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013B1 - Entrained flow gasification reactor - Google Patents

Entrained flow gasification re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013B1
KR101405013B1 KR1020120104779A KR20120104779A KR101405013B1 KR 101405013 B1 KR101405013 B1 KR 101405013B1 KR 1020120104779 A KR1020120104779 A KR 1020120104779A KR 20120104779 A KR20120104779 A KR 20120104779A KR 101405013 B1 KR101405013 B1 KR 101405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gas
reaction chamber
unit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7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8258A (en
Inventor
김의식
홍진표
이중원
박세익
김성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2010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013B1/en
Publication of KR20140038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2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0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723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gasification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13Carbonaceous raw material
    • C10J2300/093Co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53Gasifying agents
    • C10J2300/0956Air or oxygen enriched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53Gasifying agents
    • C10J2300/0973Water
    • C10J2300/0976Water as stea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dustrial Gases (AREA)

Abstract

가스화 반응의 부산물로 생성되는 슬래그를 이용하여 합성가스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분류층 가스화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분류층 가스화 장치는 석탄, 산화제 및 증기를 원료로 가스화 반응시켜 합성가스를 제조하고, 상기 원료의 가스화 반응에 의한 부산물로 슬래그가 생성되는 분류층 가스화 장치에 있어서, 내부로 상기 원료가 투입되어 가스화 반응하는 반응실; 상기 반응실 내에 구성되며, 상기 슬래그를 냉각제로 냉각시키는 슬래그 냉각부; 및 상기 슬래그 냉각부에서 상기 슬래그와 냉각제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수소와 증기를 포함한 슬래그 가스를 추출하여 상기 반응실의 합성가스 배출경로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가스공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공급수단은 상기 반응실의 상기 냉각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래그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반응실의 합성가스 배출경로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슬래그 가스가 상기 합성가스의 배출경로에 주입되는 주입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에 의하면, 슬래그를 냉각시켜 수소와 증기를 포함하는 가스를 생산함으로써, 합성가스의 생산량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회성분이 많이 함유된 저급탄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합성가스 생산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isclosed is a fractionation bed gas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he amount of synthesis gas produced using slag produced as a by-product of a gasification reaction.
The disclosed cracked bed gasification apparatus comprises a gasification reaction of coal, an oxidizing agent and a vapor as raw materials to produce a syngas, and slag is produced as a by-product by the gasification reaction of the raw material, A gasification reaction chamber; A slag cooling part formed in the reaction chamber for cooling the slag with a coolant; And a gas supply unit configured to extract a slag gas containing hydrogen and steam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he slag and the coolant in the slag cooling unit and supply the extracted slag gas to the synthesis gas discharge path of the reaction chamber, A discharge unit provided at the cooling unit side of the reaction chamber and discharging the slag gas; And an injection unit provided in a syngas discharge path of the reaction chamber, wherein the slag ga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is injected into a discharge path of the syngas.
According to such a gasifier for a stratified bed, by producing a gas containing hydrogen and steam by cooling the slag,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improving the production amount of the synthesis gas. In particular, even in the case of using a low-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securing the synthesis gas production amount.

Description

분류층 가스화 장치{ENTRAINED FLOW GASIFICATION REACTO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ification apparatus for gasification,

본 발명은 분류층 가스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화 반응의 부산물로 생성되는 슬래그를 이용하여 합성가스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분류층 가스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ctionation bed gasific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actionation bed gas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he production amount of synthesis gas by using slag produced as a by-product of gasification reaction.

석탄가스화(Coal Gasification) 기술은 고온·고압 하에서 석탄, 산화제(공기 또는 산소) 및 스팀(증기)을 주입하여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가스를 제조하는 기술이다. 가스화공정에서 제조된 합성가스는 전력생산, 합성천연가스생산, 화학물질 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Coal gasification technology is a technology for producing syngas composed mainly of carbon monoxide and hydrogen by injecting coal, oxidizing agent (air or oxygen) and steam (steam)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yngas produced in the gasification process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ower generation, synthetic natural gas production, and chemical production.

석탄가스화기에는 운전형태에 따라 고정층, 유동층, 분류층 가스화기로 구분되어진다. 이 중 분류층 가스화기는 다른 가스화기에 비해 고온·고압 하에서 운전되어, 높은 탄소전환율과 냉가스효율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현재 상업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The coal gasifier is classified into fixed bed, fluidized bed, and classified bed gasifier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Among these, the gasifier operates at higher temperature and pressure than other gasifiers, has the advantages of high carbon conversion and cold gas efficiency, and is currently the most widely used commercially.

