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169B1 -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169B1
KR101405169B1 KR1020120105050A KR20120105050A KR101405169B1 KR 101405169 B1 KR101405169 B1 KR 101405169B1 KR 1020120105050 A KR1020120105050 A KR 1020120105050A KR 20120105050 A KR20120105050 A KR 20120105050A KR 101405169 B1 KR101405169 B1 KR 101405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human body
movement
unit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404A (ko
Inventor
김현명
김형국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5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169B1/ko
Publication of KR20140039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이 개시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대상의 이동을 감지하여 이동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감지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상기 대상의 온도를 감지하여 인체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인체감지부; 및 상기 이동감지 신호 및 상기 인체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AUTOMATIC SAFETY SYSTEM FOR UPPER PART OF ELEVATOR CAR}
본원은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 수리 및 점검을 위해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 탑승할 때,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 탑승한 후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서 별도의 수동 조작을 하여야만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이 정지되고 엘리베이터 카의 제어가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 탑승하더라도 엘리베이터 카의 제어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 또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계속 이루어지므로 의도치 않은 외부 제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 탑승한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정지시키고 엘리베이터 카의 제어를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서만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별도의 수동 조작을 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안전 문제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엘리베이터 카 수리에 있어 불편함이 있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엘리베이터 카 상부 탑승 시 자동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정지되고 엘리베이터 카의 제어가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서 가능하도록 자동으로 전환되게 하는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대상의 이동을 감지하여 이동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감지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상기 대상의 온도를 감지하여 인체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인체감지부; 및 상기 이동감지 신호 및 상기 인체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동감지부 및 인체감지부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 탑승한 작업자를 감지함으로써 작업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해 자동으로 엘리베이터 카 운행을 정지시키고 엘리베이터 카 제어가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서만 가능하도록 자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의도치 않은 외부 제어에 의해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작업자의 엘리베이터 카 수리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이동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인체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이동감지부 및 인체감지부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초음파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이하 '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라 함)(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이동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인체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이동감지부 및 인체감지부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은 초음파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은 이동감지부(1)를 포함한다.
이동감지부(1)는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대상의 이동을 감지한다.
여기에서 대상이라 함은 사람, 동물, 물체 등 엘리베이터 카 상부(9)로 진입하는 이동체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를테면 대상은 작업자와 같이 사람일 수도 있고, 쥐, 나방, 바퀴벌레와 같은 동물일 수도 있으며, 공구함과 같은 물체일 수도 있다.
이때, 이동감지부(1)가 일정 크기 이하인 대상의 이동은 감지하지 않도록 이동감지부(1)의 민감도(sensitivity)를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여기서, 일정 크기 이하인 대상의 이동은 먼지와 같은 파티클의 이동, 날파리 와 같은 소형 벌레의 이동 등의 미세한 이동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감지부(1)는 대상의 이동을 감지하면 후술할 인체감지부(3)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동감지부(1)는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둘레에 대한 대상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감지부(1)는 대상의 엘리베이터 카 상부(9) 둘레를 통한 진입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감지부(1)는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둘레로부터 일정 범위(110) 내에서 대상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일정 범위(110)란 대상이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둘레를 통해 진입할 때 행할 수 있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감지부(1)는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둘레 전체에 대하여 대상의 이동을 감지함으로써, 대상이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둘레 내에서 어떤 진입로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상부(9)로 진입하든 대상을 감지할 수 있다.
이동감지부(1)는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감지유닛(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이동감지유닛(11)은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초음파 센서의 모드는 Echo Mode(도 6의 (a) 참조) 및 Opposed Mode(도 6의 (b) 참조)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6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Echo Mode 는 초음파의 송신기 및 초음파 수신기가 일체형인 반향 모드 초음파 센서기(71)를 통해 운용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반향 모드 초음파 센서기(71)는 음파를 송신하고 송신된 음파가 물체(79)에 의해 반사되면 반사된 음파를 다시 수신함으로써 물체를 검출한다. 그리고 도 6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Opposed Mode 는 초음파 송신기(73) 및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기(75)를 분리된 형태로 포함하는 대향 모드 초음파 센서기를 통해 운용되는데, 초음파 송신기(73)에서 송신된 음파를 초음파 수신기(75)가 감지하지 못하면 물체의 존재를 검출한다.
