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070B1 - 검색어 자동 완성과 연동되는 미리보기 콘텐트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검색어 자동 완성과 연동되는 미리보기 콘텐트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070B1
KR101405070B1 KR1020120067828A KR20120067828A KR101405070B1 KR 101405070 B1 KR101405070 B1 KR 101405070B1 KR 1020120067828 A KR1020120067828 A KR 1020120067828A KR 20120067828 A KR20120067828 A KR 20120067828A KR 101405070 B1 KR101405070 B1 KR 101405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predicted
preview content
word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542A (ko
Inventor
김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넛
Priority to KR1020120067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070B1/ko
Priority to JP2012205158A priority patent/JP2014006864A/ja
Publication of KR20140000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4Converting codes to words; Guess-ahead of partial word inpu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어 자동완성과 연동되는 미리보기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인터넷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이 검색 페이지의 검색박스에서 검색어 입력을 개시하는 단계와, 자동완성 검색 시스템이 검색어 예측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박스의 아래쪽으로 예상 검색어 리스트를 표시함과 동시에, 예상 검색어 리스트 표시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미리보기 콘텐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검색어 리스트에 특정 예상 검색어 위로 입력수단이 위치하거나 예상 검색어가 선택되는 경우에, 해당 예상 검색어에 대응하는 미리보기 콘텐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검색어 자동 완성과 연동되는 미리보기 콘텐트 제공 방법 {METHOD OF PROVIDING QUICK VIEW CONTENT COUPLED WITH KEYWORD AUTOFILL}
본 발명은 검색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검색어를 자동완성하여 검색결과를 표시해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이 발달한 시대에서는 검색 엔진을 통해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예컨대 구글 웹사이트에서 우리는 검색어를 입력하여 원하는 정보를 손쉽게 취득할 수 있게 된다. 검색기술은 한편으로는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하여 검색엔진이 정확하고 빠르게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는 검색어(키워드)와 밀접한 관련을 갖게 되므로, 검색어 자체에 관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되는 경향을 보였다.
검색어에 관한 자동완성기술은 특히 후자와 관련된다. 자동완성기술은 사용자가 검색박스에 문자를 입력하기 시작하면 자소단위를 분해해서 검색어를 미리 예측하여 추천해주는 기술로써, 사용자에게 좀더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자동완성기능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이 시스템에 설치된다. 검색박스에 검색어를 입력하기 시작하면, 시스템은 검색박스 아래쪽으로 예상검색어 목록을 제시한다. 또한 검색어 입력이 진행됨에 따라 제시목록을 실시간으로 바꾸어 표시하게 된다. 자동완성으로 제시된 예상검색어 목록 중, 원하는 검색어가 있다면, 마우스를 옮겨서 클릭하는 것만으로 검색어입력이 가능해진다.
자동완성기술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검색어의 일부만 입력해도 원하는 검색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동완성기술의 또 다른 장점은 검색어를 정확히 기억하고 있지 못할 때에도 예상검색어에 의해서 원하는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자동완성으로 제시된 복수의 검색어 중에서 사용자에게 새로운 흥미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고, 이는 사용자가 새로운 정보를 얻게 되는 계기가 될 수 있었다.
