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708B1 - Rfid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Rfid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708B1
KR101405708B1 KR1020070111311A KR20070111311A KR101405708B1 KR 101405708 B1 KR101405708 B1 KR 101405708B1 KR 1020070111311 A KR1020070111311 A KR 1020070111311A KR 20070111311 A KR20070111311 A KR 20070111311A KR 101405708 B1 KR101405708 B1 KR 101405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hase
antenna
transmiss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5480A (ko
Inventor
김남윤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1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7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5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RFID 송수신 장치는 RFID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안테나; RFID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안테나; 및 상기 제1안테나로부터 전달된 제1수신신호 및 상기 제2안테나로부터 전달된 제2수신신호의 위상을 동위상으로 보정하고, 위상 보정된 제1수신신호 및 제2수신신호를 단일 수신신호로 합성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RFID 송수신 장치의 신호처리부는 송신신호의 위상에 차이를 두어 제1송신신호 및 제2송신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제1송신신호를 상기 제1안테나로 전달하며, 상기 제2송신신호를 상기 제2안테나로 전달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커플링 신호의 순환 루프 구조를 통하여, 최소의 부품과 단순화된 회로를 이용하여 송수신 신호를 분리시킬 수 있고, 단일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섭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 태그로의 에너지 공급 거리, 태그 판독 거리, 통신셀을 확장시키며, 태그 인식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RFID, 태그 인식률, 안테나, 신호분리, 위상 보정기, 신호 합성기

Description

RFID 송수신 장치{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ransmitter/receiver device}
실시예는 RFID 송수신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현재, 유비쿼터스(ubiquitous) 네트워크 기술이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데,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이란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네트워크에 자연스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의 예로 RFID 시스템을 들 수 있으며, RFID 시스템은 물품에 부착되어 세부정보를 송신하는 전자태그, 상기 전자태그의 정보를 RF통신을 이용하여 읽는 RFID리더로 이루어진다.
RFID 시스템은 다른 이동통신시스템과는 달리 송수신 신호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여 처리하는 구조가 복잡해지고, 오동작을 일으킬 확률이 커지며, 회로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가령, Tx/Rx 공용 안테나를 이용하는 경우, 서큘레이터(circulator), 방향성 결합기(coupler), 브랜치라인 결합기 등을 이용하여 송수신 신호를 분리할 수 있으나, 전력 손실, 삽입 손실이 크고, 부품 크기가 큰 단점이 있다.
특히, 송수신 단자에 대한 격리도(isolation)가 떨어지고, 따라서 수신기의 선택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Tx/Rx 안테나를 분리하는 경우, 베이스밴드단에서 송수신신호를 분리해야 하므로 다수의 회로가 필요로 되고, 부품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리더 안테나를 분산 배치하는 경우, 태그신호의 진행 영역, 위상 변화 등을 고려해야 하는 등 설치 영역에 한계가 있으므로 변화가 심한 전파 환경에서 태그의 인식률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RFID 시스템의 안테나 및 송수신 구조에 의하면, 환경적 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고, 간섭 현상이 발생될 확률이 크며, 송수신단 회로가 동시에 동작되는 경우 에너지 신호의 전달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통신 셀의 확장에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태그의 판독 거리, 에너지 공급 거리 및 인식률은 RFID 리더의 송신 전력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데, 최소한의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보통, 1W(EIRP; Effective lsotropic Radiated Power의 경우 4W임) 이상의 높은 전력 신호를 송출한다.
따라서, RFID 송신 회로 측에서 격리되지 못하고 전력의 일부가 수신회로 측으로 누설되면 기준 전압이 변동되어 전력 포화상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신호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거나 소자가 손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RFID 시스템의 송수신 구조의 설계가 중요한 요인으로 인 식되고 있는 시점이다.
