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262B1 -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방법 및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방법 및 관리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9262B1 KR101409262B1 KR1020120009692A KR20120009692A KR101409262B1 KR 101409262 B1 KR101409262 B1 KR 101409262B1 KR 1020120009692 A KR1020120009692 A KR 1020120009692A KR 20120009692 A KR20120009692 A KR 20120009692A KR 101409262 B1 KR101409262 B1 KR 1014092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sk
- index
- pic
- countermeasure
- evalu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238000012502 risk assess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11 regress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0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46 outsourc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13 priorit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8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방법은 리스크 요인을 기준으로 PIC 지수를 산출하는 S1 단계, PIC 지수가 기준 지수보다 높은 경우 대응방안 데이터베이스에서 리스크별 대응방안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S2 단계, S2 단계에서 출력한 리스크별 대응방안을 수행하고 기준 주기 마다 PIC 지수를 산출하여 기준 지수보다 낮은지 여부를 점검하는 S3 단계 및 S3 단계에서 PIC 지수가 기준 지수보다 낮은 경우 리스크 평가지수를 산출하여 리스크 관리를 평가하는 S4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 프로젝트의 리스크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해외 LNG 플랜트 프로젝트에 대한 설계단계에서 리스크를 평가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외건설 리스크는 그동안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다루어져왔다. 해외건설 리스크 분류와 관련하여 리스크를 발생 원인에 따라 외부적(External)과 내부적(Internal) 측면으로 구분하거나, 리스크를 적용 수준에 따라 국가(Country), 시장(Market), 프로젝트(Project) 리스크로 구분하였으며, 프로젝트의 수행 단계에 따라 설계(Engineering), 구매조달(Procurement), 시공(Construction), 사업관리(Project management) 등으로 구분하여 리스크를 도출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Hastak, M., Shaked, A. (2000). "ICRAM-1: Model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Risk Assessment", Journalof Management in Engineering, 16(1), pp. 59~69 참조).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건설공사의 전체 단계를 대상으로 한 일반적인 관점에서의 리스크를 다루었고, 설계 단계를 따로 고려하지 않았거나 반영이 미흡하였다. 또한 미국의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CII)에서도 2003년 International Project Risk Assessment(IPRA)를 통해 해외건설에서의 리스크 요인 및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CII의 연구 또한 해외건설공사의 일반적인 리스크를 대상으로 하였고, 리스크의 수준 또한 큰 항목으로 구성되어 세밀한 리스크 관리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설계 관련 리스크 항목을 보면 전체 82개의 요인 중 4개 정도만이 해당되어 설계단계에 적용하기에는 미흡하다. 또한 해외건설협회와 연세대가 개발한 해외건설공사 통합 리스크관리 시스템(FIRMS)은 해외건설을 수행하는 건설회사의 관점에서 64개의 해외건설 리스크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수익성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이중 설계관련 리스크 요인으로 는 3개 분류에서 5개의 요인이 제시되었으나, FIRMS가 프로젝트의 초기에 입찰의사결정단계에서 적용 가능한 사항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설계단계에 직접적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방법 및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LNG 플랜트 사업에 대한 설계단계에서 리스크 평가를 손쉽게 하고, 대응방안에 따른 리스크 관리를 수행하게 하고자 한다.
둘째, 종래 리스크 평가 방법의 오류를 보완하여 보다 정확한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셋째, 리스크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플랜트 프로젝트 사업에 대한 추진 방향 내지 관리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방법은 리스크 요인을 기준으로 PIC 지수를 산출하는 S1 단계, PIC 지수가 기준 지수보다 높은 경우 대응방안 데이터베이스에서 리스크별 대응방안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S2 단계, S2 단계에서 출력한 리스크별 대응방안을 수행하고 기준 주기 마다 PIC 지수를 산출하여 기준 지수보다 낮은지 여부를 점검하는 S3 단계, S3 단계에서 PIC 지수가 기준 지수보다 낮은 경우 리스크 평가지수를 산출하여 리스크 관리를 평가하는 S4 단계를 포함한다.
