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900B1 -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900B1
KR101407900B1 KR1020130138501A KR20130138501A KR101407900B1 KR 101407900 B1 KR101407900 B1 KR 101407900B1 KR 1020130138501 A KR1020130138501 A KR 1020130138501A KR 20130138501 A KR20130138501 A KR 20130138501A KR 101407900 B1 KR101407900 B1 KR 101407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video
version
delay time
ti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윤
이근택
이규명
강남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큐브
Priority to KR1020130138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04H20/6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for transportation systems, e.g.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은, 비디오 데이터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와,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며,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와, 비디오 데이터를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로 전송하는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고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 각각의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제1 서버와, 제1 서버의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고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 각각의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하며,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는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 중 어느 하나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로부터 보드가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 테이블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버전 문의메시지가 입력되면 비디오 디코드 보드의 테이블 버전과 서버의 테이블 버전을 비교하여 보드의 테이블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최신 버전의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로 서버의 테이블을 업데이트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System for sharing transmission delay time information of broadcasting data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내 방송 데이터의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중교통수단(예를 들어, 기차, 지하철, 비행기, 버스) 내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여 유지 보수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내 방송 데이터의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대중교통수단은 버스, 기차, 지하철 등이 있다. 버스는 한개의 차량으로 구성되나, 기차나 지하철은 복수개의 차량들이 서로 연결되어 버스보다 한꺼번에 많은 사람들을 운송할 수 있다. 최근들어 버스, 기차, 지하철에는 승객들을 위해 차량내에 복수개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차량내에 설치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스템의 그래픽 카드로부터 출력되는 문자, 영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는 화면 표시장치로서, 광고, 교양, 스포츠, 오락, 뉴스 등 다양한 방송프로그램과 차량 운행에 관한 방송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차량내에 설치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버에서 전송되는 스트링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드 보드(단말기)와 연결되며, 비디오 디코드 보드(단말기)에서 디코딩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런데, 복수개의 차량들을 포함하는 기차나 지하철의 경우, 복수개의 차량내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단말기) 각각에서 디코딩하는 타이밍이 서로 조금씩 어긋나게 되어, 결국 차량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일한 화면이 서로 다른 타이밍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한개의 차량으로 구성된 버스 내에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단말기)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서버에서 각각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에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걸리는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을 측정하여 각각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에 디버깅(debugging) 타이밍을 셋팅하여 동작하도록 하였다.
한편, 비디오 디코드 보드 또는 서버를 수리 또는 업그레이드 한 후 다시 설치하는 경우, 또는 고장이 발생하여 새로운 비디오 디코드 보드 또는 서버로 교체하는 경우, 수리 또는 업그레이드 또는 교체한 비디오 디코드 보드 또는 서버는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을 다시 측정해서 입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많은 시간과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또다른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29348호 (등록일 2013.01.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중교통수단(예를 들어, 기차, 지하철, 비행기, 버스) 내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최신 버전으로 자동으로 업데이트하여 유지 보수할 수 있는 차량내 방송 데이터의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은, 비디오 데이터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와,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며,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와, 비디오 데이터를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로 전송하는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고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 각각의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제1 서버와, 제1 서버의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고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 각각의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하며,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는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 중 어느 하나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로부터 보드가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 테이블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버전 문의메시지가 입력되면 비디오 디코드 보드의 테이블 버전과 서버의 테이블 버전을 비교하여 보드의 테이블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최신 버전의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로 서버의 테이블을 업데이트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관리시스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는,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로부터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 테이블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버전 문의메시지가 입력되면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의 테이블 버전과 보드의 테이블 버전을 비교하여 서버의 테이블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최신 버전의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로 보드의 테이블을 업데이트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른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관리시스템의 제1 서버는, 제2 서버로부터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을 포함하는 제2 서버 테이블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버전 문의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서버 테이블 버전과 상기 제1 서버의 테이블 버전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서버 테이블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최신 버전의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로 상기 제1 서버 테이블을 업데이트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른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관리시스템의 제2 서버는, 제1 서버로부터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을 포함하는 제1 서버 테이블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버전 문의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서버 테이블 버전과 상기 제2 서버의 테이블 버전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서버 테이블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최신 버전의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로 상기 제2 서버 테이블을 업데이트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내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단말기)의 각각의 지연시간 정보를 비디오 디코드 보드 자체 및 서버에 각각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 뒤, 비디오 디코드 보드와 서버간 지연시간 정보 테이블을 서로 공유하고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를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디오 디코드 보드의 지연시간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내 방송 데이터의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내 방송 데이터의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에 적용되는 비디오 디코드 보드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하기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 방송 데이터의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내 방송 데이터의 전송 지연시간 정보 관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서버(10) 및 제2 서버(30), 네트워크(20)에 연결되어 있는 모두 6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들(단말기)(40, 50, 60, 70, 80, 90), 그리고 상기 각각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40, 50, 60, 70, 80, 90)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들(42, 52, 62, 72, 82, 92)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서버(10)는 비디오 데이터를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40, 50, 60, 70, 80, 90)로 전송하는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고,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40, 50, 60, 70, 80, 90) 각각의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저장한다. 제2 서버(30)는 비디오 데이터를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40, 50, 60, 70, 80, 90)로 전송하는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고,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40, 50, 60, 70, 80, 90) 각각의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저장한다. 제1 서버(10)와 제2 서버(30)에 저장되는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는 동일하다.
