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125B1 - 신분증 양면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신분증 양면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125B1
KR101406125B1 KR1020120075398A KR20120075398A KR101406125B1 KR 101406125 B1 KR101406125 B1 KR 101406125B1 KR 1020120075398 A KR1020120075398 A KR 1020120075398A KR 20120075398 A KR20120075398 A KR 20120075398A KR 101406125 B1 KR101406125 B1 KR 101406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card
card
unit
camera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8650A (ko
Inventor
이정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트론
Priority to KR1020120075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125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분증을 삽입하고 토출하는데 사용되는 이송부와; 신분증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신분증을 뒤집기 위하여 신분증의 한면의 한쪽을 위로 밀어주는 제 1밀대부; 및 신분증을 뒤집기 위하여 제 1밀대부가 한쪽을 위로 밀어줄 때, 한쪽의 반대쪽 모서리를 한쪽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 2밀대부를 포함하고; 신분증의 삽입되어 카메라가 신분증의 반대면을 촬영한 후 제 1밀대부가 한쪽을 위로 밀어줄 때, 모서리를 한쪽 방향으로 밀어주어 신분증을 뒤집은 후 한면을 촬영하는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분증 양면 촬영장치{apparatus to take a picture of both sides of identification card}
본 발명은 신분증의 양면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신분증 양면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분증의 위. 변조 검출이나 신분증의 인증 또는 연령 인증에 필요한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담배나 주류 판매용 자판기의 성인 인증을 위한 신분증 촬영 장치 또는 행정문서 발급기의 본인인증을 위한 신분증 촬영장치는 일반적으로 신분증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하여 라인 단위로 이미지를 받아 들이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이러한 스캐너를 이용한 통상의 방식에서는 기구적으로 신분증을 삽입하고, 토출하는데 있어서 신분증의 휨 또는 표면의 이물질 등으로 이하여 신분증을 신분증 촬영 장치 내부로 이송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많아서 강제 토출장치 등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스캔 속도에 있어서도 스캔소자를 사용함에 따라 스캔동작의 정밀성이 요구되며 일정 속도 이하의 스캔 속도를 유지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신분증을 강제로 삽입하면 스캔센서에서 입력받는 이미지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신분증에는 위.변조 방지를 위하여 신분증의 특정 부분에 위.변조 방지용 홀로그램을 넣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홀로그램을 촬영하기 위하여 스캔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특정 부분, 특정 각도의 광을 조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분증의 양면을 카메라로 촬영함에 있어서 신분증의 한쪽면과 반대면의 어느 부분도 가리지 않은 상태에서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신분증 양면 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분증의 양면을 카메라로 촬영함에 있어서 신분증의 한쪽면을 촬영한 후, 신분증의 반대면을 촬영하기 위하여 신분증을 뒤집는 신분증 양면 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분증을 삽입하고 토출하는데 사용되는 이송부와; 이송부를 통해 삽입된 신분증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 의해 한쪽면이 촬영된 신분증이 카메라에 의해 다른쪽면이 촬영되도록, 신분증의 한쪽을 위로 밀어주는 제 1밀대부; 및 제 1밀대부가 신분증의 한쪽을 위로 밀어줄 때, 신분증이 뒤집히도록 신분증의 반대쪽을 신분증의 한쪽방향으로 밀어주는 제 2밀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신분증을 기립상태로 삽입하고 토출하는데 사용되는 이송부와; 이송부를 통해 삽입된 신분증을 기립상태로 한쪽면을 받쳐주는 제 1받침부와; 신분증을 누워진 상태로 반대면을 받쳐주는 제 2받침부와; 제 1받침부나 제 2받침부에 받쳐지는 신분증의 한쪽면이나 반대쪽면을 촬영하도록 각도가 조절되는 카메라; 및 카메라에 의해 신분증의 한쪽면과 반대쪽면이 각각 촬영되도록 신분증을 제 1받침부에서 제 2받침대 쪽으로 밀어서 뒤집거나, 뒤집힌 신분증을 제 2받침부에서 제 1받침대 쪽으로 밀어서 원위치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신분증을 삽입하고 토출하는데 사용되는 이송부와; 이송부를 통해 삽입된 신분증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도록 신분증의 한면을 받쳐주는 제1 받침부와; 제1 받침부에 받쳐진 신분증을 밀어서 뒤집는 밀대부; 밀대부에 의해 제1 받침부에서 뒤집혀지면서 밀어지는 신분증을 경사상태로 받쳐주고, 밀대부의 해제에 의해 받쳐진 신분증이 미끄려져서 뒤집혀진 상태로 제1 받침부에 받쳐지도록 제1 받침부의 일측에 경사진 상태로 구비되는 제 2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신분증을 기립상태로 삽입하고 토출하는데 사용되는 이송부와; 이송부를 통해 삽입된 신분증을 기립상태로 한쪽면을 받쳐주는 제 1받침부와; 신분증을 누워진 상태로 반대면을 받쳐주는 제 2받침부와; 제 1받침부에 받쳐지는 신분증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제 1받침부에 받쳐지는 신분증이 제 2받침대 쪽으로 미끄러지게 하고, 제 2받침부에 받쳐지는 신분증을 뒤집힌 상태로 세워서 제 1받침부에 원위치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회전부는 제 1받침부에 받쳐지는 신분증이 미끄러져서 제 2받침부로 이동되도록 신분증의 하단을 밀어주는 제 1밀대부와, 제 2받침부에 받쳐지는 신분증을 제 1밀대부로 밀어올리는 제 2밀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신분증 양면 촬영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신분증의 양면을 카메라로 촬영함에 있어서 신분증의 한쪽면과 반대면의 어느 부분도 가리지 않은 상태에서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할 수 있다.
둘째, 신분증의 양면을 카메라로 촬영함에 있어서 신분증의 한쪽면을 촬영한 후, 신분증의 반대면을 촬영하기 위하여 신분증을 간편하게 뒤집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어서 신분증 촬영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신분증 촬영 장치의 제조단가가 인하되고, 고장률이 낮아진다.
도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7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7 내지 도 3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7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4 내지 도 5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100)은 제 1받침부(111), 출입부(121), 이송부(181), 제 2받침부(131), 제 1밀대부(143), 제 2밀대부(189), 가시광선 조명부(151), 자외선 조명부(161) 및 카메라(191)를 포함한다.
이송부(181)은 도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모양의 롤러에 구동 모터를 장착하여 회전함으로써 제 1받침부(111)로부터 출입부(121)을 통하여 들어온 신분증(175)을 제 2받침부(131) 위로 밀어넣거나 구동모터를 역회전하여 제 2받침부(131) 위에 위치한 신분증(175)을 출입부(121)을 통하여 제 1받침부(111) 쪽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191)은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제 2받침부(13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분증(175)이 한쪽면이 위로 향한 상태에서 제 1밀대부(143)가 신분증(175)의 반대면의 한쪽을 위로 밀수 있도록 제 1밀대부(143)이 통과하는 구멍(144)를 가지며, 신분증(175)을 이송하는데 사용하는 롤러(182, 183, 184, 185, 186)가 신분증(175)과 밀착되도록 구멍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 2받침부(131)은 신분증(175)을 뒤집기 위하여 제 1밀대부(143)이 신분증(175)의 반대면의 한쪽을 위로 밀때 신분증(175)의 반대쪽 모서리를 밀어주는 제 2밀대부(189)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롤러(187, 188)을 위한 구멍도 가지고 있다.
