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212B1 -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212B1
KR101408212B1 KR1020130081569A KR20130081569A KR101408212B1 KR 101408212 B1 KR101408212 B1 KR 101408212B1 KR 1020130081569 A KR1020130081569 A KR 1020130081569A KR 20130081569 A KR20130081569 A KR 20130081569A KR 101408212 B1 KR101408212 B1 KR 101408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mat
circulating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요호
Original Assignee
최요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요호 filed Critical 최요호
Priority to KR1020130081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02Means for connecting central heating radiators to circulation pipes
    • F24D19/0017Connections between supply and inlet or outlet of central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온수매트 내로 온수를 균등하게 분배하여 유입시킴은 물론 유입된 온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인해 상기 온수매트의 난방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구비된 온수매트; 상기 온수매트의 상, 하부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소형 보일러장치에서 보내지는 온수가 흐르면서 순환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배관호스; 상기 온수매트의 테두리에 결합 설치됨은 물론 상기 각 배관호스가 연결 결합되어 상기 각 배관호스 내로 온수를 분배하여 각각 유입시킴은 물론 상기 유입되어 각 배관호스 내를 순환하는 온수에서 열이 방열된 순환수가 유입되도록 온수유입구와 복수 개의 온수배출구 및 복수 개의 순환수유입구와 순환수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온수공간부와 순환수공간부로 분리된 구조를 갖는 온수 분배장치부;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hot water distribution apparatus of hot water mat}
본 발명은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온수매트 내로 온수를 균등하게 분배하여 유입시킴은 물론 상기 유입된 온수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상기 온수매트의 난방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인 겨울철에 실내 바닥을 난방 및 보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기를 이용한 전기매트 및 온수를 이용한 온수매트 등과 같은 난방장치를 사용한다.
상기 전기매트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매트에 내장 설치된 전열선이 가열되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실내 바닥을 난방 및 보온을 유지하는데, 상기 전기매트는 전열선이 단선될 경우 상기 단선된 전열선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고, 상기 전열선에 전기가 통전되면서 방사되는 전자파에 의한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등 많은 문제가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온수를 이용한 온수매트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데, 상기 온수매트는 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가열된 물(온수)을 매트에 내장 설치된 호스를 통해 유입시켜 상기 매트를 순환시킴에 따라 상기 순환되는 온수에서 열을 방열함에 따라 실내 바닥을 난방 및 보온을 유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온수매트는 매트에 단일 호스를 내장 설치 즉, 온수가 흐르는 하나의 호스가 절곡된 형태로 매트 전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소형 보일러장치에서 보내지는 온수는 온수매트 전체를 커버하기 위해 하나의 호스를 따라 긴 거리를 흐름으로 인해 상기 온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상기 온수매트에서 온수가 유입되는 측에서 온수의 방열은 발생하나, 온수가 배출되는 측은 방열이 일어나지 않아 상기 온수매트 전체의 균일한 난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상기 온수매트의 난방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2188호(2006.07.1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온수를 분배하여 유입 및 순환시키는 온수 분배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온수 분배장치에 의해 소형보일러장치에서 보내지는 온수는 온수매트 내로 여러 개로 균등하게 분배되면서 용이하게 유입될 뿐만 아니라 상기 여러 개로 분배되어 유입되는 온수는 짧은 거리를 흐르면서 원활하게 순환됨에 따라 상기 온수매트 전체에서 온수의 방열 현상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인해 상기 온수매트의 난방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구비된 온수매트; 상기 온수매트의 상, 하부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소형 보일러장치에서 보내지는 온수가 흐르면서 순환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배관호스; 상기 온수매트의 테두리에 결합 설치됨은 물론 상기 각 배관호스가 연결 결합되어 상기 각 배관호스 내로 온수를 분배하여 각각 유입시킴은 물론 상기 유입되어 각 배관호스 내를 순환하는 온수에서 열이 방열된 순환수가 유입되도록 온수유입구와 복수 개의 온수배출구 및 복수 개의 순환수유입구와 순환수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온수공간부와 순환수공간부로 분리된 구조를 갖는 온수 분배장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온수매트; 복수 개의 배관호스; 소형 보일러장치; 고정부재와, 덮개와, 내부가 온수공간부와 순환수공간부로 내부가 분리 형성됨은 물론 온수유입구와 복수 개의 온수배출구 및 복수개의 순환수유입구와 순환수배출구가 구비된 온수 분배부재와, 배관고정부가 구비된 온수 분배장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소형 보일러장치에서 온수매트로 보내지는 