제1 서버(10)와 제2 서버(30)는,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40, 50, 60, 70, 80, 90) 중 어느 하나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로부터 보드가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 테이블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버전 문의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비디오 디코드 보드의 테이블 버전과 서버의 테이블 버전을 비교하여 보드의 테이블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최신 버전의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로 서버의 테이블을 업데이트 한다.
제1 서버(10)는 제2 서버(30)로부터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을 포함하는 제2 서버 테이블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버전 문의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서버 테이블 버전과 제1 서버의 테이블 버전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서버 테이블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최신 버전의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로 상기 제1 서버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제2 서버(30)는 제1 서버(10)로부터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을 포함하는 제1 서버 테이블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버전 문의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서버 테이블 버전과 상기 제2 서버의 테이블 버전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서버 테이블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최신 버전의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로 상기 제2 서버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일례로, 제1 서버(10)와 제2 서버(30)는,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40, 50, 60, 70, 80, 90) 중 어느 하나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로부터 비디오 디코드 보드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에 대한 문의 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비디오 디코드 보드 식별자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해당 비디오 디코드 보드로 전송한다. 이에, 비디오 디코드 보드를 수리 또는 업그레이드 한 후 다시 설치하는 경우, 수리 또는 업그레이드한 비디오 디코드 보드는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제1 서버(10)와 제2 서버(30)로부터 입력받아 자동으로 셋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서버(10)와 제2 서버(30)는, 고장난 제1 비디오 디코드 보드 대신 새로 교체된 제2 비디오 디코드 보드로부터 제1 비디오 디코드 보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송 지연시간 문의 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비디오 디코드 보드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상기 새로 교체된 제2 비디오 디코드 보드로 전송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비디오 디코드 보드에 고장이 발생하여, 새로운 비디오 디코드 보드로 교체하는 경우, 새로 교체된 비디오 디코드 보드는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제1 서버(10)와 제2 서버(30)로부터 입력받아 자동으로 셋팅할 수 있다.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40, 50, 60, 70, 80, 90)는 비디오 데이터를 네트워크(20)를 통해 제1 서버(10) 또는 제2 서버(30)로부터 전송받아 재생하는 장치이며,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들(42, 52, 62, 72, 82, 92)은 각각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40, 50, 60, 70, 80, 90)에 전송된 비디오 데이터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LCD 또는 TFT등의 모니터 장치일 수 있다.
도 2에는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40, 50, 60, 70, 80, 90)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40, 50, 60, 70, 80, 90)의 블록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비디오 디코드 보드는, CPU(244), 제1 내부 메모리부(246), 비디오 디코더부(248),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부(250),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252), 제2 내부 메모리부(254)를 포함한다.
제1 내부 메모리부(246)는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40, 50, 60, 70, 80, 90) 각각의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을 포함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버전 정보와 영상파일을 저장한다.
CPU(244)는 영상 파일을 디코딩 처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1 내부 메모리부(246)에 저장된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이용해 영상 파일을 디코딩 처리하여 출력하는 타이밍을 제어한다. CPU(244)는 제1 서버(10)와 제2 서버(30)로부터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 테이블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버전 문의메시지가 입력되면, 제1 서버(10)와 제2 서버(30)의 테이블 버전과 보드의 테이블 버전을 비교하여 서버의 테이블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최신 버전의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로 보드의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일례로, CPU(244)는 비디오 디코드 보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송 지연시간 문의 메시지를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로 전송하여, 그 응답으로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로부터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제1 내부 메모리부(246)에 저장한다.
