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274B1 - Connector for vertical type cable tray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vertical type cable 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274B1
KR101409274B1 KR1020130133099A KR20130133099A KR101409274B1 KR 101409274 B1 KR101409274 B1 KR 101409274B1 KR 1020130133099 A KR1020130133099 A KR 1020130133099A KR 20130133099 A KR20130133099 A KR 20130133099A KR 101409274 B1 KR101409274 B1 KR 101409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lab
coupling
concrete
embed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0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3737A (en
Inventor
강승국
Original Assignee
강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국 filed Critical 강승국
Publication of KR20130133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7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2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0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는, 집합건물의 윗층과 아래층을 구분하는 슬라브에 매설되어 윗층의 영역에 배치되는 수직형 전선용 트레이와 아래층의 영역에 배치되는 수직형 전선용 트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관통공을 형성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콘크리트 양생시 슬라브에 박혀 고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브 형성을 위한 철근 배근시 철근에 고정되어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시 슬라브에 수직으로 관통 설치되는 매립부; 및
상기 매립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방 측에는 배선작업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며, 양 측벽에는 아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이 결합되기 위한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결합되기 위한 상부 트레이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층에서 발생되는 전선을 안내하는 각 수직형 전선 트레이를 슬라브에 매립되는 연결장치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 connector for a vertical wire tray is disclosed. The vertical wire tray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wire tray disposed in an area of an upper layer embedded in a slab separating an upper layer and a lower layer of a collective building and a vertical wire tray disposed in a lower layer area For connection,
And at least one fixed blade for fixing and fixing the slab to the slab at the time of concrete curing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lab and is fixed to the reinforcing bar when the slab is formed. A buried portion vertically penetrating the Si slab; And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for coupling the upper end of the tray positioned at the lower layer and the lower end of the tray positioned at the upper layer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the front side, And an upper tray engaging hole for engaging the upper tray engaging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each vertical wire tray for guiding electric wires generated in each layer can be easily connected to a connection device embedded in the slab.

Description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CONNECTOR FOR VERTICAL TYPE CABLE TRA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a vertical cable tray,

본 발명은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의 상부 층과 하부 층을 연결하여 시공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cable tray connection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necting a cable tray using the vertical cable tray.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cable tray connection method using an upper layer and a lower layer of an assembly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device for a vertical wire tray and a method of connecting a wire tray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최근의 건축물들은 건축기술의 발달에 기인함은 물론 수요자들의 요구에 따라 점차 고층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을 건축할 경우에, 각 세대에는 전력공급을 위한 전선뿐만 아니라, 통신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의 서비스를 위한 각종 약전선들 예컨대 전화선, ADSL 이나 VDSL 등과 같은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 선, MATV선, 각종 원격검침 조작선 및 홈 오토메이션 선 등이 배설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집합건물에는 EPS(Electrical Pipe Shaft) 실 및 TPS(Telecommunication Pipe Shaft)실의 설치가 법규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In general, recent buildings are becoming more and more taller due to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technology as well as the demands of customers.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collectiv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not only electric wires for electric power supply but also various electric wires for service of communication service and multimedia such as telephone line, high speed internet exclusive line such as ADSL or VDSL, CATV line, MATV Line, various remote meter reading control lines and home automation lines can be installed. For this purpose, EPS (Electrical Pipe Shaft) room and TPS (Telecommunication Pipe Shaft) room are regulated in the assembly building.

상기한 바와 같은 EPS 실이나 TPS 실은 집합건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것이 기본으로 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에서와 같이 전선 트레이(Cable Tray)를 이용하여 각 세대별 케이블 배전이 흔히 이루어진다.The above-mentioned EPS room or TPS room is installed between the floors of the collective building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the cable distribution of each household is often performed by using a cable tray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RC구조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와 SRC구조의 철골철근 콘트리트 구조의 집합 건축물에서, 전선 트레이(20)가 각층의 슬라브(1)를 통과하여 벽체(3)에 고정되어 있고, 벽체(3)에는 풀박스(30 - pull box)가 매립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in an aggregate structure of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of an RC structure and a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of an SRC structure using concrete pouring, an electric wire tray 20 passes through a slab 1 of each layer, And a 30 - pull box is embedded in the wall 3.

보다 구체적으로는, 벽체(3)에 가까이 있는 슬라브(1)의 일부에는 전선 트레이(20)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공(10)이 형성된다. 개구공(10)은 슬라브(1)의 시공시에 철근 구조물과 함께 매입되는 슬리브 박스(거푸집)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전선 트레이(20)는 사이드 레일들(21,22)과, 상기 사이드 레일들(21,22)을 서로 평행하게 고정하는 가로대(23)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층의 세대별에 필요한 각종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들(L1,L2,L3)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브(1)의 두께 T1과, 상기 벽체 슬라브(3)의 두께 T2는 인장 및 압축강도가 충분하도록 설계된 철근 콘크리트 두께로 형성되어 진다. 상기 벽체 슬라브(3)에 형성되고 일면이 노출되는 풀박스(30)는 강철이나 PVC 재질로 이루어지고, 박스의 측면 일부에는 케이블 보호용 배관라인과 연결되는 인입/인출 홀(31,33)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an opening hole 10 for passing the electric wire tray 20 is formed in a part of the slab 1 close to the wall 3. The opening hole 10 is formed by a sleeve box (mold) which is embedded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slab 1. The electric wire tray 20 includes side rails 21 and 22 and a cross bar 23 for fixing the side rails 21 and 22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serves to support the cables L1, L2, and L3 vertically. The thickness T1 of the slab 1 and the thickness T2 of the wall slab 3 ar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the reinforced concrete designed to have sufficient tension and compressive strength. The pull box 30 formed on the wall slab 3 and exposed at one side thereof is made of steel or PVC and has a plurality of inlet / outlet holes 31 and 33 connected to a cable protection pipe line Respectively.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선 트레이(20)를 이용하여 각 층별 각 세대별로 필요한 케이블 배선을 행하기 위해서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케이블 보호/통과용 배관들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풀박스(30)를 상기 벽체 슬라브(3)에 미리 매입시켜야 하고, 상기 전선 트레이(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구공(10)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미리 제작하여 슬라브(1)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에 매입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슬라브(1)의 콘크리트 양생이 끝나면 나무 또는 합판, 스티로폼 등의 일회용 재질로 제작되어진 거푸집을 제거하여 직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갖는 개구공(10)를 형성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개구공(10)은 거푸집의 해체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므로 시공 측면이 고르지 못하고 울퉁불퉁하다. 또한 소방법 등의 층간방화구획을 처리함에 있어서 작업이 까다롭고 작업진행 속도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선 트레이(20)의 수직 설치를 위해 방해가 되는 울퉁불퉁한 개구공(10)의 내측면은 나중에 제거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별도의 콘크리트 까내기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In order to perform necessary cable wiring for each household by each layer using the wire tray 20 as shown in FIG. 1, the pull box 30 connected to the horizontally arranged cable protection / A mold for forming the opening hole 10 is prepared in advance so as to allow the electric wire tray 20 to pass through the wall slab 3, The purchase should be made. After the concrete curing of the slab 1 is completed, the openings 10 having a rectangular internal space should be formed by removing molds made of disposable materials such as wood, plywood and styrofoam. Here, since the opening hole 10 is formed by disassembling the formwork, the construction side is uneven and rugged.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operation is difficult and the operation speed and economical efficiency are lowered when the interfacial fire partition such as the fire fighting law is processed. Therefore, the inner surface of the rugged opening hole 10, which interferes with the vertical installation of the electric wire tray 20, must be removed later, which requires separate concrete turning work.