PIC 지수는 아래의 식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P는 확률을 의미하고, I는 영향강도를 의미하며, C는 조정지수를 의미한다.
대응방안 데이터베이스는 사전에 리스크별로 대응방안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것으로, 리스크 종류, 대응방안을 수행할 담당자, 대응방안 및 리스크별 기준 주기 정보를 포함한다.
리스크 평가 지수는 아래의 식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PIC On - Stage 는 S3 단계에서 산출된 PIC지수이고, PIC Pre - Stage 는 S1 단계에서 산출된 PIC 지수이다.
리스크 평가지수가 60 이상이면 추가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평가되고, 추가적인 리스크 대응방안이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시스템은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요인을 추출하는 리스크 요인 추출부, 리스크 용인을 기준으로 PIC 지수를 산출하는 PIC 지수 산출부, 리스크별 대응방안이 저장된 대응방안 데이터베이스부, PIC 지수가 가준 지수보다 높은 경우 대응방안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대응방안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대응방안 출력부 및 대응방안 수행 후 리스크 평가 지수를 이용하여 리스크 관리를 평가하는 리스크 관리 평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방법 및 시스템은 삼축의 우선순위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기존의 평가방법의(이축) 단점인 낮은 설명력, 정성적 및 정량적 평가의 오류 등을 보완하였으며, 해외 LNG플랜트의 특성인 다양한 공종 및 전문가의 참여에 의한 조정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보다 합리적인 평가가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리스크 평가를 위한 기준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를 평가하는 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리스크별 대응방안을 출력한 출력화면의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이용한 사업관리 의사 결정을 위한 그래프의 일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초기 PIC 지수 산출을 위한 화면을 도시한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이용하여 사업관리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한 리스크 평가 결과 조회 화면을 도시한 일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를 평가하는 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리스크별 대응방안을 출력한 출력화면의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이용한 사업관리 의사 결정을 위한 그래프의 일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초기 PIC 지수 산출을 위한 화면을 도시한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이용하여 사업관리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한 리스크 평가 결과 조회 화면을 도시한 일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종래의 리스크 평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리스크 평가를 위한 기준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지금까지는 공학적 측면에서의 리스크를 평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발생확률(Probability)과 영향강도(Impact)의 조합을 이용해 왔다(Renn, O. (1998). "The role of risk perception for risk management", Reliability Engineering and System Safety, 59(1), pp. 49~62 참조). 이 두 가지의 기준을 조합하여 기대치로 표현하는 방식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대다수의 연구는 두 가지의 결합 방식에만 차이를 두고 있다(Aleshin, A. (2001). "Risk management of international projects in Russia",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19(4), pp. 207~222 참조). 이러한 방식들은 각각 값들이 1 이하일 때 발생하는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거리의 개념을 사용한다(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2003), "International Project Risk Assessment", CII). 거리개념은 원점을 기준으로 좌표평면의 양축을 발생확률과 영향강도로 규정하여, 원점에서 부터의 거리를 계산하여 리스크의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축(PI)의 평가기법은 리스크의 수준을 쉽게 구분해 주는 리스크 매트릭스(Risk matrix)로도 표현이 가능하다. 