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635B1 -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 Google Patents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635B1
KR101408635B1 KR1020130090506A KR20130090506A KR101408635B1 KR 101408635 B1 KR101408635 B1 KR 101408635B1 KR 1020130090506 A KR1020130090506 A KR 1020130090506A KR 20130090506 A KR20130090506 A KR 20130090506A KR 101408635 B1 KR101408635 B1 KR 101408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horizontal bar
circumferential surface
return spr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오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0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6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F16H37/08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 F16H2048/38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ing or crown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이 차동기어의 디퍼렌셜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시 회전하며, 원주면에 지지링이 고정설치된 인풋 샤프트; 상기 인풋 샤프트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허브기어; 상기 허브기어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되, 일측 외주면에 캠구르브가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 고정된 래치가 설치되며, 타측 단부에 도그 클러치가 설치되는 슬리브; 상기 지지링의 일측과 상기 슬리브의 일측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리브를 탄성 지지하는 제1리턴스프링; 상기 슬리브의 도그 클러치와 체결 가능한 키이가 구비되며, 프로펠러 샤프트와 연결되는 하이포이드 기어; 상기 슬리브의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핀결합되어 좌우 회동 가능한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일단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캠구르브에 삽입될 시 상기 슬리브를 수평 이동시키는 구속핀과, 상기 수평바의 타단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래치를 구속하기 위한 후크로 구성되는 리턴암; 및 일단이 상기 수평바의 타단 외측에 고정설치되되 타단이 상기 수평바의 후크 대향면에 접촉되어 상기 후크를 탄성 지지하는 제2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Power take-off unit for 4 wheel driving vehicle}
본 발명은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륜 구동차량은 엔진, 변속기의 장착위치와 실제 구동륜의 위치에 따라 FR(Front engine Rear drive) 형식 또는 FF(Front engine Front drive) 형식으로 구분된다.
2륜 구동차량이 주행을 하는 경우에 필요로 하게 되는 구동력은 승객과 화물을 실은 상태에서 도로상황 및 주행속도 등에 의해 크게 변화하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 엔진과 구동바퀴 사이에서 토크를 변화시키는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토크를 변화시키는 장치를 변속기라고 하며, 상기한 변속기는 수동 변속기(manual transmission)와 자동 변속기(automatic transmission)로 크게 나뉘어진다.
상기한 수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를 포함하는 변속기는 일반적으로 1단, 2단, 3단, 4단, 5단, 후진단의 변속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4륜구동(4 Wheel Drive, 4WD) 차량에서는 이와 같은 변속을 위한 구성 이외에 4륜 구동을 위한 부변속기가 추가로 설치된다.
종래의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는, 2륜 구동 중 4륜 구동 변속 시에 모터 엑츄에이터에 전류를 인가하여 모터를 회전시키면 모터의 회전운동이 캠을 통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변속포크를 움직여서 슬리브의 도그 클러치가 하이포이드기어의 키와 체결되어 4륜을 위한 동력이 전달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에 의하면, 2륜 구동 중 4륜 구동 변속시 블록킹 현상(변속중에 슬리브의 도그 클러치와 하이포이드기어의 키가 서로 맞닿아 변속이 안되는 현상)으로 변속 지연이 발생되며, 변속 하중을 모터가 부담하게 되어 모터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변속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는,
일단이 차동기어의 디퍼렌셜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시 회전하며, 원주면에 지지링(11)이 고정설치된 인풋 샤프트(10);
상기 인풋 샤프트(10)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허브기어(20);
상기 허브기어(2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되, 일측 외주면에 캠구르브(31)가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 고정된 래치(32)가 설치되며, 타측 단부에 도그 클러치(33)가 설치되는 슬리브(30);
상기 지지링(11)의 일측과 상기 슬리브(30)의 일측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리브(30)를 탄성 지지하는 제1리턴스프링(40);