비디오 디코더부(248)는 제1 내부 메모리부(246)에서 읽어들인 영상 파일을 디코딩한다.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부(250)는 비디오 디코더부(248)에서 디코딩된 영상 신호에 오디오 신호가 믹싱된 영상 신호를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한다.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252)는 PCI, USB, SATA 인터페이스중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 파일을 독출한 뒤, 이를 제1 내부 메모리부(46)에 로딩한다. 제2 내부 메모리부(254)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의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도 2에서는 CPU(244), 비디오 디코더부(248) 및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부(250)가 분리된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SoC(System on Chip)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 서버 20: 네트워크
30: 제2 서버 40~90: 비디오 디코드 보드
42~92: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44: CPU
46: 제1 내부 메모리부 48: 비디오 디코더부
50: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부 52: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부
54: 제2 내부 메모리부

Claims (6)

  1. 대중교통수단 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비디오 데이터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며,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로 전송하는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고, 상기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 각각의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제1 서버; 및
    상기 제1 서버의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고, 상기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 각각의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는, 상기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 중 어느 하나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로부터 보드가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 테이블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버전 문의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비디오 디코드 보드의 테이블 버전과 서버의 테이블 버전을 비교하여 보드의 테이블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최신 버전의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로 서버의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1 서버는,
    고장난 제1 비디오 디코드 보드 대신 새로 교체된 제2 비디오 디코드 보드로부터 제1 비디오 디코드 보드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에 대한 문의 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비디오 디코드 보드 식별자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상기 새로 교체된 제2 비디오 디코드 보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서버는,
    고장난 제1 비디오 디코드 보드 대신 새로 교체된 제2 비디오 디코드 보드로부터 제1 비디오 디코드 보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송 지연시간 문의 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비디오 디코드 보드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상기 새로 교체된 제2 비디오 디코드 보드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디코드 보드는,
    상기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로부터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 테이블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버전 문의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의 테이블 버전과 보드의 테이블 버전을 비교하여 서버의 테이블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최신 버전의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로 보드의 테이블을 업데이트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제2 서버로부터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을 포함하는 제2 서버 테이블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버전 문의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서버 테이블 버전과 상기 제1 서버의 테이블 버전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서버 테이블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최신 버전의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로 상기 제1 서버 테이블을 업데이트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제1 서버로부터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을 포함하는 제1 서버 테이블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버전 문의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서버 테이블 버전과 상기 제2 서버의 테이블 버전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서버 테이블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최신 버전의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로 상기 제2 서버 테이블을 업데이트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디코드 보드는,
    상기 복수개의 비디오 디코드 보드 각각의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을 포함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버전 정보와 영상파일을 저장하는 제1 내부 메모리부;
    상기 제1 내부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를 이용해 영상 파일을 디코딩 처리하여 출력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CPU;
    상기 제1 내부 메모리부에서 읽어들인 영상 파일을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부; 및
    상기 비디오 디코더부에서 디코딩된 영상 신호에 오디오 신호가 믹싱된 영상 신호를 상기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CPU는, 상기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로부터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 테이블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 버전 문의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의 테이블 버전과 보드의 테이블 버전을 비교하여 서버의 테이블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최신 버전의 데이터 지연시간 정보로 보드의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CPU, 비디오 디코더부 및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부가 SoC(System on Chip)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
KR1020130138501A 2013-11-14 2013-11-14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 KR101407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501A KR101407900B1 (ko) 2013-11-14 2013-11-14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501A KR101407900B1 (ko) 2013-11-14 2013-11-14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900B1 true KR101407900B1 (ko) 2014-06-13

Family

ID=5113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501A KR101407900B1 (ko) 2013-11-14 2013-11-14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9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898A (ko) * 2002-02-08 2003-08-19 주식회사 휴맥스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출력 타이밍 조절방법
JP2008293399A (ja) * 2007-05-28 2008-12-04 Univ Nihon 端末認証システム及び端末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00125748A (ko) * 2009-05-21 2010-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식 계전계측기의 시각동기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29979A (ko) * 2009-09-17 2011-03-23 주식회사 디지털존 동기화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898A (ko) * 2002-02-08 2003-08-19 주식회사 휴맥스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출력 타이밍 조절방법
JP2008293399A (ja) * 2007-05-28 2008-12-04 Univ Nihon 端末認証システム及び端末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00125748A (ko) * 2009-05-21 2010-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식 계전계측기의 시각동기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29979A (ko) * 2009-09-17 2011-03-23 주식회사 디지털존 동기화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8123079A1 (de) Verfahren und system zum synchronisieren von akustischen inhalten für ein an anderer stelle angezeigtes video
US10564913B2 (en) Display device of multi-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0947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blishing video synchronously,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01170668A (zh) 高清晰度多媒体接口设备的信号输出设备及其方法
WO2019222811A1 (en) Method of processing push information, method of push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device and platform
CN102750091B (zh) 驾驶技能考试系统动态人机界面及公开动态信息的方法
CN110853569B (zh) 单中控屏域控制系统及方法
US20220408143A1 (en) Control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interaction system
CN104954090A (zh) 应用于列车广播系统的数字功率放大器
WO2024099134A1 (zh) 在仪表屏上显示信息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车辆
CN111176707A (zh) 模板化的自动化运维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765691B (zh) 视频直播的功能组件加载方法、数据处理方法及设备
KR101407900B1 (ko) 차량용 방송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 정보 공유시스템
US8866825B2 (en) Multiple display frame rendering method and apparatus
CN101257591A (zh) 数字多媒体接收设备及其扩展显示标识数据读取方法
CN205862772U (zh) 一种内置混合矩阵的液晶电视拼接装置及液晶拼接系统
CN205595031U (zh) 一种同屏多显示广告机系统
CN103745582A (zh) 移动终端与车机的互联方法及一种车机
CN102708002B (zh) 管理主板管理控制器中的显卡显示的方法以及服务器
KR101407766B1 (ko) 차량용 방송 데이터의 전송 지연시간 자동 측정시스템
CN106803914A (zh) 一种平面显示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157806B1 (ko) Avn 시스템의 영상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N210015702U (zh) 摩天轮多媒体资讯化伴唱系统
JP201008628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49582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