전술한 과정으로 슬라브(1)에 개구공(10) 형성이 완료되고, 상기 풀박스(30)의 매입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전선 트레이(20)가 개구공(10)을 통하여 각 층의 슬라브(1)을 관통하여 벽체(3)에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이 경우에 일정 간격의 지지점을 벽체 슬라브(3)에 박아 로드(Rod)로 고정시킨 다음 C-형강(25)과 연결 부속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즉, 전선 트레이(20)를 벽체 슬라브(3)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 브라켓(25)을 앵커링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드릴링하는 공구 및 전기작업선을 매층마다 끌고 다녀야하는 불편함과 작업능률 저하 및 안정상의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이 또한 작업이 번거롭고 트레이(20)의 시공을 더디게 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After the opening hole 10 is formed in the slab 1 and the filling operation of the pool box 30 is completed, the electric wire tray 20 is pushed through the opening hole 10, In this case, a supporting point of a predetermined distance is fixed to the wall slab 3 by a rod and then the C-shaped steel pipe 25 is connected to the wall of the slab 1, . That is, in order to firmly fix the wire tray 20 to the wall slab 3, an operation of anchoring a separate fixing bracket 25 is required. At this tim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drilling tool and the electric work line must be drawn every lay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 efficiency and the stability are lowered. This also makes the operation troublesome and slows down the construction of the tray 20. [

이와 같이 전선 트레이(20)의 벽면 설치가 끝나면 수직 간선계 케이블 포설이 이루어지고, 동일층에 있는 각 세대별로 필요한 케이블들(C1,C2)은 상기 수직 간선계 케이블들에서 분기되어 풀박스(30)내의 인입홀들(31,33)으로 인입된다. 여기서, 케이블들은 배선 정렬성을 위해 케이블 타이(CT)로 상기 전선 트레이(20)의 사이드 레일들(21,22)이나 가로대(23)에 묶여질 수 있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wall of the electric wire tray 20 is completed, a vertical trunk cable is installed, and necessary cables C1 and C2 for each generation in the same floor are branched from the vertical trunk cables, ) Into the inlet holes (31, 33). Here, the cables can be bound to the side rails (21, 22) or the crosspiece (23) of the electric wire tray (20) with cable ties (CT) for wire align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은 전선 트레이 통과용 개구공을 만들기 위해 별도의 거푸집을 제작하여 시공한 다음 콘크리트 양생 후에 해체하는 작업을 해야 하고, 전선 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의 앵커링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슬라브에 개구공을 형성한 후에, 이 개구공을 관통하여 전선 트레이를 배치하고, 개구공을 관통하여 배치된 전선 트레이를 별도의 고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벽체에 고정하는 작업을 해야만 함으로써 전선 트레이의 설치 및 케이블 배전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걸려 공기 단축에 제한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공사비용 측면에서도 경제성이 없으며 또한 작업에 따른 안전상의 문제점도 존재하며 시공완료시에도 방화구획을 처리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외관이 아름답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As shown in FIG. 1, in the prior art, a separate mold is formed to construct an opening hole for passing through a wire tray, and then an operation for dismantling the concrete after curing is performed. Anchoring operation of a fixing bracket for supporting the wire tray There was a problem to proceed. That is, after the opening hole is formed in the slab, the electric wire tray is disposed through the opening hole, and the electric wire tray disposed through the opening hole is fixed to the wall by using a separate fixing bracket,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to install and cable distribution work as a limitation factor to the shortening of the air, and there is also no economical efficiency in terms of construction cost, and there is a safety problem due to the work. Also,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was not beautiful and troublesome.

한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19882호(공고일 : 2007.05.2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트레이(20)를 통해 집합건물로 제공되는 복수의 케이블중 선택된 케이블들을 동일층에 위치된 세대들로 분배하기 위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19882 (Announcement: 2007.05.21) discloses, as shown in FIG. 2, that selected cables among a plurality of cables provided to a collective building through a wire tray 20 are located on the same layer A cable distribution box structure for distribution to households is presen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는, 세대들의 슬라브(1)가 있는 곳에 위치되어 전선 트레이(20)를 상기 슬라브(1)의 수직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내부공간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개구부(100)가 형성되고 케이블 분배용 홀(31,32,33)들이 상기 개구부(100)와는 수직으로 형성된 바디 프레임(102)과, 상기 바디 프레임(102)의 외부에서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31,32,33)들에 대응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분배용 홀(31,32,33)들을 통과하는 케이블(C1,C2,C3)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관이 접속되어 지도록 하는 연장 컨넥터부(10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2, the cable distribution box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slabs 1 of the generations are present, and the inner space for passing the electric wire tray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lab 1 is exposed A body frame 102 formed with openings 100 to allow cable distribution holes 31, 32 and 33 to be perpendicular to the openings 100, (31, 32, 33) to be connected to a cable protection tube for protecting the cables (C1, C2, C3) passing through the cable distribution holes And an extension connector portion 106. [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는 슬라브(1)에 개구부(100)를 형성하고, 케이블(C1,C2,C3)들을 보호할 수는 있었으나, 전선 트레이(20)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조립이 완료된 전선 트레이(20)를 바디 프레임(102)으로 관통시킨 후 전선 트레이(20)를 벽체에 고정하거나 바디 프레임(102)에 고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ble distribution box structure, the openings 100 are formed in the slab 1 to protect the cables C1, C2, and C3. However, in order to construct the wire tray 20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wire tray 20 having been assembled is passed through the body frame 102 and then the wire tray 20 is fixed to the wall or fixed to the body frame 10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19882호(공고일 : 2007.05.21)Korean Patent No. 10-0719882 (Notice: 2007.05.21)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와 같은 복합 건물의 아랫층 구간에 위치하는 전선 트레이와 윗층 구간에 위치하는 전선 트레이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ans for improving workability by easily connecting a wire tray located in a lower layer section of a complex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to a wire tray located in an upper layer sec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집합건물의 윗층과 아래층을 구분하는 슬라브에 매설되어 윗층의 영역에 배치되는 수직형 전선용 트레이와 아래층의 영역에 배치되는 수직형 전선용 트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관통공을 형성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콘크리트 양생시 슬라브에 박혀 고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브 형성을 위한 철근 배근시 철근에 고정되거나 거푸집에 고정되어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시 슬라브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매립부; 및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이나 하부영역 또는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 마련되고, 아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과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각각 볼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a vertical wire tray disposed in an area of an upper layer and a vertical wire tray disposed in an area of a lower layer embedded in a slab separating an upper layer and a lower layer of a collective building And at least one fixed blade for fixing the slab to the slab at the time of concrete curing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slab, and the reinforcing bar is fixed to the reinforcing bar when the reinforcing bar is formed for forming the slab, A buried portion vertically installed on the slab at the time of curing after pouring concrete; And an engaging portion provided in an upper region or a lower region or an upper region and a lower region of the embedment portion and formed so that the lower ends of the trays positioned in the upper and upper layers of the trays located in the lower layer are respectively bolted together, Can be accomplished by using connecting devices.

상기 결합부는, 아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이 결합되는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결합되는 상부 트레이 결합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상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각 트레이의 결합시 각 트레이의 수직방향 결합위치 조절을 위하여 장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and the upper tray coupling hole are formed by combining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and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wherein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and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lot for adjusting the vertical joining position of each tray.

