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660B1 - 유동층 연소로 - Google Patents

유동층 연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660B1
KR101406660B1 KR1020120063099A KR20120063099A KR101406660B1 KR 101406660 B1 KR101406660 B1 KR 101406660B1 KR 1020120063099 A KR1020120063099 A KR 1020120063099A KR 20120063099 A KR20120063099 A KR 20120063099A KR 101406660 B1 KR101406660 B1 KR 101406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flow
combustion
inflow hole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9557A (ko
Inventor
오혁진
조한창
선도원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6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660B1/ko
Publication of KR2013013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18Details; Accessories
    • F23C10/20Inlets for fluidisation air, e.g. grids; Bott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18Details; Accessories
    • F23C10/24Devices for removal of material from the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7/00Inclined or stepped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를 연소토록 적어도 연소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장치하우징과 상기 연소공기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장치하우징의 하측에 설치되고, 연료에 연소공기를 분사토록 제공되는 공기유입판 및 상기 공기유입판의 유입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토록, 상기 공기유입판의 유입홀 상측에 설치되는 유입홀캡수단를 포함하는 유동층 연소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층 연소로내에서의 효과적인 공기분배, 바닥구조 열손 방지, 노즐 또는 윈드박스로의 이물질 침투 방지, 이물질의 용이배출 등이 구현되어 궁극적으로 연소효율이 향상, 설비 파손 방지 및 안정적 운용 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동층 연소로{Combustion furnace of fluidized bed}
본 발명은 유동층 연소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효과적인 공기분배를 통하여 연소효율이 개선된 유동층 연소로에 관한 것이다.
유동층 연소로는 유동사, 석회석 등의 유동매체를 연료 및 공기와 함께 공급하여 혼합연소시키고,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유동층에서의 연료 및 유동매체의 혼합이 매우 활발하게 발생하여 전열면에서의 열전달 성능이 매우 높아 일반 연소 보일러 대비 에너지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연소온도는 유동매체의 용융온도보다 낮아 통상 조업온도가 750 - 900℃ 범위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이루어지며, NOx와 같은 오염물질의 생성 및 억제에도 유리하다.
RDF(Refused Derived Fuel)은 생활폐기물을 압축 고형화하여 연료 등으로 쓸 수 있게 만든 것으로서, 제조과정에서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가스나 소각재 등이 발생하지 않아 자연친화적이고, RDF 유동층 연소기술은 RDF의 소각에 의한 대체에너지화 기술 중 연소효율이 타 소각법에 비해 우수하고 NOx 저감이나 연소공정에서 탈황, 탈염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환경친화적 기술이다.
여기서 RDF의 경우 비균일 형상 및 무게 등으로 인해 연소로 내부에서 유동이 용이하게 발생되지 않는다. 특히 비성형 RDF의 경우 형상, 종류, 크기, 무게 등이 매우 불규칙하여 일반적인 유동층 연소와는 다른 연소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연소공기의 고른 분배와 불연물 등의 이물질을 하부로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공기분산장치를 설치한다. 유동화 및 연소를 위한 연소공기의 균일한 분배는 연소효율을 증대시키고 보일러의 열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이물질의 퇴적방지 및 원활한 배출은 설비의 파손 및 휴지 등을 방지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분산장치(7)는 유동층 연소로(1)의 하단에 연소공기 분사노즐(8)이 복수로 장착되고 하나의 윈드박스(6)에서 나온는 연소공기를 공급하여 RDF 연료측으로 분사하여 연소를 진행한다.
이때 RDF에는 생활폐기물 등이 함유되어 있고, 이 중에는 연소되지 않는 물질, 즉 불연물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연소되지 않고 유동층 연소로(1)의 하단에 퇴적(E)되게 된다.
퇴적되는 이물질은 때때로 분사노즐을 막아(C), RDF측으로의 연소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못하게 한다. 분사노즐을 통해 RDF측으로 연소공기가 제대로 분사되지 않으면, 도 1에 도시된 구역(A)와 (B)에서와 같은 연소공기 순환에 차이가 발생된다.