예시적으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동감지유닛(11)은 송신부(111) 및 수신부(113)를 포함하며, 상술한 Opposed Mode에 따른 감지 체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이동감지유닛(11)의 송신부(111)는 이웃하는 이동감지유닛(11)의 수신부(113)로 초음파를 송신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둘레에 대한 감지 체계를 형성한다. 즉, 이동감지유닛(11)의 송신부(111)가 송신한 초음파를 이웃하는 이동감지유닛(11)의 수신부(113)가 수신하지 못하면, 해당 둘레 영역에 대상이 진입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는 육면체 구조를 가지고, 복수 개의 이동감지유닛(11)은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각 꼭지점부(95)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 상부(9)는 대략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는 이동감지유닛(11)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각형 형상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9)의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은 인체감지부(3)를 포함한다.
인체감지부(3)는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대상의 온도를 감지하여 인체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인체감지 신호는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감지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 변화량) 이상의 온도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출력될 수 있다.
인체감지부(3)는 인체감지유닛(31)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인체감지유닛(31)으로는 열선 감지기(RIP Sensor)가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선 감지기는 인체에서 발산되는 적외선(열)을 받아서 감지할 수 있는데, 온도 감지 범위(엘리 내에 외부 조건에 의하여 발생한 온도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 이를 인체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이라 함은 일정한 상수로 정해진 온도 변화량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서 T ℃ 이상의 온도 변화가 일정 시간 내에 감지되면 인체감지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은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온도와 인체의 평균 체온 사이의 차이가 계절별, 시간별로 달라짐을 고려하여 그 값이 일정 시간간격마다 재산정하는 변수일 수도 있다. 이러한 미리 설정된 기준은 열선 감지기에 통상 적용되는 기준일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인체감지부(3)는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서 사람에 의한 온도 변화를 감지하면 인체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인체감지 신호는 대상의 온도가 인간의 체온 범위로 감지되는 경우 출력될 수 있다.
인간의 체온이 대략 36~37 ℃임을감안하면, 인체감지부(3)가 감지할 수 있는 인간의 체온범위는 예를 들어 34~40 ℃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출력된 인체감지 신호는 후술할 제어부(5)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인체감지부(3)는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전체 범위에 대하여 대상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대상은 엘리베이터 카 상부(9) 내에 어디든 위치할 수 있다. 특히, 본원을 통해 보호하고자 하는 작업자(사람)의 경우에도 점검 또는 작업을 위해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다양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작업자의 정확한 감지를 위해서는, 인체감지부(3)가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전체 범위에 대하여 대상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체감지부(3)는 이동감지부(1)로부터 이동감지 신호를 전달받았을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이동감지부(1)에 의해 대상의 이동이 감지되면 인체감지부(3)는 이동이 감지된 대상이 사람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대상이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둘레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 진입하여 탑승하면, 일차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둘레에서 이동감지부(1)를 통해 대상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동이 감지되면 이동감지부(1)는 이동감지 신호를 인체감지부(3)로 출력하고 이동감지부(1)의 신호를 받은 인체감지부(3)는 이동이 감지된 대상이 사람인지 판별하는데, 대상이 사람이라면 인체감지부(3)는 감지하여 인체감지 신호를 제어부(5)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감지부(1)의 신호를 받아 활성화된 인체감지부(3)가 사람을 감지하지 못한다면, 이동이 감지된 대상은 사람이 아닌 바, 인체감지부(3)는 감지 상태를 해제하여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동감지부(1)에 의해 감지된 대상은 예시적으로, 쥐나 큰 나방 같은 동물일 수 있으나, 이렇게 이동감지부(1)에 의해 감지된 동물은 인체감지부(3)의 인체 감지를 통해 필터링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 탑승한 대상에 대한 판별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인체감지부(3)는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인체감지유닛(31)을 포함할 수 있다.