리스크 매트릭스는 리스크의 위치가 확인되는 즉시 해당 리스크의 수준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리스크 평가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축의 평가기법과 리스크 매트릭스는 이차원적 표현으로서 두 개의 기준이 대칭이 되는 지점에 대해서 리스크의 수준을 구분하지 못하여 발생빈도와 영향강도에 따른 최적의 자원분배를 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기존 리스크 매트릭스의 단점으로 낮은 설명력(Poorresolution), 오류(Errors), 입출력의 애매모호함(Ambiguous inputs and outputs) 등을 제기하며 리스크 매트릭스 사용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는 연구도 진행되어 이와 같은 이차원적 리스크 평가의 문제점이 부각 되었다(Cox, L. A. Jr.. (2008)." What's wrong with risk matrices", Risk Analysis, 28(2), pp. 497~512 참조). 또한 두 개의 기준은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개연성이 높아 동일 리스크에 대해 여러 번의 평가가 진행될 경우 평가자에 따라 일관되지 않은 결과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이축평가기법은 LNG 플랜트의 특징인 공종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고려하지 못해 세밀한 리스크 우선순위를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리스크 매트릭스의 장점인 명료하고 간편하게 리스크 수준을 구분할 수 있다는 점을 살리면서, 평가자의 주관을 배재하고 리스크 평가를 보다 객관화, 세밀화시킬 수 있는 리스크 우선순위의 평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확률(P:Probability)과 영향강도(I:Impact)의 2축으로 리스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에서 조정지수(C:Coordination)를 추가한 3축의 리스크 우선순위 결정기법을 제시하였다.조정지수는 LNG플랜트 사업에서 리스크 해결 과정의 어려움, 복잡성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조정의 불확실정도의 개념으로 3축의 리스크 우선순위 평가를 통해 LNG플랜트의 복잡성을 고려한 세밀한 리스크 우선순위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리스크 평가를 위해 사용하는 리스크 요인은 건설공사 리스크관리에 대한 기존 문헌, 건설기업의 플랜트 공사 보고서를 분석 및 전문가의 보고자료 등을 참조하여 마련한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해서 설계 관리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사업관리 및 설계관리 관점에서 의 주요 리스크 관리 목표를 도출하였다. 설계단계 리스크 관리 목표는 1) 해당 발주국 및 발주처의 LNG 플랜트 설계기준 및 요구 라이선스(License) 준수, 2) 설계오류 누락으로 인한 공사비 증가 및 시설물 품질저하 예방, 3) 설계 변경과 관련한 계약 및 클레임(Claim) 관리, 4) LNG 플랜트 시설물의 성능 확보를 위한 개별 LNG 관련 설비 관리, 5) 설계 아웃소싱(Outsourcing) 관리 및 개별 패키지(Package)의 연결성 관리의 5가지 항목으로서 이를 리스크 프레임워크의 대분류와 중분류에 반영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업관리 관점에서 4개 대분류, 19개 중분류의 총 33개 리스크 요인을, 설계관리 관점에서 3개 대분류, 9개 중분류의 총 24개 리스크요인을 도출하였으며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상기 리스크 요인별로 리스크 분석을 수행하게 되므로 리스크 요인이 중요한 기준이 된다.
LNG 플랜트는 타 건설 공종이나 프로젝트에 비해 확연하게 많은 공종으로 구성되고 각 공종 별로 상호 연결되어 수행되는 건설공사이다(Inniss, 2004). 따라서 다양한 공종을 관리하고 이들의 연결 및 협업을 효과적으로 조율하기 위해서는 설계관리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설계 절차 및 결과물에 대한 효과적인 조정은 공종간의 갈등이나 간섭을 줄이는 것에 도움을 주며, 이는 비용 절감과도 연결된다(Riley 외, 2005). 국내 건설기업의 경우 LNG 플랜트 프로젝트 수행 시, 엔지니어링 회사와 시공회사가 합작하여 참여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설계와 시공의 연결성이 중요하다. 또한 엔지니어링 회사의 경우에도 세부 공종별로 여러 설계 전문회사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공종별, 업무별 설계를 취합하고 관리하기 위한 조정(Coordination)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설계관리에 있어 플랜트 공사에서 해당 리스크의 공종 복합성과 리스크 해결과정에서 참여하는 전문가의 수 등을 기준으로 조정지수라는 평가기준을 사용하였다. 리스크 해결을 위한 참여 공종이나 작업의 수가 많거나, 참여 담당자나 전문가의 수가 많을 때, 그리고 요구되는 프로세스의 수가 많을 때 조정이 어려울 것임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또 반대로 리스크 해결을 위한 공종이나 작업의 수가 적고, 필요 담당자 및 전문가의 수도 적으며, 요구되는 프로세스가 단순할 때에는 조정이 상대적으로 쉬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를 평가하는 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방법은 리스크 요인을 기준으로 PIC 지수를 산출하는 S1 단계, PIC 지수가 기준 지수보다 높은 경우 대응방안 데이터베이스에서 리스크별 대응방안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S2 단계, S2 단계에서 출력한 리스크별 대응방안을 수행하고 기준 주기 마다 PIC 지수를 산출하여 기준 지수보다 낮은지 여부를 점검하는 S3 단계 및 S3 단계에서 PIC 지수가 기준 지수보다 낮은 경우 리스크 평가지수를 산출하여 리스크 관리를 평가하는 S4 단계를 포함한다.