구역(A)에서는 분사노즐이 막히지 않아 연소공기의 RDF층내에서 원활히 순환하고 있으나, 구역(B)에서는 분사노즐의 일부가 막혀 연소공기가 RDF층내로 제대로 분사되지 않아 순환이 잘 이뤄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불완전 연소를 유발하며, 결과적으로 연소효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연소되지 않은 이물질은 별도의 배출구가 없어 유동층 연소로(1) 하단에 잔류(E)하게 된다. 이는 분사노즐(8)을 다시금 막을 위험이 있으며, 연소작업 완료 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과 작업시간의 과대소요 등 작업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더욱이 유동층 연소로(1)의 하단에 설치된 공기분산장치(7)는 별도의 냉각기가 존재하지 않아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 바닥구조가 고열로 인해 열상 변형되는 현상(D)이 발생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유동층 연소로내에서의 효과적인 공기분배, 바닥구조 열손 방지, 노즐 또는 윈드박스로의 이물질 침투 방지, 이물질의 용이배출 등이 구현되어 궁극적으로 연소효율 향상, 설비 파손 방지 및 안정적 운용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유동층 연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연료를 연소토록 적어도 연소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장치하우징과 상기 연소공기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장치하우징의 하측에 설치되고, 연료에 연소공기를 분사토록 제공되는 공기유입판 및 상기 공기유입판의 유입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토록, 상기 공기유입판의 유입홀의 상측에 설치되는 유입홀캡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홀캡수단의 내부에서 연소공기의 유동저항을 감소토록 상기 유입홀캡수단의 내면은 상기 유입홀를 중심으로 만곡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유입판은 상기 장치하우징의 내벽측에서 중앙측으로 하향 계단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홀캡수단에서 상기 장치하우징 또는 공기유입판의 비접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분사홀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홀캡수단의 내부에서 연소공기의 유동저항을 감소토록 상기 유입홀캡수단의 내면은 상기 유입홀를 중심으로 라운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홀캡수단의 외면은 상기 분사홀에서 분사된 연소공기에 의해 이물질이 하향 이동토록 상기 장치하우징의 내벽부에서 중심방향으로 하향 유선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홀에서 분사된 연소공기가 상향 유동토록 상기 분사홀 하측의 상기 공기유입판의 일부는 오목하게 라운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연소 중 상기 공기 유입판이 열상 변형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공기 유입판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냉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하우징의 하단에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장치하우징의 하측에서 연소공기 분사방향측에 설치되는 이물질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유동층 연소로의 일 실시예는 하향 계단식 바닥구조를 구비하여 연소공기를 균일하게 분사함으로써, RDF층 내부에서의 연소공기의 순환을 용이하게 하여 연소효율을 높임은 물론, 유동층 연소로 하단에 퇴적된 이물질을 이물질 배출구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이동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부재를 구비하여 RDF의 연소과정 중에 유동층 연소로 하단에 설치된 공기유입판에 발생될 수 있는 고열로 인한 열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입홀캡수단을 구비하며 공기유입판의 유입홀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여기서 내면은 라운딩 처리하여 연소공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하였으며, 외면은 하향 유선형 처리하여 이물질을 이물질 배출구 방향으로 원활히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유동층 연소로의 하단에는 이물질 배출구를 구비하여 이물질이 유동층 연소로의 하단에 잔류되지 않고 공기순환에 의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연소작업 종료 후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자의 작업부하 및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궁극적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유동층 연소로의 RDF 연소효율이 향상, 설비 파손 방지 및 안정적 운용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유동층 연소로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유동층 연소로의 일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유동층 연소로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은 도 4에 도시된 발명의 평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유동층 연소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유동층 연소로내에서의 효과적인 공기분배, 바닥구조 열손 방지, 윈드박스로의 이물질 침투 및 과부하 방지, 이물질의 용이배출 등이 구현되어 궁극적으로 연소효율이 향상, 설비 파손 방지 및 안정적 운용 가능토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유동층 연소로의 일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유동층 연소로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은 도 4에 도시된 발명의 평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은 연료를 연소토록 적어도 연소공기 공급부(30)를 포함하는 장치하우징(20)과 상기 연소공기 공급부(30)와 연결되며 상기 장치하우징(20)의 하측에 설치되고, 연료에 연소공기를 분사토록 제공되는 공기유입판(71) 및 상기 공기유입판(71)의 유입홀(73)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토록, 상기 공기유입판(71)의 유입홀(73)의 상측에 설치되는 유입홀캡수단(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장치하우징(20)은 유동층 연소로의 벽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장치하우징(20)의 내벽은 RDF(Refused Derived Fuel) 연소과정 중 고열에 견딜 수 있도록 내와벽돌로 구성될 수 있고, 외벽은 스틸재질일 수 있다.