온수는 상기 온수 분배장치부에 의해 복수 개의 배관호스로 분배되어 균등하게 유입됨은 물론 상기 각 배관호스 내를 흐르면서 원활하게 순환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배관호스를 따라 짧은 거리를 온수가 순환되므로 상기 온수매트 전체에서 온수의 열이 균등하게 방열되어 상기 온수매트의 난방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온수매트 내로 온수의 유입 및 순환수의 배출이 복수 개의 배관호스를 통해 동시에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순환된 순환수를 재가열하여 온수매트로 온수를 보내는 사이클이 짧음에 따라 상기 온수매트에 의한 실내 바닥의 난방 및 보온 유지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온수 분배장치가 구비된 온수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의 각 구성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온수 분배장치에서 보내지는 온수가 흐르는 배관호스가 설치된 온수매트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를 단면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동절기인 겨울철에 실내 바닥 난방 및 보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온수를 이용한 난방장치인 온수매트(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온수매트(10)는 도 3에서와 같이, 배관호스(380)의 상부 측에 위치하는 상부시트(11)와, 상기 상부시트(11)의 하부 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시트(11)와 더불어 배관호스(380)를 감싸는 하부시트(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온수매트(10)의 내부 즉, 상기 상부시트(11)와 하부시트(12) 사이 또는, 상기 상, 하부시트(11,12) 자체에는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부재 및 상기 온수매트(10)의 쿠션성을 높이기 위한 쿠션부재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온수매트(10) 내에는 온수가 유입됨은 물론 상기 유입된 온수가 온수매트(10) 내를 흘러 순환하면서 열을 방열하도록 상기 온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배관호스(3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온수매트(10)의 외방에는 물을 가열하여 각 배관호스(380)를 통해 가열된 물(온수)을 온수매트(10)로 보낼 뿐만 아니라 물론 상기 온수매트(10) 내의 각 배관호스(380)를 온수가 순환하면서 열을 방열함에 따라 온도가 하강된 상태의 물(순환수)을 유입하여 이를 재가열하여 온수매트(10) 내로 재 유입 및 순환시키도록 하는 소형 보일러 장치(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온수매트(10)의 테두리에는 소형 보일러장치(20)에서 보내지는 온수를 온수매트(10) 내의 각 배관호스(380)로 보내도록 온수를 분배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분배되어 각 배관호스(380) 내를 흐르면서 순환하는 온수에서 열이 방열된 온도가 낮아진 물(순환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온수 분배장치(3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온수 분배장치부(3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 분배장치부(30)를 온수매트(10)의 테두리에 결합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재(3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310)의 상부에는 고정부재(310)의 내부가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도록 하는 덮개(3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310)는 도 2와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온수매트(10)의 상, 하면과 접촉 즉, 상부시트(11)의 상면과 하부시트(12)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온수매트(10)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형태인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310)와 덮개(320)는 볼트 체결방식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재(310)의 외주면과 상기 덮개(320)의 외주면을 후크 형태의 걸림 구조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데, 상기의 구조 말고도 고정부재와 덮개가 착탈가능한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부재(310)와 상기 덮개(320) 사이인 상기 고정부재(310) 내에는 상기 소형 보일러장치(20)에서 온수공급호스(342)를 통해 보내지는 온수가 유입 및 상기 온수를 온수매트(10)에 내장된 각 배관호스(380) 내로 분배하여 각각 유입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온수매트(10) 내를 순환하면서 발열된 온도가 낮아진 물(순환수)이 각 배관호스(380)을 통해 유입 및 상기 순환수를 소형 보일러장치(20)로 보내도록 하는 온수 분배부재(3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 내에는 소형 보일러장치(20)에서 보내지는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공간부(3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수공간부(331)의 측방인 온수 분배부재(330) 내에는 온수매트(10) 내를 순환한 순환수가 유입되는 순환수공간부(33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온수 분배부재(330)의 내부는 온수공간부(331)와 순환수공간부(332)로 분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온수공간부(331)와 순환수공간부(332)는 서로 동일한 크기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온수공간부(331) 측인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의 일면에는 상기 소형 보일러장치(20)에서 보내지는 온수가 온수공간부(331)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소형 보일러장치(20)와 연결된 온수 공급호스(342)가 결합되는 온수유입구(3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온수공간부(331) 측인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의 타면에는 상기 온수공간부(331) 내로 유입된 