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337B1 - 품목분류코드 검색시스템 - Google Patents

품목분류코드 검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337B1
KR101405337B1 KR1020120061454A KR20120061454A KR101405337B1 KR 101405337 B1 KR101405337 B1 KR 101405337B1 KR 1020120061454 A KR1020120061454 A KR 1020120061454A KR 20120061454 A KR20120061454 A KR 20120061454A KR 101405337 B1 KR101405337 B1 KR 10140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module
product
code
item class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7849A (ko
Inventor
김일교
Original Assignee
(주)에코클라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클라우드 filed Critical (주)에코클라우드
Priority to KR1020120061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337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가간 교역 대상 상품에 대한 분류코드를 통일시킨 품목분류코드를 검색함에 있어 해당 상품에 대한 품목분류코드를 쉽고 정확하게 검색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품목분류코드 검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품별 품목분류코드를 저장하는 코드DB를 구비한 DB; 처리모듈로부터 전송된 상품키워드 및 추가상품키워드의 해당 상품에 대한 품목분류코드를 상기 코드DB에서 검색하는 DB검색모듈; 인터넷 검색을 위해 상기 상품키워드를 검색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검색서버의 검색결과물 중 추가정보를 추출해서 상기 처리모듈로 전송하는 웹검색모듈; 및 입출력모듈로부터 전송된 상품키워드를 상기 DB검색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웹검색모듈로부터 전송된 추가정보로부터 추가상품키워드를 생성해 상기 DB검색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DB검색모듈로부터 전송된 검색결과물을 분석 처리해서 검색결과리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입출력모듈로 전송하는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품목분류코드 검색시스템{Search system for The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본 발명은 국가간 교역 대상 상품에 대한 분류코드를 통일시킨 품목분류코드를 검색함에 있어 해당 상품에 대한 품목분류코드를 쉽고 정확하게 검색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품목분류코드 검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HS코드(The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는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에 따라 대외 무역거래 상품을 총괄적으로 분류한 품목분류코드(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로, 세계관세기구(WCO)가 정한 품목별로 10자리의 숫자체계를 적용한 코드이다. 여기서, 앞의 6단위는 국제적으로 공통이고, 뒤의 4자리는 국가마다 달리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부여되는 10단위 코드는 'HSK'라 하며 수출입신고시 주로 사용된다.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는 대외 무역거래 상품을 숫자 코드로 분류하여 상품분류 체계를 통일함으로써 국제무역을 원활하게 하고 관세율 적용에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관세나 무역통계, 운송, 보험 등 다양한 목적에 사용된다.
국제협약에 따라 품목분류코드(HS코드)는 10자리까지 사용할 수 있다. 6자리까지는 국제 공통으로 사용하는 코드로서 앞의 1~2자리는 상품의 군별 구분, 3~4자리는 소분류로 동일류 내 품목의 종류별·가공도별 분류, 5~6자리는 세분류 동일호 내 품목의 용도·기능 등에 따른 분류이다. 7자리부터는 각 나라에서 세분화하여 부여하는 숫자인데, 한국은 10자리를 사용한다.(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한편, 이와 유사한 SITC(Standard International Trade Classification)는, 1938년 국제연맹에서 무역통계의 국제적 비교를 위해 제정한 상품 분류방식을 뜻하는 것으로, 1963년에 개정되었으며 약 45,000개 품목을 1,312개의 기본항목, 177개의 group, 625개의 sub group, 56개의 division, 10개의 section으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MTI 코드는 옛 상공부(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에서 편의상 통계분류를 하기 위해 부여한 코드이다.