PIC 지수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조정지수(C)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P는 확률을 의미하고, I는 영향강도를 의미하며, C는 조정지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삼축(PIC)의 평가방법은 기존의 우선순위 평가방법(이축, PI)의 장점인 리스크 상태의 손쉬운 배치 및 표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점인 P와 I의 대칭 지점의 리스크 우선순위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 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평가 방법은 기존 2차원의 리스크 매트릭스를 3차원 입체의 리스크 매트릭스로 변환해 주어 보다 세밀한 리스크 우선순위 구분을 가능케 해주며, LNG 플랜트의 특성을 반영한 평가기준을 추가하여 이전보다 합리적으로 LNG 플랜트 설계단계의 리스크 우선순위 평가가 가능하다.
조정지수는 플랜트의 고유한 특징인 복잡성 및 조정의 어려움 정도를 대변해 주는 기준으로서, 설계단계의 리스크에 대해 적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플랜트의 리스크를 삼축의 기준으로 평가해 보았을 때 리스크에 대해 일정 이상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이 된다면 조정지수가 새로운 기준으로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플랜트 리스크를 대상으로 삼축의 기준을 통해 주요영향 인자를 분석하면, 조정지수의 영향력을 확인 할 수 있으며, 개별 기준의 영향력 비교를 통해 새로운 기준의 적절성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다.
조정지수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로 결과를 이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전문가 12인을 통해 각 리스크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5점 리커트척도(Likert scale)로 평가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베타값(회귀계수) 분석을 통해 주요 영향인자를 확인하였다. 또한 붓스트랩(Bootstrap) 방법을 사용하여 설문의 수가 적은 한계를 보완하였으며, 독립변수로 이축의 경우 확률, 영향강도를, 삼축의 경우 확률, 영향강도, 조정지수를 설정하여 5점 리커트 척도로서 개별 평가 결과를 입력하였다.
종속변수로는 이축(PI)은 거리 개념으로, 삼축은 상기 수학식 1에서 제시된 방법으로 계산된 평가점수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회귀식의 베타값을 확인하여 베타값 중 가장 큰 값을 주요 영향 변수로 선택하였다. 분석 결과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삼축평가 결과 조정지수가 개별 리스크 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로서 확인되었다. 이축평가 결과에서는 주요 영향 변수가 영향강도에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삼축평가 결과에서는 이축에 비해 주요영향 변수가 고르게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정지수가 확률 및 영향강도와 더불어 LNG 플랜트 설계단계의 리스크를 평가함에 있어 적절한 변수인 것으로 판단된다.
PIC 지수가 산출되면 기준 지수와 비교하여 리스크가 높다가 판단되면 적절한 대응방안을 제시하게 된다. 기준 지수와 비교하는 많은 방법이 가능하겠지만 하나의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PIC 지수에 따른 결과를 리스크점수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고, 리스크 등급이 A등급이나 B등급으로 높은 리스크요인은 관리항목으로 선정되어 집중 관리 한다. PIC 점수에 따른 리스크 등급의 일 예는 아래의 표 3과 같다.
상기 표를 예로 들면 PIC 지수를 사전에 정해진 기준치(기준 지수)와 비교하여 리스크가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리스크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A 또는 B)에는 적절한 리스크 대응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리스크별 대응조치를 위해 마련된 것이 대응방안 데이터베이스이다. 이는 사전에 해당 분야에서 발생하는 리스크에 대하여 리스크 종류별로 대응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도 3은 리스크별 대응방안을 출력한 출력화면의 일 예이다. 도 3에 나타난 예는 건물규모나 지진계수 반영이 미흡한 경우 구매조달 담당자, 설계자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나타내고 있다. 또한 대응방안 수행후 얼마 후에 다시 재평가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도 있다.
