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984B1 -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984B1
KR101223984B1 KR1020100085015A KR20100085015A KR101223984B1 KR 101223984 B1 KR101223984 B1 KR 101223984B1 KR 1020100085015 A KR1020100085015 A KR 1020100085015A KR 20100085015 A KR20100085015 A KR 20100085015A KR 101223984 B1 KR101223984 B1 KR 101223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ted words
tree structure
words
word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009A (ko
Inventor
김준규
한상대
채동욱
성영훈
한명관
양근복
이두식
김우현
김윤상
정진용
김수현
조동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00085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984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법률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그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관심사항의 관련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속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된,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은, (a) 사용자로부터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를 법령과 판례 및 논문을 기준으로 각각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한 관련어에 대해 상기 검색어를 중심으로, 상기 법령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과, 상기 판례를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및 상기 논문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을 포함하는 다차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ulti-layer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through a law information site}
본 발명은 법률 정보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입체적 형태로 서비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법률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그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관심사항의 관련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속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된,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가 입력되면 그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서, 예를 들면, 검색어를 포함하는 웹 사이트, 검색어를 포함하는 기사, 검색어를 포함하는 파일명을 갖는 이미지 등의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후 검색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검색 시스템은 다수의 웹사이트(또는 웹문서)들의 주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때에 따라서는 주소와 더불어 간략 내용까지도 제공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그 내용을 보고 해당 사이트에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흡족할 만한 정보를 얻을 때까지 검색된 사이트들을 이동해가며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얻기까지 많은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법률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그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관심사항의 관련어를 지속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된,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은, (a) 사용자로부터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를 법령과 판례 및 논문을 기준으로 각각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한 관련어에 대해 상기 검색어를 중심으로, 상기 법령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과, 상기 판례를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및 상기 논문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을 포함하는 다차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검색어를 국내 및 해외의 법령과 판례 및 논문 문서에서 검색하는 과정; (b-2) 상기 검색된 결과로부터 모국어 사전에 근거해 명사 이외의 단어를 적용하여 명사만을 일반용어로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는 과정; (b-2') 상기 검색된 결과로부터 법률용어사전에 근거해 법률용어들을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는 과정; (b-3) 제외어 사전에 근거해 상기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 및 상기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각각 수집해 동적 온톨로지로 생성하는 과정; 및 (b-4) 상기 동적 온톨로지에서 빈도수가 하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과,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관련어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d) 상기 법령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와, 상기 판례를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 및 상기 논문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 중 하나의 관련어가 선택되는 단계; 및 (e) 상기 선택된 관련어로 재검색(Search) 또는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제2 검색어로 하여 상기 제2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들을 법령과 판례 및 논문을 기준으로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관련어들에 대해 상기 제2 검색어를 중심으로, 상기 법령을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와, 상기 판례를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 및 상기 논문을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를 포함하는 다차원 정보를 재배열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거나, 다수의 정보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를 법령과 판례 및 논문을 기준으로 각각 추출하는 관련어 추출부; 및 상기 추출한 관련어에 대해 상기 검색어를 중심으로, 상기 법령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과, 상기 판례를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및 상기 논문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을 포함하는 다차원 정보로 제공하는 다차원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련어 추출부는, 상기 검색어를 국내 및 해외의 관련 문서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로부터 모국어 사전에 근거해 명사 이외의 단어를 적용하여 명사만을 일반용어로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상기 검색된 결과로부터 법률용어사전에 근거해 법률용어들을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여, 제외어 사전에 근거해 상기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 및 상기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각각 수집해 동적 온톨로지로 생성하며, 상기 동적 온톨로지에서 빈도수가 