상기 결합부는, 아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이 결합되는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결합되는 상부 트레이 결합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상부 트레이 결합공이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에 형성될 경우에,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상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tray coupling hole and the upper tray coupling hole are form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embedding portion.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and the upper tray coupling hole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tray,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and the upper tray coupling hole may be formed on both side walls formed upwardly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embedding portion.

상기 결합부는,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결합되는 상부 트레이 결합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트레이 결합공이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에 형성될 경우에, 상기 상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 측벽에 장공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트레이 결합공에는, 아래층의 트레이 상단부가 결합되도록 하부영역에 보조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패널이 볼트로 체결되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Wherein the upper tray coupling hole is formed in an upper region of the embedding portion and the upper tray coupling hole is formed in an upp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embedding portion, And a connection panel having an auxiliary coupling hole formed in a lower region thereof to be coupled with a tray upper end portion of a lower layer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tray coupling hole by bolts.

상기 결합부가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 같이 형성될 경우에, 상기 상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측의 각 하부 연장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the upper region and the lower region of the embedding portion, the upper tray engaging hole is formed on both side walls formed up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embedding portion, And may be formed at each of the lower extension portions on both side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상기 결합부가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 같이 형성될 경우에, 상기 상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하부 영역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하부 트레이 결합공의 이면영역에는 아랫층의 트레이를 고정하는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너트가 결합될 수 있다. When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the upper region and the lower region of the embedding portion, the upper tray engaging hole is formed on both side walls formed up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embedding portion, And a nut for fastening a bolt for fixing a tray of a lower layer may be coupled to a rear area of each lower tray coupling hole.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에는, 아래층의 트레이 상단부가 결합되도록 하부영역에 보조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패널이 볼트로 체결되어 각각 결합될 수 있다.In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a connection panel having an auxiliary coupling hole formed in a lower region so that a tray upper end portion of a lower layer is coupled may be bolted and coupled.

상기 매립부의 내측에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시 위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되, 상기 고정 브라켓은, 일단이 상기 매립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브 형성용 거푸집에 고정되도록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bracket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embedding part so as to prevent the position change of the concrete when the concrete is cured and cured. The fixing bracket is fix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mbedding part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lab- Quot; shape.

상기 매립부의 내측에는, 상기 매립부를 슬라브에 매립할 때, 콘크리트의 타설 압력과 양생시 발생되는 압력으로 상기 매립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상향 절곡된 양단은 상기 매립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시공 완료시에는 제거되는 보조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embedding portion is embedded in the slab, both ends of the upwardly bent portion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mbedding portion so that the embedding portion is not deformed by the pressure of the concrete and the pressure generated during curing, May be provided.

상기 매립부에는, 전선이 인입되거나 인출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플링이 구비된 커플링 박스부가 전방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embedding portion, a coupling box portion having at least one or more couplings for drawing or pulling out a wire may be formed protruding in a front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커플링 박스부의 하단부 둘레와 상기 매립부의 하단부 둘레에는, 상기 매립부의 매립 시공시, 거푸집의 설치공 내측면과 상기 커플링 박스부의 외측면과 상기 매립부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을 커버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날개가 바깥 수평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Wherein a space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mol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box portion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buried portion is covered arou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upling box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embedding portion, An auxiliary wing for preventing the flowing-out of the concrete at the time of horizon can be provided in the outer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매립부의 상부 또는 상기 매립부와 커플링 박스부 상부는 방화덮개가 커버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embedding part or the upper part of the embedding part and the coupling box part can be covered by the fireproof cover.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슬라브에 매립되는 중공형의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 하부영역 또는 상,하부 영역에 하부 트레이 결합공 및 상부 트레이 결합공을 구비한 결합부가 형성된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아래층과 윗층의 각 수직형 전선 트레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직형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으로서,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hollow embedding part embedded in a slab; and a coupling part having a lower tray coupling hole and an upper tray coupling hole in an upper region, A vertical wire tray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vertical wire trays of a lower layer and an upper layer to each other using a formed connection device,

a) 아래층과 윗층 사이에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및 철근 골조 배근시에 상기 연결장치의 매립부를 상기 거푸집에 수직으로 설치하되, 상기 고정날개가 슬라브를 이루는 두께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단계;a) installing the embedd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device vertically in the formwork when the formwork and the reinforcing frame are assembled to form a slab between the lower layer and the upper layer, the fixed wing being positioned in a region of the thickness of the slab;

b) 상기 연결장치의 가 설치가 완료되면, 철근 골조에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으로 슬라브를 형성하여 상기 매립부를 슬라브에 매설하여 고정하는 단계;b)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connecting device is completed, a concrete slab is formed by curing after cementing the reinforcing frame, and the buried portion is buried in the slab and fixed;

c) 상기 b) 단계에 의해 상기 연결장치가 슬라브를 관통하도록 매설되면, 상기 슬라브를 기준으로 윗층 공간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부를 상기 결합부의 상부 트레이 결합공에 볼팅하여 결합하고, 아래층 공간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부를 아래층 쪽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에 볼팅하여 결합하여 상기 상,하부측 트레이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 연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c) When the connecting device is buried to penetrate the slab by the step b), the lower end of the tray positioned in the upper space with respect to the slab is bolted to the upper tray coupling hole of the coupling part, And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trays by bolting the upper end of the tray to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by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tray to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상기 a) 단계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시 상기 연결장치의 위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태로 절곡된 각 고정 브라켓의 일단을 상기 매립부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하고, 각각의 타단은 슬라브를 이루는 거푸집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장치의 슬라브 매설이 완료되면, 상기 거푸집이 제거될 때 상기 고정 브라켓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a), one end of each of the fixing brackets bent in the shape of " ┛ "is fix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mbedding part in order to prevent the position change of the connecting device when concrete is cured and cur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moving the fixing bracket when the mold is removed when the slab is completely embedded in the connecting device.

상기 a) 단계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시 상기 매립부가 뒤틀리는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조 브라켓의 상향 절곡된 양단을 상기 매립부의 내측면에 고정하고, 바닥부는 거푸집이나 철근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a) further includes fixing the upwardly bent ends of the auxiliary bracket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buried portion and fixing the bottom portion to the formwork or the reinforcing bar so that deformation of the buried portion is not generated when the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

상기 c) 단계는, 상기 연결장치의 한쪽 측벽과 상부측 트레이를 접지선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c) may further include connecting one side wall of the connecting device and the upper side tray with a ground wire.

상기 c) 단계는, 아랫층에 위치한 트레이의 길이가 아래층과 윗층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경우, 상기 결합부의 하부 영역에 하부 연장부를 형성하거나 보조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패널을 설치하여 상기 트레이의 상단부를 상기 하부 연장부 또는 연결패널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f the length of the tray located in the lower layer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layer and the upper layer, the connecting panel having the lower extension portion or the auxiliary coupling hole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oupling portion, To the lower extension or the connection panel.

상기 a) 단계는, 상기 매립부의 전면에 커플링이 구비된 커플링 박스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해당 층으로부터 발생된 전선을 상기 커플링을 통하여 인입하거나, 다른 층으로부터의 전선을 상기 커플링을 통하여 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tep a), when a coupling box part having a coupling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mbedding part, an electric wire generated from the layer is drawn through the coupling, or a wire from another layer is passed through the coupling And withdrawing the data.

상기 c) 단계는, The step c)

상기 매립부의 상부 또는 상기 매립부와 커플링 박스부 상부를 방화덮개로 커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buried portion or an upper portion of the buried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box with a fireproof cover.