인체감지유닛(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서 대상에 의한 온도 변화량을 감지하여 그 대상이 사람임을 검출할 수도 있고, 또는 대상의 온도를 감지하여 대상의 온도가 인간의 체온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별하여 그 대상이 사람임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인체감지유닛(31)의 인체 감지 방식은 상술한 방식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인체감지유닛(31)은 3개이고, 3개의 인체감지유닛(31)은 삼각형을 이루도록 삼각형의 꼭지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체감지유닛(31)은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전체 범위에 대하여 대상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감지 범위(310)는 인체감지유닛(31)의 전방으로 부채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체감지유닛(31)을 복수 개 조합하여 엘리베이터 카 상부(9) 전체에 대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인체감지유닛(31)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체감지유닛(31)은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4개의 모서리를 따라 3개가 설치되되, 3개의 인체감지유닛(31) 중 2개는 4개의 모서리 중 제1 모서리의 일측 및 타측(도 3 기준 양측 아래쪽 꼭지점부)에 각각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인체감지유닛(31) 2개가 배치된 모서리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3 모서리의 중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3모서리의 중심에 설치된 인체감지유닛(31)은 제1 모서리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나머지 2개의 인체감지유닛(31)은 제3 모서리의 중심에 설치된 인체감지유닛(31)의 좌우를 각각 바라보도록 설치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상부(9) 전체에 대한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 상부(9) 전체에 대한 감지가 충분히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인체감지유닛(31)에 적용되는 센서기기 한대당 정해진 감지범위를 고려하였을 때 셋 이상의 인체감지유닛(31)이 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인체감지유닛(31)의 배치 개수 및 배치 위치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체감지유닛(31)에 적용되는 센서기기의 감지범위, 성능 등을 고려하여 배치 위치, 배치 개수 등을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은 제어부(5)를 포함한다.
도 1를 참조하면, 제어부(5)는 이동감지 신호 및 인체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정지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카를 수리하기 위해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 탑승하더라도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이 가능해 작업자에 대한 안전 문제가 있었다.
반면에, 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은 이동감지부(1) 및 인체감지부(3)를 통해 작업자가 감지되면 제어부(5)에 의해 자동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이 정지되는 바, 작업자에 대한 안전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제어부(5)는 이동감지 신호 및 인체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서만 엘리베이터 카의 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점검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점검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9)에서 별도의 수동 조작을 해야 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 탑승한 작업자가 별도의 수동 조작을 하기 전에는 엘리베이터 카에 대하여 의도치 않은 외부 제어가 가능해 작업자는 위험에 노출될 수 있었고, 수리에 있어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그러나 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은 대상이 감지되면 제어부(5)에 의해 자동으로 점검 모드가 활성화 될 수 있는 바,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성 및 엘리베이터 카 수리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모드를 전환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용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드는 상술한 점검 모드와 엘리베이터 카 내부 및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일반 모드일 수 있다.
모드는 점검 모드 및 일반 모드 즉, 2개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점검 모드는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서만 엘리베이터 카의 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 점검 및 수리를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모드이다. 한편, 일반 모드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일반 탑승객이나 승강장의 탑승 대기자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 카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모드이다.
엘리베이터 제어용 스위치는 이동감지 신호 및 인체감지 신호가 출력됨으로써 전환된 점검 모드를 일반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 작업자가 탑승하면 이러한 작업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 엘리베이터 카는 자동으로 운행이 중지되고, 자동으로 점검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다만,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서 점검 또는 작업을 마치고 나면, 이렇게 자동으로 전환된 점검 모드를 다시 일반 모드로 돌리고, 엘리베이터 카(9)의 운행을 정상화시킬 필요가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용 스위치는 이러한 모드 전환 및 운행 정상화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원은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 작업자가 탑승하는 것을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카 상부(9)로 제어권을 넘김(점검 모드)으로써,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제어용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는 한, 엘리베이터 카 상부(9) 이외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를 불가능하게 만들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제어용 스위치는 후술할 제어 장치(93)에 일체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펜스(91)를 포함할 수 있다.
펜스(91)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 탑승한 사람이 엘리베이터 카 상부(9)의 외측으로 추락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어 사람의 안전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 이동감지부(1) 및 인체감지부(3)는 펜스(91)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감지부(1) 및 인체감지부(3)는 펜스(91)에 고정되어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점검 모드 하에서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 탑승한 사람은 제어 장치(93)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어 장치(93)에는 전술한 엘리베이터 제어용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 상부(9)에 탑승한 사람은 제어 장치(93)에 구비된 엘리베이터 제어용 스위치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의 모드를 점검 모드 및 일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들에 기반하여 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의 작용을 간략히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감지부(1)가 대상의 이동을 감지(S10)하면 이동감지부(1)는 인체감지부(3)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동감지부(1)의 신호를 받은 인체감지부(3)는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인체감지부(3)가 대상을 감지(S30)함으로써 대상이 사람임이 판별되면, 인체감지부(3)는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5)에 전달할 수 있다. 인체감지부(3)의 신호를 받은 제어부(5)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정지시키고(S50), 엘리베이터 카의 모드를 점검 모드로 전환(S70)할 수 있다. 점검 모드는 대상이 엘리베이터 제어용 스위치를 통해 일반 모드로 전환하면 해제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이동감지부 11: 이동감지유닛