제 1밀대부(143)는 도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모양으로 만들고 한쪽 끝에 구동 모터(141)를 장착하여 구동 모터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그 반대편 끝으로 제 2받침부(131)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175)의 반대면의 한쪽을 위로 밀어서 신분증(175)을 뒤집는데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제 2밀대부(189)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모양으로 만들고 롤러(187, 188)이 회전할 때 이동하는 벨트(일례로 타이밍벨트)에 고정하여 롤러(187, 188)가 회전함에 따라 신분증(175)의 한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밀어주어 신분증(175)을 뒤집는데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가시광선 조명부(151)에는 가시광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가시광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자외선 조명부(161)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 또는 자외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도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신분증(175)의 한쪽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신분증(175)을 제 1받침부(111) 위에 올린 상태에서 출입부(121) 쪽으로 밀면 출입부(121)를 통하여 신분증(175)이 들어가는데 도 2처럼 신분증(175)의 한쪽면이 이송부(181)의 톱니모양의 롤러에 걸려서 안쪽으로 들어가서 도 3처럼 제 2받침부(131) 위에 위치하게 되고, 신분증(175)의 한쪽면이 카메라(1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151)을 작동시켜 카메라(191)로 신분증(1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151)의 작동을 멈춘 후, 자외선 조명부(161)을 작동시켜 카메라(191)로 신분증(1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자외선 조명부(16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제 1밀대부(143)로 제 2받침부(131)에 놓여 있는 신분증(175)의 반대면의 한쪽을 위로 밀면서 제 2밀대부(189)로 제 2받침부(131)에 놓여 있는 신분증(175)의 반대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밀면 신분증(175)은 도 4처럼 신분증(175)의 좌측이 들리면서 신분증(175)의 우측은 제 2받침부(131)과 제 2밀대부(189)에 밀착한 상태로 되었다가 제 1밀대부(143)로 신분증(175)의 반대면의 한쪽을 위로 계속 밀면서 제 2밀대부(189)로 신분증(175)의 반대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계속 밀면 신분증(175)은 뒤집혀서 도 5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되어 신분증(175)의 한쪽면이 제 2받침부(131)을 향하게 되고 신분증(175)의 반대면은 카메라(1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밀대부(143)와 제 2밀대부(189)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신분증(175)은 도 3과 같이 제 2받침부(131) 위에 위치하게 된다. 즉, 신분증(175)의 한쪽면은 제 2받침부(131)에 밀착되고, 신분증(175)의 반대면은 카메라(1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151)을 작동시켜 카메라(191)로 신분증(1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15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이송부(181)에 부착된 롤러 및 제 2받침부(131) 근처에 있는 롤러(182, 183, 184, 185, 186)이 회전하면 제 2받침부(131) 위에 놓여 있던 신분증(175)은 신분증(175)의 반대면이 위쪽을 향한 상태에서 출입부(121)를 통하여 도 2처럼 제 1받침부(11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는 통신부(미도시)를 가지고 있어서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촬영된 신분증(175)의 한쪽면 및 반대면의 사진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미도시)와 외부기기의 통신은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서로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 WiFi,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이동전화망, 무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유선통신방식은 USB, 이더넷, 유선전화망, 유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200)은 받침부(211), 출입부(221), 이송부(281), 제 1밀대부(243), 제 2밀대부(289), 가시광선 조명부(251), 자외선 조명부(261) 및 카메라(291)를 포함한다.
이송부(281)은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모양의 롤러에 구동 모터를 장착하여 회전함으로써 받침부(211)로부터 출입부(221)을 통하여 들어온 신분증(275)을 롤러(283, 284, 285, 286) 위로 밀어넣거나 구동모터를 역회전하여 롤러(283, 284, 285, 286) 위에 위치한 신분증(275)을 출입부(221)을 통하여 받침부(211) 쪽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291)은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제 1밀대부(243)는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모양으로 만들고 한쪽 끝에 구동 모터(241)를 장착하여 구동 모터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그 반대편 끝으로 롤러(283, 284, 285, 286)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275)의 반대면의 한쪽을 위로 밀어서 신분증(275)을 뒤집는데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제 2밀대부(289)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모양으로 만들고 롤러(287, 288)이 회전할 때 이동하는 벨트(일례로 타이밍벨트)에 고정하여 롤러(287, 288)가 회전함에 따라 신분증(275)의 한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밀어주어 신분증(275)을 뒤집는데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가시광선 조명부(251)에는 가시광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가시광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자외선 조명부(261)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 또는 자외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신분증(275)의 한쪽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신분증(275)을 받침부(211) 위에 올린 상태에서 출입부(221) 쪽으로 밀면 출입부(221)를 통하여 신분증(275)이 들어가는데 도 10처럼 신분증(275)의 한쪽면이 이송부(281)의 톱니모양의 롤러에 걸려서 안쪽으로 들어가서 도 11처럼 롤러(283, 284, 285, 286) 위에 위치하게 되고, 신분증(275)의 한쪽면이 카메라(2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251)을 작동시켜 카메라(291)로 신분증(2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251)의 작동을 멈춘 후, 자외선 조명부(261)을 작동시켜 카메라(291)로 신분증(2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자외선 조명부(26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제 1밀대부(243)로 롤러(283, 284, 285, 286)에 놓여 있는 신분증(275)의 반대면의 한쪽 밑면을 위로 밀면서 제 2밀대부(289)로 롤러(283, 284, 285, 286)에 놓여 있는 신분증(275)의 반대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밀면 신분증(275)은 도 12처럼 신분증(275)의 좌측이 들리면서 신분증(275)의 우측은 롤러(283, 284, 285, 286)과 제 2밀대부(289)에 밀착한 상태로 되었다가 제 1밀대부(243)로 신분증(275)의 반대면의 한쪽을 위로 계속 밀면서 제 2밀대부(289)로 신분증(275)의 반대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계속 밀면 신분증(275)은 뒤집혀서 도 13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되어 신분증(275)의 한쪽면이 롤러(283, 284, 285, 286)을 향하게 되고 신분증(275)의 반대면은 카메라(2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밀대부(243)와 제 2밀대부(289)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신분증(275)은 도 10과 같이 롤러(283, 284, 285, 286) 위에 위치하게 된다. 즉, 신분증(275)의 한쪽면은 롤러(283, 284, 285, 286)에 밀착되고, 신분증(275)의 반대면은 카메라(2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251)을 작동시켜 카메라(291)로 신분증(2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25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이송부(281)에 부착된 롤러 및 롤러(283, 284, 285, 286)이 회전하면 롤러(283, 284, 285, 286) 위에 놓여 있던 신분증(275)은 신분증(275)의 반대면이 위쪽을 향한 상태에서 출입부(221)를 통하여 도 10처럼 받침부(21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는 통신부(미도시)를 가지고 있어서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촬영된 신분증의 한쪽면 및 반대면의 사진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미도시)와 외부기기의 통신은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서로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 WiFi,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이동전화망, 무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유선통신방식은 USB, 이더넷, 유선전화망, 유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17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7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300)은 출입부(321), 이송부(340), 제 1받침부(331), 제 2받침부(332), 회전부, 제 3밀대부(343), 가시광선 조명부(351), 자외선 조명부(361) 및 카메라(391)를 포함한다.