본 발명에 의하면, 아파트와 같은 복합 건물의 아랫층과 윗층 사이의 슬라브에 아랫층 구간의 전선 트레이와 윗층 구간의 전선 트레이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슬라브 시공시에 미리 매설하여 전선의 안전한 배선은 물론, 각 트레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각 트레이를 슬라브를 관통하여 시공하고 설치하는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lab between a lower layer and an upper layer of a composit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is buried in advance with a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wire tray of a lower layer section to a wire tray of an upper layer se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the tray can be connected quickly and easily. That is, the workability of constructing and installing each tray through the slab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불필요하게 트레이를 벽체에 고정하거나 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제공되며, 연결장치가 콘크리트 골조에 고정되므로 견고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need of fixing the tray to the wall unnecessarily is provided, and the connecting device is fixed to the concrete frame, so that the rigidity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선 트레이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트레이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4b는 도 3에 도시된 연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연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연결장치에 의해 윗층과 아래층의 각 트레이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7b,7c,7d,7e,7f,7g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a,8b,8c,8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9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 tray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re tray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device for a vertical wire tra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front 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ate of the connection device shown in FIG.
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connection device shown in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upper and lower trays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device shown in FIG. 3. FIG.
7A, 7B, 7C, 7D, 7E, 7F and 7G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ng device for a vertical wire tr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8B, 8C and 8D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nnecting device for a vertical wire tra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ng device for a vertical wire tra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4b는 도 3에 도시된 연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연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연결장치에 의해 윗층과 아래층의 각 트레이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rtical cable tray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and 4B are front 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ate of the connecting apparatus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necting device shown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upper and lower trays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device shown in FIG.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 연결장치(500)는 집합건물의 윗층(F2)과 아래층(F1)을 구분하는 슬라브(F)에 매설되어 윗층(F2)의 영역에 배치되는 수직형 전선용 상부측 트레이(600A)와 아래층(F1)의 영역에 배치되는 수직형 전선용 하부측 트레이(600B)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3 to 6, the vertical wire tray connecting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a slab F separating the upper layer F2 and the lower layer F1 of the assembly building The upper side tray 600A for vertical wires and the lower side tray 600B for vertical wires disposed in the region of the lower layer F1 are disposed in the region of the upper layer F2.

이러한 연결장치(500)는 슬라브(F)에 매설되는 매립부(510)와, 이 매립부(510)의 상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측 트레이(600A)와 하부측 트레이(600B)의 각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520)로 이루어진다. The connecting device 500 includes a buried portion 510 to be embedded in the slab F and an end portion of the upper side tray 600A and the lower side tray 600B exte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buried portion 510 And an engaging portion 520 to be engaged.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부(510)는 내부에 관통공(512)이 형성되도록 중공형의 사각관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공(512)의 내부 폭은 각 트레이(600A,600B)가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그리고 매립부(510)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514)가 수평방향, 즉 매립부(510)의 외측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이 고정날개(514)는 용접에 의해 매립부(51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고정날개(514)는 슬라브(F) 형성시 콘크리트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매립부(510)가 콘크리트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날개(51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매립부(510)의 관통공(512)은 트레이(600A,600B)가 통과되고, 전선이나 통신선 등이 통과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3 to 6, the buried portion 5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square tube so that a through hole 512 is formed therein. The inner width of the through hole 512 is formed to a size such that each of the trays 600A and 600B can be inserted therein. At least one fixed blade 514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ried portion 5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ried portion 510. The fixed blade 514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ried portion 510 by welding. The fixed blade 514 is located inside the concrete when the slab F is formed so that the buried portion 510 is not separated from the concrete when the concrete curing is completed. At least one of the fixed blades 514 may be provided. The through holes 512 of the buried portions 510 are for passing the trays 600A and 600B and for passing electric wires and communication lines.

한편, 결합부(520)는 매립부(510)의 상부 측에서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도 3을 기준으로)에는 전선 작업을 위한 개구구부(528)이 형성되고, 양쪽에는 측벽(526)이 각각 형성되며, 배면은 벽쪽에 근접하므로 막힌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526)들에는 아래층(F1)에 위치하는 트레이(600A)의 상단이 결합되기 위한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이 쌍을 이루어 형성되고, 이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의 윗쪽 영역에는 윗층(F2)에 위치하는 트레이(600B)의 하단이 결합되기 위한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이 쌍을 이루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하부 트레이 결합공(522,524)들은 각 트레이(600A,600B)들이 각 측벽(526)에 볼팅되어 결합될 때, 각 트레이(600A,600B)의 수직방향 결합위치 조절을 위하여 장공형태로 길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각 트레이(600A,600B)의 길이와 각 연결장치(500) 간의 간격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그 볼팅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 결합공(522,524)들이 수직방향으로 긴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3, an opening 528 for working a wir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referring to FIG. 3)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uried portion 510 A side wall 526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ray 600A and a back surface of the tray 600A is formed close to the wall side so that the side walls 526 are formed with A lower tray coupling hole 524 is formed in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524 and an upper tray coupling hole 522 for coupling the lower end of the tray 600B located in the upper layer F2 is form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524. [ Respectively, are formed. When the trays 600A and 600B are bolted to the respective side walls 526, the upper and lower tray coupling holes 522 and 524 are elongated in the form of a slot for adjusting the vertical coupling position of the trays 600A and 600B. . For example, when the lengths of the trays 600A and 600B do not coincide with the intervals between the connecting devices 500, the respective engaging holes 522 and 524 are vertically long .

한편, 각 측벽(526)에는 각 층에서 발생된 전선들이 트레이(600A,600B)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한 전선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idewalls 526 may be formed with wire through holes for guiding the wires generated in the respective layers to the trays 600A and 600B.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 연결장치(500)를 이용하여 슬라브(F)를 기준으로 윗층(F2)에 위치하는 트레이(600A)와 아래층(F1)에 위치하는 트레이(600B)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tray 600A located on the upper layer F2 and the tray 600B located on the lower layer F1 are stacked on the basis of the slab F by using the vertical wire tray connecting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s how to connect:

먼저, 아래층(F1)과 윗층(F2) 사이에 슬라브(F)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 골조 배근시에 연결장치(500)의 매립부(510)를 골조에 수직으로 설치하되, 각 고정날개(514)가 슬라브(F)를 이루는 두께(T1)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매립부(510)의 높이(H1)는 슬라브(F)의 두께(T1)와 같거나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매립부(510)의 높이(H1)가 슬라브(F)의 두께(T1)보다 작을 경우에 콘크리트가 매립부(510 )의 하단부 영역으로 돌출되거나, 개구부(528) 측으로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매립부(510)의 높이(H1)를 슬라브(F)의 두께(T1)보다 크게 형성할 경우에,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돌출된 콘크리트를 제거해야 하는 작업이 발생되지 않는다. First, when the reinforcing frame for forming the slab F is formed between the lower layer F1 and the upper layer F2, the embedding portion 510 of the connecting device 500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rame, Is located in the region of the thickness T1 constituting the slab F. The height H1 of the buried portion 510 is preferably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slab F. In this case, This is because when the height H1 of the embedding portion 510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slab F, the concrete protrudes toward the lower end region of the embedding portion 510 or protrudes toward the opening 528 side It is because. When the height H1 of the buried portion 510 is formed larg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slab F, there is no need to remove the protruded concrete when the concrete is cured.