일반적으로 분류층 가스화기의 운영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가스화반응의 반응물로 투입되는 석탄, 산화제, 스팀의 비율을 조절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기술개발이 진행된 분류층 가스화기에서는 분류층 가스화기가 지닌 고온·고압이라는 운전 제한조건에 의해 운전 인자인 산화제/석탄, 스팀/석탄 등의 변화에 제한이 있어 원하는 합성가스 생산량의 증가와 최적의 조성을 얻을 수 없다.Generally, to optimize the operation of the gasifier, the ratio of coal, oxidant, and steam to the reactants in the gasification reaction is controlled. However, in the classifier gasifier, which has been developed until now,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change of the oxidizer / coal and steam / coal, which are driving factors, due to the operation restriction conditions of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of the classifier gasifier, An optimum composition can not be obtained.

또한, 현재까지는 분류층 가스화기에 역청탄 또는 아역청탄의 고급탄이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나, 경제적 및 자원이용 측면에서 원료로 저급탄이 사용될 전망이다. 그러나, 저급탄이 원료로 사용될 경우, 석탄에 함유된 소량의 가스화 성분과 다량의 회성분에 의해 합성가스 생산량 감소와 조성의 변화가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Up to now, high-grade coal of bituminous coal or sub-bituminous coal has been used as raw material in the gasification furnace for classifying bed, but low carbon will be used as raw material in terms of economic and resource utilization. However, when low-grade coal is used as a raw materi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synthesis gas is decreased and the composition is changed by a small amount of gasification component and a large amount of ash component contained in co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회성분이 많은 저급탄을 사용하여도 합성가스의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류층 가스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actionation bed gas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production amount of syngas even by using low carbon having a large amount of ash.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석탄, 산화제 및 증기를 원료로 가스화 반응시켜 합성가스를 제조하고, 상기 원료의 가스화 반응에 의한 부산물로 슬래그가 생성되는 분류층 가스화 장치에 있어서, 내부로 상기 원료가 투입되어 가스화 반응하는 반응실; 상기 반응실 내에 구성되며, 상기 슬래그를 냉각제로 냉각시키는 슬래그 냉각부; 및 상기 슬래그 냉각부에서 상기 슬래그와 냉각제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수소와 증기를 포함한 슬래그 가스를 추출하여 상기 반응실의 합성가스 배출경로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가스공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공급수단은 상기 반응실의 상기 냉각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래그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반응실의 합성가스 배출경로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슬래그 가스가 상기 합성가스의 배출경로에 주입되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분류층 가스화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ttain at least part of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roducing a synthesis gas by reacting coal, an oxidizing agent and a vapor with a raw material to produce a syngas, A reaction chamber in which the raw material is charged into the reaction chamber and gasified; A slag cooling part formed in the reaction chamber for cooling the slag with a coolant; And a gas supply unit configured to extract a slag gas containing hydrogen and steam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he slag and the coolant in the slag cooling unit and supply the extracted slag gas to the synthesis gas discharge path of the reaction chamber, A discharge unit provided at the cooling unit side of the reaction chamber and discharging the slag gas; And an injection part provided in a syngas discharge path of the reaction chamber, wherein the slag ga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rt is injected into a discharge path of the syngas.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반응실에는 상기 합성가스의 배출경로에 주입된 상기 슬래그 가스 중에서 증기를 추출하는 증기추출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증기추출부는 추출한 증기가 수성 가스 전환 공정에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 전화로에 연결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eaction chamber may be provided with a steam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steam from the slag gas injected into the discharge path of the syngas, and the steam extracting unit may extract steam from the slag gas,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분류층 가스화 장치는 상기 가스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슬래그 가스의 일부를 정제하여 수소가스(H2)를 제조하는 가스 정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gasific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gas purif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gas supply unit to purify a portion of the slag gas to produce hydrogen gas (H 2 ).

또 한편, 상기 분류층 가스화 장치는 상기 가스 정제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 정제부로부터 황화수소(H2S)를 공급받아 황산화 처리하여 산용액을 제조하는 산화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gasifier may further include an oxidation unit connected to the gas purification unit to supply hydrogen sulfide (H 2 S) from the gas purification unit and subject to sulfation to produce an acid solution.

바람직하게, 상기 산화처리부는 제조한 산용액을 상기 냉각부로 공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oxidation treatment section can supply the produced acid solution to the cooling section.