이송부(340)은 도 17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가 회전할 때 이동하는 벨트(일례로 타이밍벨트)에 제 3밀대부(343)을 고정하여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신분증(375)의 한쪽 모서리를 밀어줌으로써 신분증(375)을 아래로 내리거나 위로 올릴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카메라(391)은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제 1받침부(331)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밀대부(341)가 신분증(375)의 한쪽면을 밀수 있는 홈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제 2받침부(332)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밀대부(342)가 신분증(375)의 반대면을 밀수 있는 홈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회전부는 제 1밀대부(341), 제 2밀대부(342)으로 구성된다. 제 1밀대부(341)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받침부(331)에 있는 홈 사이로 제 1받침부(331)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375)의 한쪽면을 밀어서 신분증(375)의 반대면이 제 2받침부(332)에 밀착되도록 할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제 2밀대부(342)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받침부(332)에 있는 홈 사이로 제 2받침부(332)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375)의 반대면을 밀어서 신분증(375)의 한쪽면이 제 1받침부(331)에 밀착되도록 할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제 3밀대부(343)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모양으로 만들고 롤러가 회전할 때 이동하는 벨트 (일례로 타이밍벨트)에 고정하여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출입부(321)을 통하여 들어온 신분증(375)을 아래로 이동시켜 제 1받침부(331)에 밀착되게 하거나 제 1받침부(331)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375)을 위로 이동시켜 출입부(221)을 통하여 신분증(375)이 토출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가시광선 조명부(351)에는 가시광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가시광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자외선 조명부(361)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 또는 자외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도 17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18처럼 신분증(375)을 출입부(321)에 밀어 넣으면 이송부(340)에 부착된 구동모터가 회전하고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밀대부(343)는 아래로 내려가고, 신분증(375)의 한쪽면은 제 1받침부(331)과 밀착하게 되고, 신분증(375)의 반대면은 카메라(391)과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351)을 작동시켜 카메라(391)로 신분증(3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351)의 작동을 멈춘 후, 자외선 조명부(361)을 작동시켜 카메라(391)로 신분증(3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자외선 조명부(36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제 1밀대부(341)로 제 1받침부(331)에 놓여 있는 신분증(375)의 한쪽면을 밀면 신분증(375)은 도 20와 같이 되는 단계를 거쳐 도 21과 같이 신분증(375)의 반대면이 제 2받침부(332)에 밀착하게 되고, 신분증(375)의 한쪽면은 카메라(391)과 대면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391), 가시광선 조명부(351) 및 적외선 조명부(361)은 신분증(375)의 한쪽면을 촬영하기 위하여 도 21 및 도 22와 같이 신분증(375)의 한쪽면을 촬영하기에 적합한 위치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351)을 작동시켜 카메라(391)로 신분증(3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35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제 2밀대부(342)로 제 2받침부(332)에 놓여 있는 신분증(375)의 반대면을 밀면 신분증(375)은 도 23와 같이 되는 단계를 거쳐 도 19와 같이 신분증(375)의 한쪽면이 제 1받침부(331)에 밀착하게 된다.
이때, 이송부(340)에 부착된 구동모터가 회전하면 신분증(375)의 한쪽 모서리가 제 3밀대부(343)에 걸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분증(375)이 위로 움직이고 신분증(375)의 일부가 출입부(321)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는 통신부(미도시)를 가지고 있어서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촬영된 신분증의 한쪽면 및 반대면의 사진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미도시)와 외부기기의 통신은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서로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 WiFi,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이동전화망, 무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유선통신방식은 USB, 이더넷, 유선전화망, 유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27 내지 도 36은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7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400)은 제 3받침부(411), 출입부(421), 이송부(481), 제 1받침부(431), 제 2받침부(432), 밀대부(441), 가시광선 조명부(451), 자외선 조명부(461) 및 카메라(491)를 포함한다.
이송부(481)은 도 27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모양의 롤러에 구동 모터를 장착하여 회전함으로써 제 3받침부(411)로부터 출입부(421)을 통하여 들어온 신분증(475)을 제 1받침부(431) 위로 밀어넣거나 구동모터를 역회전하여 제 1받침부(431) 위에 위치한 신분증(475)을 출입부(421)을 통하여 제 3받침부(411) 쪽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491)은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제 1받침부(431)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부(441)가 놓이거나 움직일 수 있는 홈을 가지며, 신분증(475)을 이송하는데 사용하는 롤러(482, 483, 484, 485, 486)가 신분증(475)과 밀착되도록 구멍을 가지고 있다.
제 2받침부(432)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분증(475)의 반대면을 받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신분증(475)을 이송하는데 사용하는 롤러(487, 488, 489)가 신분증(475)의 반대면과 밀착되도록 구멍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롤러(487, 488, 489)는 신분증(475)의 반대면이 제 2받침부(432)에 밀착될 때 신분증(475)의 무게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어 신분증(475)이 제 1받침부(431) 쪽으로 미끄러져 내려와서 신분증(475)의 반대면이 제 1받침부(431)과 밀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밀대부(441)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끝에 구동 모터(480)을 장착하여 구동 모터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제 1받침부(431)과 밀대부(441)에 놓인 신분증(475)의 한쪽면을 밀어서 제 2받침부(432)에 밀착되도록 밀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밀대부(441)는 신분증(475)의 반대면이 제 2받침부(432)에 밀착되면 제 1받침부(431)에 마련된 홈으로 복귀하여 제 1받침부(431)의 면과 밀대부(441)의 면이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가시광선 조명부(451)에는 가시광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가시광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자외선 조명부(461)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 또는 자외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도 27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7과 같은 상태에서 신분증(475)의 한쪽면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신분증(475)을 제 3받침부(411) 위에 올린 상태에서 출입부(421) 쪽으로 밀면 출입부(421)를 통하여 신분증(475)이 들어가서 도 28처럼 신분증(475)이 이송부(481)의 톱니모양의 롤러에 걸려서 안쪽으로 들어가서 도 29처럼 제 1받침부(431) 위에 위치하게 되고, 신분증(475)의 반대면이 카메라(4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451)을 작동시켜 카메라(491)로 신분증(4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451)의 작동을 멈춘 후, 자외선 조명부(461)을 작동시켜 카메라(491)로 신분증(4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자외선 조명부(46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밀대부(441)로 제 1받침부(431)에 놓여 있는 신분증(475)의 한쪽면을 위쪽으로 밀면 제 1받침부(431)에 놓여 있던 신분증(475)은 도 30처럼 신분증(475)의 좌측이 들리면서 도 31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신분증(475)의 반대면은 제 2받침부(432)에 밀착한 상태로 된다.
이때, 밀대부(441)는 제 1받침부(431)의 면과 밀대부(441)의 면이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제 1받침부(431)에 마련된 홈으로 복귀한다.
그러면, 제 2받침부(432)에 놓여 있던 신분증(475)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받침부(432)의 경사면을 미끄러져서 도 29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신분증(475)의 반대면이 제 받침부(431)에 밀착되고, 신분증(475)의 한쪽면은 카메라(4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451)을 작동시켜 카메라(491)로 신분증(4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45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이송부(481)에 부착된 롤러 및 제 1받침부(431) 근처에 있는 롤러(482, 483, 484, 485, 486)이 회전하면 제 1받침부(431) 위에 놓여 있던 신분증(475)은 신분증(475)의 한쪽면이 위쪽을 향한 상태에서 출입부(421)를 통하여 도 36처럼 제 3받침부(41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는 통신부(미도시)를 가지고 있어서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촬영된 신분증의 한쪽면 및 반대면의 사진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미도시)와 외부기기의 통신은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서로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 WiFi,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이동전화망, 무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유선통신방식은 USB, 이더넷, 유선전화망, 유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37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7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500)은 받침부(531), 제 1밀대부(543), 제 2밀대부(589), 가시광선 조명부(551), 자외선 조명부(561) 및 카메라(591)를 포함한다.
