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036B1 - 센서가 이식된 반원형 단면의 강선을 결합한 심선을 이용한 강연선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센서가 이식된 반원형 단면의 강선을 결합한 심선을 이용한 강연선의 제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6036B1 KR101406036B1 KR1020120123239A KR20120123239A KR101406036B1 KR 101406036 B1 KR101406036 B1 KR 101406036B1 KR 1020120123239 A KR1020120123239 A KR 1020120123239A KR 20120123239 A KR20120123239 A KR 20120123239A KR 101406036 B1 KR101406036 B1 KR 1014060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tion
- linear sensor
- core wire
- plane
- wi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812 deficienc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6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by means of a grating deformed by the objec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 G01L1/24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the material being an optical fibre
- G01L1/246—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the material being an optical fibre using integrated gratings, e.g. Bragg gratin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33—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 G02B6/02038—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with core or cladding having graded refractive inde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essure Sensors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센서 등과 같은 선형센서가 중심에 매립되어 있는 심선을 중앙에 배치하고, 상기 심선의 주변에 복수개의 주변 강선을 배치한 후, 상기 주변 강선을 꼬아서 강연선을 제작함에 있어서, 선형센서와 심선이 견고하게 일체화를 이루어서 높은 측정 정밀도를 가지면서도,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선형센서의 손상 우려가 없도록 하여 우수한 품질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강연선의 제작방법과, 그에 의해 제작된 강연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평면을 마주 접하게 되면 원형 단면을 가지는 심선(1)이 만들어지는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를 준비하되, 상기 제1반단면부(10)의 평면 중앙에는 오목부(11)를 길게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1)에 선형센서(3)를 배치하고 오목부(11)에 접착제(13)를 충진하고; 제1반단면부(10)의 평면에 제2반단면부(20)의 평면이 서로 접하게 하여 심선(1)을 형성하고; 심선(1)의 주위에 주변 강선(2)을 배치하고 상기 주변 강선(2)을 꼬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의 제작방법과, 이에 의해 제작되는 강연선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평면을 마주 접하게 되면 원형 단면을 가지는 심선(1)이 만들어지는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를 준비하되, 상기 제1반단면부(10)의 평면 중앙에는 오목부(11)를 길게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1)에 선형센서(3)를 배치하고 오목부(11)에 접착제(13)를 충진하고; 제1반단면부(10)의 평면에 제2반단면부(20)의 평면이 서로 접하게 하여 심선(1)을 형성하고; 심선(1)의 주위에 주변 강선(2)을 배치하고 상기 주변 강선(2)을 꼬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의 제작방법과, 이에 의해 제작되는 강연선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앙의 심선의 주변에 복수개의 주변 강선을 배치하고 꼬아서 만들어져서 긴장재 등으로 사용되는 강연선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FBG(Fiber Bragg Grating)센서로 대표되며 변형률을 측정할 수 있는 광섬유 센서 등과 같은 선형센서가 중심에 매립되어 있는 심선을 중앙에 배치하고, 상기 심선의 주변에 복수개의 주변 강선을 배치한 후, 상기 주변 강선을 꼬아서 강연선을 제작함에 있어서, 선형센서와 심선이 견고하게 일체화를 이루어서 높은 측정 정밀도를 가지면서도,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선형센서의 손상 우려가 없도록 하여 우수한 품질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강연선의 제작방법과, 그에 의해 제작된 강연선에 관한 것이다.
교량이나 빌딩 등의 구조물의 열화 정도나 문제 발생 여부 판단을 위해서는, 구조물에 배치된 강연선에 가해지는 긴장력을 측정하거나 구조물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등의 여러 구조적인 물리량의 계측과 수집이 필요하다. 특히, 구조물의 변형률이나 강연선에 가해지는 긴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센서로는, 측정값의 신뢰성이 높은 광섬유 센서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광섬유 센서의 일예로서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 FBG센서(Fiber Bragg Grating Sensor)가 있다.