결국 대응방안 데이터베이스는 사전에 리스크별로 대응방안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것으로, 리스크 종류, 대응방안을 수행할 담당자, 대응방안 및 리스크별 기준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4 단계에서 이용되는 리스크 평가 지수는 아래의 수학식 2로 표현된다. 이는 리스크에 대한 대응방안을 수행한 후 리스크가 줄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후 관리를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PIC On - Stage 는 S3 단계에서 산출된 PIC지수이고, PIC Pre - Stage 는 S1 단계에서 산출된 PIC 지수이다.
리스크지수는 해당 Stage에서의 전체 리스크요인에 대해서 평가를 하게 되며, Pre-Stage에서의 전체 PIC 점수와 On-Stage에서의 관리 후의 리스크 점수의 비율로 나타낸다. 리스크 평가 지수가 낮을수록 개별 Stage 초기에 인식된 리스크가 제대로 해결되어 위험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낸다. 전문가 자문 결과를 바탕으로 리스크지수가 30점 이하면 리스크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다음 Stage로의 진입이 가능한 것으로, 60점 이상이면 추가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리스크 지수와 연동하여 사업 방향에 대한 의사결정에 참고할 지침을 만들 수도 있다. 예컨대, LNG플랜트 사업관리활동에 대한 평가를 통해 도출된 성과점수는 사업관리활동을 통해 별도로 수행되는 리스크 관리활동을 통해 도출되는 리스크지수와 연동하여 네 가지 유형으로 의사결정 및 대응활동 유형을 시스템적으로 도출하도록 구조화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을 이용한 사업관리 의사 결정을 위한 그래프의 일 예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성과가 낮고 위험도가 높은 A유형은 다음 단계로 진행하지 못하도록 의사결정이 도출된다. 이 유형은 리스크 감소 및 회피활동을 중심으로 전체적이나 부분적으로 재설계에 대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데, 그 대상은 성과지수가기준 미만이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항목부터 대응하도록 지시된다. 리스크가 높으나 성과도 높은 유형은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으나, 리스크 감소 및 회피활동을 전면적으로 시행하도록 요구한다. 이 과정에서 기존 성과를 유지하는 것이 핵심적인 대응활동 평가기준이 된다. 리스크는 낮은데 비하여 성과지수도 낮은 C유형은 성과를 높이기 위한 활동에 주력하게 되며, 다양한 설계 개선활동을 전개하도록 전략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성과지수가 적정 이상이고 리스크 지수가 적정 이하인 D유형은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도록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시스템(100)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전술한 NG 플랜트 리스크 평가 방법과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시스템(100)은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요인을 추출하는 리스크 요인 추출부(110), 리스크 용인을 기준으로 PIC 지수를 산출하는 PIC 지수 산출부(120), 리스크별 대응방안이 저장된 대응방안 데이터베이스부(130), PIC 지수가 가준 지수보다 높은 경우 대응방안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대응방안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대응방안 출력부(140) 및 대응방안 수행 후 리스크 평가 지수를 이용하여 리스크 관리를 평가하는 리스크 관리 평가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PIC 지수는 전술한 수학식 1로 표현되고, 리스크 평가 지수는 전술한 수학식 2로 표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시스템(100)은 리스크 요인 추출부를 포함한다. 이는 전술한 리스크 요인을 사전에 추출해 놓은 구성으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서버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구성이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이거나, 또는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에 모든 구성이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웹 솔루션과 같은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서버에 기본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PIC 지수 등을 산출하기 위한 입력 단말을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할 수도 있다.
대응방안 출력부(140)는 컴퓨터 장치에 연결되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프린터 장치를 의미한다.