실시예는 안테나 연결 회로 및 송수신 분리 회로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회로 사이즈, 전력손실, 삽입 손실을 최소화하고, 수신신호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RFID 송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RFID 송수신 장치는 RFID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안테나; RFID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안테나; 및 상기 제1안테나로부터 전달된 제1수신신호 및 상기 제2안테나로부터 전달된 제2수신신호의 위상을 동위상으로 보정하고, 위상 보정된 제1수신신호 및 제2수신신호를 단일 수신신호로 합성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RFID 송수신 장치는 송신신호의 위상에 차이를 두어 제1송신신호 및 제2송신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제1송신신호를 상기 제1안테나로 전달하며, 상기 제2송신신호를 상기 제2안테나로 전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커플링 신호의 순환 루프 구조를 통하여, 최소의 부품과 단순화된 회로를 이용하여 송수신 신호를 분리시킬 수 있고, 단일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경우 우수한 격리 특성을 보이므로, 전력 손 실, 삽입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송수신 분리 회로의 위상 보상 동작을 통하여 신호의 수신 감도가 향상되고, 안테나의 설치 자유도가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위상이 상이한 다수의 송신신호를 다수의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으므로 간섭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 태그로의 에너지 공급 거리, 태그 판독 거리, 통신셀을 확장시키며, 태그 인식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적은 개수의 안테나로 보다 넓은 영역에서 전자태그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의 제어가 용이하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RFID 송수신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RFID 송수신 장치는 RFID 리더에 구현된 것으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RFID 송수신 장치(100)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의하면, 실시예에 따른 RFID 송수신 장치(100)는 제어부(110), 송신부(120), 수신부(130), 신호분리부(140), 신호처리부(150), 제1안테나(160) 및 제2안테나(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안테나(160)와 제2안테나(170)는 각각 RFID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가령 다이폴(dipole) 안테나, 모노폴(monopole) 안테나,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안테나, 패치(patch) 안테나, 슬롯(slot) 안테나 등으 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안테나(160)와 제2안테나(170)의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를 구분하여 설명하는 경우, 제1안테나(16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1수신신호"라 하고, 제2안테나(17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2수신신호"라 한다.
또한, 제1안테나(160)를 통하여 송신되는 신호를 "제1송신신호"라 하고, 제2안테나(170)를 통하여 송신되는 신호를 "제2송신신호"라 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송신신호 또는 수신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여 태그신호를 해석하거나 태그로 송신되는 정보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신호처리부(150)에서 감지된 수신신호의 위상에 따라 위상보정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위상보정신호는 신호처리부(150)로 전달되고, 신호처리부(150)는 상기 위상보정신호에 의하여 제1수신신호 및 제2수신신호의 위상을 동위상으로 보정한다.
이와 관련된 신호처리부(15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통신 프로토콜을 구비하여 태그와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고, 수신부(130)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상태의 수신신호를 데이터 코딩, 디코딩, 포맷 변환, 필터링 연산 등과 같이 신호처리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커맨드 데이터(command data)와 같은 디지털 송신신호를 송신부(120)로 전달하는데, 이와 같은 제어부(110)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회로 혹은 DSP(Digital Signal Processing)회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송신부(120)는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송신신호를 RF신호 상태로 변환하여 처리하는데, 송신부(12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수신부(130)는 신호처리부(150)로부터 전달된 RF신호 상태의 수신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고 이를 제어부(110)로 전달하는데, 수신부(13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신호처리부(150)는 제1안테나(160) 및 제2안테나(170)와 연결되고, 제1안테나(160) 및 제2안테나(170)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신호분리부(140)로 전달하거나 신호분리부(140)로부터 전달된 송신신호를 제1안테나(160) 및 제2안테나(170)로 전달한다.
특히, 상기 신호처리부(150)는 최소의 회로 구성을 통하여 송수신 신호를 분리할 뿐만 아니라, 송신신호의 위상에 차이를 두어 제1송신신호 및 제2송신신호로 분리한다. 이렇게 분리된 제1송신신호는 상기 제1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되고, 제2송신신호는 제2안테나로 송신된다.
따라서, 태그는 실시예에 따른 RFID 송수신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150)는 제1수신신호 및 제2수신신호의 위상을 동위상으로 보정하고, 동위상으로 보정된 제1수신신호 및 제2수신신호를 단일 신호로 합성한다.