이러한 광섬유 센서와 같은 선형센서를 강연선에 이식하여 강연선에 작용하는 응력 등을 측정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이를 위하여 강연선에 선형센서를 배치하는 종래의 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56056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는 각각 상기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56056호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 의해 강연선을 이루는 심선(1)에 선형센서(3)를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기술에서는 중앙에 관통공(101)이 형성되도록 심선(1)을 제작하여 중앙에 배치하고, 상기 심선(1)의 주변에 복수개의 주변 강선(2)을 배치한 후, 상기 주변 강선(2)을 꼬아서 강연선(100)을 제작하되, 강연선(100)의 일단에서는 진공펌프(200)를 이용하여 심선(1)의 관통공(101) 내부를 진공흡입하고(도 9), 강연선(100)의 타단에서는 헤드(201)를 가진 매개부재를 관통공(101)에 삽입하여 매개부재(202)에 결합된 상기 헤드(201)가 관통공(101) 내부의 진공흡입에 의해 관통공(101) 내부로 빨려 들어가서 매개부재(202)가 상기 관통공(101)을 통과하도록 한다(도 10). 이렇게 매개부재가 관통공(101)을 통과한 후, 매개부재에 선형센서(3)를 연결한 후, 매개부재(202)를 다시 반대방향으로 관통공(101)을 통과시킴으로써 선형센서(3)가 관통공(101)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다(도 11). 한편,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선형센서(3)가 관통공(101)의 내부에 배치된 후, 관통공(101) 일단부에 에폭시 저장통에 담그고 진공펌프(200)를 이용하여 에폭시를 관통공(101)으로 빨아드려서 에폭시가 관통공(101)에 채워지도록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도 12).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매개부재(202)에 선형센서(3)를 연결하고 매개부재를 다시 반대방향으로 관통공(101)을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선형센서(3)가 관통공(101)의 내부를 지날 때 손상될 우려가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형센서(3)는 그 표면에 격자 등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격자가 손상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센서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격자의 손상뿐만 아니라 선형센서(3)의 다른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것도 센서 성능에 매우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선형센서(3)가 매개부재의 이동에 이끌려서 관통공(101)의 입구로 삽입되어야 하고 더 나가가 관통공(101)을 통과하여 지나가야 하는데, 관통공(101)의 입구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그리고 관통공(10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선형센서(3)의 표면이 관통공(101)의 내면에 접하여 긁히면서 격자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선형센서(3)의 표면에 흠집이 생길 우려가 매우 큰 것이다.
또 다른 문제는 선형센서(3)와 심선(1)의 견고한 일체화를 보장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선형센서(3)와 심선(1)의 일체화를 위하여 관통공(101) 내부에 에폭시를 채우려고 하고 있고, 에폭시를 채우는 방법으로는 진공흡입을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연선을 상당히 긴 길이를 가지고 있고 그에 따라 관통공(101)의 길이도 매우 긴데, 이러한 긴 길이의 관통공(101)을 진공흡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그에 따라 좁은 직경의 관통공(101)으로 에폭시가 잘 흡입되지 않게 되어, 관통공(101) 내부에 에폭시가 충실하게 채워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에폭시가 관통공(101)에 충실하게 채워지지 못하면 결국 선형센서(3)와 심선(1)의 견고한 일체화가 불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선형센서(3)를 통한 측정의 정밀도는 급격하게 하락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심선의 주변에 복수개의 주변 강선을 배치한 후, 상기 주변 강선을 꼬아서 강연선을 제작함에 있어서, 심선의 시작단부에서부터 선형센서가 심선 중앙의 관통공을 통과되도록 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관통공을 선형센서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선형센서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며, 심선 중앙의 관통공을 진공흡입하여 에폭시를 채우려는 시도에 따른 에폭시의 부실한 채움을 사전에 예방하고, 선형센서와 심선이 견고하게 일체화를 이루어서 높은 측정 정밀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용이한 제작이 가능하게 하는 강연선의 제작방법과 그에 따라 제작된 강연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평면을 마주 접하게 되면 원형 단면을 가지는 심선이 만들어지는 제1반단면부(半斷面部)와 제2반단면부를 준비하되, 상기 제1반단면부의 평면 중앙에는 오목부를 길게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에 선형센서를 배치하고 오목부에 접착제를 충진하고; 제1반단면부의 평면에 제2반단면부의 평면이 서로 접하게 하여 심선을 형성하고; 심선의 주위에 주변 강선을 배치하고 상기 주변 강선을 꼬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의 제작방법과, 이러한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되어 심선의 원주 주변에 복수개의 주변 강선이 배치되고 상기 주변 강선이 꼬여서 형성된 구성을 가지는 강연선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반단면부의 평면 또는 제2반단면부의 평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제1반단면부의 평면과 제2반단면부의 평면이 서로 