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395B1 -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395B1
KR101409395B1 KR1020130036238A KR20130036238A KR101409395B1 KR 101409395 B1 KR101409395 B1 KR 101409395B1 KR 1020130036238 A KR1020130036238 A KR 1020130036238A KR 20130036238 A KR20130036238 A KR 20130036238A KR 101409395 B1 KR101409395 B1 KR 101409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nanostructure
hexagonal
hexagonal nut
g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호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36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3/0095Manufacture or treatments or nanostructur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82B3/0009 - B82B3/00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육각 판상 형상을 갖는 제1금속의 나노입자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1용액에, 제1금속보다 이온화 경향이 적은 제2금속의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용액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는 템플레이트를 제거하는 후속공정 없이, 단일 공정에 의해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제1금속 나노입자 제2금속 화합물의 몰비를 조절함으로써 기공의 크기 및 개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나노구조체의 광학 특성 등을 또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porous metallic nano-structures having hexagonal nut shape}
본 발명은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수득된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종횡비가 비교적 작은 두꺼운 형태의 육각형 판상 형태의 제1금속 나노입자, 수용성 고분자 및 제2금속염을 포함하고 있는 수용액을 가열하여 다공성의 육각 너트 모양의 금속 나노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성물의 농도 비율을 조절함으로 생성되는 금속(합금) 나노구조체에 존재하는 기공의 크기 및 숫자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나노구조체의 광학적 성질을 제어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금속(합금) 나노구조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삼각 또는 육각 판상 금속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에 대해서는 몇몇 문헌에서 보고된 바가 있으나, 실질적으로 의미있는 두께를 갖는 육각 너트 형상을 갖는 금속 나노입자 또는 나노구조체에 대해서는 연구결과가 구체적으로 보고된 바가 없다.
일반적으로,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는 실리카 또는 고분자 라텍스 입자들을 템플레이트로 사용하고, 전술한 템플레이트를 금속 또는 이의 전구체로 얇게 코팅하고, 전술한 템플레이트 (즉 실리카 또는 고분자 입자)를 액상에서의 화학적 에칭법 또는 고온에서의 소결법(calcination)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Advanced Materials 2002, 12, 206, Chemistry of Materials 2001, 13, 1146, Langmuir 1998, 14, 3740]
실리카 및/또는 고분자 라텍스 입자는 형상이 대부분 구형이므로, 이를 템플레이트로 사용하여 제조된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들도 또한 구형 형상을 가질 수 밖에 없다. 템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방법은 템플레이트 제거공정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지만, 이러한 템플레이트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뿐만 아니라, 템플레이트를 이용한 방법에서는 금속 나노구조체를 일정한 조성 및 두께를 가지도록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노구조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공의 수나 크기 또한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공성 나노구조체에 있어서, 이들을 전기화학적 촉매 (electrochemical catalysis) 또는 SERS (거대라만산란 또는 표면증강라만산란, surface enhanced Raman scattering)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구형 이외에도 각이 있는 다각형을 가지는 입자형태로 제조할 필요가 있다. 나노구조체 입자에 있어서, 입자들이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다면 광학적 특성이 보다 우수하거나 유용할 뿐만 아니라, 모서리(edge) 부분에서 활성 및 신호(signal)가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이유로,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상을 가지면서 다공성을 갖는 금속 나노구조체 입자를 제조하는 것에 대해 많은 필요성이 있어왔다.