하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과,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관련어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차원 정보 제공부는, 상기 법령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과, 상기 판례를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및 상기 논문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중 하나의 관련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관련어로 재검색(Search)을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차원 정보 제공부는,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할 때,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제2 검색어로 하여 상기 제2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들을 법령과 판례 및 논문을 기준으로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관련어들에 대해 상기 제2 검색어를 중심으로, 상기 법령을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와, 상기 판례를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 및 상기 논문을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를 포함하는 다차원 정보를 재배열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들을 논문과 판례, 법령에 대해 한 눈에 입체적으로 볼 수 있으며, 그 외 검색어에 대한 번역어, 상위어, 하위어 등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검색어를 중심으로 추출된 관련어들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관심사항의 관련어를 계속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검색어를 입력하여 관련어를 비롯한 원하는 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찾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기능 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해 검색어 입력란을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에 따른 다차원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정보를 통해 제공된 관련어들 중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재검색을 실행할지 또는 네비게이션을 실행할지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들 중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 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정보 서비스는 찾으려는 주제와 관련하여 검색된 다양한 용어와 번역어를 볼 수 있으며, 서비스 내에서 지속적인 검색이 가능하여 사용자는 다차원 정보의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이용하여 찾으려는 주제와 적절히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용어가 나올 때까지 다차원 정보 내에서 끝없는 항해를 할 수 있고, 적정한 용어를 찾은 경우에 번역어를 보거나 재검색(Search) 기능을 이용하여 그 번역어를 중심으로 새롭게 “통합 검색”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기능 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100)은, 입력부(110), 관련어 추출부(120), 다차원 정보 제공부(130), 표시부(140) 및 검색정보 데이터베이스(150) 등을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거나, 다수의 정보 중 하나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받는다.
관련어 추출부(120)는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를 법령과 판례 및 논문을 기준으로 각각 추출한다.
또한, 관련어 추출부(120)는, 검색어를 국내 및 해외의 관련 문서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로부터 모국어 사전에 근거해 명사 이외의 단어를 제외하여 명사만을 일반용어로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또한 검색된 결과로부터 법률용어사전에 근거해 법률용어들을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제외어 사전에 근거해 부적절한 용어를 제외하고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 및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각각 수집해 동적 온톨로지로 생성하며, 동적 온톨로지에서 빈도수가 하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과,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관련어로 추출한다.
다차원 정보 제공부(130)는 추출한 관련어에 대해 검색어를 중심으로, 법령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와, 판례를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 및 논문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를 포함하는 다차원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다차원 정보는 검색어와 관련이 있다고 선정한 관련어를 종합하여 시각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즉, 검색어에 대해 대강의 개념만 있고 구체적인 용어를 모르는 경우 또는 검색어에 대해 전혀 모르는 경우에 제시된 관련어와 상하위어를 이리저리 찾아보면서 구체적으로 필요한 정보에 접근을 유도하는 서비스이다.
또한, 다차원 정보 제공부(130)는, 검색어를 중심으로 상위어 트리 구조 및 하위어 트리 구조를 더 포함하는 다차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차원 정보 제공부(130)는, 법령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와, 판례를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 및 논문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 중 하나의 관련어가 선택되면, 선택된 관련어로 재검색(Search)을 실행하거나 또는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다차원 정보 제공부(130)는,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할 때, 선택된 관련어를 제2 검색어로 하여 제2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들을 법령과 판례 및 논문을 기준으로 각각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에 대해 제2 검색어를 중심으로, 법령을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와, 판례를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 및 논문을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를 포함하는 다차원 정보를 재배열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차원 정보의 관련어는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추출한 것으로서 “법령기준”, “판례기준”, “논문기준”에 묶여 있는 것이다. 이는 시스템이 각각 법령, 판례, 논문에서 자동으로 추출한 관련어라는 의미이다. 두 번째는 시소러스(Thesaurus)라고 불리우는 용어사전에 의한 것이다. 이는 “상위어”, “하위어”에 묶여 있는 것으로서 개념적으로 상위어와 하위어를 의미한다.
표시부(140)는 검색어를 중심으로 추출한 관련어들을 각 분야별 트리 구조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재검색한 결과나 네비게이션 한 결과를 각 분야별 트리 구조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검색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검색을 위한 자료로써, 법률, 법령, 판례, 학술 논문, 관련 법제, 언론 기사문, 민원상담 문서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과로서 얻게 되는 관련어들을 그 검색어에 대응되게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컴퓨터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도록 도 3의 (가)와 같이 법률 정보 사이트를 제공하며, 접속된 사용자로부터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다(S210).