현재, SITC 및 MTI는 HS코드(품목분류코드)로 대체돼 활용되고 있고, 전세계의 수출입 업체들은 자사의 상품에 품목분류코드를 적용해서 관세 책정에 활용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품목분류코드는 국가간 무역거래에서 상품 구분을 통일시켜 표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수출입 업체는 물론 관련 관공서 등은 수출입이 이루어지는 상품에 대한 품목분류코드를 검색해 이를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품목분류코드는 수많은 상품에 대한 분류를 위해 21부 97류로 구성되는 10자리의 숫자체계로서, 이들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적절한 품목분류코드를 검색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물론, 품목분류코드에 대한 검색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무역협회 및 관세청 등의 웹사이트가 존재하지만, 이들은 모두 당사자가 직접 해당 상품과 관련한 품목을 수작업으로 확인해서 상위 디렉토리에서 하위 디렉토리로 추적해 들어가는 방식으로 진행되도록 됐고, 이를 통해 당사자는 각 디렉토리에 정의된 내용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므로, 종래 검색서비스를 활용한 품목분류코드 검색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게다가, 코드분류를 하는 사람에 따라 해당 상품에 적용되는 품목분류코드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그 신뢰도 또한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품목분류코드 번호에 따라 관세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수출국에서는 관세율이 낮은 코드를 선호하고, 수입국에서는 관세율이 높은 코드를 선호함으로써 분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한국에서는 휴대전화기로 분류하는 DMB폰을 독일 등과 같은 다른 국가에서는 텔레비전수상기로 분류하는데, 해당 국가에서는 휴대전화기는 관세를 물지 않지만 텔레비전수상기는 14%의 관세를 부과한다. 따라서 당사자는 자국의 품목분류코드와 수출 대상국의 품목분류코드를 함께 비교해서, 차이가 있을 경우 이를 자신에게 유리한 것으로 선택해 선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당사자의 상품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품목분류코드를 일일이 검색 및 확인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당사자가 자사의 상품을 수출할 대상 국가에 대해 유리한 품목분류코드를 검색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당사자는 자사의 상품에 적용될 품목분류코드를 쉽고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고, 아울러 이렇게 검색한 품목분류코드가 상기 상품에 최적화되도록 하는 품목분류코드 검색시스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품별 품목분류코드를 저장하는 코드DB를 구비한 DB;
처리모듈로부터 전송된 상품키워드 및 추가상품키워드의 해당 상품에 대한 품목분류코드를 상기 코드DB에서 검색하는 DB검색모듈;
인터넷 검색을 위해 상기 상품키워드를 검색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검색서버의 검색결과물 중 추가정보를 추출해서 상기 처리모듈로 전송하는 웹검색모듈; 및
입출력모듈로부터 전송된 상품키워드를 상기 DB검색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웹검색모듈로부터 전송된 추가정보로부터 추가상품키워드를 생성해 상기 DB검색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DB검색모듈로부터 전송된 검색결과물을 분석 처리해서 검색결과리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입출력모듈로 전송하는 처리모듈;
을 포함하는 품목분류코드 검색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당사자가 자사 상품의 상품명 또는 상품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서 해당 품목분류코드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고, 동일 상품에 대한 수출국 및 수입국의 품목분류코드를 일시에 검색해 제시할 수 있으므로, 당사자는 자사 상품과 관련한 유리한 품목분류코드를 선택해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품목분류코드 검색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시스템의 품목분류코드 검색결과에 대한 출력 페이지의 일실시 예를 보인 이미지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색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키워드에 대응해서 품목분류코드(HS code)의 검색을 진행하는 코드 검색부(100)와, 상기 상품키워드에 대한 웹검색을 진행하는 검색서버(200)를 포함하고, 이와 더불어 국가별 PSR데이터를 저장하는 PSR(Product Specific Rules) Repository 기능의 PSR DB(310)와, 상기 상품키워드에 적용되는 PSR데이터를 PSR DB(310)에서 검색해서 코드 검색부(100)로 전송하는 PSR모듈(320)로 구성된 PSR 검색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 검색부(100)는, 상품별로 규격화된 품목분류코드(HS code)를 저장하는 코드DB(141)와, 상품별 구성부품(원자재) 정보를 저장하는 부품DB(142)로 구성된 DB; 사용자의 상품키워드 입력을 처리하고 검색결과리스트 정보를 처리해 출력하는 입출력모듈(110); 상기 상품키워드에 따라 상기 DB를 검색하는 DB검색모듈(131)과, 인터넷 검색을 위해 동작하는 웹검색모듈(132)로 구성된 검색모듈; 입출력모듈(110)로부터 전송된 상품키워드를 분석 처리해서 상기 검색모듈로 전송하고, 검색모듈로부터 전송된 검색결과물을 분석 처리해서 검색결과리스트 정보를 완성해 입출력모듈(110)로 전송하는 처리모듈(120); 검색 이력을 기록하는 로그DB(150);를 포함한다.