따라서, 단일 신호로 합성된 수신신호는 2배 이상의 전력 크기로 증폭되는 효과를 가지며, 태그의 수신 감도 및 인식률을 향상시키고 태그로의 에너지 공급 거리, 태그 판독 거리, 통신셀을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신호분리부(140)는 상기 신호처리부(150)로부터 전달된 수신신호를 수신부(130)로 전달하고, 송신부(120)로부터 전달된 송신신호를 신호처리부(140)로 전달하는데, 가령 서큘레이터(circulator)와 같은 수동소자, SPDT(Single Pole Double Throw)와 같은 반도체 스위치 소자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부(150)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부(150)의 신호합성기(159)가 처리하는 신호의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처리부(140)는 제1결합기(151), 제2결합기(152), 제1반도체 소자(153), 제2반도체 소자(154), 제1격리기(155), 위상보정기(156), 신호감지기(157), 제2격리기(158) 및 신호합성기(1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상기 신호처리부(150)가 송신신호를 처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송신부(120)와 신호분리부(140)를 경유하여 전달된 송신신호는 신호합성기(159)를 통과하여 제2반도체 소자(154)로 전달된다.
상기 신호합성기(159)는 단방향 소자로서, 수신신호에 대하여 동작되며 송신신호는 통과시킨다.
상기 제1반도체 소자(153)와 제2반도체 소자(154)는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으로 한다.
상기 제2반도체 소자(154)의 컬렉터는 베이스와 연결되고, 에미터는 제1반도체 소자(153)의 베이스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2반도체 소자(154)는 증폭 동작과 함께 격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반도체 소자(153)를 통하여 흐르는 수신신호와 안테나(160, 170) 측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송신신호를 차단한다.
상기 제1반도체 소자(153)의 베이스는 제2반도체 소자(154)의 에미터와 연결되고, 제1반도체 소자(153)의 에미터는 제1안테나(160)와 연결되며, 컬렉터는 제2안테나(170)와 연결된다.
상기 제1반도체 소자(153)는 제2반도체 소자(154)로부터 전달된 송신신호의 위상에 차이를 두어 제1송신신호 및 제2송신신호로 분리한다.
즉, 제1반도체 소자(153)의 베이스가 순방향으로 동작되고, 베이스로 입력된 송신신호는 컬렉터와 에미터로부터 각각 출력되는데, 이때, 컬렉터로부터 출력되는 제1송신신호와 에미터로부터 출력되는 제2송신신호는 약 180°의 위상차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제1송신신호는 상기 제1안테나(160)를 통하여 송신되고, 상기 제2송신신호는 상기 제2안테나(170)를 통하여 송신되며, 따라서 다양한 거리를 두고 위치되거나 이동되는 태그에 따른 위상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두가지 종류의 송신신호가 두 개의 안테나(160, 170)를 통하여 동시에 방사되므로, 태그 에너지 공급이 원활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신호처리부(150)가 수신신호를 처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안테나(160)를 통하여 수신된 제1수신신호는 제1결합기(151)에 의하여 커플링되고, 커플링된 제1수신신호는 제1격리기(155)로 전달된다.
상기 제2안테나(170)를 통하여 수신된 제2수신신호는 제2결합기(152)에 의하여 커플링되고, 커플링된 제2수신신호는 신호감지기(157)로 전달된다.
상기 신호감지기(157)는, 제2수신신호의 위상을 감지하여 위상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위상 감지신호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감지기(157)는 제2수신신호의 위상을 지연하여 출력하는 직각 하이브리드 회로, 하이브리드 회로의 단자 신호들이 독립적으로 작용되도록 하는 정합부하회로, 위상 지연된 신호들의 진폭을 감지하여 디지털값으로 출력하는 레벨 감지회로, 레벨 감지회로의 출력신호들을 감산하여 위상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산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신호감지기(157)로부터 위상 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위상 감지신호에 의하여 위상 보정신호를 생성한 후, 위상보정기(156)로 전달한다.
상기 위상보정기(156)는 제1결합기(151)에 의하여 커플링된 제1수신신호의 위상을 상기 위상 보정신호에 따라 천이시킴으로써 제1수신신호의 위상이 제1수신신호의 위상과 동위상이 되도록 한다.