도 6은 초기 PIC 지수 산출을 위한 화면을 도시한 일 예이다. 이 화면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가정한 것이다. 사용자가 컴퓨터에 설치한 솔루션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 연결된 외부 솔루션에 접근하여 관련 항목을 입력하는 화면이다. 도 6은 플랜트 구조 설계 관련 항목을 입력하는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이용하여 사업관리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한 리스크 평가 결과 조회 화면을 도시한 일 예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산출되는 결과를 활용하여 사업 방향을 결정하거나, 사업 계획을 추진하기 위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붉은 색 점이 type B 영역에 표시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리스크 감소를 위한 방안을 시행하고 기존 성과는 유지하라는 지침이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시스템
110 : 리스크 요인 추출부 120 : PIC 지수 산출부
130 : 데이터베이스부 140 : 대응방안 출력부
150 : 리스크 관리 평가부
110 : 리스크 요인 추출부 120 : PIC 지수 산출부
130 : 데이터베이스부 140 : 대응방안 출력부
150 : 리스크 관리 평가부
Claims (10)
-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를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스크 요인을 기준으로 PIC 지수를 산출하는 S1 단계;
상기 PIC 지수가 기준 지수보다 높은 경우 대응방안 데이터베이스에서 리스크별 대응방안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S2 단계;
상기 S2 단계에서 출력한 리스크별 대응방안을 수행하고 기준 주기마다 PIC 지수를 산출하여 기준 지수보다 낮은지 여부를 점검하는 S3 단계;
상기 S1 단계의 대응방안 수행 전의 PIC 지수와 상기 S3 단계에서 대응방안 수행 후의 PIC 지수를 기초로 리스크 평가지수를 산출하여 리스크 관리를 평가하는 S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IC 지수는 리스크 요인의 발생 확률(P:Probability), 리스크 요인의 영향강도(I:Impact) 및 리스크 해결 과정의 어려움 및 복잡성을 반영한 조정의 불확실 정도인 조정지수(C:Coordination)의 관한 평가 항목들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상기 PIC 지수는 아래의 식
(여기서 P는 확률을 의미하고, I는 영향강도를 의미하며, C는 조정지수를 의미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방안 데이터베이스는 사전에 리스크별로 대응방안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것으로, 리스크 종류, 대응방안을 수행할 담당자, 대응방안 및 리스크별 기준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크 평가지수가 60 이상이면 추가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평가되고, 추가적인 리스크 대응방안이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방법. -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요인을 추출하는 리스크 요인 추출부;
상기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요인을 기준으로 PIC 지수를 산출하는 PIC 지수 산출부;
리스크별 대응방안이 저장된 대응방안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PIC 지수가 가준 지수보다 높은 경우 상기 대응방안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대응방안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대응방안 출력부; 및
대응방안 수행 전후의 PIC 지수들을 기초로 산출된 리스크 평가 지수를 이용하여 리스크 관리를 평가하는 리스크 관리 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PIC 지수는 리스크 요인의 발생 확률(P:Probability), 리스크 요인의 영향강도(I:Impact) 및 리스크 해결 과정의 어려움 및 복잡성을 반영한 조정의 불확실 정도인 조정지수(C:Coordination)의 관한 평가 항목들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상기 PIC 지수는 아래의 식
(여기서 P는 확률을 의미하고, I는 영향강도를 의미하며, C는 조정지수를 의미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시스템.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방안 데이터베이스부는 사전에 리스크별로 대응방안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것으로, 리스크 종류, 대응방안을 수행할 담당자, 대응방안 및 리스크별 기준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크 관리 평가부는 상기 리스크 평가지수가 60 이상이면 추가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평가하고, 상기 대응방안 출력부는 추가적인 리스크 대응방안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9692A KR101409262B1 (ko) | 2012-01-31 | 2012-01-31 |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방법 및 관리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9692A KR101409262B1 (ko) | 2012-01-31 | 2012-01-31 |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방법 및 관리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8452A KR20130088452A (ko) | 2013-08-08 |
KR101409262B1 true KR101409262B1 (ko) | 2014-06-24 |
Family
ID=49214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9692A KR101409262B1 (ko) | 2012-01-31 | 2012-01-31 |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방법 및 관리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926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3219155A1 (de) | 2013-09-24 | 2015-03-26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zur Steuerung von Bewegungen eines medizinischen Gerätes, Steuergerät hierfür sowie medizinisches Gerät |
KR102079580B1 (ko) | 2017-07-03 | 2020-02-20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Lng 공급 솔루션을 위한 비즈니스 컨설팅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102240737B1 (ko) * | 2018-12-18 | 2021-04-15 | 대한민국 | 화학 시설에 대한 보안 취약성 평가 방법 |
KR102111566B1 (ko) * | 2019-07-16 | 2020-05-18 |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및 그 생성방법 |