최근 자동완성 기술에 더해서 콘텐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가 행해졌다. 대표적으로 구글검색이 그러하다. 도 5는 인터넷 사이트의 사용자 화면(100)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검색박스(110)에 검색어를 입력하기 시작하면, 밑의 리스트 영역(120)에 예상검색어 리스트를 표시해준다. 이때 메인 페이지(130)도 예상검색어에 대응하여 결과값을 표시한다. 즉 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예상검색어를 자동완성하면서 메인 페이지에 검색결과를 함께 표시한다는 것이다. 가급적 신속하게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은 구글과 같이 검색전용 사이트에서는 어느 정도 효용성이 있지만, 메인 페이지(130)에 게시된 정보에 독립된 의미성이 있는 경우에는 전혀 적합하지 않았다. 그것은 검색어의 자동완성 알고리즘에 웹 사이트를 종속시켜버리기 때문에, 대부분의 웹 사이트의 경우에는 사용자와 운영자 모두에게 불편함과 불쾌감을 초래한다. 예컨대 메인 페이지(130)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웹 사이트가 온라인 마켓으로 기능하는 경우, 공공기관의 웹 사이트, 언론사 웹 사이트, 포털 사이트 등, 대부분의 웹 사이트에서는 메인 페이지(130)를 검색어의 자동완성 알고리즘과 연동하여 바꾸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발명가들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페이지에서의 이동이 없어도 검색어의 자동완성기능을 이용하여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 선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의 “메인 페이지”라 함은 검색박스와 독립된 영역으로서 해당 웹 사이트가 주되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웹 페이지 영역을 의미하며, 검색어를 입력하여 검색을 요청했을 때 검색결과가 표시되는 영역이기도 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터넷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이 검색 페이지의 검색박스에서 검색어 입력을 개시하는 단계;
자동완성 검색 시스템이 검색어 예측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검색박스의 아래쪽으로 예상 검색어 리스트를 표시함과 동시에, 예상 검색어 리스트 표시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미리보기 콘텐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검색어 리스트에 특정 예상 검색어 위로 입력수단이 위치하거나 예상 검색어가 선택되는 경우에, 해당 예상 검색어에 대응하는 미리보기 콘텐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자동완성과 연동되는 미리보기 콘텐트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색 페이지는 구매 또는 대여 가능한 물건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검색 페이지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자동완성과 연동되는 미리보기 콘텐트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콘텐트는 검색어로 미리 등록되는 검색 대상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하며, 이미지 영역과 텍스트 영역으로 구분되는 콘텐트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자동완성과 연동되는 미리보기 콘텐트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미리보기 콘텐트를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하는 경우에 비로소 상기 미리보기 콘텐트에 포함된 URL로 검색 페이지의 메인 페이지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자동완성과 연동되는 미리보기 콘텐트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자동완성 추출모듈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어와 미리보기 콘텐트를 추출하는 단계;
(b) 추출된 검색어와 미리보기 콘텐트를 금칙어 사전으로 필터링 한 후 키워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c) 자동완성 캐시 모듈로 키워드 파일을 캐시 파일로 만드는 단계; 및
(d) 상기 캐시 파일을 캐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검색어가 입력될 때, 상기 캐시 서버가 검색어를 예상 검색어로 추천하고, 상기 미리보기 콘텐트를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결과 페이지를 본 다음에 원하는 항목별 상세 페이지로 이동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소망하는 페이지를 미리 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검색결과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의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관한 전체 프로세스를 예시한 플로우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사용되는 자동완성 검색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자동완성 프로세스에 따른 화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검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1)은 인터넷 사이트의 검색 페이지(100)에 접속한다. 인터넷 사이트는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은 자신이 원하는 정보에 대해서 검색을 통해 접근을 한다. 검색은 검색박스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검색 페이지(100)를 통해 수행된다. 검색 페이지(100)는 인터넷 사이트의 구성요소이며, 검색 결과는 해당 인터넷 사이트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게 된다. 자원의 관리와 데이터의 처리는 인터넷 사이트의 관리 서버(200)가 담당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의 기능과 역할은 주된 관심사가 아니다. 그것은 종래에 널리 알려진 구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관리 서버(200) 구성의 다양한 변형에 의해 본 발명의 정신이 제한되지 않기 때문이다.
사용자 단말의 검색어 입력에 대해서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완성 알고리즘에 의해 검색어 예측 프로세스가 실행되는데, 이런 자동완성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되고 제시되는 예상 검색어들은 캐시 서버(300)가 담당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예상 검색어들은 리스트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검색어들과 각각 대응되는 상세 정보가 한 개의 쌍으로서 저장되며 추출될 수 있다. 자동완성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되는 것은 예상 검색어와 그것과 대응되는 상세정보이며, 이 상세정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미리보기 콘텐트로 표출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캐시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추출한 검색어와 상세정보를 자동완성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자 단말(1)에 제시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이 실행되는 바람직한 사용자 화면(100)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사용자 화면(100)은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인터넷 사이트의 검색 페이지를 나타낸다.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검색박스(110)를 포함한다.