이와 같이 매립부(510)를 골조에 수직으로 설치하되,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시 연결장치(500)의 위치 변동, 즉 연결장치(50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태로 절곡된 각 고정 브라켓(700)의 일단을 매립부(510)의 내측면에 각각 볼팅하여 고정하고, 각각의 타단은 슬라브(F)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슬라브(F)의 형상을 이루는 거푸집(800)에 고정한다. 이때, 골조를 이루는 철근에 고정할 수도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device 500, that is,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device 500 during concrete pouring and curing, as shown in FIG. 4A, One end of each of the fixing brackets 700 bent in the shape of a slab F is bolted and fix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mbedding portion 510 and the other end of each fixing bracket 700 is fixed to the slab F when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slab F To the mold 800. At this time, it may be fixed to the reinforcing bars forming the frame.

그리고, 고정 브라켓(700) 대신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브라켓(700A)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보조 브라켓(700A)은 매립부(510)를 슬라브(F)에 매립할 때, 콘크리트의 타설 압력과 양생시 발생되는 압력으로 매립부(510)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양단은 상향 절곡되고 바닥부는 수평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매립부(510)의 내측면에 볼팅되어 고정되고, 바닥부는 거푸집이나 철근에 볼팅되거나 다양한 고정방법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보조 브라켓(700A)은 바닥부가 거푸집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기 때문에, 각 고정 브라켓(700)과 같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시공 완료시에는 제거된다. Instead of the fixing bracket 700, an auxiliary bracket 700A may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4B. The auxiliary bracket 700A is provided to prevent the buried portion 510 from being deformed by the pressure of concrete and the pressure generated during curing when the buried portion 510 is buried in the slab F, And the bottom portion is horizontally formed. Both ends of the bottom portion are fixed by bolting to the inner side of the buried portion 510, and the bottom portion is bolted to a form or a steel bar or fixed by various fixing methods. The auxiliary bracket 700A may be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floor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ormwork, so that it may be used as each of the fixing brackets 700 and is removed at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이어서, 연결장치(5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철근 골조에 콘크리트 타설하고 양생하여 슬라브(F)를 형성한다. 이 과정으로 슬라브(F)가 형성되면, 연결장치(500)의 매립부(510)가 슬라브(F)에 수직상태로 매립된 상태가 된다. 즉, 종래기술에 의하면, 트레이(600A,600B)가 수직으로 설치되기 위한 개구공을 형성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타설 전에 개구공 형성용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거푸집을 제거해야 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트레이(600A,600B)가 통과되는 관통공(512)이 형성된 연결장치(500)가 직접 슬라브(F)에 콘크리트 양생으로 매립되어 설치되므로 전술한 불필요한 작업들이 삭제될 수 있는 것이다. Then,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connecting device 500 is completed, concrete is laid and cured in the steel frame to form a slab F. When the slab F is formed in this process, the buried portion 510 of the connecting device 500 is embedded in the slab F in a vertical state. That i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order to form an opening hole for installing the trays 600A and 600B vertically, a mold for forming an opening hole is provided before the concrete is poured, and the mold is removed after the concrete is cured. Since the connecting device 500 having the through holes 512 through which the trays 600A and 600B are passed is directly embedded in the slab F by concrete curing, the above-described unnecessary operations can be eliminated.

그리고, 매립부(510)의 외측면에 각각 구비된 고정날개(514)들이 슬라브(F)의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양생되므로 매립부(510)는 견고하게 슬라브(F)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Since the concrete is cured in the state where the fixed vanes 514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and portion 510 are positioned in the slab F, the land portion 510 is firmly fixed to the slab F do.

전술한 과정으로 연결장치(500)의 매립부(510)가 슬라브(F)를 관통하도록 매립되어 고정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F)를 기준으로 윗층(F2) 공간에 위치하는 트레이(600A)의 양측 하단부를 결합부(520)의 각 측벽(526)에 형성된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에 볼팅하여 각각 결합한다. 5 and 6, when the buried portion 510 of the connecting device 500 is inserted and fixed through the slab F by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the upper portion F2 of the connecting device 500 The lower ends of the trays 600A positioned on the side walls 526 of the engaging portion 520 are respectively bolted to the upper tray engaging holes 522 to engage with each other.

이어서, 아래층(F1) 공간에 위치하는 트레이(600B)의 각 상단부를 아래층(F1)에서 관통공(512)으로 삽입한 후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에 볼팅하여 결합한다. 이와 같이 각 트레이(600A,600B)의 단부들을 각 측벽(526)에 볼팅하여 결합할 때, 장공 형태의 각 결합공(522,524)을 이용하여 그 볼팅 위치를 조절한다. 예를 들면, 하부측 트레이(600B)의 길이에 따라 볼팅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Each upper end portion of the tray 600B located in the lower layer F1 spac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12 in the lower layer F1 and then bolted to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524. When the end portions of the trays 600A and 600B are bolted to the respective side walls 526, the bolting positions of the trays 600A and 600B are adjusted using the long holes 522 and 524,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bolt posi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tray 600B.

이와 같이 각 결합공(522,524)이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각 트레이(600A,600B)의 결합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다양한 길이의 각 트레이(600A,600B)가 적용될 수 있게 한다.Since the engaging holes 522 and 524 are formed in the elongated shape, the engaging positions of the trays 600A and 600B can be adjusted. This allows each tray 600A, 600B of varying lengths to be applied.

한편, 연결장치(500)에 상,하부 트레이(600A,600B)가 각각 결합되면, 한쪽의 측벽(526)과 상부측 트레이(600A)을 접지선(900)으로 연결한다. 즉, 접지선(900)의 일단은 상부측 트레이(600A)에 고정하고, 타단은 측벽(526)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지선은 하부측 트레이(600B)와 측벽(526)을 연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when the upper and lower trays 600A and 600B are coupled to the connecting device 500, the one side wall 526 and the upper side tray 600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ground line 900. [ That is, one end of the ground wire 900 is fixed to the upper side tray 600A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ide wall 526. [ Needless to say, such a ground line may connect the lower tray 600B and the side wall 526.

전술한 과정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F)에 고정된 연결장치(500)에 의해 윗층(F2)과 아래층(F1)의 각 트레이(600A,600B)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즉, 각 층에 위치하는 각각의 수직형 전선 트레이(600A,600B)를 슬라브(F)에 매립되는 연결장치(50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바닥 콘크리트 타설시 윗층(F2)과 아래층(F1)의 슬라브(F)에 매립된 연결장치(500)는 구조적으로 강도있는 콘크리트 골조에 매립되어 있어서 공사중에 발생되는 낙하물 방지처리에도 간단하고 또한 벽체에 고정을 위한 장치가 불필요하며, 방화구획 처리도 손쉽게 할 수 있어 마감 후 미관이 깨끗하다.The trays 600A and 600B of the upper layer F2 and the lower layer F1 can be easi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device 500 fixed to the slab F as shown in FIG. That is, each of the vertical electric wire trays 600A, 600B located on each layer can be easily connected using the connecting device 500 embedded in the slab F. The connecting device 500 embedded in the upper layer F2 and the slab F of the lower layer F1 is embedded in a concrete structure having a strong strength so that it can be easily treated for falling- There is no need to fix on the wall, and fireproofing can be done easily, so the beauty is clear after finishing.

한편, 각 트레이(600A,600B)의 길이가 각 층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경우에는, 여러 층의 슬라브(F)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슬라브(F), 예를 들면 3개 층마다 연결장치(500)가 매설되는 슬라브(F)에 여유공간의 개구공을 형성하여 길이가 긴 트레이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ngth of each tray 600A or 600B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each layer, any one slab F among the slabs F of several layers, for example, 500 may be embedded in the slab F so that the long tray can be easily installed.