KR102252017B1 (ko) * | 2019-07-16 | 2021-05-17 |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
KR102268294B1 (ko) * | 2019-07-16 | 2021-06-23 |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 |
KR102252007B1 (ko) * | 2019-07-16 | 2021-05-17 |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 다차원 리스크 매트릭스 생성방법 |
CN112785141B (zh) * | 2021-01-19 | 2023-10-27 | 上海同技联合建设发展有限公司 | 综合管廊全寿命周期规划设计本质安全风险评估方法 |
KR102495333B1 (ko) * | 2021-04-30 | 2023-02-06 |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Lng 벙커링 설계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08309A (ja) * | 2008-10-30 | 2010-05-13 | Computer System Kenkyusho:Kk | 総合インフラリスク管理支援システム |
JP2011170573A (ja) * | 2010-02-18 | 2011-09-01 | Shuichi Nagataki | 管理サーバ及び建設受発注システム |
-
2012
- 2012-01-31 KR KR1020120009692A patent/KR10140926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08309A (ja) * | 2008-10-30 | 2010-05-13 | Computer System Kenkyusho:Kk | 総合インフラリスク管理支援システム |
JP2011170573A (ja) * | 2010-02-18 | 2011-09-01 | Shuichi Nagataki | 管理サーバ及び建設受発注システム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논문,2008,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 * |
논문,2010,충남대 * |
논문,2010,충남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8452A (ko) | 2013-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9262B1 (ko) |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방법 및 관리시스템 | |
Prajapati et al. | Prioritizing the solutions of reverse logistics implementation to mitigate its barriers: A hybrid modified SWARA and WASPAS approach | |
Katsaliaki et al. | Supply chain disruptions and resilience: A major review and future research agenda | |
Sahu et al. | Evaluation of performance index in resilient supply chain: a fuzzy-based approach | |
Podgórski | Measuring operational performance of OSH management system–A demonstration of AHP-based selection of lead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 | |
Tarei et al. | A hybrid approach for quantifying supply chain risk and prioritizing the risk drivers: A case of Indian petroleum supply chain | |
Yauch | Measuring agility as a performance outcome | |
Yun et al. | Measuring project management inputs throughout capital project delivery | |
Azevedo et al. | A proposed framework to assess upstream supply chain sustainability | |
Yu et al. | Factors affecting the utilization of big data in construction projects | |
Labaka et al. | A framework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critical infrastructures | |
Osunsanmi et al. | Modelling construction 4.0 as a vaccine for ensuring construction supply chain resilience amid COVID-19 pandemic | |
Ortiz‐Barrios et al. | Strategic hybrid approach for selecting suppliers of high‐density polyethylene | |
US2015017864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ject risk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 |
González‐Prida Díaz et al. | Contractual and quality aspects on warranty: best practices for the warranty management and its maturity assessment | |
Pitchaimuthu et al. | Modelling of risk factors for defence aircraft industry using interpretive structural modelling, interpretive ranking process and system dynamics | |
Yusriza et al. | Airline catering supply chain performance during pandemic disruption: a Bayesian network modelling approach | |
Tsai et al. | Combining decision making trial and evaluation laboratory with analytic network process to perform an investig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uditing and risk control in a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nvironment | |
Savino et al. | Investigating the impact of social sustainability within maintenance operations: An action research in heavy industry | |
Basar | A novel methodology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IT projects in a fuzzy environment: a case study | |
Radziwill et al. | Reframing the test pyramid for digitally transformed organizations | |
Jang et al. | A stage-gate integrated risk control system for LNG plant projects: Focusing on the design phase | |
Koh et al. | Quantifying organisational resilience: an integrated resource efficiency view | |
Zheng et al. | A hybrid approach for evaluating faulty behavior risk of high‐risk operations using ANP and evidence theory | |
Veiga et al. | The strategic role of lean a discuss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