본 발명자는, 대칭적인 구조 및 중공 구조를 갖는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 입자들을 간단하고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육각 판상 형상의 금속 나노입자를 템플레이트로서 사용하여 상압에서 액상 화학법으로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를 단일 공정에 의해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템플레이트를 제거하는 후속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육각 판상 형상의 제1금속 나노입자에 제1금속 보다 이온화도가 낮은 제2금속의 이온전구체를 첨가하여 상압에서 액상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육각 너트 형상을 갖는 다공성 제1금속 나노구조체를 단일 공정에 의해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템플레이트로 사용된 제1금속 나노입자를 제거하는 후속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를, 템플레이트를 제거하는 후속공정 없이, 단일 공정에 의해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는 템플레이트로 사용되는 육각 판상의 제1금속 나노입자와 목적하는 제2금속화합물의 몰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공의 크기 및 개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결과된 나노구조체의 광학 특성 등을 또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제1금속(예. Ag0)의 산화 및 제2금속이온(예. Au3+)의 환원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노구조체의 형성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구조체의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으로, 육각 너트 형상의 금속 나노구조체가 균일한 크기로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도3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나노구조체의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으로, 측면에도 다수의 기공을 갖는 육각 너트 형상의 금속 나노구조체가 균일하게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도 4는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나노구조체의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으로, 다공성이 매우 큰 육각 너트 형상의 금속 나노구조체가 균일하게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도 5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나노구조체의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육각형이 아닌 은나노입자를 사용할 경우에, 제조되는 나노구조체는 대칭적이지 않고 육각 너트 형상도 아닌 것을 보여준다.
도 6은 비교예 2에서 금이온의 농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나노구조체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으로, 단결정의 은나노입자를 사용할 경우에, 제조되는 나노구조체는 대칭적이지 않고 육각 너트 형상도 아닌 것을 보여준다.
도 7은 실시예 1~3에서 금이온의 농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나노구조체의 국부적 표면 플라즈몬 공명 피크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peak)의 그래프로서, 금이온 농도가 증가할수록 최대 피크가 가시광에서 근적외선 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육각 판상 형상을 갖는 제1금속의 나노입자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1용액에, 제1금속보다 이온화 경향이 적은 제2금속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용액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첫째, 육각 판상 형상을 갖는 제1금속의 나노입자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1용액을 준비하고,
둘째, 제1금속보다 이온화 경향이 적은 제2금속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용액을 준비하고,
셋째, 제1용액에 제2용액을, 경우에 따라서는 가열 및 교반 하에, 연속적으로 또는 조금씩 일정하게 첨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금속 나노입자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1용액을 미리 가열하고, 교반하에 제2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용액을 첨가하는 것이 균질한 반응을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금속 나노입자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1용액의 가열온도는 60~100℃, 구체적으로는 70~100℃, 바람직하게는 80~100℃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높은 온도를 선택하면 더욱 신속한 반응을 달성할 수 있다.