품목분류코드(HS code)는 수출입 상품의 관세율 및 수출 상품의 간이정액 환급액, 수출입 요건의 유무, 국가통계작성 및 FTA 같은 주요 상품 무역 협상과 활용 등 다양한 목적의 기준이 되는 기본 개념이다. 품목분류코드를 분류하기 위해서는 해당 상품의 재질, 구조, 작동 원리, 기능 및 용도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HS 협약에 의해 정해진 분류체계와 해설서에 근거하여 분류를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검색시스템에서는 품목분류코드를 코드DB(141)에 저장하고, 상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구성부품별로 정의해 부품DB(142)에 저장한다. 품목분류코드는 전체 10자리 중 앞의 6자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제적으로 공통되고, 뒤의 4자리는 국가별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코드DB(141)에는 이를 감안해서 국가별로 품목분류코드가 구분돼 저장된다.
한편, 부품DB(142)는 다양한 종류의 상품과 그 구성부품 정보를 저장하는데, 새로운 상품이 수출입 물품으로 생성 또는 소멸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품키워드를 입력하면 해당 검색모듈은 부품DB(142)를 검색해서 상기 상품키워드에 해당하는 물품의 구성부품을 검색할 수 있다.
구성부품에는 고유한 품목분류코드가 배정되어 있으므로, 코드DB(141)에 저장된 품목분류코드와 부품DB(142)에 저장된 해당 구성부품 정보는 서로 링크돼 저장 및 관리되면서, 구성부품의 명칭과 품목분류코드가 함께 검색되어 출력된다.
입출력모듈(110)은 상품키워드 입력을 처리하고 검색결과리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키보드와 모니터가 예시될 수 있다. 입출력모듈(110)은 터치스크린과 같이 키보드와 모니터가 일체로 결합한 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텍스트 형태의 상품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고 검색결과리스트 정보를 처리해 출력할 수 있도록 된 장치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입출력모듈(110)은 코드 검색부(100)의 일 구성인 것으로 하였으나, 입출력모듈(110)은 처리모듈(120)과 유,무선 통신라인을 통해 통신하는 통상적인 독립된 컴퓨터일 수도 있다. 즉, 코드 검색부(100)의 구성요소들 중 입출력모듈(110)을 제외한 처리모듈(120), 검색모듈, DB 등은 하나의 독립된 서버로 되고, 입출력모듈(110)은 상기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클라이언트로 되어서, 입출력모듈(110)에 입력되는 상품키워드와, 처리모듈(120)에서 처리되는 검색결과리스트 정보에 대한 통신이 상기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검색모듈은 DB검색모듈(131)과 웹검색모듈(132)을 포함한다.
DB검색모듈(131)은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키워드에 따라 DB를 구성하는 코드DB(141)와 부품DB(142)를 검색하는 것으로서, 코드DB(141)로부터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키워드의 해당 상품에 링크된 품목분류코드를 검색하고, 부품DB(142)로부터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키워드의 해당 상품의 구성부품 정보를 검색한다.
본 발명에 따른 DB검색모듈(131)은 부품DB(142)에서 검색한 구성부품 정보에 따라 코드DB(141)를 함께 검색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상품키워드를 입력해 검색을 시도하더라도 해당 상품을 구성하는 다수의 구성부품과 품목분류코드가 검색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품키워드에 해당하는 상품의 구성부품 검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구성부품 검색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상품키워드에 해당하는 구성부품 검색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한편, 웹검색모듈(132)은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키워드를 웹검색 전용 검색서버(200)로 전송해서 통상적인 웹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검색서버(200)의 검색결과물을 수신해서 이를 토대로 DB검색모듈(131)이 상기 DB를 보강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검색서버(200)는 구글, 야후, 네이버 등과 같은 통상적인 웹검색 전용 서버가 예시될 수 있을 것이다.
상품키워드 검색에 대해 일 예를 들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입출력모듈(110)을 이용해 "DMB폰"을 상품키워드로 입력하면, 처리모듈(120)은 "DMB폰"을 DB검색모듈(131)과 웹검색모듈(132)로 각각 전송해서 DB검색과 웹검색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웹검색모듈(132)은 검색서버(200)를 통해 "DMB폰"에 대한 웹검색을 진행하도록 하고, 검색서버(200)에서 검색한 검색결과물들을 조회해서 FTA 및 무역협정 정보의 범위 내에서 해당 상품키워드와 관련된 '독일', '관세', '텔레비전수상기'라는 추가정보를 추출한 후 처리모듈(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웹검색모듈(132)은 검색서버(200)에 웹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전송할 때 검색범위에 대한 제한을 주어서 검색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검색주소, 검색키워드 제한 등 통상적인 검색범위 제한기술을 적용해서, 국가 간 무역협정과 관련한 검색결과물이 검색서버(200)를 통해 검색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웹검색모듈(132)은 검색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검색결과물을 통상적인 구문해석프로그램 등을 활용해 텍스트별로 상세하게 조회해서 무역협정과 관련해 등록된 키워드와 상품에 대한 키워드를 검색하고, 최종적으로 전술한 추가정보를 추출해 처리모듈(120)로 전송한다.