상기 장치하우징(20)의 상부 일측에는 연료공급부(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료공급부(22)를 통해 RDF 연료가 상기 장치하우징(20) 내부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장치하우징(20)의 상부 일측에는 RDF 연료가 완전연소되도록 하여 연소효율을 높이도록 2차공기 공급부(2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RDF 연소 후 발생되는 배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장치하우징(20)의 상부에는 배가스 배출부(21)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RDF 연소과정 중 RDF 연료내에 함유되어 있던 연소되지 않는 물질, 즉 불연물 등의 이물질이 상기 장치하우징(20)의 하단에 퇴적되지 않도록 상기 장치하우징(20)의 하단 중앙부에는 이물질 배출구(2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하우징(20)의 하부에는 상기 연소공기 공급부(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연소공기 공급부(30)를 통해 상기 장치하우징(20) 내부로 연소공기가 공급되고 RDF 연료와 혼합 순환되며 연소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 연소공기 공급부(30)는 외부로부터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윈드박스(31)와 상기 윈드박스(31)와 상기 공기유입판(71) 사이에 설치되며 연소공기의 공급량을 제어토록 유량제어밸브(3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판(71)은 상기 장치하우징(20)의 하측에서 상기 연소공기 공급부(30)와 연결되며 설치되고, 상기 연소공기 공급부(30)에서 공급된 연소공기를 상기 장치하우징(20) 내부로 유입토록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판(71)상에는 유입홀(73) 또는 노즐이 복수로 설치되어 있는데, 종래에는 상기 유입홀(73) 또는 노즐에 별도의 이물질 차단장치가 마련되지 않아 상기 유입홀(73) 또는 노즐이 퇴적된 이물질에 의해 막히거나, 상기 유입홀(73) 또는 노즐을 통해 상기 연소공기 공급부(3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윈드박스(31)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유입홀(73) 상측에 유입홀캡수단(75)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은 상기 유입홀(73)의 상측에 설치됨에 따라 이물질이 상기 장치하우징(20) 내부에서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유입홀(73)로 직접 침투하는 경우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입홀(73)에서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분사홀 방향으로 연소공기가 유동하므로 상기 분사홀을 통해 이물질이 역류되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홀캡수단(75)에서 상기 공기유입판(71)의 비접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분사홀(75a)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하우징(20)의 내벽부에 밀착되며 설치된 상기 유입홀캡수단(75)에서 상기 장치하우징(20)과의 비접면인 두 개 또는 세 개의 면에만 상기 분사홀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유입판(71)의 수직면(71b)에 밀착되며 설치된 상기 유입홀캡수단(75)에도 상기 공기유입판(71)과의 비접면인 두 개 또는 세 개의 면에만 상기 분사홀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하우징(20)의 중앙측을 바라보며 상기 유입홀캡수단(75)에 배치된 중앙분사홀은 연소공기의 유동뿐만 아니라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배출구(25)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장치하우징(20)의 중앙부에는 상기 이물질 배출구(25)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분사된 연소공기에 의해 유동되는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배출구(25)에 모아지게 되며 상기 장치하우징(20)의 하부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중앙분사홀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측면분사홀은 상기 장치하우징(20)의 내벽부 또는 상기 공기유입판(71)의 수직면(71b)과 연계되어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측부에 퇴적되는 이물질을 바깥쪽으로 유동시켜 상기 이물질 배출구(25)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서로 맞부딪히며 연소공기의 상승 기류를 형성하여 RDF 연료와 혼합 순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판(71)은 상기 장치하우징(20)의 