제1용액의 교반은 마그네틱 바를 이용한 교반이 바람직하며, 이때, 불순물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마그네틱 바는 테플론으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1금속의 나노입자는 육각 판상 형상을 가지며, 평균크기가 10 ~ 1000 nm, 구체적으로는 50 ~ 800 nm, 바람직하게는 100 ~ 500 nm이고 종횡비 (입자크기/입자두께) 가 3 이하, 구체적으로는 2.5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종횡비란 입자크기:입자두께의 비 (즉, 입자크기/입자두께)를 의미하는데, 육각 판상 나노입자에 있어서는, 육각형 윗면의 크기 또는 평균직경이 입자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종횡비의 하한값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종횡비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 예를들면, 입자크기에 비해 입자두께가 상대적으로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입자크기와 입자두께의 의미가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바와 상충되거나 템플레이트 금속 나노입자의 역할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바와 차이가 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육각 판상 나노입자의 종횡비는 일반적으로는 0.5 이상, 구체적로는 0.8 이상, 특별하게는 1 이상을 갖는다고 언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육각형 판상형의 금속 나노입자는 (hexagonal metal nanoplate)는 예를 들면 문헌 [Advanced Materials 2006, 18, 1745] 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들은 본 발명에 참고로 혼입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금속 및 제2금속의 조합은 이온화경향의 차이가 있는 금속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금속은 예를들면 전이금속, 구체적으로는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Y, Zr, Nb, Mo, Tc, Ru, Rh, Pd, Ag, Cd, Lu, Hf, Ta, W, Re, Os, Ir, Pt 및 Au를 예시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전술한 제1금속은 은이고 제2금속은 은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 예를 들면 팔라듐, 백금 또는 금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2금속화합물은 물과 같은 반응용매에 반응이 일어날 수 있을 정도로 용해성이 있는 유기금속화합물 및/또는 금속염이라면 큰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금속염의 예로는 할로겐염, 질산염, 황산염 또는 인산염을 언급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AuCl [gold(I) chloride], AuCl3 [gold(III) chloride], HAuCl4, NaAuCl4, PdCl2, HPdCl4, NaPdCl4 [sodium palladium (II) tetrachlolride], PtCl2, HPtCl4, NaPtCl4, 또는 이들의 수화물, 예를들면 AuCl32H2O, NaPtCl43H2O, HAuCl44H2O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전술한 제1용액 및 제2용액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물이며, 필요에 따라 수용성 또는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를들면 메탄올, 에탄올프로판올과 같은알콜, 아테톤과 같은 케톤, 아세토니트릴 및/또는 DMSO 등을 90 부피%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부피% 이하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제1용액은 전술한 제1금속의 나노입자를 0.001 ~ 20 mM, 구체적으로는 0.01 ~ 15 mM, 바람직하게는 0.05 ~ 10 mM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제2용액은 전술한 제2금속염을 0.001 ~ 20 mM, 구체적으로는 0.01 ~ 15 mM, 바람직하게는 0.05 ~ 10 mM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전술한 제2용액의 첨가속도는 1 ~ 200 mL/h, 구체적으로는 2 ~ 150 mL/h, 바람직하게는 3 ~ 100 mL/h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전술한 수용성 고분자는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을 대부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고분자는 예를 들면 5,000 ~ 150,000, 구체적으로는 10,000 ~ 100,000 사이, 바람직하게는 20,000 ~ 80,000 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는 예를들면 0.05 ~ 20 mg/ml, 구체적으로는 0.1 ~ 10 mg/ml, 바람직하게는 0.2 5 mg/ml 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고분자 용액의 농도가 작으면 제조되는 생성되는 합금 나노입자들이 엉겨붙을 가능성이 크고, 고분자 용액의 농도가 너무 많게 되면 세척 과정이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육각 너트모양의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종횡비가 작은 두꺼운 육각형 판상형 제1금속의 나노입자 (예. Ag의 나노입자), 수용성 고분자, 제2금속염 (예. Au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가열하여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단계에서 반응 혼합물에는 제1금속 (예. Ag)의 나노입자와 제2금속 이온 (예. Au+)이 함께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금, 팔라듐, 백금과 같이 Ag에 비해서 이온화 경향이 작은 금속염, 구체적으는 금속 이온을 포함하고 있다면, 이들 금속 이온에 대한 환원포텐셜 (reduction potential)이 Ag+/Ag에 비해서 크기 때문에 다음의 화학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화학반응식 1)
nM1(s)+mM2 n+(aq) → mM(s) + nM2 m+(aq)
(화학반응식 2)
Ag(s)+Au3+(aq) → Au(s) + 3Ag+(aq)
(화학반응식 3)
2Ag(s)+Pd2+(aq) → Pd(s) + 2Ag+(aq)
화학반응식 2에서, Ag 원자는 Ag+ 이온으로 산화되고, Ag 원자가 산화되면서 생성되는 전자를 금이온 (Au3+)이 받아서 금원자(Au0)로 환원되므로, 금(Au)이 Ag 나노입자 표면에 석출된다.