온수를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로부터 온수매트(10) 측에 내장 설치된 각 배관호스(380) 내로 배출하도록 상기 각 배관호스(380)가 연결 결합되는 복수 개의 온수배출구(3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순환수공간부(332) 측인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의 타면에는 상기 온수매트(10)에 내장 설치된 각 배관호스(380) 내를 흐르면서 온도가 하강된 순환수가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의 순환수공간부(332)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각 배관호스(380)가 각각 연결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순환수유입구(3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순환수공간부(332) 측인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의 일면에는 상기 온수매트(10) 내를 순환하면서 온도가 하강된 순환수공간부(332) 내로 유입된 순환수를 소형 보일러장치(20)로 보내도록 상기 소형 보일러장치(20)와 연결된 순환수배출호스(372)가 결합되는 순환수배출구(3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온수배출구(350)와 상기 각 순환수유입구(360) 사이에는 온수매트(10)에 내장 설치되어 유입되는 온수가 순환됨은 물론 상기 온수가 순환되면서 열을 방열하고 나서 온도가 떨어진 순환수가 흐르도록 상기 온수와 순환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배관호스(3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배관호스(380)의 일단은 온수 분배부재(330)의 각 온수배출구(350)에 연결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배관호스(380)의 타단은 온수 분배부재(330)의 각 순환수유입구(360)에 연결 결합되어 있다.
상기 온수유입구(340)에는 온수 공급호스(342) 내에 각각 삽입되면서 끼움 결합되어 상기 온수유입구(340)와 온수 공급호스(342)의 단부를 밀폐된 상태로 견고하게 연결 결합하도록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로부터 외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호스 연결부(3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온수배출구(350)에는 각 배관호스(380) 내에 각각 삽입되면서 끼움 결합되어 상기 각 온수배출구(350)와 각 배관호스(380)의 일단을 밀폐된 상태로 견고하게 연결 결합하도록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로부터 외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복수 개의 호스 연결부(3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순환수유입구(360)에는 각 배관호스(380) 내에 각각 삽입되면서 끼움 결합되어 상기 각 순환수유입구(360)와 각 배관호스(380)의 타단을 밀폐된 상태로 견고하게 연결 결합하도록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로부터 외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복수 개의 호스 연결부(3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순환수배출구(370)에는 순환수 배출호스(372) 내에 삽입되면서 끼움 결합되어 상기 순환수배출구(370)와 순환수 배출호스(372)의 단부를 밀폐된 상태로 견고하게 연결 결합하도록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로부터 외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호스 연결부(3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관호스(380) 측인 온수 분배부재(330)의 일 측방에는 상기 각 배관호스(38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은 물론 상기 각 배관호스(380)의 유동을 방지 및 고정하도록 하는 배관고정부(39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관고정부(390)에는 상기 각 배관호스(380)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배관호스 삽입공(39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관고정부(390)는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에 볼트 체결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에서 배관고정부(390)의 유동 방지 및 각 배관호스(380)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분배부재(330)에서 각 배관호스(380)를 손쉽게 분리하기 위함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각 배관호스(380) 중 온수 분배부재(330)의 일측에 결합된 배관호스(380)는 온수매트(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의 타측에 결합된 배관호스(380)는 온수매트(1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즉 상기 온수공간부(331) 측인 온수 분배부재(330)의 일측에서 타측에 위치하는 각 배관호스(380)는 온수의 순환 거리를 최소화하도록 상기 온수매트(10)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에 위치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배관호스(380)가 내장 설치된 온수매트(10)의 테두리에 온수 분배부재(330)를 포함한 온수 분배장치부(30)를 결합 설치하고 나서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의 각 온수배출구(350)에 각 배관호스(380)의 일단을 각각 끼움 결합함과 함께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의 각 순환수유입구(360)에 각 배관호스(380)의 타단을 각각 끼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의 온수유입구(340)에 소형 보일러장치(20)에 연결된 온수 공급호스(342)를 끼움 결합함과 함께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의 순환수배출구(370)에 상기 소형 보일러장치(20)에 연결된 순환수 배출호스(372)를 끼움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소형 보일러장치(20)를 작동시키면 상기 소형 보일러장치(20) 내에 설치된 히터(미도시)에 의해 물이 가열되고, 상기 가열된 물(온수)은 온수 공급호스(342)와 온수 유입구(340)를 통해 상기 온수 분배장치부(20)의 온수 분배부재(330) 내로 유입 즉, 온수 분배부재(330)의 내부에 형성된 온수공간부(331) 내로 유입된다.