카메라(591)은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받침부(531)은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분증(575)이 한쪽면이 위로 향한 상태에서 제 1밀대부(543)가 신분증(575)의 반대면의 한쪽 밑면을 위로 밀수 있도록 제 1밀대부(543)이 통과하는 구멍(544)를 가지고 있다.
제 1밀대부(543)는 도 37 내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모양으로 만들고 한쪽 끝에 구동 모터(541)를 장착하여 구동 모터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그 반대편 끝으로 받침부(531)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575)의 반대면의 한쪽 밑을 위로 밀어서 신분증(575)을 뒤집는데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제 2밀대부(589)는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모양으로 만들고 롤러(587, 588)이 회전할 때 이동하는 벨트(일례로 타이밍벨트)에 고정하여 롤러(587, 588)가 회전함에 따라 신분증(575)의 한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밀어주어 신분증(575)을 뒤집는데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가시광선 조명부(551)에는 가시광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가시광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자외선 조명부(561)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 또는 자외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도 37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7과 같은 상태에서 신분증(575)의 한쪽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받침부(531) 위에 올려 놓으면 신분증(575)의 한쪽면이 카메라(5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551)을 작동시켜 카메라(591)로 신분증(5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551)의 작동을 멈춘 후, 자외선 조명부(561)을 작동시켜 카메라(591)로 신분증(5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자외선 조명부(56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제 1밀대부(541)로 받침부(531)에 놓여 있는 신분증(575)의 반대면의 한쪽 밑면을 위로 밀면서 제 2밀대부(589)로 받침부(531)에 놓여 있는 신분증(575)의 반대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밀면 신분증(575)은 도 39처럼 신분증(575)의 좌측이 들리면서 신분증(575)의 우측은 받침부(531)과 제 2밀대부(589)에 밀착한 상태로 되었다가 제 1밀대부(543)로 신분증(575)의 반대면의 한쪽을 위로 계속 밀면서 제 2밀대부(589)로 신분증(575)의 반대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계속 밀면 신분증(575)은 뒤집혀서 도 40과 같은 위치에 있게 되어 신분증(575)의 한쪽면이 받침부(531)을 향하게 되고 신분증(575)의 반대면은 카메라(5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밀대부(543)와 제 2밀대부(589)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신분증(575)은 도 38과 같이 받침부(531) 위에 위치하게 된다. 즉, 신분증(575)의 한쪽면은 받침부(531)에 밀착되고, 신분증(575)의 반대면은 카메라(5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551)을 작동시켜 카메라(591)로 신분증(5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55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받침부(531) 위에 놓여 있던 신분증(575)은 신분증(575)의 반대면이 위쪽을 향한 상태에서 신분증(575)을 꺼낸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는 통신부(미도시)를 가지고 있어서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촬영된 신분증의 한쪽면 및 반대면의 사진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미도시)와 외부기기의 통신은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서로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 WiFi,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이동전화망, 무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유선통신방식은 USB, 이더넷, 유선전화망, 유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44 내지 도 55는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4 내지 도 5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600)은 출입부(621), 이송부(640), 제 1받침부(631), 제 2받침부(632), 회전부, 제 3밀대부(643), 가시광선 조명부(651), 자외선 조명부(661) 및 카메라(691)를 포함한다.
이송부(640)은 도 44 내지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가 회전할 때 이동하는 벨트(일례로 타이밍벨트)에 제 3밀대부(643)을 고정하여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신분증(675)의 한쪽 모서리를 밀어줌으로써 신분증(675)을 아래로 내리거나 위로 올릴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카메라(691)은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제 1받침부(631)는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밀대부(641)가 신분증(675)의 한쪽면을 밀수 있는 홈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제 2받침부(632)는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밀대부(642)가 신분증(675)의 한쪽면을 밀수 있는 홈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회전부는 제 1밀대부(641)와 제 2밀대부(642)로 구성된다. 제 1밀대부(641)는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받침부(631)에 있는 홈 사이로 제 1받침부(631)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675)의 한쪽면을 밀어서 신분증(675)의 한쪽면이 제 2받침부(632)에 밀착되도록 할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제 2밀대부(642)는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받침부(632)에 있는 홈 사이로 제 2받침부(632)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675)의 한쪽면을 밀어서 신분증(675)의 반대면이 제 1받침부(631)에 밀착되도록 할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제 3밀대부(643)는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모양으로 만들고 롤러가 회전할 때 이동하는 벨트 (일례로 타이밍벨트)에 고정하여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출입부(621)을 통하여 들어온 신분증(675)을 아래로 이동시켜 제 1받침부(631)에 밀착되게 하거나 제 1받침부(631)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675)을 위로 이동시켜 출입부(221)을 통하여 신분증(675)이 토출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가시광선 조명부(651)에는 가시광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가시광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자외선 조명부(661)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 또는 자외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도 44 내지 도 5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675)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45처럼 신분증(675)을 출입부(621)에 밀어 넣으면 이송부(640)에 부착된 구동모터가 회전하고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밀대부(643)는 아래로 내려가고, 신분증(675)의 한쪽면은 제 1받침부(631)과 밀착하게 되고, 신분증(675)의 반대면은 카메라(691)과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651)을 작동시켜 카메라(691)로 신분증(6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651)의 작동을 멈춘 후, 자외선 조명부(661)을 작동시켜 카메라(691)로 신분증(6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자외선 조명부(66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밀대부(641)로 제 1받침부(631)에 놓여 있는 신분증(675)의 한쪽면을 밀면 신분증(675)은 도 48과 같이 되는 단계를 거쳐 도 49와 같이 신분증(675)의 한쪽면이 제 2받침부(632)에 밀착하게 된다.
이때, 제 2밀대부(642)로 제 2받침부(632)에 놓여 있는 신분증(675)의 한쪽면을 밀면 신분증(675)은 도 50과 같이 되는 단계를 거쳐 도 51과 같이 신분증(675)의 반대면이 제 1받침부(631)에 밀착하게 되고, 신분증(675)의 한쪽면은 카메라(691)과 대면하게 된다.
이후, 제 1밀대부(641) 및 제 2밀대부(642)는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651)을 작동시켜 카메라(691)로 신분증(6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65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이송부(640)에 부착된 구동모터가 회전하면 신분증(675)의 한쪽 모서리가 제 3밀대부(643)에 걸려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분증(675)이 위로 움직이고 신분증(675)의 일부가 출입부(221)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는 통신부(미도시)를 가지고 있어서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촬영된 신분증의 한쪽면 및 반대면의 사진을 외부기기로 전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100)은 제 1받침부(111), 출입부(121), 이송부(181), 제 2받침부(131), 제 1밀대부(143), 제 2밀대부(189), 가시광선 조명부(151), 자외선 조명부(161) 및 카메라(191)를 포함한다.