접합되게 하여 심선을 형성할 수도 있고, 제1반단면부의 평면에 제2반단면부의 평면이 서로 접하게 한 후, 밴드로 제1반단면부와 제2반단면부를 서로 묶어서 일체화시킴으로써 심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심선의 중심에 선형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강연선을 형성함에 있어서, 선형센서가 심선 중앙의 관통공을 통과하지 아니하므로, 종래기술의 문제점이었던 선형센서의 손상 즉, 관통공을 선형센서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선형센서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개방된 면을 따라 선형센서가 매립될 접착제를 충실하게 주입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기술에서 제시하였던 심선 중앙의 관통공에 대한 진공흡입을 통한 에폭시의 충진 및 그에 따른 에폭시의 부실한 채움 현상 발생과 그에 따른 선형센서와 심선 간의 견고하지 못한 일체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선형센서와 심선이 견고하게 일체화를 이루어서 높은 측정 정밀도를 가지는 강연선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강연선을 제작하기 위하여 심선의 원형 단면이 제1반단면부와 제2반단면부로 분할되고 제1반단면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종방향으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라 심선의 원형 단면이 제1반단면부와 제2반단면부로 분할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반단면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선형센서를 배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오목부에 선형센서를 배치하고 접착제를 충진하는 것을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반단면부와 제2반단면부를 서로 마주 접하여서 심선을 이루는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반단면부와 제2반단면부가 서로 마주 접함으로써 심선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밴드를 이용하여 제1반단면부와 제2반단면부를 서로 묶어서 심선을 형성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심선의 주위에 주변 강선을 배치하여 서로 꼬아서 본 발명의 강연선을 제작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각각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56056호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 의해 강연선을 이루는 심선에 선형센서를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라 심선의 원형 단면이 제1반단면부와 제2반단면부로 분할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반단면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선형센서를 배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오목부에 선형센서를 배치하고 접착제를 충진하는 것을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반단면부와 제2반단면부를 서로 마주 접하여서 심선을 이루는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반단면부와 제2반단면부가 서로 마주 접함으로써 심선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밴드를 이용하여 제1반단면부와 제2반단면부를 서로 묶어서 심선을 형성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심선의 주위에 주변 강선을 배치하여 서로 꼬아서 본 발명의 강연선을 제작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각각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56056호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 의해 강연선을 이루는 심선에 선형센서를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라 강연선을 제작하기 위하여 심선(1)의 원형 단면이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로 분할되고 제1반단면부(10)에 오목부(11)가 형성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종방향으로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이러한 과정에 의해 심선(1)이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로 분할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제1반단면부(10)에 형성된 오목부(11)에 선형센서(3)를 배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3에 후속하여 오목부(11)에 선형센서(3)의 배치와 접착제(13)의 충진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에 후속하여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를 서로 마주 접하여서 심선(1)을 이루는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과정을 거쳐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가 서로 마주 접함으로써 심선(1)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심선(1)이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의 조립 결합에 의해 만들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반단면부(10)와 상기 제2반단면부(20)는 심선(1)의 단면을 반분한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제1반단면부(10)와 상기 제2반단면부(20)는 반원형 단면을 가진 상태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의 평면을 마주 접하였을 때, 원형을 이루게 된다. 