상기 화학식 1~3에 표현된 산화환원반응, 즉 제1금속의 산화반응 및 제2금속의 환원반응은 제1금속(고체)에서 제1금속이온으로의 용출과 제2금속이온에서 제2금속(고체)로의 석출 및 육각 너트 형태로의 성장으로 결과되는데, 이는 도 1에서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육각 판상형 금속 나노입자에서 위/아래의 결정면들은 모두 [111]면이지만, 측면의 결정면에는 [111]면과 [100]면이 함께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수용성 고분자들은 [100]면과 강하게 결합되므로 주로 [100]면에 주로 존재하므로, 수용성 고분자로 보호되지 않는 위/아래의 [111]면에서 제1금속의 산화반응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제1금속(고체)는 위/아래의 [111]면에서 제1금속이온으로 산화되어 용출되고, 제2금속 이온은 측면부터 환원되어 제2금속(고체)으로 적층되므로, 제2금속 나노구조체가 육각 너트 형상으로 성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육각 너트 형상이란 외주(바깥둘레)는 육각형 또는 육각형에 가까운 원형이고 내부에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구멍이 있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화학반응식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금속 나노입자 (예. Ag 나노입자)의 용액 또는 분산액에 제2금속 이온 (예. 금이온)을 주입하면, 이온화경향의 차이에 의해 Ag(금속)은 자발적으로 Ag+(이온)으로 산화되어 용출제거되며, 따라서 템플레이트 제거 공정 (즉, 템플레이트로서의 Ag 나노입자를 제거하는 공정)을 별도로 또는 추가로 진행시킬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육각 너트 형상의 나노구조체는 외주 (바깥둘레)가 육각형 또는 원형에 가까운 육각형이므로, 촉매특성, 광학특성 및 흡수/흡착 특성에 있어서, 외부둘레가 원형인 나노구조체에 비해서 차이가 있거나 유리한 측면이 있다. 아울러, 산화되는 제1금속 나노입자 및 환원되는 제2금속염의 사용비율, 구체적으로는 몰비율을 조절함으로써, 결과된 육각 너트 형상의 나노구조체에서 기공의 크기 및 개수를 조절 또는 제어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결과된 나노구조체의 LSPR과 같은 광학적 성질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원발명에 따른 나노구조체의 중앙 기공크기에 따라 국부적 표면 플라즈몬 공명 피크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peak)가 가시광에서 근적외선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본원 발명에서는 제2금속이온의 첨가량에 따라 나노구조체의 중앙 기공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피크를 가시광에서 근적외선 영역으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7 참조).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 측면에 기공을 포함하지 않는 육각 너트 형상의 금-은 합금 나노구조체의 제조
문헌 [Advanced Materials 2006, 18, 1745~1749]에 따라 육각 판상 은나노입자를 제조하였으며, 이들은 평균 입자크기 120 nm 및 평균 입자두께 60 nm 또는 그 이하를 가졌으며, 종횡비 (크기/두께 비율)는 대략 2 이다. 3차 증류수에 중량평균분자량 55,000의 폴리비닐피롤리돈을 3 mg/ml의 농도로 첨가하고 육각 판상 은나노입자를 0.1 mM 농도로 첨가하여 제1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자석식 교반기를 장착한 20 mL 둥근 플라스크에, 상기 제1 수용액 (3ml)를 도입하고 100℃에서 10분간 교반 하에 가열하였다.
HAuCl4를 0.2 mM 농도로 함유하는 제2 수용액 1.0 ml를 시린지 펌프(syringe pump)를 이용해서 45 mL/h의 속도로 주입하고, 10분간 다시 100℃에서 가열한 다음, 상온으로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하였다.
결과된 혼합물을 1차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제거하고 침강층을 NaCl 포화 수용액에 재분산시켜 2차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제거하고 침강층을 3차 증류수에 분산시켜 3차 원심분리한 다음, 나노구조체를 침강층에서 나노구조체를 회수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미경을 사용한 분석에 의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구조체는 육각 너트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큰 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평균 크기가 140 nm 정도인, 육각 너트 형상의 금-은 합금 나노구조체인 것을 확인하였다 (도 2 참조). SEM EDS 분석은 상기 금-은 합금 나노구조체에서 금의 함량은 14 원자%임을 보여준다.