상기 신호합성기(159)는 상기 위상보정기(156)로부터 전달된 제1수신신호와 신호감지기(157)로부터 전달된 제2수신신호를 단일 신호로 합성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대로, 단일 신호로 합성된 수신신호는 제1안테나(160)와 제2안테나(170)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보다 2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신호로 증폭될 수 있으며, 수신 감도를 2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의 (a)도면을 참조하면, 동위상(In-phase)이 된 제1수신신호(A)와 제2수신신호(B)가 신호합성기(159)에 의하여 합성됨으로써 증폭된 형태의 신호(C)로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로, 도 3의 (b)도면을 참조하면, 제1수신신호(D)와 제2수신신호(E)가 역위상인 경우, 제1수신신호(D)와 제2수신신호(E)가 상쇄되어 진폭 변화가 없는 신호(F)로 합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위상보정기(156)는 제1수신신호의 위상을 보정한다.
상기 제1격리기(155)는 송신신호가 신호합성기(159)를 통과하면서 위상보정기(156)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격리기(158)는 송신신호가 신호감지기(157)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제1격리기(155)와 제2격리기(158)는 높은 임피던스 수치와 낮은 반사계수를 가지는 송신부(120)의 출력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전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신호합성기(159)는 합성된 수신신호를 신호분리부(140)로 전달하고, 신호분 리부(140)는 수신신호를 수신부(130)로 전달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120)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송신부(120)는 변조부(122), 전력증폭모듈(PAM; Power Amplifier Module)(124), 송신필터(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조부(122)는 믹서, 다이오드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송신신호를, 위상동기회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달되는 발진주파수신호와 합성하여 아날로그 신호 상태인 송신신호로 변조처리한다.
이때, 상기 변조부(122)는 ISO 18000-6A, ISO 18000-6B, ISO 18000-6C 등과 같은 RFID Protocol에 따른 PIE(Pulse-Interval Encoding) 신호 규격에 따라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력증폭모듈(124)은 다수의 증폭회로, 바이어스 회로 등을 포함하여 송신신호를 출력 가능한 상태로 증폭시키고, 증폭된 신호는 송신필터(126)를 통하여 불요파성분의 신호가 제거된 후 신호분리부(140)로 전달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130)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신부(130)는 저잡음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131), 수신필터(132), 믹서부(G) 및 복조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믹서부(G)는 제1믹서(133), 제2믹서(134) 및 벌룬회로(135)를 포함한다.
상기 저잡음증폭기(131)는 신호분리부(140)를 통하여 단일 신호로 합성된 수신신호가 전달되면 잡음성분을 최대한 억제하여 증폭시키고, 수신필터(132)는 수신신호의 저잡음증폭시 혼재된 잡음성분을 제거한다.
상기 제1믹서(133)와 제2믹서(134)는 위상동기회로를 통하여 전달된 발진주파수신호와 수신필터(132)를 통하여 전달된 수신신호를 합성하여 베이스밴드신호로 생성한다.
상기 벌룬회로(135)는 위상 반전된 수신신호를 I신호(가령, "E sin ωt")및 Q신호(가령, "E cos ωt")로 분리시켜 차동 신호로 변환 출력한다.
상기 벌룬회로(135)의 출력단은 제1믹서(133) 및 제2믹서(134)와 연결되는데, 상기 믹서들(133, 134)은 이중 혼합기로서, 제1믹서(133)는 90도의 위상차를 가지는 I 베이스밴드신호(I+신호 및 I-신호)를 합성하고, 제2믹서(134)는 90도의 위상차를 가지는 Q 베이스밴드신호(Q+신호 및 Q-신호)를 합성한다.