처리모듈(120)은 수신한 상기 추가정보를 분석하고, '독일에서는 관세 적용시 DMB폰을 휴대전화기가 아닌 텔레비전수상기로 분류' 한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결국, 처리모듈(120)은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키워드가 독일에서는 "텔레비전수상기"로 품목분류됨을 확인하고, 사용자가 상품키워드로 "DBM폰"을 입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텔레비전수상기"를 추가상품키워드로 생성해서 DB검색모듈(131)로 전송한다. DB검색모듈(131)은 "텔레비전수상기"를 추가상품키워드로 해서 DB를 검색한다.
이외에도 웹검색모듈(132)은 사용자가 입력한 "DMB폰"과 유사한 키워드인 '휴대용 단말기', '스마트폰', '모바일', '핸드폰' 등과 같은 국가별로 사용되는 다양한 키워드를 웹검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이로써 동류 상품의 품목분류코드 분류 사례를 국가별로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키워드와 유사한 키워드는 처리모듈(120) 또는 DB검색모듈(131)이 자체적으로 보유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DB검색모듈(131)이 품목분류코드의 표준 키워드에 맞춰 검색을 진행할 수 있다.
처리모듈(120)은 입출력모듈(110)로부터 전송된 상품키워드를 분석해서 DB검색모듈(131)과 웹검색모듈(132)로 구성된 검색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검색모듈로부터 전송된 검색결과물을 분석 처리해서 검색결과리스트 정보를 완성하고 입출력모듈(110)로 전송한다.
입출력모듈(110)로부터 전송된 상품키워드는 특정 상품을 지칭하는 하나의 단어일 수도 있고, 두 단어 이상이 조합된 문구 또는 문장일 수도 있다. 처리모듈(120)은 이러한 상품키워드를 분석하고, 상기 검색모듈이 검색할 수 있는 품목분류코드의 표준 상품키워드만을 추출한다.
한편, 처리모듈(120)은 상기 검색모듈이 전송한 검색결과물을 분석 처리함에 있어,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키워드를 완성품으로 해서 상위 디렉토리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완성품의 구성부품을 하위 디렉토리로 구성해서 검색결과리스트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품별로 품목분류코드를 각각 삽입해서 사용자가 구성부품별로 품목분류코드가 무엇인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처리모듈(120)은 동일한 상품키워드에 대해 다양한 품목분류코드를 검색결과로 예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횟수를 상품키워드별 품목분류코드에 기록해서,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상품키워드로 품목분류코드를 검색할 때 상기 기록을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기록을 로그DB(150)에 별도로 기록된다. 결국, 로그DB(150)에는 해당 상품키워드의 검색결과로 예시되었을 때 선택된 횟수가 기록되어서, 처리모듈(120)의 검색결과리스트 정보 생성시 로그DB(150)를 확인해서 검색결과리스트 정보에 해당 검색 이력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이렇게 생성된 검색결과리스트가 검색결과로 예시될 때 상기 횟수가 함께 출력되어서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예시를 들어 다시 한번 설명한다.
PSR 검색부(300)는 국가별 PSR데이터를 저장하는 PSR(Product Specific Rules) Repository 기능의 PSR DB(310)와, 상기 상품키워드에 적용되는 PSR데이터를 PSR DB(310)에서 검색해 코드 검색부(100)로 전송하는 PSR모듈(320)을 포함한다.
FTA 관세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각 FTA 협정별로 정하고 있는 원산지 결정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원산지 결정기준은 일반기준(General Rules)과 품목별기준(Product Specific Rules)으로 대별되는데, 상기 일반기준(GR)은 여러 품목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총칙규정으로서 협정체계상 "원산지규정"의 본문으로 규정되며, 품목별기준(PSR)은 해당품목에 한정하여 적용되는 각칙으로서 "별표"로 규정된다.