실시예 2: 측면에 기공을 포함하는 육각 너트 형상의 금-은 합금 나노구조체의 제조
제2 수용액을 3.0 ml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육각 너트 형상의 금-은 합금 나노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미경을 사용한 분석에 의해,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나노구조체는 육각 너트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큰 기공 및 측면의 다수의 작은 기공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크기가 145 nm 정도인 금-은 합금 나노구조체인 것을 확인하였다 (도 3 참조). SEM EDS 분석은 상기 금-은 합금 나노구조체에서 금의 함량은 72 원자%임을 보여준다.
실시예 3: 다공성이 매우 큰 육각 너트 형상의 금-은 합금 나노구조체의 제조
제2 수용액을 5.0 ml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육각 너트 형상의 금-은 합금 나노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미경을 사용한 분석에 의해,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나노구조체는 육각 너트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큰 기공 및 측면의 다수의 작은 기공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크기가 145 nm 정도인 금-은 합금 나노구조체인 것을 확인하였다 (도 4 참조). SEM EDS 분석은 상기 금-은 합금 나노구조체에서 금의 함량은 95 원자% 이상임을 보여준다.
비교예 1: 종횡비가 큰 템플레이트를 이용한 나노구조체의 제조
평균크기 255 nm 및 평균두께 29 nm이고 종횡비가 대략 8.8인 판상 은나노입자를 사용하는 것과 제2 수용액을 3.0 ml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금-은 합금 나노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미경을 사용한 분석에 의해,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나노구조체는 중앙에 큰 기공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육각 너트 형상이 아니라 매우 얇은 고리 모양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5 참조).
비교예 2: 구형 템플레이트를 이용한 나노구조체의 제조
폴리올 환원법(Nano Letters, 2004, 4, 1733-1739)으로 제조된 평균입도 23.5 nm의 구형 Ag 나노입자를 사용하는 것과 제2 수용액을 0.5, 0.75, 1.25, 1.75 및 3.0 ml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금-은 합금 나노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미경을 사용한 분석에 의해, 비교예 2에서는, 구형 은나노입자가 8각형 금-은 나노구조체로 성장하였지만, 대칭적인 구조가 아니며, 육각 너트 형상의 나노구조체는 형성되지도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도 6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나노구조체는 균일한 육각형태, 높은 다공성 및 큰 표면적을 가지고 있어, 표면증강 라만산란법(SERS)에서의 용도, 생의학적 용도 (조영제 또는 치료약물), 및 연료전지 촉매 또는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등에서의 용도로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Claims (10)

  1. 종횡비가 3 이하인 육각 판상 형상을 갖는 제1금속의 나노입자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1용액에, 제1금속보다 이온화 경향이 적은 제2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용액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고, 전술한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전술한 육각 판상 형상을 갖는 제1금속의 나노입자는 평균크기가 10 nm ~ 1000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1금속은 은(Ag)이고 제2금속은 팔라듐(Pd), 백금(Pt) 및 금(Au)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제2금속화합물은 AuCl [gold(I) chloride], AuCl3 [gold(III) chloride], HAuCl4, NaAuCl4, PdCl2, HPdCl4, NaPdCl4 [sodium palladium (II) tetrachlolride], PtCl2, HPtCl4, NaPtCl4, 또는 이들의 수화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1금속의 나노입자는 0.001 ~ 10 mM의 농도로 제1용액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2용액은 1 ~ 100 mL/h의 주입속도로 제1용액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수용성 고분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 100,000 사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수용성 고분자는 0.1 ~ 10 mg/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
KR1020130036238A 2013-04-03 2013-04-03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1409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238A KR101409395B1 (ko) 2013-04-03 2013-04-03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238A KR101409395B1 (ko) 2013-04-03 2013-04-03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395B1 true KR101409395B1 (ko) 2014-06-20

Family