도 7a,7b,7c,7d,7e,7f,7g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로,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500)는 결합부(520)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같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52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양 측벽(526)에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이 장공형태로 형성되고, 매립부(10)의 양쪽 하부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 연장부(515)에 형성되는 트레이 결합장공(517)로 이루어진 것이다. FIGS. 7A, 7B, 7C, 7D, 7E, 7F, and 7G are perspective and 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vertical cable tray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00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engaging portions 520 ar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7A, the upper tray coupling hole 522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elongated hole in the both side walls 526 of the upper portion, And a tray coupling slot 517 formed in a lower extension portion 515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lower tray portion.

다시 설명하면, 하부 연장부(515)에는 하부 트레이(600B)가 결합되기 위한 트레이 결합장공(517)이 복수개 천공된 것이다. 이때, 상부의 양 측벽(526)에는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과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이 각각 형성되거나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만 형성될 수도 있다. To be more specific, the lower extension portion 515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ray coupling slots 517 for coupling the lower tray 600B. At this time,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524 and the upper tray coupling hole 522 may be formed in the upper side wall 526, or only the upper tray coupling hole 522 may be formed.

이러한 하부 연장부(515)는 상부측 트레이(600A) 또는 하부측 트레이(600B)의 길이가 아래층(F1)과 윗층(F2)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경우에, 짧게 형성된 예를 들면 하부측 트레이(600B)의 하단은 아래층(F1)에 위치한 연결장치(500)의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에 볼팅하고, 상단은 윗층(F2)에 위치한 연결장치(500)의 하부 연장부(515)에 볼팅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트레이(600A,600B)의 길이가 짧더라도 간편한 연결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굳이 관통공(512)로 삽입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When the length of the upper tray 600A or the length of the lower tray 600B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layer F1 and the upper layer F2, The lower end of the side tray 600B is bolted to the upper tray coupling hole 522 of the coupling device 500 located in the lower layer F1 and the upper end is bolted to the lower extension 515 of the coupling device 500 located on the upper layer F2 As shown in Fig. Therefore, even if the lengths of the trays 600A and 600B are short,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imple connection operation, and it is unnecessary to insert the tray 600A or 600B into the through hole 512.

이와 같이 매립부(510)의 하부에 하부 연장부(515)가 형성될 경우에는 하부 연장부(515)가 슬라브(F)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 7a,7b,8b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부(510)의 하단부와 하부 연장부(515)의 경계영역 외측면에 보조날개(514A)를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조날개(514A)에는 거푸집에 고정되기 위한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날개(514A)는, 매립부(510)의 하단부와 하부 연장부(515)의 경계영역 외측면의 전면, 후면, 좌측부, 우측부에 각각 형성되거나, 전,후면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7a,7b,8b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영역의 외측면 둘레, 즉 전,후면과 좌,우측부에 연이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보조날개(514A)가 형성된 연결장치(500)를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골조 또는 거푸집에 고정함으로써 연결장치(500)의 매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정확한 위치에 수직으로 매립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조날개(514A)는 거푸집과 연결장치(50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콘크리트 타설시에 콘크리트가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When the lower extension portion 515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mbedding portion 51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wer extension portion 515 is locat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slab F, as shown in FIGS. 7A, 7B, 8B,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auxiliary vane 514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embedment portion 510 and the lower extension 515. [ The auxiliary blade 514A may be formed with a bolt hole to be fixed to the die. At this time, the auxiliary vane 514A is formed on the front, rear, left side,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and portion 510 and the lower extending portion 515, And may be formed in succession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undary region, that is, the front, rear, and left and right portions as shown in FIGS. 7A, 7B, 8B and so on.
The connection device 500 having the auxiliary vane 514A formed therein is fixed to the frame or the mold before the concrete is laid, so that the connection device 500 can be easily embedded and vertically buried in the correct position. In addition, the auxiliary vane 514A minimizes the gap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connecting device 500, thereby preventing the concrete from flowing downward when the concrete is poured.

한편, 결합부(52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은 장공형태가 아닌 일반 원형공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은 장공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7B, each of the upper tray coupling holes 522 is formed by a general circular hole not in the form of a long hole, and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524 is formed in a long hole shape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c,7d는 다른 구조의 결합부(520)를 도시하고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520)는 상부의 양 측벽(526)에 형성되는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과, 매입부(510)의 하부 영역 양측에 형성되는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와, 각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의 이면영역에는 아랫층의 트레이를 고정하는 볼트가 체결되도록 용접되어 구비되는 너트(N)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결합부(520)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부(510)가 슬라브(F)에 매립될 때 같이 매립되는 것으로, 하부측의 트레이(600B)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볼트를 트레이(600B)로부터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을 통하여 너트(N)에 체결한다. 이 과정으로 트레이(600B)의 결합이 완료될 수있는 것이다. 7C and 7D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the engagement portion 520 of another structure. 7C, the engaging portion 520 includes an upper tray engaging hole 522 formed on the upper side wall 526 and a lower tray engaging hole 52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embedding portion 510 And a nut (N) welded to the bottom surface of each lower tray coupling hole (524) so as to fasten a bolt for fixing a lower tray. 7D, the engaging portion 520 is embedded when the embedding portion 510 is embedded in the slab F. In order to engage the lower side tray 600B, 600B to the nut (N) through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524). In this process, the coupling of the tray 600B can be completed.

첨부된 도면 중에서 7e,7f는 또 다른 구조의 결합부(520)를 도시하고 있다. 도 7e,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구조의 결합부(520)는 매립부(510)에 구비된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와 너트(N)에 보조 결합공(529)을 구비한 연결패널(527)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결합부(520)를 이용하여 하부측의 트레이(600B)을 연결장치(50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연결패널(527)의 상부 영역을 볼트를 이용하여 너트(N)에 고정하고, 트레이(600B)의 상단부를 보조 결합공(529)에 체결함으로써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패널(527)이 구비됨으로써 길이가 짧은 트레이(600A,600B)들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the attached drawings, 7e and 7f show yet another coupling portion 520. FIG. As shown in FIGS. 7E and 7F, the coupling portion 520 of another structure may include a lower tray coupling hole 524 provided in the buried portion 510 and a connection (not shown) having an auxiliary coupling hole 529 in the nut Panel 527 as shown in FIG. In order to connect the lower tray 600B to the connecting device 500 by using the coupling part 520 having such a structure, the upper area of the connection panel 527 is fixed to the nut N using bolts, The coupling is completed by fastening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600B to the auxiliary coupling hole 529. [ By providing the connection panel 527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the trays 600A and 600B having a short length.

첨부된 도면 중에서 7g는 연결패널(527)의 상단부가 상부의 양 측벽(526)에 형성되는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에 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연결패널(527)이 상부 트레이 결합공(522)에 결합되므로 매립부(510)에 하부 트레이 결합공(524)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7g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th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anel 527 is bolted to the upper tray coupling hole 522 formed in both upper side walls 526. [ Since the connection panel 527 is coupled to the upper tray coupling hole 522,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524 need not be formed in the embedded portion 510.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a,8b,8c,8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8A, 8B, 8C and 8D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nnecting device for a vertical wire tra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500)는 매립부(510)의 전면 영역에 전선이나 통신선 등이 인입되거나 인출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플링(519A)이 구비된 커플링 박스부(519)가 전방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The connection device 500 for a vertical wire tra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coupling box 500 having at least one coupling 519A for drawing or pulling out a wire or a communication line,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xcept that the portion 519 is formed protruding in the forward horizontal direction.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부(510)는 전면부(개구부가 형성된 방향) 일부분이 전방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커플링 박스부(519)가 형성되고, 이 커플링 박스부(519)에 전선이나 통신선 등을 인출하거나 인입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커플링(519A)이 다수개가 구비된 것이다.8A, a part of the front part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protrudes in the front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the coupling box part 519, A plurality of couplings 519A are provided for drawing or pulling out electric wires or communication lines.