PSR은 국가별 FTA 협정마다 정하고 있는 규칙과 그 의미를 표현하는 방법이 달라 각각의 협정에서 해당 문구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해석이 중요하다. PSR 검색부(300)는 국가별 FTA 협정마다 다른 PSR로 인해 그것을 해석하고 이해하는데 소요되는 인적, 시간적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국가별 FTA 협정마다 다르게 설정된 각 품목의 PSR 문장을 분석하여 자동분류하고, 판정 Rule을 추출해 공통된 코드로 정형화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FTA 협정시 국가와 국가 간에는 관세적용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세번변경기준(CTC; Change of Tatiff Classification)을 약속한다. 여기서 세번변경기준은 불완전한 생산품에 대한 원산지결정기준의 한 종류로 역내 생산과정에서 투입한 비원산지재료의 세번과 다른 세번의 상품을 생산하면 그 상품을 원산지 물품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참고로, 특정 물품이 FTA 당사국 영역 내에서 완전히 생산 또는 획득되어진 경우에 적용되는 원산지 결정 기준은 완전 생산기준(A goods wholly obtained test)이라 하고, 물품 생산이 2개국 이상에 걸쳐서 이루어진 경우 당해 물품의 원산지를 결정하는 기준은 실질적 변형기준(Substantial transformation test)이라 하는데, 상기 실질적 변형기준의 경우 세번변경기준(CTC; 2단위, 4단위, 6단위 변경기준), 부가가치기준(VAC; 집적법, 공제법, MC법), 가공공정기준(SPC) 등이 제시된다.
계속해서, '세번'은 국제무역에서 거래하는 상품에 설정되는 HS코드와 같은 품목분류코드로서, 세번이 다르면 상품의 본질적 특성 또한 다름을 의미한다. 그러나, 모든 세번이 상품의 본질적 특성을 기준으로 번호가 정해진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페니실린을 대용량으로 포장했을 때는 품목분류코드가 제3003호이나, 소매용으로 포장했을 때는 제3004호가 된다. 즉, 상품에 본질적 특성의 변화가 없음에도 품목분류코드는 바뀔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품목분류코드 제7019호에 분류되는 유리섬유를 직조해 직물을 만들면 상품의 특성이 섬유에서 직물로 바뀌지만 세번은 변하지 않는다.
한,아세안 FTA 한,인도 FTA
CTH or RVC 40% CTSH + RVC 35%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한,아세안 FTA, 한,인도 FTA는 일부 품목에만 세번변경기준을 품목별 기준표에서 규정하고 있다. 한,아세안 FTA는 나머지 품목은 4단위 세번변경기준 혹은 40% 부가가치기준(RVC; REGIONAL VALUE CONTENT) 하나를 선택해 적용하며, 한,인도 FTA는 6단위 세번변경기준과 35% 부가가치기준을 모두 충족하도록 원산지 규정을 본문에서 정하고 있다.
참고로, 세번변경기준(CTC)에서 HS는 부(Section), 류(Chapter, 2단위), 호(Heading, 4단위), 소호(Sub-Heading, 6단위)로 구성되므로, CTC는 2단위 세번변경기준, CTH는 4단위 세번변경기준, CTSH는 6단위 세번변경기준을 칭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국가간 FTA 협정 내용에는 관세적용을 위해 [표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특정 상품에 대한 구체적인 원산지결정기준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PSR 검색부(300)의 PSR DB(310)는 국가별 FTA 협정을 분석해서 상기 원산지결정기준을 국가별, 상품별(품목분류코드), 세번변경기준 및 부가가치기준 등의 기준별 등으로 분류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분류는 *.doc, *.word 또는 *.hwp 등과 같은 통상적인 문서 파일(FTA 협정문)을 구문해석프로그램 등을 활용해 parser 처리함으로써 XML, XSD 또는 WSDL 등의 변환으로 완료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가 입출력모듈(110)을 통해 특정 상품에 대한 PSR 검색을 시도하면, PSR모듈(320)은 입출력모듈(110)로부터 전송된 해당 품목분류코드와 국가를 키워드로 해 PSR DB(310)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표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작성해서 입출력모듈(110)로 전송할 것이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품목분류코드 검색과 더불어 PSR 검색을 동시에 진행할 경우 PSR 검색 시도는 처리모듈(120)에서 직접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PSR 검색을 위해 필요한 품목분류코드와 국가에 대한 키워드는 처리모듈(120)로부터 전송될 수도 있다.
