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046B1 - 채광판,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채광판,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046B1
KR101407046B1 KR1020130075803A KR20130075803A KR101407046B1 KR 101407046 B1 KR101407046 B1 KR 101407046B1 KR 1020130075803 A KR1020130075803 A KR 1020130075803A KR 20130075803 A KR20130075803 A KR 20130075803A KR 101407046 B1 KR101407046 B1 KR 101407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sin
fiber
st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김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진 filed Critical 김경진
Priority to KR1020130075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54Slab-like translucen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impregnant, bonding, or embedding sub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채광판을 개시한다.
이러한 채광판은, 서로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1 필름 및 제2 필름과,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 사이에 형성된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 측에 단선(短線)형의 제1 섬유보강재들이 서로 불규칙한 방향의 배열을 가지며 함침된 상태로 형성되는 제1 섬유보강층 그리고, 상기 수지층 측에 메쉬(MESH)형의 제2 섬유보강재가 함침된 상태로 형성되는 제2 섬유보강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채광판,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A LIGHT SHAFT BOAR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채광판,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광판은, 자연광을 내부 조명으로 사용하는 건물(예: 공장)의 지붕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실내의 채광 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상기 채광판은 대부분 건물의 지붕을 이루는 상태로 설치되므로 채광성은 물론이거니와, 특히 충격이나 하중, 압력 등에 대한 내성(형태 안정성)을 갖도록 보강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보강 구조와 부합하도록 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특허등록 제10-943964호의 채광판의 유리섬유 투입방법이 있다.
상기 특허등록 제10-943964호의 채광판의 유리섬유 투입방법은, 채광판 제조시 필름 상에 형성된 수지층에 제1 유리섬유를 날줄 형태로 함침시키고, 제2 유리섬유를 씨줄 형태로 함침시키는 투입 단계를 각각 거치면서 유리섬유가 균일하게 분포되는 상태로 채광판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특허등록 제10-943964호의 채광판의 유리섬유 투입방법은, 유리섬유가 날줄 또는 씨줄 모양의 배열을 갖도록 이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제1 유리섬유롤 및 제2 유리섬유롤을 작업 라인 상에서 움직여야 하므로 구조 및 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제1 유리섬유롤 및 제2 유리섬유롤 측에서 유리섬유가 연속으로 풀리면서 단순하게 날줄 또는 씨줄 모양의 균일한 패턴을 갖도록 배열되면, 채광판의 전체면 내에서 씨줄과 날줄 배열 사이에 유휴 공간들이 과다하게 발생하므로 만족할 만한 채광성 및 보강 안정성을 기대할 수 없다.
더욱이, 날줄 및 씨줄 모양으로 배열되는 유리섬유들 간에는 서로 결속력을 갖지 않는 비(非) 결속 상태이므로 이러한 유리섬유 배열로는 각종 충격이나 하중, 압력 등에 대한 보강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채광성(採光性)은 물론이거니와, 내구성(耐久性)이 한층 향상된 채광판,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서로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1 필름 및 제2 필름;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 사이에 형성된 수지층;
상기 수지층 측에 단선(短線)형의 제1 섬유보강재들이 서로 불규칙한 방향의 배열을 가지며 함침된 상태로 형성되는 제1 섬유보강층;
상기 수지층 측에 메쉬(MESH)형의 제2 섬유보강재가 함침된 상태로 형성되는 제2 섬유보강층;
을 포함하는 채광판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이송 공급하는 필름 공급 공정;
제1 필름 및 제2 필름 사이에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공급 공정;
수지 측에 단선(短線)형의 제1 섬유보강재들을 공급하여 제1 섬유보강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섬유보강재 공급 공정;
수지 측에 메쉬(MESH)형의 제2 섬유보강재를 공급하여 제2 섬유보강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섬유보강재 공급 공정;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합착하는 상태로 채광판을 성형하는 채광판 성형 공정;
을 포함하는 채광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이 서로 겹쳐지는 상태로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이송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 사이로 수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지공급부;
상기 수지공급부와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어 수지 측에 단선(短線)형의 제1 섬유보강재들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섬유보강재 공급부;
상기 수지공급부와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어 수지 측에 메쉬(MESH)형의 제2 섬유보강재들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섬유보강재 공급부;