즉,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의 평면을 마주 접하게 되면 원형 단면을 가지는 심선(1)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후술하는 것처럼, 제1반단면부(10)의 중앙에는 선형센서(3)가 배치되고, 이러한 선형센서(3)는 심선(1)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반단면부(10)는 실제로 원의 절반보다 더 큰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반단면부(10)는 원의 절반보다 더 작은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의 평면을 마주 접하였을 때, 원형의 단면을 이루게 되지만,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가 마주함으로써 존재하게 되는 직선 즉, 접합선은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지름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원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선이 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러나 선형센서(3)의 단면 지름은 매우 작으므로,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가 마주함으로써 존재하게 되는 접합선이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지름에 해당하더라도 선형센서(3)가 원의 중심으로부터 변위되는 정도가 매우 작으며, 실질적으로 선형센서(3)에 의한 측정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미미하다. 따라서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가 마주함으로써 존재하게 되는 접합선이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지름에 해당하도록 상기 제1반단면부(10)와 상기 제2반단면부(20)가 심선(1)의 단면을 정확히 1/2로 반분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한편, 원형 단면을 가지는 심선(1)을 제작한 후, 레이저 나이프(laser knife) 등을 이용하여 심선(1)을 반분하여 위와 같이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를 제작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제1반단면부(10)와 상기 제2반단면부(20)를 각각 별도로 제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1반단면부(10)의 평면 중앙에는 오목부(11)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11)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그 단면 형상이 반원형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삼각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이나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오목부(11)의 내면은 후술하는 것처럼 접착제(13)가 채워졌을 때, 접착제(13)와의 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거친 면으로 만들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심선(1)의 길이에 맞추어서 길게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는 제1반단면부(10)가 준비되면, 상기 오목부(11) 내에 접착제(13)를 충진하면서 FBG센서로 대표되는 광섬유 센서와 같은 선형센서(3)를 접착제(13) 내에 매립되도록 배치한다. 즉, 선형센서(3)가 접착제(13)에 잠기는 형태로, 선형센서(3)와 접착제(13)를 오목부(11)에 채우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제1반단면부(10)에는 그 평면의 중심에 선형센서(3)가 매립된 형태로 일체로 구비된다. 특히,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1반단면부(10)의 오목부(11) 내에 선형센서(3)와 접착제(13)를 배치함에 있어서, 제1반단면부(10)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선형센서(3)를 오목부(11)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선형센서(3)가 관통공을 통과하는 것과 같이 종방향으로 당겨지거나 이동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선형센서(3)의 격자가 손상되거나 선형센서(3)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선형센서(3)가 종방향으로 당겨지거나 이동하는 과정에서 파단이 발생할 위험도 사전에 제거하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접착제(13) 역시 심선(1)의 길이 방향으로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제1반단면부(10)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에서부터 오목부(11)에 채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심선(1)의 일측에서부터 접착제를 주입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종방향으로 심선(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고르게 그리고 부족한 부분 없이 충실하게 접착제(13)를 오목부(11)에 채울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접착제(13)에 의한 선형센서(3)와 제1반단면부(10) 간의 더욱 견고한 일체화를 이룰 수 있게 되어, 선형센서(3)의 측정정밀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1반단면부(10)의 오목부(11) 내에 선형센서(3)와 접착제(13)가 배치된 후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반단면부(10)의 평면에 제2반단면부(20)의 평면이 서로 접하도록 일체로 접합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가 일체화되어 중앙에 선형센서(3)가 매립되어 있는 구조의 심선(1)이 형성되도록 한다. 