ID=5113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238A KR101409395B1 (ko) 2013-04-03 2013-04-03 육각 너트 형상의 다공성 금속 나노구조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3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827B1 (ko) * 2015-08-26 2017-10-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공 합금 나노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061729A (zh) * 2018-02-08 2018-05-22 北京科技大学 液相下表面等离激元-激子耦合驱动电化学催化反应器件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yungkwon Lim, et al., Facile Synthesis of Bimetallic Nanoplates Consisting of Pd Cores and Pt Shells through Seeded Epitaxial Growth, Nano Lett., 2008, Vol. 8, pp. 2535-2540. *
Byungkwon Lim, et al., Facile Synthesis of Bimetallic Nanoplates Consisting of Pd Cores and Pt Shells through Seeded Epitaxial Growth, Nano Lett., 2008, Vol. 8, pp. 2535-2540.*
Li-Ping Jiang, et al., Ultrasonic-Assisted Synthesis of Monodisperse Single-Crystalline Silver Nanoplates and Gold Nanorings, Inorg. Chem. 2004, Vol. 43, pp. 5877-5883. *
Li-Ping Jiang, et al., Ultrasonic-Assisted Synthesis of Monodisperse Single-Crystalline Silver Nanoplates and Gold Nanorings, Inorg. Chem. 2004, Vol. 43, pp. 5877-5883.*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827B1 (ko) * 2015-08-26 2017-10-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공 합금 나노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061729A (zh) * 2018-02-08 2018-05-22 北京科技大学 液相下表面等离激元-激子耦合驱动电化学催化反应器件
CN108061729B (zh) * 2018-02-08 2023-11-24 北京科技大学 液相下表面等离激元-激子耦合驱动电化学催化反应器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ng et al. A review of the role and mechanism of surfactants in the morphology control of metal nanoparticles
Fan et al. Thin metal nanostructures: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Zheng et al. Oxidative etching and its role in manipulating the nucleation and growth of noble-metal nanocrystals
Pastoriza‐Santos et al. N, N‐dimethylformamide as a reaction medium for metal nanoparticle synthesis
Thota et al. Colloidal Au–Cu alloy nanoparticles: synthesis, optical properties and applications
Long et al. Oxidative etching for controlled synthesis of metal nanocrystals: atomic addition and subtraction
Long et al. Th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latinum nanoparticle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ize and morphology
Cho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oble‐Metal Nanostructures Containing Gold Nanorods in the Center
Huang et al. Polyol syntheses of palladium decahedra and icosahedra as pure samples by maneuvering the reaction kinetics with additives
Ye et al. Anisotropically branched metal nanostructures
Yang et al. Mesoporous nano/micro noble metal particles: synthesis and applications
Subhramannia et al. Shape-dependent electrocatalytic activity of platinum nanostructures
Andreescu et al. A simple route for manufacturing highly dispersed silver nanoparticles
Gao et al. Seeded growth route to noble metal nanostructures
Jiang et al. Synthesis and high electrocatalytic performance of hexagram shaped gold particles having an open surface structure with kinks
Sastry et al. New approaches to the synthesis of anisotropic, core–shell and hollow metal nanostructures
Li et al. Recent research progress on preparation of silver nanowires by soft solution method and their applications
Sun et al. Roughness-controlled copper nanowires and Cu nanowires–Ag heterostructures: synthesis and their enhanced catalysis
Fu et al. Room temperature synthesis of a novel γ-MnO2 hollow structure for aerobic oxidation of benzyl alcohol
Duan et al. Regulating surface facets of metallic aerogel electrocatalysts by size-dependent localized ostwald ripening
Min et al. Azeotropic distillation assisted fabrication of silver nanocages and their catalytic property for reduction of 4-nitrophenol
Eid et al. Nanoarchitectonic metals
WO2012123435A1 (en) Platinium/silver noble metal single wall hollow nanoparticles and their preparation process
Zhang et al. Preparation of freestanding palladium nanosheets modified with gold nanoparticles at edges
JP5114008B2 (ja) 表面に金微粒子を付着させた高分子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