상기 이송부의 이송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평판형 또는 비(非) 평판형의 판재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성형부;
를 포함하는 채광판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1 필름과 제2 필름 사이에 형성된 수지층 측에 제1 섬유보강층(단선형의 제1 섬유보강재) 및 제2 섬유보강층(메쉬형의 제2 섬유보강재)이 각각 함침(含浸)된 상태로 형성된 채광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채광판은, 상기 두 개의 섬유보강층에 의해 빛의 난굴절(亂屈折)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충격이나 하중, 압력 등에 대한 내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한층 향상된 채광성 및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채광판 제조방법의 전체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조 공정에 사용하는 채광판 제조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조 공정을 거쳐서 제조된 채광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도 1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채광판 제조방법의 전체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조 공정에 사용하는 채광판 제조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제조 공정을 거쳐서 제조된 채광판(2)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10은 도 1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의 채광판 제조장치(M)는 도 1의 제조 공정과 부합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이송부(A)와, 필름공급부(B), 수지공급부(C), 제1 섬유보강재 공급부(D), 제2 섬유보강재 공급부(E) 및 성형부(F)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채광판 제조장치(M)는, 상기 이송부(A)가 예를 들어, 로울러 컨베이어 타입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이송 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송 구간을 따라 상기 필름공급부(B), 수지공급부(C), 제1 섬유보강재 공급부(D), 제2 섬유보강재 공급부(E) 및 성형부(F)가 배치되어 인라인(INLINE) 타입으로 채광판(2)의 제조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의 제조 공정 중에서 도면 부호 S1은 필름 공급 공정을 지칭한다.
상기 필름 공급 공정(S1)은, 상기 채광판 제조장치(M)의 필름공급부(B)에 의해 진행된다.
상기 필름공급부(B)는 도 2에서와 같이 제1 필름공급기(B1)와, 제2 필름공급기(B2)를 구비하고, 이 두 개의 필름공급기(B1, B2)는 상기 이송부(A)의 이송 구간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어 제1 필름(4) 및 제2 필름(6)이 서로 겹쳐지는 상태로 상기 이송부(A)의 이송 구간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필름(4)은, 상기 제1 필름공급기(B1) 측에 릴 모양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회전에 의한 풀림 동작에 의해 상기 이송부(A)의 이송 구간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이송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필름(6)은 상기 제2 필름공급기(B2) 측에 릴 모양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회전 구동에 의한 풀림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필름(4)과 서로 겹쳐지는 상태로 상기 이송부(A)의 이송 구간을 따라 이송 공급된다.
상기 제1 필름(4) 및 제2 필름(6)은, 채광판(2)의 양쪽면 표면 마감층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 필름 중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내열성 및 강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PET(Polyethylene phthalate)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제조 공정 중에서 수지 공급 공정(S2)을 진행한다.
상기 수지 공급 공정(S2)은, 채광판 제조장치(M)의 수지공급부(C)를 이용하여 제1 필름(4)의 일면(윗면) 상에 수지(C1)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수지 공급 공정(S2)은, 이송부(A)의 이송 구간 내에서 제1 필름(4) 및 제2 필름(6)이 서로 겹쳐지기 전에 진행된다.
즉, 상기 수지공급부(C)는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이송부(A)의 이송 구간 상에서 상기 필름공급부(B)의 제1 필름공급기(B1)와 제2 필름공급기(B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필름(4)의 이송 중에 예를 들어 통상의 슬릿(SLIT) 도포 방식으로 수지(C1)를 도포할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공급된 수지(C1)는 후술하는 성형 작업을 거쳐서 도 3에서와 같은 채광판(2)의 수지층(8)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수지층(8)은, 후술하는 제1 섬유보강층(10)이나 제2 섬유보강층(12)에 작용하는 충격이나 하중, 압력 등을 분산시켜서 채광판(2)의 강성을 높이고, 내식성 및 내열성을 확보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수지(C1)는 불포화(不飽和)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채광판(2)에 요구되는 기능 및 요건과 부합하도록 여러 가지의 열경화성수지(예: 에폭시수지, 페놀수지, 폴리이미드수지)나 열가소성수지(예: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ABS수지)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제조 공정 중에서 제1 섬유보강재 공급 공정(S3)을 진행한다.