이때, 법률 정보 사이트는 도 3의 (나)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검색어 입력란을 화면 상에 제공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해 검색어 입력란을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어,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를 관련어 추출부(120)를 통해 법령과 판례 및 논문을 기준으로 각각 추출한다(S220).
여기서,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100)은 검색어를 국내 및 해외의 관련 문서(법령, 판례, 논문 등)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로부터 모국어 사전에 근거해 명사 이외의 단어를 제외하여 명사만을 일반용어로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또한 검색된 결과로부터 법률용어사전에 근거해 법률용어들을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제외어 사전에 근거해 부적절한 용어를 제외하여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 및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각각 수집해 동적 온톨로지로 생성하며, 동적 온톨로지에서 빈도수가 하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과,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관련어로 추출한다.
예를 들면,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100)은 검색어를 국내 및 해외의 법령, 판례, 논문 문서로부터 검색한 결과로부터 국어 사전에 근거하여 명사 이외의 단어를 제외하여 명사(복합명사)만을 일반용어로 추출하고, 각국 모국어 사전에 근거하여 각국 명사 이외의 단어를 제외하여 명사(복합명사)만을 일반용어로 추출한다. 이어,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100)은 국어 사전에 근거해 추출한 일반용어들과 각국 모국어 사전에 근거해 추출한 일반용어들을 그 빈도수와 함께 수집한다. 이어,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100)은 국내 법률, 판례, 논문 중에서 얻은 검색어를 포함한 검색 결과로부터 법률용어사전에 근거해 법률용어사전에 일치된 검색을 통해 한국어 법률용어를 추출하고, 해외 법률, 판례, 논문 중에서 얻은 검색어를 포함한 검색 결과로부터 각국 법률용어사전에 근거해 각국 법률용어사전과 일치된 검색을 통해 외국어 법률용어를 추출하여 그 빈도수와 함께 수집한다. 이어,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100)은 수집된 일반용어들 및 법률용어들에서, 제외어 사전에 근거해 부적절한 용어를 제외하여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예컨대 50 개의 일반용어들 및 상위 30 개의 법률용어들을 각각 수집하고 동적 온톨로지로 생성하고, 동적 온톨로지에서 빈도수가 하위에 해당되는 예를 들면 4 개의 일반용어들과,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예를 들면, 6 개의 법률용어들을 합해 10개의 관련어들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어,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100)은 추출한 관련어들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어를 중심으로(가), 법령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나)과, 판례를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다) 및 논문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라)을 포함하는 다차원 정보를 제공한다(S230).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에 따른 다차원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가 예를 들면, '선거'인 경우에, 법령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나)은 '선거인명부', '선거운동', '중앙위원회위원장', '헌법재판소규칙', '사무총장', '투표용지', '기록물관리',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정', '공직선거법', '공직선거' 등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10 개의 단어들이 관련어 트리 구조를 이룬다.
또한, 도 4에서, 검색어 '선거'에 대한 판례를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다)은 '공직선거', '공직선거법', '선거운동', '사전선거운동', '헌법소원심판', '의원선거법', '정치자금', '헌법소원', '선거부정방지법', '기부행위' 등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10 개의 단어들이 관련어 트리 구조를 이룬다.
한편,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100)은 검색어를 중심으로 상위어 트리 구조 및 하위어 트리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100)은 법령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과, 판례를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및 논문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중 하나의 관련어가 선택되면(S240-예), 선택된 관련어로 재검색(Search) 또는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실행한다(S250).
