 | |
WO2013015097A1 (ja) | 蓄電システム、及びそれを利用した系統連系システム | |
CN103165960B (zh) | 一种用于电动车电池的加热保温系统 | |
KR101162221B1 (ko) | 에너지 저장장치의 과충전/과방전 방지장치 및 방법 | |
JP2015133903A (ja) | 電力変換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太陽光モジュール | |
JP2000166124A (ja) | 補助電源装置 | |
US20110149626A1 (en) | Bidirectional inverter for new renewable energy storage system | |
KR101707989B1 (ko) | 계통 연계형 초 절전 태양광 발전 인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시스템 | |
JP2003070254A (ja) | 電力変換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