품목분류코드 CTC CTH CTSH or and RVC 협정국가
4202 - 0 - 0 - 40% 한,아세안
4202 - - 0 - 0 35% 한,인도
참고로, 원산지결정기준은 협정국가별로 다르고 그 쓰임과 필요성도 다를 것이므로, 원산지결정기준을 저장하는 PSR DB(310)는 국가별로 구분해 관리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각 국가별로 분산배치돼 운영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검색시스템의 구성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품목분류코드 검색방법을 도면을 참조해 순차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품목분류코드 검색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시스템의 품목분류코드 검색결과에 대한 출력 페이지의 일실시 예를 보인 이미지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S10; 상품키워드 입력단계
사용자는 코드 검색부(100)의 입출력모듈(110)을 조작해서 검색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상품키워드를 페이지(10)의 키워드입력란(11)에 입력한다. 참고로, 페이지(10)는 처리모듈(120)에서 상품키워드를 입력받기 위해 형성하는 통상적인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으로서, 예시한 페이지(10)의 모습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입출력모듈(110)은 통상적인 키보드와 모니터일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키보드 조작을 통해 상품키워드를 텍스트 입력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상품키워드로 "전화기"를 입력하였다.
사용자는 상품키워드 입력과 더불어 특정 국가에서의 해당 상품의 품목분류코드를 직접 확인하기 위한 국가 선택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페이지(10)에는 국가 선택을 위한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S20; 상품키워드 검색단계
처리모듈(120)은 입력된 상품키워드를 분석해서 상기 상품키워드는 물론 상기 상품키워드와 동의어 및 유의어(이하 '상품키워드')에 대한 단어를 검색하고, 품목분류코드의 표준 키워드(상품키워드)를 검색모듈로 전송하고, 검색모듈을 구성하는 DB검색모듈(131)은 해당 상품키워드를 중심으로 DB를 검색하며, 다른 구성인 웹검색모듈(132)은 상기 상품키워드를 검색서버(200)로 전송해서 검색을 진행한다.
검색서버(200)의 웹검색 결과는 웹검색모듈(132)로 전송되고, 웹검색모듈(132)은 상기 웹검색 결과들 중 관련 정보를 처리모듈(120)로 전송해서 웹검색모듈(132)의 검색결과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웹검색모듈(132)의 검색결과 상기 상품키워드에 해당하는 상품이 다른 국가에서 다른 상품명으로 관세 적용됨이 확인되면, 처리모듈(120)은 상기 다른 상품명에 대한 키워드를 DB검색모듈(131)로 전송하고, DB검색모듈(131)은 해당 키워드를 토대로 상기 DB를 검색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품키워드 입력시 국가를 선택한 경우 상기 검색모듈은 해당 국가 관련 검색결과물만을 제한적으로 처리해 처리모듈(120)로 전송한다.
S30; 검색결과리스트 형성단계
DB검색모듈(131)의 검색결과물을 수신한 처리모듈(120)은 상기 검색결과물을 분석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별, 구성부품별, 국가별 등으로 품목분류코드를 리스트화한 검색결과리스트 정보를 형성시킨다.
페이지(1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검색결과리스트에는 품목분류코드인 HS code와 해당 국가와 검색결과(상품)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페이지(10)에는 해당 상품키워드의 검색결과로 예시되었을 때 클릭된 횟수 등을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score가 출력되어서, 사용자가 품목분류코드 선택시 이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예시로 제시된 다수 개의 품목분류코드는 score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무작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score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모습을 제안한다.