이 인터넷 사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이 온라인으로 구매 또는 대여할 수 있는 물건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일 수 있다. 예컨대 물건을 구매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로는 대표적으로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가 있다.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는 매우 많은 상품 정보가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카테고리를 이용해서 상품정보에 접근하거나 또는 검색을 통해서 상품정보에 접근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후자에 초점을 둔다. 온라인 쇼핑몰로는 전자제품과 생활용품 등의 유형의 물건을 판매하는 사이트뿐만 아니라 무형의 콘텐츠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아마존TM과 같은 도서판매 사이트나 앱스토어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사이트를 포함한다.
검색박스(110)에 사용자 단말이 검색어를 입력하기 시작하면 통상은 예상 검색어 리스트 영역(120)에 예상 검색어 리스트가 표출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이때 사용자가 예상 검색어를 선택하거나 또는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 요청 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메인 페이지(130)는 검색 결과 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 검색 결과 페이지는 1개 이상의 검색결과를 표시하게 되고, 다시 사용자 단말은 검색 결과 페이지의 리스트에서 어느 한 개를 선택함으로써 소망하는 최종 검색결과 정보에 접근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최종 검색결과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예상 검색어 리스트 영역(120)에 자동완성에 따른 예상 검색어 리스트를 표시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예상 검색어 리스트 영역(120)에 인접하게, 바람직하게는 우측으로, 미리보기 콘텐트(150)를 표시하는 것이다.
예상 검색어 리스트 영역(120)에 표시되는 예상 검색어 순서는 알고리즘에 의해 정해지게 된다. 즉 예상 적중률이 가장 높은 검색어가 맨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도 2에서 맨 위쪽에 위치한 예상 검색어 “aaa” (121)에 대한 상세 정보가 미리보기 콘텐트(150)로 표시될 수 있다. 가장 예상 적중률이 높은 검색어, 즉 제일 상위에 노출되는 예상 검색어에 대한 상세 정보가 미리보기 콘텐트(150)로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입력하는 검색어가 변경, 예컨대 음절단위로 변경됨에 따라서 자동완성되는 예상 검색어도 변경되고, 최상위 노출 예상 검색어도 자동으로 변경된다. 그에 따라 최상위 노출 예상 검색어에 대한 미리보기 콘텐트(150)도 자동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2에서 사용자 단말이 “aab”라는 예상 검색어 위로 입력수단을 위치시키거나(예컨대, mouse over), “aab”를 선택하는 경우에, 미리보기 콘텐트(150)는 “aab”에 대응하는 미리보기 콘텐트로 변경된다.
미리보기 콘텐트(150)는 예상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미지 영역(151)과 텍스트 영역(15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인터넷 사이트가 전자 도서관 또는 온라인 서점이라고 한다면, 이미지 영역(151)에는 예상 검색어로 완성된 명칭의 도서의 표지 이미지가 표출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영역(152)에는 해당 도서의 명칭, 저자, 출판사, 가격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미리보기 콘텐트(150)는 해당 예상 검색어의 웹 페이지를 나타내는 URL을 포함한다. 미리보기 콘텐트(150)를 입력수단으로 선택함에 따라 해당 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미리보기 콘텐트를 보는 것만으로도 해당 예상 검색어가 자기가 원하는 것인지를 바로 알 수 있으며, 별도의 검색결과 페이지로의 이동 없이, 미리보기 콘텐트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검색결과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전체 프로세스를 개괄적으로 예시하였다. 먼저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이 검색 페이지의 검색박스에서 검색어 입력을 개시한다(S100).
검색박스에서 검색어 입력이 개시되기 시작하면 인터넷 사이트에 설치된 검색엔진은 자동완성 알고리즘을 실행하면서 검색어 예측 프로세스를 개시한다(S110).