내벽측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하향 계단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판(71)의 중심부에는 상기 이물질 배출구(2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분사홀에서 분사된 연소공기의 흐름에 따라 이물질은 하향 계단식으로 구성된 상기 공기유입판(71)을 타고 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물질에 모아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내부에서 연소공기의 유동저항을 감소토록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내면은 상기 유입홀(73)를 중심으로 만곡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73)에서 상향 분사된 연소공기는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만곡부(75b)를 타고 부드럽게 하향 이동하며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분사홀을 통해 상기 장치하우징(20) 내부로 분사되게 된다. 만약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내면이 각지게 구성된다면 상기 유입홀(73)을 통해 유입된 연소공기는 상기 유입홀캡수단(75) 내부 각진 부분에서 난류 또는 정체 현상이 발생되어 연소공기의 유동저항이 커질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외면은 상기 분사홀(75a)에서 분사된 연소공기에 의해 이물질이 하향 이동토록 상기 장치하우징(20)의 내벽부에서 중심방향으로 하향 유선형부(75c)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상부에 퇴적된 이물질은 차상부에 설치된 유입홀캡수단(75)의 분사홀에서 분사된 연소공기에 의해 밀려 나가며 상기 공기유입판(71)의 수직면(71b)에 장착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장치하우징(20)의 중심방향으로 하향유선형으로 이뤄진 유입홀캡수단(75)의 상부를 타고 미끄러지듯 상기 이물질 배출구(25)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분사홀에서 분사된 연소공기가 상향 이동하며 RDF 연료와 원활히 혼합 순환되도록 상기 분사홀(75a) 하측의 상기 공기유입판(71)의 일부는 오목하게 만곡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홀(73)에서 유입된 연소공기가 상기 분사홀을 통해 상기 장치하우징(20)의 내부로 분사될 때 상기 분사홀 하측의 상기 공기유입판(71)의 일부에 형성된 제2 만곡부(71a)를 통해 하향 이동하던 연소공기는 상향으로 바뀌게 된다. 이에 따라 연소공기는 원활히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RDF 연료와 혼합이 용이하게 된다. 물론 분사된 연소공기의 일부는 상기 공기유입판(71)의 제2 만곡부(71a)와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상부를 근접하여 유동하면서 상기 공기유입판(71)의 상단에 퇴적된 이물질을 밀어주는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한편 연소 중 상기 공기유입판(71)이 열상 변형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공기 유입판(75)의 하단에는 냉각부재(77)가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재(77)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냉각유체를 구비하는 냉각탱크와 상기 냉각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냉각탱크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고 상기 공기유입판(71)의 하단에 밀착되며 설치되는 냉각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작동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연료공급부(22)를 통해 RDF 연료를 상기 장치하우징(20)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유량제어밸브(33)를 개방하며 상기 윈드박스(31)를 작동시켜 상기 장치하우징(20) 내부에 연소공기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2차공기 공급부(23)를 통해 완전연소 및 RDF 연료내에 함유된 휘발성 가스 제거를 위해 추가적인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배가스 배출부(21)를 개방하여 RDF 연소과정 중 발생되는 배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제 점화를 실행하고 RDF 연료의 연소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판(71)의 유입홀(73)을 통해 연소공기가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내부로 상향 유입되고, 상기 유입홀캡수단(75) 내면의 만곡부(75b)를 따라 부드럽게 하향 이동하며 상기 분사홀을 통해 상기 장치하우징(20) 내부로 분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장치하우징(20)의 하단에서 서로 마주보며 분사된 연소공기는 상기 장치하우징(20)의 하단 중앙부에서 상호 맞부딪히며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RDF 연료와 혼합되게 된다. 