제1반단면부(10)의 평면과 제2반단면부(20)의 평면을 서로 마주 접하는 작업은 상기 오목부(11)에 채워진 접착제(13)가 완전히 경화된 상태에서 수행되지만, 접착제(13)가 경화되기 이전에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이와 같이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를 일체화시킴에 있어서, 평면에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제를 얇게 도포하여, 제1반단면부(10)의 평면에 제2반단면부(20)의 평면이 서로 접착제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평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도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도 7에는 밴드(9)를 이용하여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를 서로 묶어서 심선(1)을 형성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반단면부(10)의 평면에 제2반단면부(20)의 평면이 서로 접하도록 한 후, 밴드(9)로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를 서로 묶어서 일체화시킴으로써 심선(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밴드(9)는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밴드(9)를 이용하여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를 묶어서 일체화시킴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것처럼 추가적으로 제1반단면부(10)의 평면이나 제2반단면부(20)의 평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한편, 제1반단면부(10)의 평면에 제2반단면부(20)의 평면이 단순히 서로 접하게만 한 후에, 주변 강선(2)이 꼬여짐으로써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가 일체화되어 심선(1)을 이루게 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심선(1)의 주위에 주변 강선(2)을 배치하고 상기 주변 강선(2)을 꼬아서 본 발명의 강연선(100)을 제작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반단면부(10)의 평면에 제2반단면부(20)의 평면이 서로 접하여 원형 단면의 심선(1)을 이룬 상태에서, 심선(1)의 원주를 따라 주변 강선(2)을 복수개로 배치한 후, 주변 강선(2)을 꼬게 되면 강연선(100)이 만들어진다. 주변 강선(2)이 꼬일 때, 심선(1)의 외주면에는 심선(1)의 중앙을 향하여 강한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심선(1)이 애초에는 제1반단면부(10)의 평면에 제2반단면부(20)의 평면이 단순히 서로 접한 상태에 있었더라도,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는 견고하게 접한 상태를 유지하여 원형 단면의 심선(1)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심선(1)의 중심에 선형센서(3)가 배치되어 있는 강연선(100)을 형성함에 있어서, 선형센서(3)가 심선 중앙의 관통공을 통과하지 아니하므로, 종래기술의 문제점이었던 선형센서의 손상 즉, 관통공을 선형센서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선형센서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개방된 면을 따라 선형센서(3)가 매립될 접착제를 충실하게 주입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기술에서 제시하였던 심선 중앙의 관통공에 대한 진공흡입을 통한 에폭시의 충진 및 그에 따른 에폭시의 부실한 채움 현상 발생과 그에 따른 선형센서와 심선 간의 견고하지 못한 일체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선형센서와 심선이 견고하게 일체화를 이루어서 높은 측정 정밀도를 가지는 강연선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1: 심선
2: 주변 강선
3: 선형센서
10: 제1반단면부
20: 제2반단면부
2: 주변 강선
3: 선형센서
10: 제1반단면부
20: 제2반단면부
Claims (5)
- 평면을 마주 접하게 되면 원형 단면을 가지는 심선(1)을 만들게 되는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를 준비하되, 상기 제1반단면부(10)의 평면에는 내면이 거친 면으로 이루어진 오목부(11)를 길게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1)에 접착제(13)를 충진하고 선형센서(3)를 상기 접착제(13)에 매립되도록 배치하여, 선형센서(3)가 상기 접착제(13)에 잠기는 형태로 제1반단면부(10)에 일체로 매립되어 구비되도록 하고;
제1반단면부(10)의 평면 또는 제2반단면부(20)의 평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제1반단면부(10)의 평면과 제2반단면부(20)의 평면이 서로 접합되게 하고, 밴드(9)로 제1반단면부(10)와 제2반단면부(20)를 서로 묶어서 일체화시킴으로써 심선(1)을 형성하고;
심선(1)의 주위에 주변 강선(2)을 배치하고 상기 주변 강선(2)을 꼬는 작업을 수행하여, 심선(1) 내부에 선형센서(3)가 매립되어 있고 심선(1) 주위에는 복수개의 주변 강선(2)이 꼬여있는 강연선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의 제작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3239A KR101406036B1 (ko) | 2012-11-01 | 2012-11-01 | 센서가 이식된 반원형 단면의 강선을 결합한 심선을 이용한 강연선의 제작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3239A KR101406036B1 (ko) | 2012-11-01 | 2012-11-01 | 센서가 이식된 반원형 단면의 강선을 결합한 심선을 이용한 강연선의 제작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5863A KR20140055863A (ko) | 2014-05-09 |
KR101406036B1 true KR101406036B1 (ko) | 2014-06-11 |
Family
ID=5088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3239A KR101406036B1 (ko) | 2012-11-01 | 2012-11-01 | 센서가 이식된 반원형 단면의 강선을 결합한 심선을 이용한 강연선의 제작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603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3591B1 (ko) | 2018-11-14 | 2019-08-2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심선 교체에 의한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을 구비한 스마트 강연선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