S40; 검색결과리스트 출력단계
처리모듈(120)에서 생성한 검색결과리스트 정보는 입출력모듈(110)로 전송되고, 입출력모듈(110)은 상기 검색결과리스트 정보를 수신해서 이를 페이지(10)로 출력한다. 물론, 사용자는 자신이 키워드입력란(11)에 입력한 상품키워드와 관련하는 품목분류코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다른 국가에서 동일 상품에 대해 다르게 분류되어 있는 품목분류코드 현황도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상품별 품목분류코드를 저장하는 코드DB를 구비한 DB;
    상품키워드 및 추가상품키워드 관련 상품에 대한 품목분류코드를 상기 코드DB에서 검색하는 DB검색모듈;
    인터넷 검색을 위해 상기 상품키워드를 검색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검색서버의 검색결과물 중 추가정보를 추출해서 처리모듈로 전송하는 웹검색모듈;
    상기 상품키워드별로 검색되어 예시된 품목분류코드의 사용자의 선택 횟수에 대한 검색 이력을 기록하는 로그DB; 및
    입출력모듈로부터 전송된 상품키워드를 상기 DB검색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웹검색모듈로부터 전송된 추가정보로부터 추가상품키워드를 생성해 상기 DB검색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DB검색모듈로부터 전송된 검색결과물을 분석 처리해서 검색결과리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입출력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검색결과리스트 정보 생성시 상기 로그DB를 조회해서 상기 검색결과리스트 정보에 해당 검색 이력을 삽입하는 처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목분류코드 검색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B는 상품별 구성부품 정보를 저장하는 부품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DB검색모듈로부터 전송된 상기 검색결과물에는 상기 부품DB에서 검색된 구성부품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목분류코드 검색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품목별기준(PSR) 내용이 국가별, 상품별(품목분류코드) 및 기준별로 분류 저장된 PSR DB; 및
    상기 입출력모듈 또는 처리모듈로부터 전송된 품목분류코드 및 국가에 대한 키워드를 수신해서 상기 PSR DB를 검색하고, 해당 검색결과물을 상기 입출력모듈로 전송하는 PSR모듈;
    을 구비한 PSR 검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목분류코드 검색시스템.
KR1020120061454A 2012-06-08 2012-06-08 품목분류코드 검색시스템 KR101405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454A KR101405337B1 (ko) 2012-06-08 2012-06-08 품목분류코드 검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454A KR101405337B1 (ko) 2012-06-08 2012-06-08 품목분류코드 검색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849A KR20130137849A (ko) 2013-12-18
KR101405337B1 true KR101405337B1 (ko) 2014-06-11

Family

ID=4998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454A KR101405337B1 (ko) 2012-06-08 2012-06-08 품목분류코드 검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353B1 (ko) * 2015-03-16 2016-02-22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품목분류코드 결정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부품 소재 정보 기술 분류 체계 모델링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부품 소재 정보 기술 분류 체계 모델링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온톨로지를 이용한 품목분류코드 검색서비스, 2010년도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1권2호 *
온톨로지를 이용한 품목분류코드 검색서비스, 2010년도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1권2호*
웹 검색을 활용한 워드넷에서의 IT 전문 용어 확장, 2007년도 제1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849A (ko)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18015A1 (en) Intelligent internet system with adaptive user interface providing one-step access to knowledge
CN104239340B (zh) 搜索结果筛选方法与装置
AU2011224139B2 (en) Analysis of object structures such as benefits and provider contracts
CN103577596B (zh) 基于当前浏览页面的关键词搜索方法及装置
CN102880694B (zh) 在新标签页中加载分类频道的浏览器客户端和方法
US20130007036A1 (en) Automatic Project Content Suggestion
CN102982117B (zh) 信息搜索方法和装置
CN105677787B (zh) 信息搜索装置及信息搜索方法
CN104462505A (zh) 搜索方法和装置
US2006017903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matching business objects
US20180246880A1 (en) System for generating synthetic sentiment using multiple points of reference within a hierarchical head noun structure
US20170337232A1 (en) Methods of storing and querying data, and systems thereof
US9208200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multiple objects in enterprise content management
CN104750776B (zh) 使用元数据访问数据库平台中的信息内容
US12050652B2 (en) Service packaging method based on web page segmentation and search algorithm
US10303704B2 (en) Processing a data set that is not organized according to a schema being used for organizing data
JP2011108085A (ja) 知識構築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868225A (zh) 数据查询的方法、客户端、服务器及系统
CN104462512A (zh) 基于知识图谱的汉语信息搜索方法和装置
KR101803150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중요 판례 추출 및 정리 방법
CN105096023A (zh) 工作标准相关数据的推送系统和方法
Sneed et al. Testing big data (Assuring the quality of large databases)
CN103106234A (zh) 一种网页内容搜索方法和装置
KR101405337B1 (ko) 품목분류코드 검색시스템
CN109829033B (zh) 数据展示方法和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