상기 복조부(136)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포함하여 베이스밴드 I신호 및 베이스밴드 Q신호를 다수의 극성을 가지는 디지털 신호로 복조처리하고, 디지털 수신신호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RFID 송수신 장치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부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부의 신호합성기가 처리하는 신호의 예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Claims (10)

  1. RFID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안테나;
    RFID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안테나; 및
    상기 제1안테나로부터 전달된 제1수신신호 및 상기 제2안테나로부터 전달된 제2수신신호의 위상을 동위상으로 보정하고, 위상 보정된 제1수신신호 및 제2수신신호를 단일 수신신호로 합성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부는
    송신신호의 위상에 차이를 두어 제1송신신호 및 제2송신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제1송신신호를 상기 제1안테나로 전달하며, 상기 제2송신신호를 상기 제2안테나로 전달하는 제1반도체 소자; 및
    상기 제1반도체 소자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수신신호 및 피드백되는 송신신호를 차단하는 제2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RFID 송수신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송수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신신호를 전달받아 RF 신호 상태로 처리하는 송신부;
    RF 신호 상태의 수신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고, 처리된 수신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수신부;
    상기 신호처리부,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와 연결되고,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여 전달하는 신호분리부를 포함하는 RFID 송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제2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2수신신호의 위상을 감지하는 신호감지기;
    상기 제1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1수신신호의 위상을 상기 제2수신신호의 위상과 동위상으로 보정하는 위상보정기; 및
    상기 신호감지기 및 상기 위상보정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2수신신호와 상기 위상 보정된 제1수신신호를 단일 신호로 합성하는 신호합성기를 포함하는 RFID 송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감지기로부터 위상 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위상 감지신호에 의하여 위상 보정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위상 보정신호를 상기 위상보정기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RFID 송수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보정기 및 상기 제1안테나와 사이에 연결되는 제1결합기 및 제1격리기;
    상기 신호감지기 및 상기 신호합성기 사이에 연결되는 제2격리기;
    상기 신호감지기 및 상기 제2안테나 사이에 연결되는 제2결합기를 포함하는 RFID 송수신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도체 소자 및 상기 제2반도체 소자 중 하나 이상의 반도체 소자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RFID 송수신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분리부는
    서큘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RFID 송수신 장치.
KR1020070111311A 2007-11-02 2007-11-02 Rfid 송수신 장치 KR101405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311A KR101405708B1 (ko) 2007-11-02 2007-11-02 Rfid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311A KR101405708B1 (ko) 2007-11-02 2007-11-02 Rfid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480A KR20090045480A (ko) 2009-05-08
KR101405708B1 true KR101405708B1 (ko) 2014-06-10

Family

ID=4085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311A KR101405708B1 (ko) 2007-11-02 2007-11-02 Rfid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7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1992A (ja) * 1992-04-13 1993-11-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スペースダイバーシチ装置
KR20070090510A (ko) * 2006-03-03 2007-09-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id리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1992A (ja) * 1992-04-13 1993-11-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スペースダイバーシチ装置
KR20070090510A (ko) * 2006-03-03 2007-09-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id리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480A (ko) 200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4432B2 (en)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an injection-locked oscillator driver stage and a stacked output stage
US8120464B2 (en) RFID reader and method for removing a transmission carrier leakage signal
US8838047B2 (en) Dynamic RF front end
US20120021697A1 (en) Radio frequency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quadrature power amplifier
CN1845469B (zh) Rfid收发器装置
US9473195B2 (en) Phase-arrayed transceiver
US7639990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120120991A1 (en) Base station antenna device embedded with transmission and receiving module
US20050221875A1 (en) Wireless subscriber communication unit and antenna arrangement therefor
US9329259B2 (en) Concurrent multiband transceiver
CN109525279B (zh) 一种自干扰消除装置、射频读写器及射频识别系统
EP3347996B1 (en) Analog processing system for massive-mimo
CN106203222B (zh) 应用于远距离uhf rfid读写器的回波抵消方法
KR20130134843A (ko) 다중 송수신 레이더 시스템
JP2867938B2 (ja) 移動体衛星通信装置
US20210351517A1 (en) Power Amplifier Control with an Antenna Array
CN117559933A (zh) Rf信号聚合器及实现其的天线系统
US8655261B2 (en) RF redirection module and system incorporating the RF redirection module
KR101405708B1 (ko) Rfid 송수신 장치
US6823003B2 (en) Multi-path transceiver amplific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JP4095632B2 (ja) 質問器
CN115668759A (zh) 追踪器模块、功率放大模块、高频模块以及通信装置
KR101210042B1 (ko) Rfid 송수신 시스템
KR20080056555A (ko) 수신신호의 간섭방지가 가능한 rfid 송수신 시스템
KR20070074018A (ko) 노이즈와 간섭을 줄이는 rfid 리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