이때, 커플링 박스부(519)의 상부 측은 개구될 수도 있고, 폐쇄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box portion 519 may be opened or closed.

이와 같이 매립부(510)에 커플링 박스부(519)가 구비되므로, 기존의 풀박스를 삭제해도 되므로, 구조가 단순화 된다. Since the coupling box portion 519 is provided in the embedding portion 510, the existing pool box can be eliminated,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ified.

그리고, 이러한 커플링 박스부(519)가 적용된 연결장치(500)는 도 8b,8c,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The coupling device 500 to which the coupling box portion 519 is applied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as shown in FIGS. 8B, 8C and 8D.

한편,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부(510)에는 커플링(519A)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519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설치공(519B)에 커플링(519A)를 설치하여 케이블의 인출하거나 인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플링(519A)의 설치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마킹부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마킹부는 커플링 박스부(519)에 형성될 수 있고, 매립부(51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D, a mounting hole 519B for mounting the coupling 519A may be formed in the buried portion 510. A coupling 519A can be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hole 519B to allow the cable to be drawn out or drawn in. 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marking portion for sett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oupling 519A may be displayed. Such a mark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coupling box portion 519 and directly on the buried portion 510. [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박스부(519)의 하단부 둘레 및 매립부(510)의 하단부 둘레에는 매립부(510)의 매립 시공시, 거푸집의 설치공 내측면과 커플링 박스부(519)의 외측면과 매립부(510)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을 커버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날개(514A)가 바깥 수평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보조날개(514A)는 커플링 박스부(519)의 하단부 둘레 및 매립부(510)의 하단부 둘레와 거푸집에 형성되는 설치공의 내측면 사이에 최소한의 간격만 형성되도록 하여 콘크리트의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하게 된다. 물론, 보조날개(514A)는 커플링 박스부(519)가 형성되지 않은 매립부(510)의 둘레에도 형성될 수 있고, 전면과 후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좌,우측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보조날개(514A)는 다양한 위치에 1개 또는 다수개, 또는 연이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보조날개(514A)에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보조날개(514A)가 거푸집 등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8B, at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box portion 519 an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buried portion 510, when the buried portion 510 is buried, An auxiliary vane 514A may be provided in the outer horizontal direction to cover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519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ried portion 510 to prevent the concrete from flowing down when the concrete is poured. The auxiliary wing 514A is formed to have a minimum gap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box portion 519 and the lower end of the embedding portion 5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hole formed in the formwork so as to prevent the concrete from flowing down. . Of course, the auxiliary vane 514A may be formed around the buried portion 510 where the coupling box portion 519 is not formed, or may be formed only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r may be formed only on the left and right portions . That is, the auxiliary vane 514A may be formed at one or a plurality of positions or at various positions. A bolt hole is formed in the auxiliary blade 514A so that the auxiliary blade 514A can be fixed to a die or the like.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a,9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9A and 9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on device for a vertical wire tra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500)는 매립부(510)의 상부나 개구부(512) 또는 매립부(510)와 커플링 박스부(519)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방화덮개(900)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9A, the connecting device 500 for a vertical wire tray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top portion or an opening 512 or an embedding portion 510 and a coupling box portion 519 of the embedding portion 510, Except that an ignition lid 900 f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방화덮개(900)는 각 층(F1,F2)이 연통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화재 발생시 이웃한 층으로 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9a와 같이 커플링 박스부(519)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개구부(512)에 삽입되어 개구부(512)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방화덮개(900)의 양쪽 날개에는 체결장공(912)이 수평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양 측벽(526)에는 방화덮개(900)를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설치되도록 방화덮개용 체결공(914)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체결장공(912)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체결공(914)도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특정한 개수나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나, 체결장공(912)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방화덮개(9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fire shield cover 900 is provided to prevent the layers F1 and F2 from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so as not to spread to neighboring layers when a fire occurs. When the coupling box portion 519 is not formed as shown in FIG. 9A, (512) and is sized and shaped to cover the opening (512). For this purpose, a fastening hole 912 is formed in a horizontal slot on both wings of the fireproof cover 900, and a bolt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fireproof cover 900 is fastened to the both side walls 526, A hole 914 is formed. 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s 912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and the fastening holes 914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and the fastening holes 912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fire retarding cover 900 can be adjusted.

그리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부(510)에 커플링 박스부(519)가 형성된 경우에 적용되는 방화덮개(900)는 일부가 커플링 박스부(519) 상부에 안착되고 다른 부분은 개구부(512)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커플링 박스부(519)의 상면에는 방화덮개(900)가 안착되어 체결되기 위한 체결날개가 나사공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9B, a part of the fire retarding lid 900, which is applied when the coupling box portion 519 is formed in the buried portion 510, is seated on the coupling box portion 519 and the other portion Is configured to cover the opening (512). At this time, an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box part 519 is formed with a fastening blade for fastening the fireproof lid 900 and fastening it.

이와 같이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500)에 방화덮개(900)가 구비됨으로써 아래층이나 윗층의 화재 발생시 연기나 화염 등이 다른 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Since the connecting device 500 for vertical wire trays is provided with the flameproof 900, it is possible to block or minimize the inflow of smoke, flames, and the like into other layers when a fire occurs in a lower layer or an upper layer.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500 : 연결장치 510 : 매립부
512 : 관통공 514 : 고정날개
514A : 보조날개
515 : 하부 연장부 517 : 트레이 결합장공
519 : 커플링 박스부 519A : 커플링
520 : 결합부 522 : 상부 트레이 결합공
524 : 하부 트레이 결합공 528 : 개구부
540 : 고정날개 600A,600B : 트레이
700 : 고정 브라켓 800 : 접지선
900 : 방화덮개
500: connecting device 510:
512: through hole 514: fixed blade
514A: Auxiliary wing
515: lower extension part 517: tray coupling slot
519: Coupling box part 519A: Coupling
520: engaging portion 522: upper tray engaging hole
524: lower tray coupling hole 528: opening
540: Fixed blade 600A, 600B: Tray
700: Fixing bracket 800: Ground wire
900: Fireproof cover

Claims (7)