상기 제1 섬유보강재 공급 공정(S3)은, 채광판 제조장치(M)의 제1 섬유보강재 공급부(D)로 제1 필름(4)의 수지(C1) 측에 제1 섬유보강재(D1)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섬유보강재 공급 공정(S3)은, 이송부(A)의 이송 구간 내에서 제1 필름(4) 및 제2 필름(6)이 서로 겹쳐지기 전에 진행된다.
특히, 제1 섬유보강재(D1)는, 채광판(2)의 난굴절(亂屈折)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컷팅된 상태의 단선(短線)형 모양을 가지며 제1 필름(4)의 수지(C1) 측에 불규칙한 방향의 배열을 이루는 상태로 공급된다.
즉, 상기 제1 섬유보강재 공급부(D)는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단선(短線)형 모양을 갖는 제1 섬유보강재(F1)를 제1 필름(4)의 수지(C1)를 향하여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 섬유보강재(D1)들은 후술하는 성형 작업을 거치면서 수지(C1)의 수지층(8) 측에 불규칙한 방향의 배열을 이루는 상태로 함침되면서 도 3에서와 같은 제1 섬유보강층(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섬유보강재(D1)는 대략 50밀리미터의 길이를 갖는 단선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요구되는 여건과 부합하는 적절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섬유보강재(D1)는, 유리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여러 가지의 무기계 섬유(예: 탄소섬유, 붕소섬유)나 유기계 섬유(예: 아라미드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선형의 제1 섬유보강재(D1)들이 불규칙한 방향의 배열을 갖는 상태로 제1 섬유보강층(10)이 형성되면, 빛 투과시 난굴절(亂屈折)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하여 채광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고, 불규칙한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서로 교차하는 상태가 되므로 채광판(2)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결속력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빛의 굴절은 서로 다른 물질의 경계지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단선형의 제1 섬유보강재(D1)들이 불규칙한 배열로 형성되면, 채광판(2)의 전체면과 대응하는 균일한 채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제조 공정 중에서 제2 섬유보강재 공급 공정(S4)을 진행한다.
상기 제2 섬유보강재 공급 공정(S4)은, 채광판 제조장치(M)의 제2 섬유보강재 공급부(E)에 의해 제1 필름(4)의 수지(C1) 측에 제2 섬유보강재(E1)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섬유보강재 공급 공정(S4)은, 이송부(A)의 이송 구간 내에서 제1 필름(4)과 제2 필름(6)이 서로 겹쳐지기 전에 진행된다.
특히, 제2 섬유보강재(E1)는, 빛의 난굴절 유도는 물론이거니와, 각종 충격이나 하중, 압력 등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도 7에서와 같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 결속되면서 사각 모양의 홀부를 갖는 메쉬(MESH)형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제2 섬유보강재 공급부(E)는 도 2 및 도 7에서와 같이 이송부(A)의 이송 구간 상에서 제1 섬유보강재 공급부(D)와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며, 예를 들어, 메쉬형의 제2 섬유보강재(E1)가 롤 모양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회전에 의한 풀림 동작으로 제1 필름(4)의 수지(C1)를 덮는 상태로 공급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2 섬유보강재(E1)는 후술하는 성형 작업을 거치면서 수지(C1)의 수지층(8) 측에 함침된 상태로 배열되면서 도 3에서와 같은 제2 섬유보강층(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섬유보강재(E1)는 상기 제1 섬유보강재(D1)와 동일한 유리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여러 가지의 무기계 섬유(예: 탄소섬유, 붕소섬유)나 유기계 섬유(예: 아라미드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섬유보강층(12)은, 특히 메쉬형의 제2 섬유보강재(E1)에 의해 형성되므로, 빛 투과시 난굴절을 유도하여 채광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특히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속된 메쉬 구조로 이루어져서 채광판(2)의 내구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섬유 보강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섬유보강재 공급 공정(S4)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섬유보강재 공급 공정(S2)을 진행한 다음, 후(後) 공정으로 진행하거나, 이외에도 전(前) 공정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제2 섬유보강재(E1)로 도 7에서와 같이 사각 모양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홀부를 갖는 메쉬(MESH)형의 시트를 사용하는 것을 일예로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마름모 모양이나 별 모양과 같은 다각형 모양의 홀부를 구비한 메쉬형의 시트를 사용하거나, 원형 모양의 홀부를 갖는 메쉬형의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제조 공정 중에서 채광판 성형 공정(S5)을 진행한다.