검색어 예측 프로세스 실행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검색 시스템은 캐시 서버(300)에 자동완성을 위한 캐시 파일을 미리 구축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자동완성 추출모듈(340)은 데이터베이스(400)에서 검색어(310)와 상세정보(320)를 추출한다. 상세정보(320)는 물건의 명칭, 그 물건에 대한 기입력된 상세정보, 이미지, URL을 포함한다. 추출된 검색어와 상세정보는 금칙어 사전(330)으로 필터링 한 후에 키워드 파일(350)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자동완성 캐시모듈(360)은 키워드 파일(350)을 캐시 파일(380)로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캐시 파일은 캐시 서버(300)로 전송되는 것이다. 검색어 예측 프로세스는 캐시 서버(300)와 사용자 단말의 상호 작용에 의해 실행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S100 단계가 실행됨에 따라서 인터넷 사이트의 검색 시스템은 입력된 검색어를 Ajax로 자동완성을 요청하게 되고, 캐시 파일(380)에서 검색어와 일치되는 물건 정보를 조회하게 된다. 캐시 서버(300)는 그 조회결과를 전달한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사용자 단말이 입력하고 있는 검색어에 대해서 예상 검색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20), 예상 검색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의 검색어 입력에 대기 상태가 되며(예상 검색어가 끝까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후의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예상 검색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1개 이상의 예상 검색어 리스트를 예상 검색어 리스트 영역에 표시한다(S130). 바람직하게는 예상 검색어 리스트 영역은 검색 박스 밑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상 검색어 리스트를 표시하는 상기 S130 단계는 필수적으로 미리보기 콘텐트를 예상 검색어 리스트 영역에 인접하여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예상 검색어들과 1개의 미리보기 콘텐트는 동시에 서로 인접하여 표시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최초로 표시되는 미리보기 콘텐트는 예상 검색어 리스트 중에서 최상의 위치로 노출되는 예상 검색어에 대응하는 콘텐트가 표시된다.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이 특정 예상 검색어를 선택하는 경우(예를 들어, 마우스 오버 또는 마우스 클릭)(S140), 선택된 예상 검색어에 대한 콘텐트로 미리보기 콘텐트의 표시를 변경한다(S150).
사용자 단말의 검색어 입력이 더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예상 검색어가 바뀌고, 최상위에 표시되는 예상 검색어 또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면 미리보기 콘텐트 또한 변경되게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5)

  1. (1) 인터넷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이 검색 페이지의 검색박스에서 검색어 입력을 개시하는 단계;
    (2) 자동완성 검색 시스템이 검색어 예측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
    (3) 상기 검색박스의 아래쪽으로 1개 이상의 예상 검색어 리스트를 표시함과 동시에, 예상 검색어 리스트 표시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미리보기 콘텐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4) 복수의 상기 예상 검색어 리스트 중 특정 예상 검색어 위로 입력수단이 위치하거나 예상 검색어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미리보기 콘텐트를 해당 예상 검색어에 대응하는 미리보기 콘텐트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검색어 예측 프로세스에 있어서 자동완성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되고 제시되는 예상 검색어 리스트는 자동완성을 위한 캐시 파일을 미리 구축하는 캐시 서버를 포함한 상기 자동완성 검색 시스템의 구조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에 제시되며,
    상기 (2) 단계를 실행하는 상기 자동완성 검색 시스템의 구조는,
    (a) 상기 자동완성 검색 시스템의 자동완성 추출모듈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어와 미리보기 콘텐트를 추출하는 단계;
    (b) 추출된 검색어와 미리보기 콘텐트를 금칙어 사전으로 필터링 한 후 키워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c) 자동완성 캐시 모듈이 키워드 파일을 캐시 파일로 만드는 단계; 및
    (d) 상기 캐시 파일을 캐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검색어가 입력될 때, 상기 캐시 서버가 상기 (3) 단계를 실행하여 검색어를 예상 검색어로 추천하고, 상기 미리보기 콘텐트를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것인, 검색어 자동완성과 연동되는 미리보기 콘텐트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페이지는 구매 또는 대여 가능한 물건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검색 페이지인, 검색어 자동완성과 연동되는 미리보기 콘텐트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콘텐트는 검색어로 미리 등록되는 검색 대상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하며, 이미지 영역과 텍스트 영역으로 구분되는 콘텐트인, 검색어 자동완성과 연동되는 미리보기 콘텐트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미리보기 콘텐트를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하는 경우에 비로소 상기 미리보기 콘텐트에 포함된 URL로 검색 페이지의 메인 페이지를 변경하는 것인, 검색어 자동완성과 연동되는 미리보기 콘텐트 제공 방법.