이송부(181)은 도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모양의 롤러에 구동 모터를 장착하여 회전함으로써 제 1받침부(111)로부터 출입부(121)을 통하여 들어온 신분증(175)을 제 2받침부(131) 위로 밀어넣거나 구동모터를 역회전하여 제 2받침부(131) 위에 위치한 신분증(175)을 출입부(121)을 통하여 제 1받침부(111) 쪽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191)은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제 2받침부(13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분증(175)이 한쪽면이 위로 향한 상태에서 제 1밀대부(143)가 신분증(175)의 반대면의 한쪽을 위로 밀수 있도록 제 1밀대부(143)이 통과하는 구멍(144)를 가지며, 신분증(175)을 이송하는데 사용하는 롤러(182, 183, 184, 185, 186)가 신분증(175)과 밀착되도록 구멍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 2받침부(131)은 신분증(175)을 뒤집기 위하여 제 1밀대부(143)이 신분증(175)의 반대면의 한쪽을 위로 밀때 신분증(175)의 반대쪽 모서리를 밀어주는 제 2밀대부(189)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롤러(187, 188)을 위한 구멍도 가지고 있다.
제 1밀대부(143)는 도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모양으로 만들고 한쪽 끝에 구동 모터(141)를 장착하여 구동 모터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그 반대편 끝으로 제 2받침부(131)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175)의 반대면의 한쪽을 위로 밀어서 신분증(175)을 뒤집는데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제 2밀대부(189)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모양으로 만들고 롤러(187, 188)이 회전할 때 이동하는 벨트(일례로 타이밍벨트)에 고정하여 롤러(187, 188)가 회전함에 따라 신분증(175)의 한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밀어주어 신분증(175)을 뒤집는데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가시광선 조명부(151)에는 가시광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가시광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자외선 조명부(161)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 또는 자외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도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신분증(175)의 한쪽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신분증(175)을 제 1받침부(111) 위에 올린 상태에서 출입부(121) 쪽으로 밀면 출입부(121)를 통하여 신분증(175)이 들어가는데 도 2처럼 신분증(175)의 한쪽면이 이송부(181)의 톱니모양의 롤러에 걸려서 안쪽으로 들어가서 도 3처럼 제 2받침부(131) 위에 위치하게 되고, 신분증(175)의 한쪽면이 카메라(1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151)을 작동시켜 카메라(191)로 신분증(1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151)의 작동을 멈춘 후, 자외선 조명부(161)을 작동시켜 카메라(191)로 신분증(1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자외선 조명부(16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제 1밀대부(141)로 제 2받침부(131)에 놓여 있는 신분증(175)의 반대면의 한쪽을 위로 밀면서 제 2밀대부(189)로 제 2받침부(131)에 놓여 있는 신분증(175)의 반대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밀면 신분증(175)은 도 4처럼 신분증(175)의 좌측이 들리면서 신분증(175)의 우측은 제 2받침부(131)과 제 2밀대부(189)에 밀착한 상태로 되었다가 제 1밀대부(143)로 신분증(175)의 반대면의 한쪽을 위로 계속 밀면서 제 2밀대부(189)로 신분증(175)의 반대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계속 밀면 신분증(175)은 뒤집혀서 도 5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되어 신분증(175)의 한쪽면이 제 2받침부(131)을 향하게 되고 신분증(175)의 반대면은 카메라(1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밀대부(143)와 제 2밀대부(189)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신분증(175)은 도 3과 같이 제 2받침부(131) 위에 위치하게 된다. 즉, 신분증(175)의 한쪽면은 제 2받침부(131)에 밀착되고, 신분증(175)의 반대면은 카메라(1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151)을 작동시켜 카메라(191)로 신분증(1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15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이송부(181)에 부착된 롤러 및 제 2받침부(131) 근처에 있는 롤러(182, 183, 184, 185, 186)이 회전하면 제 2받침부(131) 위에 놓여 있던 신분증(175)은 신분증(175)의 반대면이 위쪽을 향한 상태에서 출입부(121)를 통하여 도 2처럼 제 1받침부(11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는 통신부(미도시)를 가지고 있어서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촬영된 신분증의 한쪽면 및 반대면의 사진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미도시)와 외부기기의 통신은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서로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 WiFi,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이동전화망, 무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유선통신방식은 USB, 이더넷, 유선전화망, 유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200)은 받침부(211), 출입부(221), 이송부(281), 제 1밀대부(243), 제 2밀대부(289), 가시광선 조명부(251), 자외선 조명부(261) 및 카메라(291)를 포함한다.
이송부(281)은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모양의 롤러에 구동 모터를 장착하여 회전함으로써 받침부(211)로부터 출입부(221)을 통하여 들어온 신분증(275)을 롤러(283, 284, 285, 286) 위로 밀어넣거나 구동모터를 역회전하여 롤러(283, 284, 285, 286) 위에 위치한 신분증(275)을 출입부(221)을 통하여 받침부(211) 쪽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291)은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제 1밀대부(243)는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모양으로 만들고 한쪽 끝에 구동 모터(241)를 장착하여 구동 모터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그 반대편 끝으로 롤러(283, 284, 285, 286)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275)의 반대면의 한쪽을 위로 밀어서 신분증(275)을 뒤집는데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제 2밀대부(189)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모양으로 만들고 롤러(287, 288)이 회전할 때 이동하는 벨트(일례로 타이밍벨트)에 고정하여 롤러(287, 288)가 회전함에 따라 신분증(275)의 한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밀어주어 신분증(275)을 뒤집는데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가시광선 조명부(251)에는 가시광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가시광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자외선 조명부(261)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 또는 자외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신분증(275)의 한쪽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신분증(275)을 받침부(211) 위에 올린 상태에서 출입부(221) 쪽으로 밀면 출입부(221)를 통하여 신분증(275)이 들어가는데 도 10처럼 신분증(275)의 한쪽면이 이송부(281)의 톱니모양의 롤러에 걸려서 안쪽으로 들어가서 도 11처럼 롤러(283, 284, 285, 286) 위에 위치하게 되고, 신분증(275)의 한쪽면이 카메라(2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251)을 작동시켜 카메라(291)로 신분증(2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251)의 작동을 멈춘 후, 자외선 조명부(261)을 작동시켜 카메라(291)로 신분증(2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자외선 조명부(26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제 1밀대부(241)로 롤러(283, 284, 285, 286)에 놓여 있는 신분증(275)의 반대면의 한쪽 밑면을 위로 밀면서 제 2밀대부(189)로 롤러(283, 284, 285, 286)에 놓여 있는 신분증(275)의 반대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밀면 신분증(275)은 도 12처럼 신분증(275)의 좌측이 들리면서 신분증(275)의 우측은 롤러(283, 284, 285, 286)과 제 2밀대부(289)에 밀착한 상태로 되었다가 제 1밀대부(243)로 신분증(275)의 반대면의 한쪽을 위로 계속 밀면서 제 2밀대부(289)로 신분증(275)의 반대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계속 밀면 신분증(275)은 뒤집혀서 도 13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되어 신분증(275)의 한쪽면이 롤러(283, 284, 285, 286)을 향하게 되고 신분증(275)의 반대면은 카메라(2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밀대부(243)와 제 2밀대부(289)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신분증(275)은 도 10과 같이 롤러(283, 284, 285, 286) 위에 위치하게 된다. 즉, 신분증(275)의 한쪽면은 롤러(283, 284, 285, 286)에 밀착되고, 신분증(275)의 반대면은 카메라(2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251)을 작동시켜 카메라(291)로 신분증(2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25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이송부(281)에 부착된 롤러 및 롤러(283, 284, 285, 286)이 회전하면 롤러(283, 284, 285, 286) 위에 놓여 있던 신분증(275)은 신분증(275)의 반대면이 위쪽을 향한 상태에서 출입부(221)를 통하여 도 10처럼 받침부(21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는 통신부(미도시)를 가지고 있어서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촬영된 신분증의 한쪽면 및 반대면의 사진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미도시)와 외부기기의 통신은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서로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 WiFi,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이동전화망, 무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유선통신방식은 USB, 이더넷, 유선전화망, 유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17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7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300)은 출입부(321), 이송부(340), 제 1받침부(331), 제 2받침부(332), 회전부, 제 3밀대부(343), 가시광선 조명부(351), 자외선 조명부(361) 및 카메라(391)를 포함한다.