여기서,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하는 것은, 선택된 관련어를 제2 검색어로 하여 제2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들을 법령과 판례 및 논문을 기준으로 각각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에 대해 제2 검색어를 중심으로, 법령을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와, 판례를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 및 논문을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를 포함하는 다차원 정보를 재배열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체적 다차원 정보에서, 검색어 '선거'에 대한 판례를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다) 중에 사용자가 '공직선거'를 선택하면,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100)은 도 5에 도시된 (A)와 같이 선택된 관련어 '공직선거'를 제2 검색어로 하여 재검색(Search)을 실행할 지 또는 선택된 '공직선거'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실행할 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팝업 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정보를 통해 제공된 관련어들 중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재검색을 실행할지 또는 네비게이션을 실행할지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공직선거'라는 단어를 검색어로 하여 전체적으로 재검색을 요청할 수 있고, '공직선거'라는 검색어를 중심으로 다차원 정보를 재배열하는 네비게이션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100)은 검색어 '선거'에 대한 판례를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중에, 사용자가 '공직선거'라는 제2 검색어를 중심으로 다차원 정보를 재배열하는 네비게이션을 요청하면, '공직선거'라는 제2 검색어를 중심으로 논문, 판례, 법령 등의 내용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10 개의 단어들을 관련어로 추출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한 관련어들에 대해 제2 검색어 '공직선거'를 중심으로(가), 법령을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나)와, 판례를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다) 등을 포함하는 다차원 정보를 재배열하여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들 중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 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100)은 다차원 정보로써 시소러스를 바탕으로 검색어에 대한 상위어 및 하위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법률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으면, 그 검색어에 해당하는 관련어들을 판례, 법령, 논문 등의 분야 별로 추출하고, 추출한 관련어들을 검색어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트리(Tree) 구조 형태의 다차원 정보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관심사항의 관련어를 지속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된,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를 빠른 시간 내에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검색 사이트나 검색 서버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를 각 분야별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사이트나 검색 서버 등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를 검색어를 중심으로 모두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사이트나 검색 서버 등에 적용할 수 있다.
100 :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 110 : 입력부
120 : 관련어 추출부 130 : 다차원 정보 제공부
140 : 표시부 150 : 검색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8)

  1. (a)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를 법령과 판례 및 논문을 기준으로 각각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한 관련어에 대해 상기 검색어를 중심으로, 상기 법령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과, 상기 판례를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및 상기 논문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을 포함하는 다차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검색어를 국내 및 해외의 법령과 판례 및 논문 문서에서 검색하는 과정; (b-2) 상기 검색된 결과로부터 모국어 사전에 근거해 명사 이외의 단어를 제외하여 명사만을 일반용어로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는 과정; (b-2') 상기 검색된 결과로부터 법률용어사전에 근거해 법률용어들을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는 과정; (b-3) 제외어 사전에 근거해 부적절한 용어를 제외하여 상기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 및 상기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각각 수집해 동적 온톨로지로 생성하는 과정; 및 (b-4) 상기 동적 온톨로지에서 빈도수가 하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과,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관련어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d) 상기 법령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과, 상기 판례를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및 상기 논문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중 하나의 관련어가 선택되는 단계; 및
    (e) 상기 선택된 관련어로 재검색(Search) 또는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제2 검색어로 하여 상기 제2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들을 법령과 판례 및 논문을 기준으로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관련어들에 대해 상기 제2 검색어를 중심으로, 상기 법령을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와, 상기 판례를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 및 상기 논문을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를 포함하는 다차원 정보를 재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
  5.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거나, 다수의 정보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들을 법령과 판례 및 논문을 기준으로 각각 추출하는 관련어 추출부; 및
    상기 추출한 관련어들에 대해 상기 검색어를 중심으로, 상기 법령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과, 상기 판례를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및 상기 논문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을 포함하는 다차원 정보를 제공하는 다차원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어 추출부는, 상기 검색어를 국내 및 해외의 관련 문서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로부터 모국어 사전에 근거해 명사 이외의 단어를 제외하여 명사만을 일반용어로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상기 검색된 결과로부터 법률용어사전에 근거해 법률용어들을 빈도수와 함께 수집하며, 제외어 사전에 근거해 부적절한 용어를 제외하여 상기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 및 상기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각각 수집해 동적 온톨로지로 생성하며, 상기 동적 온톨로지에서 빈도수가 하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일반용어들과, 빈도수가 상위에 해당되는 일정 개수의 법률용어들을 관련어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차원 정보 제공부는, 상기 법령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과, 상기 판례를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및 상기 논문을 기준으로 한 트리 구조의 관련어들 중 하나의 관련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관련어로 재검색(Search)을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차원 정보 제공부는,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중심으로 네비게이션할 때, 상기 선택된 관련어를 제2 검색어로 하여 상기 제2 검색어에 대한 관련어들을 법령과 판례 및 논문을 기준으로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관련어들에 대해 상기 제2 검색어를 중심으로, 상기 법령을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와, 상기 판례를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 및 상기 논문을 기준으로 한 관련어들의 트리 구조를 포함하는 다차원 정보를 재배열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원 정보 서비스 시스템.