상기 슬리브(30)의 도그 클러치(33)와 체결 가능한 키이(51)가 구비되며, 프로펠러 샤프트와 연결되는 하이포이드 기어(50);
상기 슬리브(30)의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축(61)과, 상기 고정축(61)에 핀결합되어 좌우 회동 가능한 수평바(62)와, 상기 수평바(62)의 일단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캠구르브(31)에 삽입될 시 상기 슬리브(30)를 수평 이동시키는 구속핀(63)과, 상기 수평바(62)의 타단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래치(32)를 구속하기 위한 후크(64)로 구성되는 리턴암(60); 및
일단이 상기 수평바(62)의 타단 외측에 고정설치되되 타단이 상기 수평바(62)의 후크(64) 대향면에 접촉되어 상기 후크(64)를 탄성 지지하는 제2리턴스프링(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캠구르브(31)는, 곡면진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이포이드 기어(50)는, 2륜 구동 중 4륜 구동으로 변속 필요시 뒷바퀴의 회전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를 통해 전달되어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리턴스프링(70)은, 제1리턴스프링(40) 보다 큰 탄성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평바(62)의 일단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바디(81)와, 상기 바디(8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되 단부가 상기 수평바(62)의 구속핀(63) 대향면에 접촉되어 상기 구속핀(63)을 하향 회동시킬 수 있는 축(82)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장치(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에 의하면, 브로킹 현상을 방지하며,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변속 응답성을 향상시켜 변속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의 2륜 구동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4륜 변속 진행 중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4륜 변속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2륜 변속 진행 중의 상태를 보인 도면 및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2륜 변속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는,
일단이 차동기어의 디퍼렌셜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시 회전하며, 원주면에 지지링(11)이 고정설치된 인풋 샤프트(10);
상기 인풋 샤프트(10)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허브기어(20);
상기 허브기어(2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되, 일측 외주면에 캠구르브(31)가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 고정된 래치(32)가 설치되며, 타측 단부에 도그 클러치(33)가 설치되는 슬리브(30);
상기 지지링(11)의 일측과 상기 슬리브(30)의 일측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리브(30)를 탄성 지지하는 제1리턴스프링(40);
상기 슬리브(30)의 도그 클러치(33)와 체결 가능한 키이(51)가 구비되며, 프로펠러 샤프트와 연결되는 하이포이드 기어(50);
상기 슬리브(30)의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축(61)과, 상기 고정축(61)에 핀결합되어 좌우 회동 가능한 수평바(62)와, 상기 수평바(62)의 일단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캠구르브(31)에 삽입될 시 상기 슬리브(30)를 수평 이동시키는 구속핀(63)과, 상기 수평바(62)의 타단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래치(32)를 구속하기 위한 후크(64)로 구성되는 리턴암(60); 및
일단이 상기 수평바(62)의 타단 외측에 고정설치되되 타단이 상기 수평바(62)의 후크(64) 대향면에 접촉되어 상기 후크(64)를 탄성 지지하는 제2리턴스프링(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허브기어(20)는 상기 인풋 샤프트(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30)는 내주면이 상기 허브기어(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에 맞물림되도록 대응하는 치가 형성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슬리브(30)의 캠구르브(31)는 곡면진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래치(32)는 상기 슬리브(3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도그 클러치(33)는 상기 래치(3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30)의 이동방향으로 연장 설치된다.
상기 제1리턴스프링(40)과 상기 제2리턴스프링(70)은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리턴스프링(70)은 제1리턴스프링(40) 보다 큰 탄성계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이포이드 기어(50)는 90도 각도를 이루면서 결합되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피니언 기어(도시 생략)와 연결된다.
상기 하이포이드 기어(50)는 2륜 구동 중 4륜 구동으로 변속 필요시 뒷바퀴의 회전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를 통해 전달되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이포이드 기어(50)의 회전은 ECU에서 리어 커플링을 결합(Engage)시켜 차량 운행 시 발생되는 뒷바퀴의 회전을 리어엑슬에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를 거쳐 전달된다.