또는, 추가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연소공기는 상기 분사홀에서 상기 장치하우징(20)으로 분사될 때 상기 분사홀 하측에 형성된 상기 제2 만곡부(71a)에 의해 상향 이동되며 RDF 연료와 혼합 순환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생활폐기물인 RDF 연료내에 포함되어 있던 불연물 등의 이물질은 연소되지 않고 상기 장치하우징(20)의 하단에 퇴적되게 된다. 이는 상기 분사홀을 통해 연소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장치하우징(20)의 중앙측으로 밀려 나가며 상기 이물질 배출구(25)로 모아져 배출되게 된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상부가 하향 유선형부(75c)를 형성하며 차상부에 위치한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분사홀에서 분사된 연소공기에 의해 상기 하향 유선형부(75c)를 타고 부드럽게 밀려 내려가며 상기 이물질 배출구(2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연소과정 중에는 계속해서 고열이 발생되게 되며 이는 상기 공기유입판(71)에 열상 변형을 가져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냉각부재(77)를 가동하고 상기 냉각부재(77)는 상기 공기유입판(71)과의 접촉면을 통해 냉기를 공급하여 연소과정 중 상기 공기유입판(71)의 지나친 과열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동과정에 의해 유동층 연소로내에서의 효과적인 공기분배, 이물질의 용이배출 등을 구현하여 궁극적으로 연소효율이 향상, 설비 파손 방지 및 안정적 운용 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사항은 유동층 연소로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20...장치하우징 21...배가스배출구
22...연료공급부 23...2차공기 공급부
25...이물질 배출구 30...연소공기 공급부
71...공기유입판 73...유입홀
75...유입홀캡수단 75a...분사홀
77...냉각부재

Claims (8)

  1. 연료를 연소토록 적어도 연소공기 공급부(30)를 포함하는 장치하우징(20);
    상기 연소공기 공급부(30)와 연결되며 상기 장치하우징(20)의 하측에 설치되고, 연료에 연소공기를 유입토록 제공되는 공기유입판(71); 및
    상기 공기유입판(71)의 유입홀(73)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토록, 상기 공기유입판(71)의 유입홀(73)의 상측에 설치되는 유입홀캡수단(75);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내부에서 연소공기의 유동저항을 감소토록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내면은 상기 유입홀(73)를 중심으로 만곡부(75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연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판(71)은 상기 장치하우징(20)의 내벽측에서 중앙측으로 하향 계단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연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캡수단(75)에서 상기 공기유입판(71)의 비접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분사홀(75a)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연소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캡수단(75)의 외면은 상기 분사홀(75a)에서 분사된 연소공기에 의해 이물질이 하향 이동토록 상기 장치하우징(20)의 내벽부에서 중심방향으로 하향 유선형부(75c)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연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73)에서 분사된 연소공기가 상향 유동토록 상기 분사홀(75a) 하측의 상기 공기유입판(71)의 일부는 제2 만곡부(71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연소로.
  7. 제3항에 있어서,
    연소 중 상기 공기유입판(71)이 열상 변형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공기유입판(71)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냉각부재(7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연소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하우징(20)의 하단에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장치하우징(20)의 하측에서 연소공기 분사방향측에 설치되는 이물질 배출구(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연소로.