상기 온수공간부(331) 내로 유입된 온수는 각 온수배출구(350)를 통해 각 배관호스(380) 내로 각각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온수는 각 배관호스(380) 내를 흐르면서 온수매트(10) 내를 순환하며, 상기 순환하는 온수는 외부로 열을 방열하여 실내 바닥을 난방 및 보온 유지한다.
상기 열이 방열된 온수는 온도가 하강된 상태(순환수)로 각 배관호스(380)의 단부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온수 분배부재(330)의 각 순환수유입구(360)를 통해 순환수공간부(332) 내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순환수는 순환수배출구(3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배출되는 순환수는 순환수배출호스(372) 내를 흐르면서 소형 보일러장치(20)로 보내진다.
상기 소형 보일러장치(20)에서는 상기 순환수를 재가열한 후 상기에서와 같이 온수 분배장치부(30)를 통해 온수매트(10) 내의 각 배관호스(380)로 보냄은 물론 상기 배관호스(380)를 복수 개 구비하여 온수가 짧은 거리를 순환함으로서, 상기 온수의 흐름이 원활함은 물론 상기 온수의 흐름 사이클이 짧아짐으로 인해 상기 온수매트(10) 전체에서 온수의 열이 균등하게 방열됨에 따라 상기 온수매트(10)는 실내 바닥을 난방 및 보온을 유지하는 등 상기 온수매트(10)의 난방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더운 여름철에는 온수매트를 냉수매트로도 사용가능한데, 즉 소형 보일러장치 대신에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냉각장치에서 온도가 낮을 물(냉수)을 매트의 각 배관호스로 분배하여 유입 및 매트 전체를 따라 순환시키게 되면, 상기 순환되는 냉수는 매트 주변의 열을 흡열함에 따라 매트 주변은 물론 실내 공간을 냉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냉수가 순환하는 매트와 접촉하는 사람은 시원함을 느끼도록 하는 냉수매트로도 사용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10: 온수매트 11,12: 상, 하부시트
20: 소형 보일러장치 30: 온수 분배장치부
310: 고정부재 320: 덮개
330: 온수 분배부재 331: 온수공간부
332: 순환수공간부 340: 온수유입구
350: 온수배출구 360: 순환수유입구
370: 순환수배출구 341,351,361,371: 호스 연결부
342: 온수 공급호스 372: 순환수 배출호스
380: 배관호스 390: 배관고정부
391: 배관호스 삽입공

Claims (5)

  1.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구비된 온수매트와, 상기 온수매트의 상, 하부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소형 보일러장치에서 보내지는 온수가 흐르면서 순환됨은 물론 순환되면서 열이 방열된 순환수를 다시 소형보일러장치로 보내도록 하는 복수 개의 배관호스와, 상기 각 배관호스에 연결 결합 및 상기 온수매트의 테두리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각 배관호스 내로 온수를 분배하여 각각 유입시킴은 물론 상기 유입되어 각 배관호스 내를 순환하는 온수에서 열이 방열된 순환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온수 분배장치부로 구성된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온수 분배장치부는, 상기 온수매트의 테두리에 결합 설치되는 'ㄷ'자 형태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상기 고정부재와 덮개 사이인 상기 고정부재 내에 설치되어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공간부와 순환수가 유입되는 순환수공간부로 내부가 분리 형성되고, 상기 온수공간부 측의 일면에는 온수공간부 내로 온수를 유입하기 위한 온수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온수공간부 측의 타면에는 온수공간부 내의 온수를 온수매트의 각 배관호스로 각각 분배하여 배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온수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순환수공간부 측의 타면에는 각 배관호스를 순환하면서 열이 방열된 순환수를 순환수공간부 내로 유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순환수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순환수공간부 측의 일면에는 순환수공간부 내의 순환수를 소형 보일러장치로 보내도록 상기 순환수를 배출하기 위한 순환수 배출호스가 연결 결합되는 순환수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온수유입구와 각 온수배출구 및 순환수배출구와 각 순환수유입구에는 온수 분배장치부의 외방을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호스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온수 분배부재; 상기 온수 분배부재의 일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각 배관호스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각 