상기 리턴암(60)의 구속핀(63)과 후크(64)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슬리브(30)를 향해 돌출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리턴암(60)의 고정축(61)은 상기 수평바(62)의 일단보다 타단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제2리턴스프링(70)의 스프링력을 보완하며, 상기 후크(64)가 상기 슬리브(30)의 래치(32)를 보다 견고하게 구속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평바(62)의 일단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바디(81)와, 상기 바디(8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되 단부가 상기 수평바(62)의 구속핀(63) 대향면에 접촉되어 상기 구속핀(63)을 하향 회동시킬 수 있는 축(82)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장치(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턴암(60)의 고정축(61)과 상기 제2리턴스프링(70) 및 상기 솔레노이드장치(80)의 바디(81)는 공히 부변속기 케이스(도시 생략)에 고정설치되어 지지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도 1은 2륜 구동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엔진의 구동력은 변속기로 전달되어 일단이 차동기어의 디퍼렌셜 케이스에 결합된 인풋 샤프트(10)가 상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슬리브(30)의 래치(32)가 리턴암(60)의 후크(64)에 구속 및 제1리턴스프링(40)에 의해 압축된 상태이며, 따라서 인풋 샤프트(10)의 회전력은 하이포이드 기어(50)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2륜 구동 상태에서 4륜 구동 변속 명령이 내려지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장치(80)의 축(82)이 전진(화살표 참고) 이동하여 제2리턴스프링(70)의 탄성력을 이기고 리턴암(60)의 구속핀(6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구속핀(63)을 캠구르브(31)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슬리브(30)의 래치(32)가 리턴암(60)의 후크(64)로부터 구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슬리브(30)는 압축되어 있던 1리턴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슬라이딩하며, 도그 클러치(33)가 하이포이드 기어(50)의 키이(51)와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변속시의 블록킹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ECU에서 리어 커플링을 결합(Engage)시켜 차량 운행 시 발생되는 뒷바퀴의 회전을 리어엑슬에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를 거쳐 하이포이드 기어(50)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인풋 샤프트(10)와의 회전수를 일치시키도록 한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장치(80)의 축(82)이 제자리에 돌아오면 슬리브(30)는 제2리턴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수평) 상태로 돌아온다. 이때, 슬리브(30)의 캠구르브(31)에 삽입되어 있던 리턴암(60)의 구속핀(63)이 들려 빠져 나가면서, 슬리브(30)는 1리턴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여 도크 클러치(33)가 하이포이드 기어(50)의 키이(51)와 체결됨으로써 인풋 샤프트(10)의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를 통해 프로펠러 샤프트로 전달되어 4륜 구동상태가 된다.
한편, 도 3의 4륜 구동 상태에서 2륜 구동 변속 명령이 내려지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장치(80)의 축(82)이 다시 전진(화살표 참고) 이동하여 제2리턴스프링(70)의 탄성력을 이기고 리턴암(60)의 구속핀(6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구속핀(63)을 캠구르브(31)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슬리브(30)의 래치(32)가 리턴암(60)의 후크(64)로부터 구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슬리브(30)는 구속핀(63)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도그 클러치(33)가 하이포이드 기어(50)의 키이(51)와 체결 해제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장치(80)의 축(82)이 제자리에 돌아오면 제1리턴스프링(40)보다 탄성계수가 큰 제2리턴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후크(64)가 회동하면서 슬리브(30)의 래치(32)를 끌어 당기면서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슬리브(30)는 좌측 방향으로 더 슬라이딩 되어 인풋 샤프트(10)의 회전력이 프로펠러 샤프트로 전달되지 않는 2륜 구동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에 의하면, 브로킹 현상을 방지하며,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변속 응답성을 향상시켜 변속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일단이 차동기어의 디퍼렌셜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시 회전하며, 원주면에 지지링(11)이 고정설치된 인풋 샤프트(10);
    상기 인풋 샤프트(10)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허브기어(20);
    상기 허브기어(2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되, 일측 외주면에 캠구르브(31)가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 고정된 래치(32)가 설치되며, 타측 단부에 도그 클러치(33)가 설치되는 슬리브(30);
    상기 지지링(11)의 일측과 상기 슬리브(30)의 일측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리브(30)를 탄성 지지하는 제1리턴스프링(40);
    상기 슬리브(30)의 도그 클러치(33)와 체결 가능한 키이(51)가 구비되며, 프로펠러 샤프트와 연결되는 하이포이드 기어(50);
    상기 슬리브(30)의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축(61)과, 상기 고정축(61)에 핀결합되어 좌우 회동 가능한 수평바(62)와, 상기 수평바(62)의 일단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캠구르브(31)에 삽입될 시 상기 슬리브(30)를 수평 이동시키는 구속핀(63)과, 상기 수평바(62)의 타단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래치(32)를 구속하기 위한 후크(64)로 구성되는 리턴암(60); 및
    일단이 상기 수평바(62)의 타단 외측에 고정설치되되 타단이 상기 수평바(62)의 후크(64) 대향면에 접촉되어 상기 후크(64)를 탄성 지지하는 제2리턴스프링(70);을 포함하는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구르브(31)는,