이송부(340)은 도 17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가 회전할 때 이동하는 벨트(일례로 타이밍벨트)에 제 3밀대부(343)을 고정하여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신분증(375)의 한쪽 모서리를 밀어줌으로써 신분증(375)을 아래로 내리거나 위로 올릴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카메라(391)은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제 1받침부(331)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밀대부(341)가 신분증(375)의 한쪽면을 밀수 있는 홈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제 2받침부(332)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밀대부(342)가 신분증(375)의 반대면을 밀수 있는 홈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회전부는 제1 밀대부(341)과 제 2 밀대부(342)으로 구성된다. 제1 밀대부(341)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받침부(331)에 있는 홈 사이로 제 1받침부(331)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375)의 한쪽면을 밀어서 신분증(375)의 반대면이 제 2받침부(332)에 밀착되도록 할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제 2 밀대부(342)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받침부(332)에 있는 홈 사이로 제 2받침부(332)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375)의 반대면을 밀어서 신분증(375)의 한쪽면이 제 1받침부(331)에 밀착되도록 할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제 3밀대부(343)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모양으로 만들고 롤러가 회전할 때 이동하는 벨트 (일례로 타이밍벨트)에 고정하여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출입부(321)을 통하여 들어온 신분증(375)을 아래로 이동시켜 제 1받침부(331)에 밀착되게 하거나 제 1받침부(331)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375)을 위로 이동시켜 출입부(221)을 통하여 신분증(375)이 토출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가시광선 조명부(351)에는 가시광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가시광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자외선 조명부(361)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 또는 자외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도 17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18처럼 신분증(375)을 출입부(321)에 밀어 넣으면 이송부(340)에 부착된 구동모터가 회전하고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밀대부(343)는 아래로 내려가고, 신분증(375)의 한쪽면은 제 1받침부(331)과 밀착하게 되고, 신분증(375)의 반대면은 카메라(391)과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351)을 작동시켜 카메라(391)로 신분증(3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351)의 작동을 멈춘 후, 자외선 조명부(361)을 작동시켜 카메라(391)로 신분증(3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자외선 조명부(36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제1 밀대부(341)로 제 1받침부(331)에 놓여 있는 신분증(375)의 한쪽면을 밀면 신분증(375)은 도 20와 같이 되는 단계를 거쳐 도 21과 같이 신분증(375)의 반대면이 제 2받침부(332)에 밀착하게 되고, 신분증(375)의 한쪽면은 카메라(391)과 대면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391), 가시광선 조명부(351) 및 적외선 조명부(361)은 신분증(375)의 한쪽면을 촬영하기 위하여 도 21 및 도 22와 같이 신분증(375)의 한쪽면을 촬영하기에 적합한 위치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351)을 작동시켜 카메라(391)로 신분증(3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35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제 2 밀대부(342)로 제 2받침부(332)에 놓여 있는 신분증(375)의 반대면을 밀면 신분증(375)은 도 23와 같이 되는 단계를 거쳐 도 19와 같이 신분증(375)의 한쪽면이 제 1받침부(331)에 밀착하게 된다.
이때, 이송부(340)에 부착된 구동모터가 회전하면 신분증(375)의 한쪽 모서리가 밀대부(343)에 걸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분증(375)이 위로 움직이고 신분증(375)의 일부가 출입부(321)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는 통신부(미도시)를 가지고 있어서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촬영된 신분증의 한쪽면 및 반대면의 사진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미도시)와 외부기기의 통신은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서로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 WiFi,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이동전화망, 무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유선통신방식은 USB, 이더넷, 유선전화망, 유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27 내지 도 36은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7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400)은 제 3받침부(411), 출입부(421), 이송부(481), 제 1받침부(431), 제 2받침부(432), 밀대부(441), 가시광선 조명부(451), 자외선 조명부(461) 및 카메라(491)를 포함한다.
이송부(481)은 도 27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모양의 롤러에 구동 모터를 장착하여 회전함으로써 제 3받침부(411)로부터 출입부(421)을 통하여 들어온 신분증(475)을 제 1받침부(431) 위로 밀어넣거나 구동모터를 역회전하여 제 1받침부(431) 위에 위치한 신분증(475)을 출입부(421)을 통하여 제 3받침부(411) 쪽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491)은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제 1받침부(431)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부(441)이 놓이거나 움직일 수 있는 홈을 가지며, 신분증(475)을 이송하는데 사용하는 롤러(482, 483, 484, 485, 486)가 신분증(475)과 밀착되도록 구멍을 가지고 있다.
제 2받침부(432)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분증(475)의 반대면을 받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신분증(475)을 이송하는데 사용하는 롤러(487, 488, 489)가 신분증(475)의 반대면과 밀착되도록 구멍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롤러(487, 488, 489)는 신분증(475)의 반대면이 제 2받침부(432)에 밀착될 때 신분증(475)의 무게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어 신분증(475)이 제 1받침부(431) 쪽으로 미끄러져 내려와서 신분증(475)의 반대면이 제 1받침부(431)과 밀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밀대부(441)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끝에 구동 모터(480)을 장착하여 구동 모터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제 1받침부(431)과 밀대부(441)에 놓인 신분증(475)의 한쪽면을 밀어서 제 2받침부(432)에 밀착되도록 밀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밀대부(441)은 신분증(475)의 반대면이 제 2받침부(432)에 밀착되면 제 1받침부(431)에 마련된 홈으로 복귀하여 제 1받침부(431)의 면과 밀대부(441)의 면이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가시광선 조명부(451)에는 가시광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가시광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자외선 조명부(461)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 또는 자외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도 27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7과 같은 상태에서 신분증(475)의 한쪽면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신분증(475)을 제 3받침부(411) 위에 올린 상태에서 출입부(421) 쪽으로 밀면 출입부(421)를 통하여 신분증(475)이 들어가서 도 28처럼 신분증(475)이 이송부(481)의 톱니모양의 롤러에 걸려서 안쪽으로 들어가서 도 29처럼 제 1받침부(431) 위에 위치하게 되고, 신분증(475)의 반대면이 카메라(4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451)을 작동시켜 카메라(491)로 신분증(4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451)의 작동을 멈춘 후, 자외선 조명부(461)을 작동시켜 카메라(491)로 신분증(4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자외선 조명부(46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밀대부(441)로 제 1받침부(431)에 놓여 있는 신분증(475)의 한쪽면을 위쪽으로 밀면 제 1받침부(431)에 놓여 있던 신분증(475)은 도 30처럼 신분증(475)의 좌측이 들리면서 도 31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신분증(475)의 반대면은 제 2받침부(432)에 밀착한 상태로 된다.