  5. 삭제
KR1020120067828A 2012-06-25 2012-06-25 검색어 자동 완성과 연동되는 미리보기 콘텐트 제공 방법 KR101405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828A KR101405070B1 (ko) 2012-06-25 2012-06-25 검색어 자동 완성과 연동되는 미리보기 콘텐트 제공 방법
JP2012205158A JP2014006864A (ja) 2012-06-25 2012-09-19 検索語自動完成と連動するプレビューコンテンツの提供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828A KR101405070B1 (ko) 2012-06-25 2012-06-25 검색어 자동 완성과 연동되는 미리보기 콘텐트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542A KR20140000542A (ko) 2014-01-03
KR101405070B1 true KR101405070B1 (ko) 2014-06-10

Family

ID=50104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828A KR101405070B1 (ko) 2012-06-25 2012-06-25 검색어 자동 완성과 연동되는 미리보기 콘텐트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4006864A (ko)
KR (1) KR1014050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145B1 (ko) * 2014-09-25 2016-02-11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연관 질의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989512B2 (en) 2018-08-29 2024-05-21 Ipactory Inc. Patent document creating device, method, computer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erver and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5236102A1 (en) * 2014-03-25 2016-11-03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US11157573B2 (en) * 2014-11-20 2021-10-26 Rakuten Group, Inc.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7292452B1 (ja) 2022-02-18 2023-06-16 ヤフー株式会社 提案装置、提案方法および提案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2364A (ko) * 2005-05-27 2006-11-30 엔에이치엔(주) 자동완성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KR20100109689A (ko) * 2009-04-01 2010-10-11 조영환 바로가기가 포함된 검색어 자동완성 서비스 서버 및 서비스 방법
KR20100112512A (ko) * 2009-04-09 2010-10-19 (주)아이오다인 검색 장치 및 검색 방법
KR20120029560A (ko) * 2010-09-17 2012-03-27 장부중 검색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2364A (ko) * 2005-05-27 2006-11-30 엔에이치엔(주) 자동완성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KR20100109689A (ko) * 2009-04-01 2010-10-11 조영환 바로가기가 포함된 검색어 자동완성 서비스 서버 및 서비스 방법
KR20100112512A (ko) * 2009-04-09 2010-10-19 (주)아이오다인 검색 장치 및 검색 방법
KR20120029560A (ko) * 2010-09-17 2012-03-27 장부중 검색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145B1 (ko) * 2014-09-25 2016-02-11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연관 질의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989512B2 (en) 2018-08-29 2024-05-21 Ipactory Inc. Patent document creating device, method, computer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erver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542A (ko) 2014-01-03
JP2014006864A (ja)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2515B2 (en) Surfacing applications based on browsing activity
US92627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izing services for inline mobile banner advertising
KR20140016247A (ko) 광고주에게 추상 오브젝트에 대한 입찰 기회 제공
US201103204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ing a keyword of a web page with video content
US201300543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izing services for images
US201103210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odular Configurable Creative Units For Delivery Via Intext Advertising
KR101387914B1 (ko) 검색어 자동 완성 기능과 연동되는 추천 결과 제공 방법
US201300546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izing a toolbar
US201402499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warding users to merchant websites
EP28206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input suggestions in input fields of a specific type in web pages
US9679081B2 (en) Navigation control for network clients
KR101405070B1 (ko) 검색어 자동 완성과 연동되는 미리보기 콘텐트 제공 방법
JP2007279901A (ja) ドキュメントに関連するデータを送信する方法
WO2012176507A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表示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10339195B2 (en) Navigation control for network clients
JP2013008208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表示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101350525B1 (ko) 질의에 대응하는 탭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방법 및 그 장치
JP5788240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表示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20130110647A1 (en) Semantic Tagged Ads
KR20200079108A (ko) 이벤트 연계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3033445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izing a toolbar, an image and inline mobile banner advertising
KR101494516B1 (ko) 웹 히스토리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TW201407515A (zh) 網路購物資訊處理方法、系統與電腦可讀取儲存媒體
KR101122023B1 (ko) 멀티링구얼 정보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i New techniques of search engine optimization in web-development–Case Runf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