111: 송신부 113: 수신부
110: 일정 범위 3: 인체감지부
31: 인체감지유닛 310: 감지 범위
5: 제어부 9: 엘리베이터 카 상부
91: 펜스 93: 제어 장치
95: 꼭지점부 71: 반향 모드 초음파 센서기
73: 초음파 송신기 75: 초음파 수신기
79: 물체

Claims (16)

  1.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둘레에 대한 대상의 이동을 감지하여 이동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감지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전체 범위에 대하여 상기 대상의 온도를 감지하여 인체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인체감지부; 및
    상기 이동감지 신호 및 상기 인체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체감지부는 상기 이동감지부로부터 상기 이동감지 신호를 전달받았을 때 활성화되며,
    상기 인체감지 신호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감지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의 온도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또는 상기 대상의 온도가 인간의 체온 범위로 감지되는 경우 출력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감지 신호 및 상기 인체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서만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점검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모드를 전환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용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는 상기 점검 모드(Inspection Mode)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부 및 승강장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일반 모드인 것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용 스위치는 상기 이동감지 신호 및 상기 인체감지 신호가 출력됨으로써 전환된 상기 점검 모드를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감지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동감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동감지유닛은 초음파센서인 것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개의 인체감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유닛은 3개이고,
    상기 3개의 인체감지유닛은 삼각형을 이루도록 상기 삼각형의 꼭지점 상에 배치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인체감지유닛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4개의 모서리를 따라 3개가 설치되되,
    3개의 상기 인체감지유닛 중 2개는 4개의 모서리 중 하나의 모서리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인체감지유닛 2개가 배치된 모서리의 반대편에 위치한 모서리의 중심에 설치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펜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감지부 및 상기 인체감지부는 상기 펜스에 설치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KR1020120105050A 2012-09-21 2012-09-21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KR101405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050A KR101405169B1 (ko) 2012-09-21 2012-09-21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050A KR101405169B1 (ko) 2012-09-21 2012-09-21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404A KR20140039404A (ko) 2014-04-02
KR101405169B1 true KR101405169B1 (ko) 2014-06-13

Family

ID=5065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050A KR101405169B1 (ko) 2012-09-21 2012-09-21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1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5880B2 (en) 2017-07-03 2022-10-1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aintenance space projection syste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8976B (zh) 2016-03-18 2020-06-09 奥的斯电梯公司 电梯安全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057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자동차 탑승객 소지품 분실방지 경보장치
WO2001081225A1 (fr) * 2000-04-26 2001-11-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commutation en mode de maintenance pour un ascenseur
WO2008056398A1 (en) * 2006-11-06 2008-05-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057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자동차 탑승객 소지품 분실방지 경보장치
WO2001081225A1 (fr) * 2000-04-26 2001-11-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commutation en mode de maintenance pour un ascenseur
WO2008056398A1 (en) * 2006-11-06 2008-05-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5880B2 (en) 2017-07-03 2022-10-1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aintenance space projec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404A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1787B1 (en) Condition detecting system and method
US8648292B2 (en) Safety photoelectric switch
US7490841B2 (en) Passenger detection system
JP4701290B2 (ja) 移動体の放射線結像検査方法および放射線結像検査システム
US10113694B2 (en) Time-of-flight safety photoelectric barrier and method of monitoring a protective field
KR101186999B1 (ko)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2505651A (ja) 閉動作中のドアに近づく小さな障害物を検出する安全システム
TW200837662A (en) Heat-ray sensor
CN102648117A (zh) 用于监视从车辆入口到建筑部分的上车或下车区域的监视装置和方法
JP2008096414A (ja) 移動目標の高速結像検査設備及び方法
KR20170069212A (ko) 객실의 비접촉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장치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US7663737B2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monitoring sensor device
US11346977B2 (en) Security sensor device
KR20170014913A (ko) 주차장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KR101405169B1 (ko)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WO2019223643A1 (zh) 集装箱车辆检查系统和集装箱车辆检查方法
KR20170006505A (ko) 장애물 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스크린도어용 장애물감지 시스템
KR101908314B1 (ko) 열차 승강장안전문용 인체 및 사물 감시 안전시스템
TWI585029B (zh) 跌倒偵知裝置及乘客輸送裝置
KR101596270B1 (ko) 충전전로용 안전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2012548B1 (ko) 로봇의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US20150314688A1 (en) Variable gain reference antenna for non-contact charging device
CN208156192U (zh) 分体式无线检测器
US20100254570A1 (en) Device for controlling a driven movement element, particularly a door or a gate
CN110002311A (zh) 装载超高预警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