이때, 밀대부(441)은 제 1받침부(431)의 면과 밀대부(441)의 면이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제 1받침부(431)에 마련된 홈으로 복귀한다.
그러면, 제 2받침부(432)에 놓여 있던 신분증(475)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받침부(432)의 경사면을 미끄러져서 도 29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신분증(475)의 반대면이 제 받침부(431)에 밀착되고, 신분증(475)의 한쪽면은 카메라(4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451)을 작동시켜 카메라(491)로 신분증(4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45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이송부(481)에 부착된 롤러 및 제 1받침부(431) 근처에 있는 롤러(482, 483, 484, 485, 486)이 회전하면 제 1받침부(431) 위에 놓여 있던 신분증(475)은 신분증(475)의 한쪽면이 위쪽을 향한 상태에서 출입부(421)를 통하여 도 36처럼 제 3받침부(41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는 통신부(미도시)를 가지고 있어서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촬영된 신분증의 한쪽면 및 반대면의 사진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미도시)와 외부기기의 통신은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서로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 WiFi,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이동전화망, 무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유선통신방식은 USB, 이더넷, 유선전화망, 유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37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7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500)은 받침부(531), 제 1밀대부(543), 제 2밀대부(589), 가시광선 조명부(551), 자외선 조명부(561) 및 카메라(591)를 포함한다.
카메라(591)은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받침부(531)은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분증(575)이 한쪽면이 위로 향한 상태에서 제 1밀대부(543)가 신분증(575)의 반대면의 한쪽 밑면을 위로 밀수 있도록 제 1밀대부(543)이 통과하는 구멍(544)를 가지고 있다.
제 1밀대부(543)는 도 37 내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모양으로 만들고 한쪽 끝에 구동 모터(541)를 장착하여 구동 모터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그 반대편 끝으로 받침부(531)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575)의 반대면의 한쪽 밑을 위로 밀어서 신분증(575)을 뒤집는데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제 2밀대부(589)는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모양으로 만들고 롤러(587, 588)이 회전할 때 이동하는 벨트(일례로 타이밍벨트)에 고정하여 롤러(587, 588)가 회전함에 따라 신분증(575)의 한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밀어주어 신분증(575)을 뒤집는데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가시광선 조명부(551)에는 가시광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가시광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자외선 조명부(561)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 또는 자외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도 37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7과 같은 상태에서 신분증(575)의 한쪽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받침부(531) 위에 올려 놓으면 신분증(575)의 한쪽면이 카메라(5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551)을 작동시켜 카메라(591)로 신분증(5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551)의 작동을 멈춘 후, 자외선 조명부(561)을 작동시켜 카메라(591)로 신분증(5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자외선 조명부(56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제 1밀대부(541)로 받침부(531)에 놓여 있는 신분증(575)의 반대면의 한쪽 밑면을 위로 밀면서 제 2밀대부(589)로 받침부(531)에 놓여 있는 신분증(575)의 반대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밀면 신분증(575)은 도 39처럼 신분증(575)의 좌측이 들리면서 신분증(575)의 우측은 받침부(531)과 제 2밀대부(589)에 밀착한 상태로 되었다가 제 1밀대부(543)로 신분증(575)의 반대면의 한쪽을 위로 계속 밀면서 제 2밀대부(589)로 신분증(575)의 반대쪽 모서리를 수평으로 계속 밀면 신분증(575)은 뒤집혀서 도 40과 같은 위치에 있게 되어 신분증(575)의 한쪽면이 받침부(531)을 향하게 되고 신분증(575)의 반대면은 카메라(5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밀대부(543)와 제 2밀대부(589)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신분증(575)은 도 38과 같이 받침부(531) 위에 위치하게 된다. 즉, 신분증(575)의 한쪽면은 받침부(531)에 밀착되고, 신분증(575)의 반대면은 카메라(591)을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551)을 작동시켜 카메라(591)로 신분증(5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55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받침부(531) 위에 놓여 있던 신분증(575)은 신분증(575)의 반대면이 위쪽을 향한 상태에서 신분증(575)을 꺼낸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는 통신부(미도시)를 가지고 있어서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촬영된 신분증의 한쪽면 및 반대면의 사진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미도시)와 외부기기의 통신은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서로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 WiFi,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이동전화망, 무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유선통신방식은 USB, 이더넷, 유선전화망, 유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제 6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4 내지 도 5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 촬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600)은 출입부(621), 이송부(640), 제 1받침부(631), 제 2받침부(632), 제1 밀대부(641), 제 2 밀대부(642), 제 3밀대부(643), 가시광선 조명부(651), 자외선 조명부(661) 및 카메라(691)를 포함한다.
이송부(640)은 도 44 내지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가 회전할 때 이동하는 벨트(일례로 타이밍벨트)에 제 3밀대부(643)을 고정하여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신분증(675)의 한쪽 모서리를 밀어줌으로써 신분증(675)을 아래로 내리거나 위로 올릴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카메라(691)은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제 1받침부(631)는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밀대부(641)가 신분증(675)의 한쪽면을 밀수 있는 홈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제 2받침부(632)는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밀대부(642)가 신분증(675)의 한쪽면을 밀수 있는 홈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제1 밀대부(641)는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받침부(631)에 있는 홈 사이로 제 1받침부(631)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675)의 한쪽면을 밀어서 신분증(675)의 한쪽면이 제 2받침부(632)에 밀착되도록 할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제 2 밀대부(642)는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받침부(632)에 있는 홈 사이로 제 2받침부(632)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675)의 한쪽면을 밀어서 신분증(675)의 반대면이 제 1받침부(631)에 밀착되도록 할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제 3밀대부(643)는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모양으로 만들고 롤러가 회전할 때 이동하는 벨트 (일례로 타이밍벨트)에 고정하여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출입부(621)을 통하여 들어온 신분증(675)을 아래로 이동시켜 제 1받침부(631)에 밀착되게 하거나 제 1받침부(631)에 밀착되어 있는 신분증(675)을 위로 이동시켜 출입부(221)을 통하여 신분증(675)이 토출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가시광선 조명부(651)에는 가시광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가시광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자외선 조명부(661)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 또는 자외선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도 44 내지 도 5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분증의 양면을 촬영하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45처럼 신분증(675)을 출입부(621)에 밀어 넣으면 이송부(640)에 부착된 구동모터가 회전하고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밀대부(643)는 아래로 내려가고, 신분증(675)의 한쪽면은 제 1받침부(631)과 밀착하게 되고, 신분증(675)의 반대면은 카메라(691)과 대면하게 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651)을 작동시켜 카메라(691)로 신분증(6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651)의 작동을 멈춘 후, 자외선 조명부(661)을 작동시켜 카메라(691)로 신분증(675)의 반대면을 촬영하고 자외선 조명부(66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밀대부(641)로 제 1받침부(631)에 놓여 있는 신분증(675)의 한쪽면을 밀면 신분증(675)은 도 48과 같이 되는 단계를 거쳐 도 49와 같이 신분증(675)의 한쪽면이 제 2받침부(632)에 밀착하게 된다.
이때, 제 2 밀대부(642)로 제 2받침부(632)에 놓여 있는 신분증(675)의 한쪽면을 밀면 신분증(675)은 도 50과 같이 되는 단계를 거쳐 도 51과 같이 신분증(675)의 반대면이 제 1받침부(631)에 밀착하게 되고, 신분증(675)의 한쪽면은 카메라(691)과 대면하게 된다.