집합건물의 윗층과 아래층을 구분하는 슬라브에 매설되어 윗층의 영역에 배치되는 수직형 전선용 트레이와 아래층의 영역에 배치되는 수직형 전선용 트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관통공을 형성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콘크리트 양생시 슬라브에 박혀 고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브 형성을 위한 철근 배근시 철근에 고정되거나 거푸집에 고정되어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시 슬라브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매립부; 및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 마련되고, 아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과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각각 볼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아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매립부의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하부 트레이 결합공과 윗층에 위치하는 트레이의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매립부의 상부영역에 형성되는 상부 트레이 결합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상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 트레이 결합공은 상기 매립부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양측의 각 하부 연장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매립부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연장부의 경계영역 외측면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보조날개가 마련되되, 상기 보조날개는, 상기 경계영역의 전면, 후면, 좌측부, 우측부 또는 전,후면과 좌,우측부에 연이어 형성되도록 1개 또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necting a vertical wire tray disposed in an area of an upper layer and a vertical wire tray disposed in an area of a lower layer by being embedded in a slab separating an upper layer and a lower layer of a building,
And at least one fixed vane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slab for fixing the concrete to the slab when the concrete is cured. The reinforcing bars are fixed to the reinforcing bars or fixed to the dies when the reinforcing bars are installed for forming the slabs A buried portion vertically installed in the slab at the time of curing after pouring concrete; And
And an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region and a lower region of the embedding portion and formed so that a lower end of a tray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a tray located in a lower layer and a lower end of a tray positioned at a lower layer are respectively bolted,
The coupling portion
And an upper tray coupling hole coupled to an upper end of a tray positioned at a lower layer and coupled to a lower tray coupling hole formed at a lower region of the embedding section and a lower end of a tray positioned at an upper layer, The lower tray coupling hole is formed in each of the lower extension portions on both side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buried portion, and the coupling hole is formed in both side walls formed upwardly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embedding portion.
The auxiliary wing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uried portion and the lower extension portion to prevent the concrete from flowing downward when the concrete is poured. The auxiliary wing includes a front portion, a rear portion, a left portion, Or one or more of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are formed continuously.
Connections for vertical wire tra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의 내측에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시 위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되, 상기 고정 브라켓은,
일단이 상기 매립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브 형성용 거푸집에 고정되도록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inner side of the buried portion,
Wherein a fixing bracket is provided for preventing the positional variation when the concrete is placed and cured,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embedding part and the other end is bent in a "spool" shape to be fixed to the slab forming die.
Connections for vertical wire tra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의 내측에는,
상기 매립부를 슬라브에 매립할 때, 콘크리트의 타설 압력과 양생시 발생되는 압력으로 상기 매립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상향 절곡된 양단은 상기 매립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시공 완료시에는 제거되는 보조 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inner side of the buried portion,
When the embedding portion is embedded in the slab, both ends of the upwardly bent portion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mbedding portion so that the embedding portion is not deformed by the pressure of the concrete and the pressure generated during curing. ≪ / RTI >
Connections for vertical wire tray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에는,
전선이 인입되거나 인출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플링이 구비된 커플링 박스부가 전방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n the buried portion,
Wherein a coupling box portion having at least one or more couplings for drawing or pulling out a wire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 a front horizontal direction.
Connections for vertical wire tray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에는,
전선이 인입되거나 인출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플링이 구비되거나, 커플링 설치를 위한 설치공 또는 마킹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n the buried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couplings for drawing or pulling out the electric wire are provided or an installation hole or marking portion for installing the coupling is provided.
Connections for vertical wire trays.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의 상부 또는 상기 매립부와 커플링 박스부 상부는 방화덮개가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art of the embedding part or the upper part of the embedding part and the coupling box part is covered by the fireproof cover.
Connections for vertical wire trays.
KR1020130133099A 2012-03-07 2013-11-04 Connector for vertical type cable tray KR10140927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3470 2012-03-07
KR1020120023470 2012-03-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857A Division KR101358917B1 (en) 2012-03-07 2012-07-19 Connector for vertical type cable tray and cable tray construc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737A KR20130133737A (en) 2013-12-09
KR101409274B1 true KR101409274B1 (en) 2014-06-24

Family

ID=4945221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857A KR101358917B1 (en) 2012-03-07 2012-07-19 Connector for vertical type cable tray and cable tray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20130133099A KR101409274B1 (en) 2012-03-07 2013-11-04 Connector for vertical type cable tray
KR1020130133098A KR101389988B1 (en) 2012-03-07 2013-11-04 Connector for vertical type cable tray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857A KR101358917B1 (en) 2012-03-07 2012-07-19 Connector for vertical type cable tray and cable tray constructing method thereof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098A KR101389988B1 (en) 2012-03-07 2013-11-04 Connector for vertical type cable t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3589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668B1 (en) * 2016-04-08 2016-11-03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Holding apparatus of cable tray
KR101978948B1 (en) * 2017-05-23 2019-05-15 주식회사 아시아전관 Structure For Flexible Connecting Cable Trays
KR102094670B1 (en) * 2018-04-17 2020-03-30 조태진 Connector for vertical type cable tray
KR102044384B1 (en) 2018-04-18 2019-11-13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Connector for cable tray
JP7212825B2 (en) * 2018-06-26 2023-01-2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CABLE RACK INSTALLATION STRUCTURE, CABLE RACK CONSTRUCTION METHOD, AND SUPPORT STRETC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318A (en) * 1996-04-24 1997-11-11 Taisei Corp Installing method for cable rack
KR200403539Y1 (en) 2005-09-26 2005-12-09 오태수 Cable distribution box structure for use in apartment hous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461B1 (en) 2006-03-15 2006-07-05 (주)서광전기컨설팅 Protected duct of multi-electric line being buried in wall for apartment house
KR100679931B1 (en) 2006-09-21 2007-02-08 (주)에이텍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Protected duct of electric line being buried in wall for building
KR100889498B1 (en) 2008-02-21 2009-03-19 (주)일신전기감리 Duct for protected multi-electric line of apartment house to being buried in wall
JP5670152B2 (en) 2010-10-25 2015-02-18 株式会社関電工 Cable rack installation metho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ble rack mounting brackets used in the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318A (en) * 1996-04-24 1997-11-11 Taisei Corp Installing method for cable rack
KR200403539Y1 (en) 2005-09-26 2005-12-09 오태수 Cable distribution box structure for use in apartment ho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988B1 (en) 2014-04-30
KR101358917B1 (en) 2014-02-05
KR20130133737A (en) 2013-12-09
KR20130133736A (en) 2013-12-09
KR20130102446A (en)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274B1 (en) Connector for vertical type cable tray
KR100719882B1 (en) Cable distribution box structure for use in apartment house
US20140000192A1 (en) Wall assembly for a building structure
KR20200142351A (en) Finishing panel fixing bracket and outer wall finis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70136195A (en) Duct integrated sleev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035404B1 (en) Slurry wall and slab junction structure and its using top-down construction method
CN111236625A (en) Cast-in-place facing concrete structure based on WISA template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50402B1 (en) Conduit trench for draining water of the underground building structure
KR101856583B1 (en) Safety structures for installation of slab openings in building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403539Y1 (en) Cable distribution box structure for use in apartment house
KR102299256B1 (en) A Structure of well type celing comprising spacer
US1956879A (en) Method of installing underfloor duct systems
KR101379949B1 (en) Corrugated pipes fixing structure and corrugated piping construction method thereby
KR101386405B1 (en) Concrete box of slab buried type
US20070107332A1 (en) Modular framing system
KR100985855B1 (en) Method for installing cable distribute box in apartment house
JP4979441B2 (en) Wall panels
KR20100129877A (en) Light weight concrete panel having imbedded electric boxes, runner member for installing such panel and install structure of such panel
US20100018144A1 (en) Wall system and method with integral channel
CN210002628U (en) kinds of wall body integrating internal and external decorative plates
KR100958123B1 (en) Cold and hot water distributer box
KR101146846B1 (en) Install Structure using Runner Member for Installing Light Weight Concrete Panel having Imbedded Electric Boxes
KR102634525B1 (en) Support unit for outlet box
KR102659393B1 (en) Electric piping protective equipment installed on apartment wall
KR102626358B1 (en) Protection frame for fixing buried piping or buried joint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