배관호스의 단부를 온수 분배부재의 각 온수배출구에 고정하도록 상기 각 배관호스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 개의 배관호스 삽입공을 갖는 배관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각 배관호스 중 온수 분배부재의 일측에 결합된 배관호스는 온수매트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됨과 함께 상기 각 배관호스 중 온수 분배부재의 타측에 결합된 배관호스는 온수매트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81569A 2013-07-11 2013-07-11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 KR101408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569A KR101408212B1 (ko) 2013-07-11 2013-07-11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569A KR101408212B1 (ko) 2013-07-11 2013-07-11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8212B1 true KR101408212B1 (ko) 2014-06-17

Family

ID=5113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569A KR101408212B1 (ko) 2013-07-11 2013-07-11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2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396B1 (ko) * 2015-09-01 2017-09-12 주식회사 온세상 온수 분배 장치
CN109869796A (zh) * 2019-01-14 2019-06-11 深圳和而泰数据资源与云技术有限公司 水暖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1158A (ja) * 1999-07-08 2001-01-26 Shinsei Kagaku Kogyo Co Ltd 床暖房装置用のマニホールド
JP2005308244A (ja) * 2004-04-16 2005-11-04 Sumisho Metalex Corp 床暖房装置用温水ヘッダー
KR100686594B1 (ko) * 2006-08-18 2007-02-26 주식회사 토원 밀폐식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수매트장치
KR20090058304A (ko) * 2007-12-04 2009-06-09 김창호 온수 매트용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1158A (ja) * 1999-07-08 2001-01-26 Shinsei Kagaku Kogyo Co Ltd 床暖房装置用のマニホールド
JP2005308244A (ja) * 2004-04-16 2005-11-04 Sumisho Metalex Corp 床暖房装置用温水ヘッダー
KR100686594B1 (ko) * 2006-08-18 2007-02-26 주식회사 토원 밀폐식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수매트장치
KR20090058304A (ko) * 2007-12-04 2009-06-09 김창호 온수 매트용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396B1 (ko) * 2015-09-01 2017-09-12 주식회사 온세상 온수 분배 장치
CN109869796A (zh) * 2019-01-14 2019-06-11 深圳和而泰数据资源与云技术有限公司 水暖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47444A1 (ko) 가습기능을 가진 방열기
KR101408212B1 (ko) 온수매트용 온수 분배장치
US9310113B2 (en) Thermoelectric heat pump apparatus
US7904974B2 (en) Device for active temperature equalization in a sauna room
KR101358122B1 (ko) 매트용 냉·온수 순환 공급 장치
KR101483577B1 (ko)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CN211373016U (zh) 一种空气加热器
CN206959106U (zh) 应用地暖的冷热水管道
CN206959140U (zh) 地暖用排水管道
CN207038979U (zh) 一种开关柜高效散热组件
CN213872884U (zh) 一种高效散热的水暖散热器
CN104848326A (zh) 一种智能水地暖
CN201087802Y (zh) 电暖器导热板的结构改良
KR100585274B1 (ko) 침대의 난방장치
KR20140148085A (ko) 다수의 착탈식 냉온수단을 구비한 냉온 장치
KR20120007790U (ko) 열전도체 열교환기
CN211244172U (zh) 婴幼儿护理垫
JP2019113205A (ja) 床暖房パネル及び床暖房システム
CN213872846U (zh) 分布分散控制系统装置
KR101776396B1 (ko) 온수 분배 장치
CN207515048U (zh) 一种节能型水暖装置
CN207688211U (zh) 一种地暖供热装置
CN204757117U (zh) 水暖装置
CN104566606A (zh) 远红外线采暖器
KR20140121035A (ko) 물매트용 냉온수 보일러의 냉각타워 및 상기 냉각타워를 갖는 물매트용 냉온수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