이후, 제1 밀대부(641) 및 제 2 밀대부(642)는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가시광선 조명부(651)을 작동시켜 카메라(691)로 신분증(675)의 한쪽면을 촬영하고 가시광선 조명부(651)의 작동을 멈춘다.
이후, 이송부(640)에 부착된 구동모터가 회전하면 신분증(675)의 한쪽 모서리가 제 3밀대부(643)에 걸려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분증(675)이 위로 움직이고 신분증(675)의 일부가 출입부(221)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 촬영 장치는 통신부(미도시)를 가지고 있어서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촬영된 신분증의 한쪽면 및 반대면의 사진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미도시)와 외부기기의 통신은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서로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방식은 CDMA, GSM, WCDMA, LTE, WiBro, WiMax, WiFi,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이동전화망, 무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유선통신방식은 USB, 이더넷, 유선전화망, 유선인터넷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신분증 촬영 장치 111 : 제 1받침부
121 : 출입부 131 : 제 2받침부
143 : 제 1밀대부 151 : 가시광선 조명부
175 : 신분증 181 : 이송부
161 : 자외선 조명부 189 : 제 2밀대부
191 : 카메라

Claims (5)

  1. 신분증을 삽입하고 토출하는데 사용되는 이송부와;
    이송부를 통해 삽입된 신분증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 의해 한쪽면이 촬영된 신분증이 카메라에 의해 다른쪽면이 촬영되도록, 신분증의 한쪽을 위로 밀어주는 제 1밀대부; 및
    제 1밀대부가 신분증의 한쪽을 위로 밀어줄 때, 신분증이 뒤집히도록 신분증의 반대쪽을 신분증의 한쪽방향으로 밀어주는 제 2밀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양면 촬영장치.
  2. 신분증을 기립상태로 삽입하고 토출하는데 사용되는 이송부와;
    이송부를 통해 삽입된 신분증을 기립상태로 한쪽면을 받쳐주는 제 1받침부와;
    신분증을 누워진 상태로 반대면을 받쳐주는 제 2받침부와;
    제 1받침부나 제 2받침부에 받쳐지는 신분증의 한쪽면이나 반대쪽면을 촬영하도록 각도가 조절되는 카메라; 및
    카메라에 의해 신분증의 한쪽면과 반대쪽면이 각각 촬영되도록 신분증을 제 1받침부에서 제 2받침대 쪽으로 밀어서 뒤집거나, 뒤집힌 신분증을 제 2받침부에서 제 1받침대 쪽으로 밀어서 원위치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양면 촬영장치.
  3. 신분증을 삽입하고 토출하는데 사용되는 이송부와;
    이송부를 통해 삽입된 신분증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도록 신분증의 한면을 받쳐주는 제1 받침부와;
    제1 받침부에 받쳐진 신분증을 밀어서 뒤집는 밀대부;
    밀대부에 의해 제1 받침부에서 뒤집혀지면서 밀어지는 신분증을 경사상태로 받쳐주고, 밀대부의 해제에 의해 받쳐진 신분증이 미끄려져서 뒤집혀진 상태로 제1 받침부에 받쳐지도록 제1 받침부의 일측에 경사진 상태로 구비되는 제 2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양면 촬영장치.
  4. 신분증을 기립상태로 삽입하고 토출하는데 사용되는 이송부와;
    이송부를 통해 삽입된 신분증을 기립상태로 한쪽면을 받쳐주는 제 1받침부와;
    신분증을 누워진 상태로 반대면을 받쳐주는 제 2받침부와;
    제 1받침부에 받쳐지는 신분증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제 1받침부에 받쳐지는 신분증이 제 2받침대 쪽으로 미끄러지게 하고, 제 2받침부에 받쳐지는 신분증을 뒤집힌 상태로 세워서 제 1받침부에 원위치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양면 촬영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회전부는
    제 1받침부에 받쳐지는 신분증이 미끄러져서 제 2받침부로 이동되도록 신분증의 하단을 밀어주는 제 1밀대부와,
    제 2받침부에 받쳐지는 신분증을 제 1밀대부로 밀어올리는 제 2밀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양면 촬영장치.
KR1020120075398A 2012-07-11 2012-07-11 신분증 양면 촬영장치 KR10140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398A KR101406125B1 (ko) 2012-07-11 2012-07-11 신분증 양면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398A KR101406125B1 (ko) 2012-07-11 2012-07-11 신분증 양면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650A KR20140008650A (ko) 2014-01-22
KR101406125B1 true KR101406125B1 (ko) 2014-06-12

Family

ID=50142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398A KR101406125B1 (ko) 2012-07-11 2012-07-11 신분증 양면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367A1 (ko) * 2021-08-19 2023-02-23 민팃(주) 개인 인증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81B1 (ko) 2003-12-02 2006-08-29 주식회사 씨앤티피 스캐너 장치
JP2007074500A (ja) 2005-09-08 2007-03-22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JP2009088691A (ja) 2007-09-27 2009-04-23 Kyocera Mita Corp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00008104U (ko) * 2009-02-05 2010-08-13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스캐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81B1 (ko) 2003-12-02 2006-08-29 주식회사 씨앤티피 스캐너 장치
JP2007074500A (ja) 2005-09-08 2007-03-22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JP2009088691A (ja) 2007-09-27 2009-04-23 Kyocera Mita Corp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00008104U (ko) * 2009-02-05 2010-08-13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스캐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650A (ko)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224B2 (en) ID scanner with machine-readable coded indicia reader and card imaging digital camera
EP2815351B1 (en) Time division exposure of a data reader
US10474859B2 (en) Barcode reader and docking station for charging the barcode reader
US111764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multi-angle images of a product
US201600194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icia verification
US20130222559A1 (en) Id scanner with machine-readable coded indicia reader and card imaging digital camera
EP2507741B1 (en) Imaging-based scanner including border searching for image acquisition
US9830002B2 (en) Barcode reader and docking station for charging the barcode reader
WO2009111016A3 (en) Mobile data storage device reader having both radiofrequency and barcode scanners
JP2008146653A5 (ko)
JP6227806B2 (ja) イメージングリーダに近接するモバイル通信装置の存在を検出し、その検出時に装置上に表示された電子コードを読み取るようにリーダを自動的に構成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40364168A1 (en) Mobile phone or portable PC with a camera
TW201545534A (zh) 饋紙式掃描裝置及其圖像掃描的方法
KR101406125B1 (ko) 신분증 양면 촬영장치
US20140233861A1 (en) Method for locating an electronic apparatus
US201300946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detecting orientation of free-form document using barcode
US11853839B2 (en) Barcode reader with transflective mirror
US9876372B2 (en) Barcode reader and docking station for charging the barcode reader
US11765472B2 (en) Devices, system, and methods using transflective mirrors with rolling shutter sensors
FR2924517A1 (fr) Dispositif pour la numerisation et l&#39;authentification automatique de documents
US20180121694A1 (en) Data reader with view separation optics
FR3040099A1 (fr) Validation d&#39;un code a barres decode en tant que code a barres attendu
KR101342541B1 (ko) 코드리더기를 겸한 엔에프씨 통합 단말기
DE102020000455A1 (de) Kassenbon-System
US9367721B2 (en) Imaging optical code scanner with camera reg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