KR102166995B1 (ko) | 2019-10-11 | 2020-10-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선형센서 중심 배치 구조를 가지는 frp 센서복합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102223483B1 (ko) | 2019-10-11 | 2021-03-0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변형률 계측용 센서 매립봉의 기설 구조물 설치 구조 및 그 설치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89540A (ja) | 2005-01-04 | 2006-07-20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フェルール |
KR100756056B1 (ko) | 2006-11-21 | 2007-09-07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광섬유 복합 강연선. 그 광섬유 복합 강연선의 제조방법 및변형률 측정 방법 |
JP2010519517A (ja) | 2007-02-19 | 2010-06-03 | ホッティンゲル・バルドヴィン・メステクニーク・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 光学歪計 |
KR20120037513A (ko) * | 2002-08-16 | 2012-04-19 | 나노프리시젼 프로덕츠 인코포레이션 | 고 정밀 광전자 컴포넌트 |
-
2012
- 2012-11-01 KR KR1020120123239A patent/KR1014060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7513A (ko) * | 2002-08-16 | 2012-04-19 | 나노프리시젼 프로덕츠 인코포레이션 | 고 정밀 광전자 컴포넌트 |
JP2006189540A (ja) | 2005-01-04 | 2006-07-20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フェルール |
KR100756056B1 (ko) | 2006-11-21 | 2007-09-07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광섬유 복합 강연선. 그 광섬유 복합 강연선의 제조방법 및변형률 측정 방법 |
JP2010519517A (ja) | 2007-02-19 | 2010-06-03 | ホッティンゲル・バルドヴィン・メステクニーク・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 光学歪計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3591B1 (ko) | 2018-11-14 | 2019-08-2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심선 교체에 의한 광섬유 센서 내장 심선을 구비한 스마트 강연선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
KR102166995B1 (ko) | 2019-10-11 | 2020-10-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선형센서 중심 배치 구조를 가지는 frp 센서복합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102223483B1 (ko) | 2019-10-11 | 2021-03-0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변형률 계측용 센서 매립봉의 기설 구조물 설치 구조 및 그 설치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5863A (ko) | 2014-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1909B1 (ko) | 섬유로 피복된 선형센서 매립형 섬유보강복합소재 심선을 구비한 강연선 및 그 제작방법 | |
JP6443803B2 (ja) | 被覆pc鋼より線 | |
JP5391296B2 (ja) |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及びその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を収納し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 | |
JP6639773B2 (ja) | ルースチューブ型光ファイバユニット | |
KR101406036B1 (ko) | 센서가 이식된 반원형 단면의 강선을 결합한 심선을 이용한 강연선의 제작방법 | |
KR101201289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변형측정용 광섬유격자센서 패키지 | |
JP2012510011A (ja) | ファイバグレーティングセンサを内設するブリッジ用インテリジェントケーブルシステム | |
KR100756056B1 (ko) | 광섬유 복합 강연선. 그 광섬유 복합 강연선의 제조방법 및변형률 측정 방법 | |
CN102002911A (zh) | 碳纤维索股内套管锥形粘结型锚具 | |
CN107076624A (zh) | 缆线 | |
FR2947594A1 (fr) | Procede pour la fabrication d'assemblages en materiau fibreux pour la realisation d'une structure de support, assemblages obtenus par ce procede et structure mettant en oeuvre ces assemblages | |
KR101394988B1 (ko) | 강재로 피복된 선형센서 매립형 섬유보강복합소재 심선을 구비한 강연선의 제작방법 | |
CN106153226A (zh) | 一种用于监测钢绞线预应力损失的装置 | |
KR101369949B1 (ko) | 센서 이식판과 반원형 단면 강선의 결합구조의 심선을 이용한 강연선 및 그 제작방법 | |
KR101754400B1 (ko) |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과 이의 제조방법. | |
JP2017125352A (ja) | Pc鋼撚線の定着部構造及びウェッジ体 | |
US8944699B2 (en) | Optical fiber connector and optical fiber assembling method | |
KR102049731B1 (ko) | 보호 슬리브 | |
CN103759667A (zh) | 表面凹槽式路用埋入式光纤光栅应变传感器及其制作方法 | |
KR100965001B1 (ko) | 센서 유니트를 가진 복합강연선 및 이의 제조방법 | |
EP1956156A1 (fr) | Connecteur pour le raccordement de deux plaques d'un mur a coffrage intégré | |
JP6993643B2 (ja) | 定着構造及び定着方法 | |
CN109597170B (zh) | 线缆分线方法及实现上述方法的分线器、线缆分线结构 | |
KR101754399B1 (ko) | 광섬유 센서 내장형 복합 강연선 | |
KR20180021053A (ko) | 복합강연선용 광섬유센서유닛과 광섬유센서유닛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강연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