KR1020100085015A 2010-08-31 2010-08-31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223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015A KR101223984B1 (ko) 2010-08-31 2010-08-31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015A KR101223984B1 (ko) 2010-08-31 2010-08-31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009A KR20120021009A (ko) 2012-03-08
KR101223984B1 true KR101223984B1 (ko) 2013-01-24

Family

ID=4612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015A KR101223984B1 (ko) 2010-08-31 2010-08-31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9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007B1 (ko) 2017-11-21 2018-08-06 주식회사 인텔리콘 연구소 시각화 내비게이션 방식의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3965A (ko)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인텔리콘 연구소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5981A (ja) * 1999-09-02 2001-03-23 Ntt Data Corp 検索システム、検索条件受付方法及び記録媒体
KR20090116013A (ko) * 2008-05-06 2009-11-11 주식회사 인텔렉추얼애드 키워드 트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00068964A (ko) * 2008-12-15 2010-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관 질의어 추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5981A (ja) * 1999-09-02 2001-03-23 Ntt Data Corp 検索システム、検索条件受付方法及び記録媒体
KR20090116013A (ko) * 2008-05-06 2009-11-11 주식회사 인텔렉추얼애드 키워드 트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00068964A (ko) * 2008-12-15 2010-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관 질의어 추천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965A (ko)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인텔리콘 연구소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1886007B1 (ko) 2017-11-21 2018-08-06 주식회사 인텔리콘 연구소 시각화 내비게이션 방식의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009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1700B2 (en) Methods and computer-program products for searching patent-related documents using search term variants
KR101052631B1 (ko) 동시 발생빈도를 이용한 검색어에 대한 연관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200367B1 (ko) 통합 법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0900770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searching based on user interest awareness
JP6758454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の検索結果提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CN107016020A (zh) 利用垂直建议辅助搜索请求的系统和方法
US11232137B2 (en) Methods for evaluating term support in patent-related documents
KR20140050217A (ko) 키워드 연관 관계 시각화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8700624B1 (en) Collaborative search apps platform for web search
CN103761340A (zh) 信息处理方法和装置
CN104008180A (zh) 结构化数据与图片的关联方法与关联装置
JP2014081918A (ja) 検索語自動完成機能と連動する推薦結果の提供方法
KR20200007066A (ko)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정보 제공 서버의 제어 방법
KR101223984B1 (ko)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13946721A (zh) 数据查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40026796A (ko) 맞춤형 특허분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78655A (ko) 동적 키워드 추출과 처리 시스템
KR101382365B1 (ko) 법률 정보 사이트를 이용한 정보 지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45236A (ko) 스크랩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223987B1 (ko) 동적 온톨로지를 이용한 관련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43625B1 (ko) 지역 정보와 웹사이트 정보의 통합 관리를 위한 통합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및 시스템과 그에 의해 생성된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검색 결과 제공 방법
KR20070052027A (ko) 입력한 단어의 우선 순위 설정에 따른 키워드 검색 장치,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20150378970A1 (en) Method for displaying webpages
KR101059032B1 (ko) 검색 스키마 설정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72041A (ko) 인터넷 검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인터넷 검색결과를 화면에 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