상기 채광판 성형 공정(S5)은, 도 2에서와 같이 채광판 제조장치(M)의 성형부(F)에 의해 진행되며, 이 성형부(F)는 이송부(A)의 이송 구간 상에서 필름공급부(B)와 간격을 띄우고 배치된다.
상기 제1 필름(4) 및 제2 필름(6)은 수지(C1)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겹치진 상태로 상기 성형부(F) 측으로 이송 공급되며, 이때 상기 채광판 제조장치(M)의 이송부(A)의 이송 구간 상에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의 탈기(脫氣)용 로울러가 설치되어 제1 필름(4) 및 제2 필름(6)이 겹쳐질 때 수지(C1) 내부에 공기가 제거된 상태로 성형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부(F)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채광판(2) 성형을 위한 통상의 예열, 포밍(forming) 및 경화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제1 필름(4) 및 제2 필름(6)이 서로 겹쳐진 상태의 판재 형태로 성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성형 작업에 의해 제1 필름(4) 및 제2 필름(6) 사이에 수지층(8)이 형성되고, 이 수지층(8)에 제1 섬유보강층(10)과 제2 섬유보강층(12)이 각각 함침된 상태로 도 8에서와 같은 평판형의 채광판(2) 또는 도 9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파형 모양이나 골형 모양으로 연장 형성된 비(非) 평판형으로 채광판(2)을 성형할 수 있다. 특히, 파형 모양이나 골형 모양으로 연장된 비 평판형으로 성형하면, 각종 충격이나 하중, 압력 등에 대한 내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성형부(F)에 의한 성형 작업 후 예를 들어, 통상의 컷팅 작업에 의해 사용 용도 및 목적과 부합하는 크기로 채광판(2)을 절단하는 작업을 상기 채광판 제조장치(M) 내에서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제조 공정을 거치면서 도 3 및 도 8, 도 9에서와 같이 제1 필름(4) 및 제2 필름(6) 사이에 형성되는 수지층(8) 측에 함침된 상태로 두 개의 섬유보강층 즉, 제1 섬유보강층(10) 및 제2 섬유보강층(12)이 각각 제공되는 채광판(2)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섬유보강층(10)은 단선형의 제1 섬유보강재(D1)들이 불규칙한 방향의 배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섬유보강층(12)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메쉬형의 제2 섬유보강재(E1)로 형성된 보강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채광판(2)의 채광성 확보를 위한 난굴절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고, 각종 충격이나 하중, 압력에 대한 내성을 높여서 만족할 만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채광판 4: 제1 필름 6: 제2 필름
8: 수지층 10: 제1 섬유보강층 12: 제2 섬유보강층
M : 채광판 제조장치 A: 이송부 B: 필름공급부
C: 수지공급부 D: 제1 섬유보강재 공급부 E: 제2 섬유보강재 공급부
F: 성형부

Claims (10)

  1. 삭제
  2. a)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이송 공급하는 필름 공급 공정;
    b) 제1 필름 및 제2 필름 사이에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공급 공정;
    c) 수지 측에 단선(短線)형의 제1 섬유보강재들을 공급하여 함침 상태로 제1 섬유보강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섬유보강재 공급 공정;
    d) 수지 측에 메쉬(MESH)형의 제2 섬유보강재를 공급하여 함침 상태로 제2 섬유보강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섬유보강재 공급 공정;
    e)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합착하는 상태로 채광판을 성형하는 채광판 성형 공정;
    을 포함하는 채광판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정 a)는,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이 서로 겹쳐지는 상태로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이송 공급하는 채광판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정 b)는,
    제1 필름 및 제2 필름 사이에 수지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수지를 도포하는 상태로 공급하는 채광판 제조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정 c)는,
    공급된 수지를 향하여 단선형의 제1 섬유보강재들을 낙하시키는 상태로 공급하는 채광판 제조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정 c)는,
    수지 측에 단선형의 제1 섬유보강재들이 불규칙하게 배열된 상태를 갖도록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판 제조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정 d)는,
    공급된 수지를 덮는 상태로 메쉬형의 제2 섬유보강재를 공급하는 채광판 제조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정 d)는,
    다각 모양이나 원형 모양의 홀부들이 형성된 메쉬형의 유리섬유 시트를 제2 섬유보강재로 사용하는 채광판 제조방법.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정 e)는,
    평판형의 판재 모양으로 채광판을 성형하거나, 파형이나 골형 모양으로 연장된 비(非) 평판형의 판재 모양으로 채광판을 성형하는 채광판 제조방법.