    곡면진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포이드 기어(50)는,
    2륜 구동 중 4륜 구동으로 변속 필요시 뒷바퀴의 회전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를 통해 전달되어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턴스프링(70)은,
    제1리턴스프링(40) 보다 큰 탄성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62)의 일단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바디(81)와, 상기 바디(8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되 단부가 상기 수평바(62)의 구속핀(63) 대향면에 접촉되어 상기 구속핀(63)을 하향 회동시킬 수 있는 축(82)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장치(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KR1020130090506A 2013-07-30 2013-07-30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KR101408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506A KR101408635B1 (ko) 2013-07-30 2013-07-30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506A KR101408635B1 (ko) 2013-07-30 2013-07-30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8635B1 true KR101408635B1 (ko) 2014-06-17

Family

ID=5113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506A KR101408635B1 (ko) 2013-07-30 2013-07-30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6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867B1 (ko) * 2015-06-22 2016-10-18 현대위아 주식회사 Ptu용 액츄에이터
KR101676535B1 (ko) 2014-09-30 2016-11-29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구동 차량용 디스커넥트 장치
CN107366732A (zh) * 2017-07-22 2017-11-21 朱幕松 自动弹力变挡差速电机
KR20200042106A (ko) * 2018-10-15 2020-04-23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기차량용 구동장치
KR102462203B1 (ko) * 2022-09-08 2022-11-03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동력 디스커넥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구동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315U (ko) * 1996-07-10 1998-04-30 김재복 4륜구동 부변속기 제어장치의 절환액츄에이터
KR20020044469A (ko) * 2000-12-06 2002-06-15 이계안 파트 타임 2륜/4륜 구동 절환 장치
KR20130083333A (ko) * 2012-01-12 2013-07-22 현대위아 주식회사 사륜구동 차량의 동력 단속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315U (ko) * 1996-07-10 1998-04-30 김재복 4륜구동 부변속기 제어장치의 절환액츄에이터
KR20020044469A (ko) * 2000-12-06 2002-06-15 이계안 파트 타임 2륜/4륜 구동 절환 장치
KR20130083333A (ko) * 2012-01-12 2013-07-22 현대위아 주식회사 사륜구동 차량의 동력 단속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535B1 (ko) 2014-09-30 2016-11-29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구동 차량용 디스커넥트 장치
KR101666867B1 (ko) * 2015-06-22 2016-10-18 현대위아 주식회사 Ptu용 액츄에이터
CN107366732A (zh) * 2017-07-22 2017-11-21 朱幕松 自动弹力变挡差速电机
KR20200042106A (ko) * 2018-10-15 2020-04-23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기차량용 구동장치
KR102637114B1 (ko) 2018-10-15 2024-02-14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기차량용 구동장치
KR102462203B1 (ko) * 2022-09-08 2022-11-03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동력 디스커넥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구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635B1 (ko) 4륜 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US11125281B2 (en) Rotating multimode clutch module for all wheel drive system
US9989151B2 (en) Transfer for vehicle
KR101530485B1 (ko) 4륜 구동차량의 트랜스퍼 케이스의 동력 절환장치
EP2951044B1 (en) Gear shift mechanism
EP3207291B1 (en) Park lock apparatus
JP5257482B2 (ja) 四輪駆動車の動力伝達装置
US20130054104A1 (en) Drive system for four-wheel drive vehicle, four-wheel drive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four-wheel drive vehicle
JP6609521B2 (ja) 駆動装置
KR101666135B1 (ko) 2wd 또는 4wd 전환을 위한 전자식 구동력 분배장치
KR20130084185A (ko) 4륜 구동차량의 부변속기 구동장치
CN104728435A (zh) 用于车辆的换挡操作装置
KR101345954B1 (ko)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
US9797509B2 (en) Transfer case having a shift mechanism
US20170182886A1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KR20160080770A (ko) 전기 차량의 감속기용 파킹장치
KR101611745B1 (ko) 4륜 구동차량의 디스커넥트 장치
WO2017151693A1 (en) Rotating multimode clutch module for all wheel drive system
JP2018131009A (ja) 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KR101860868B1 (ko) 차량의 파킹 및 디스커넥팅 장치
KR102251325B1 (ko) 4륜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KR101496558B1 (ko) 4륜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US20140274542A1 (en) Locking collar for vehicular differential
CN108443495A (zh) 一种差速及差速锁止的四驱分动箱
KR20160038333A (ko) 4륜구동 차량용 디스커넥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