KR1020120063099A 2012-06-13 2012-06-13 유동층 연소로 KR101406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099A KR101406660B1 (ko) 2012-06-13 2012-06-13 유동층 연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099A KR101406660B1 (ko) 2012-06-13 2012-06-13 유동층 연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557A KR20130139557A (ko) 2013-12-23
KR101406660B1 true KR101406660B1 (ko) 2014-06-13

Family

ID=49984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099A KR101406660B1 (ko) 2012-06-13 2012-06-13 유동층 연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7502A1 (zh) * 2017-03-01 2018-09-07 中科聚信洁能热锻装备研发股份有限公司 炉内自循环流化床气化炉及其中的阶梯风束布风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9255A (zh) * 2014-01-20 2014-04-30 苏州新区特氟龙塑料制品厂 一种特氟龙沸腾炉
CN106753581B (zh) * 2017-03-01 2018-04-10 中聚信海洋工程装备有限公司 一种循环流化床气化炉阶梯风束布风板
CN106753580B (zh) * 2017-03-01 2018-04-10 中聚信海洋工程装备有限公司 一种炉内自循环流化床气化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4320A (ja) * 1992-10-09 1995-07-14 Yoshiharu Shida 凹凸をなし、横方向からの燃焼用空気吸込口を有する焼却炉の炉底
JP2555524B2 (ja) * 1993-03-31 1996-11-20 中央爐材鑛業株式会社 流動床式焼却炉の散気盤
JP2000146141A (ja) * 1998-11-06 2000-05-26 Hitachi Zosen Corp ストーカ式ごみ焼却炉の火格子の冷却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4320A (ja) * 1992-10-09 1995-07-14 Yoshiharu Shida 凹凸をなし、横方向からの燃焼用空気吸込口を有する焼却炉の炉底
JP2555524B2 (ja) * 1993-03-31 1996-11-20 中央爐材鑛業株式会社 流動床式焼却炉の散気盤
JP2000146141A (ja) * 1998-11-06 2000-05-26 Hitachi Zosen Corp ストーカ式ごみ焼却炉の火格子の冷却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7502A1 (zh) * 2017-03-01 2018-09-07 中科聚信洁能热锻装备研发股份有限公司 炉内自循环流化床气化炉及其中的阶梯风束布风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557A (ko) 2013-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1776B1 (en) Device for centrifugal combustion by area using flow of combustion air
KR101406660B1 (ko) 유동층 연소로
KR101273312B1 (ko) 계단형 공기주입기를 갖는 유동층연소장치
KR101211035B1 (ko) 폐기물 고형연료용 보일러
KR101781373B1 (ko) 연소실 구분연소에 따른 소각효율이 향상된 유동층 소각로 설비
KR101074001B1 (ko) 연소가스 재순환을 이용한 고발열 폐기물의 소각 과열방지장치가 설치된 폐기물소각로
KR100936743B1 (ko) 고형연료 소각장치
JP5281806B2 (ja) 木質ペレット燃焼装置
KR101200531B1 (ko) 순환 유동층 보일러
KR101745875B1 (ko) 무독성 고온 열분해 소각장치
JP4886293B2 (ja) 加湿焼却灰溶融炉
KR101360945B1 (ko) 연소로
KR101910165B1 (ko) 열분해 소각장치
RU2507446C2 (ru) Направляющая воронка для материала слоя в котле с псевдоожиженным слоем, котел с псевдоожиженным слоем и способ в котле с псевдоожиженным слоем
JP5802061B2 (ja) スラグ溶融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流動床式ガス化溶融設備
KR20130139556A (ko) 유동층 연소로
KR101754784B1 (ko) 폐기물 소각장치
KR20060032353A (ko) 폐합성수지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소장치 및 열의 회수방법
JP2004205115A (ja) 焼却炉における炉壁へのクリンカー付着防止装置
KR101294641B1 (ko) 스래깅 방지수단이 구비된 연소실을 일체로 갖는 미분화한 석유코크스를 연소하는 보일러
JP2016166723A (ja) 固形燃料用のチェーンストーカ火格子を用いる複合式蒸気ボイラ
KR101532880B1 (ko) 멀티냉각 및 다단연소 구조의 열회수용 연소장치
KR0131745B1 (ko) 폐기물 소각로 및 폐기물 소각로에 의한 폐기물 소각방법
KR101273311B1 (ko) 공기분배 및 회재배출 성능을 향상시킨 유동층 연소장치
KR20090132934A (ko) 알디에프연소 유동층용 공기 공기분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