  10.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이 서로 겹쳐지는 상태로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이송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 사이로 수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지공급부;
    상기 수지공급부와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어 수지 측에 단선(短線)형의 제1 섬유보강재들을 함침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섬유보강재 공급부;
    상기 수지공급부와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어 수지 측에 메쉬(MESH)형의 제2 섬유보강재들을 함침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섬유보강재 공급부;
    상기 이송부의 이송 구간 내에서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평판형 또는 파형이나 골형 모양의 표면을 이루는 판재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성형부;
    를 포함하는 채광판 제조장치.



KR1020130075803A 2013-06-28 2013-06-28 채광판,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407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803A KR101407046B1 (ko) 2013-06-28 2013-06-28 채광판,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803A KR101407046B1 (ko) 2013-06-28 2013-06-28 채광판,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046B1 true KR101407046B1 (ko) 2014-06-12

Family

ID=5113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803A KR101407046B1 (ko) 2013-06-28 2013-06-28 채광판,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0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812A (ja) * 1991-07-26 1993-02-09 Sekisui Chem Co Ltd 繊維強化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759994B1 (ko) * 2006-09-29 2007-09-19 (주)서진라이트 기포제거장치기가 설치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제조장치
KR20120118670A (ko) * 2011-04-19 2012-10-29 (주)서진라이트 빛 굴절 엠보 확산 채광판 및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812A (ja) * 1991-07-26 1993-02-09 Sekisui Chem Co Ltd 繊維強化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759994B1 (ko) * 2006-09-29 2007-09-19 (주)서진라이트 기포제거장치기가 설치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제조장치
KR20120118670A (ko) * 2011-04-19 2012-10-29 (주)서진라이트 빛 굴절 엠보 확산 채광판 및 그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46548B (zh) 纤维增强的复合芯部和面板
US20060125156A1 (en) Method of production of composite materials
US20150107505A1 (en) Laminate Stitching Method for Improved Fiber Logistics and Placement Precision
CN102039684B (zh) 用于制造复合体的方法和复合体制造装置
US20090280294A1 (en) Panel structure and relative process for making it
RU2008139907A (ru)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анного изделия с усиливающим волокном
KR102496240B1 (ko) 시트상 강화 섬유 기재, 프리폼 및 섬유 강화 수지 성형품
US10167583B2 (en) Honeycomb structure made of a non-woven made of recycled carbon fibers
CN104448877B (zh) 包括分散的纤维丝的复合织物
US20140186600A1 (en) Low pressure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s for fiber-reinforced composite structures
CN104528498A (zh) 一种复合材料的曳引带
CN202115036U (zh) 一种多轴向线束增强的热塑性预固结片材
CN105849021B (zh) 卷轴
KR101407046B1 (ko) 채광판,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6196658B2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一方向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及び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WO2004030906A1 (en) Composite materials
KR20030027703A (ko) 섬유강화 합성수지제 격자형상체의 연속제조방법
KR101607362B1 (ko) 복합재료 제조 장치와,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재료, 복합재료 제조 방법
JP2008239939A (ja) プリフォーム作製装置
KR20150116984A (ko) 일방향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다축 보강 적층시트 제조방법
JPH04366603A (ja) 繊維補強集成木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
CN111566064B (zh) 具有改进的疲劳性能的纤维增强的材料
KR102362202B1 (ko) 표면이 균일한 섬유보강 복합재료
KR102362201B1 (ko) 표면이 균일한 섬유보강 복합재료
US10625476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iber reinforced resin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