한편, 상기 냉각부는 산(acid) 및 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각제로 상기 슬래그를 냉각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cooling unit may cool the slag with a coolant that includes at least one of acid and water.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슬래그를 냉각시켜 수소와 증기를 포함하는 가스를 생산함으로써, 합성가스의 생산량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회성분이 많이 함유된 저급탄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합성가스 생산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production of the synthesis gas can be improved by cooling the slag to produce a gas containing hydrogen and steam.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securing the synthesis gas production amou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슬래그를 냉각시켜 생성된 가스를 사용하여, 합성가스를 냉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synthesis gas can be cooled by using the gas produced by cooling the sla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슬래그를 냉각시켜 생성된 가스에 함유된 다량의 증기를 수성 가스 전환 공정에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a large amount of steam contained in the generated gas by cooling the slag can be used for the water gas conversion proces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에서 슬래그를 냉각시킬 수 있어, 별도의 슬래그 냉각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고온 상태의 슬래그를 곧바로 냉각시킬 수 있어 슬래그의 냉각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의 생성속도를 증가시킨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ol the slag in one apparatus, no separate slag cooling apparatus is required, and the slag in a high temperature state can be immediately coole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gas generation rate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슬래그를 냉각시켜 생성된 가스를 정제하여 고순도 수소가스를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purity hydrogen gas by purifying the produced gas by cooling the slag.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슬래그의 냉각제를 하나의 장치 내에서 생산하므로, 추가적인 원료공급이 필요하지 않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olant for slag is produced in one apparatu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supply of additional raw material is not requi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gasification apparatus for a stratified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lassification-layer gas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gasification apparatus for a stratified b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rst, referring to FIG. 1, a classification-layer gas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gasification apparatus for a stratified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100)는 반응실(110) 및 냉각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120)에서 슬래그의 냉각시 발생하는 가스를 처리하는 가스공급수단(130)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gasification apparatus 100 for a stratified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ction chamber 110 and a cooling unit 120. In the cooling unit 120, The gas supply means 130 for processing the generated gas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반응실(110)은 내부로 원료가 투입되어 가스화 반응이 이루어지는 구조물이다. 반응실(110)은 내벽이 멤브레인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하로 긴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action chamber 110 is a structure in which a raw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reaction chamber 110 to perform a gasification reaction. The inner wall of the reaction chamber 110 may be formed of a membrane wall, and may be formed of a long structure.

일 실시예에서, 반응실(110)에는 합성가스 배출경로(112), 버너(114), 보일러 급수 공급부(116) 및 슬래그 배출부(118)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action chamber 110 may include a syngas discharge path 112, a burner 114, a boiler feedwater supply 116, and a slag discharge 118.

여기서, 합성가스 배출경로(112)는 반응실(1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가스화 반응을 통해 생성된 합성가스(CO + H2)가 반응실(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syngas discharge path 11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ction chamber 110, and a path through which the syngas (CO + H 2 ) generated through the gasification reac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action chamber 110 .

또한, 상기 버너(114)는 가스화 반응의 원료인 석탄, 산화제 및 증기가 반응실(110) 내로 공급되는 원료 주입구 기능을 가지며 동시에, 공급된 원료를 반응실(110) 내에서 연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burner 114 has a function of a raw material inlet for supplying coal, oxidizing agent and steam, which are the raw materials of the gasification reaction, into the reaction chamber 110, and at the same time, burns the supplied raw materials in the reaction chamber 110 can do.

또한, 상기 보일러 급수 공급부(116)는 반응실(110) 내에서 증기 생성에 사용되기 위한 보일러 급수(BWF) 주입구 기능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oiler feedwater supply unit 116 may have a boiler feedwater (BWF) inlet function for use in generating steam in the reaction chamber 110.

그리고, 상기 슬래그 배출부(118)는 반응실(110)에서 원료의 가스화 반응에 의한 부산물로 생성되는 슬래그를 반응실(1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슬래그 배출부(118)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119)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밸브(11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각이 완료된 슬래그와 슬래의 냉각시 생성된 부산물 액체를 배출시킬 때 개방될 수 있다.The slag discharging unit 118 may discharge the slag generated as a by-product by the gasification reaction of the raw material in the reaction chamber 110 to the outside of the reaction chamber 110. Here, the slag discharging part 118 may be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11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The on-off valve 119 can be opened when discharging the by-product liquid generated during cooling of the slag and the slaves which have been cooled as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냉각부(120)는 반응실(110) 내에 구성되며, 슬래그를 냉각제를 사용하여 냉각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cooling unit 120 is configured in the reaction chamber 110, and the slag can be cooled using a coolant.

일 실시예에서, 냉각부(120)는 반응실(110) 내부의 하단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냉각부(120)에는 액상의 냉각제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냉각부(120)에는 냉각부(120)로 냉각제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제 공급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oling unit 12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ction chamber 110, and the cooling unit 120 may store a liquid coolant. To this end, the cooling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 coolant supply unit 122 for supplying coolant to the cooling unit 120.

이와 같은 구성에서, 반응실(110)의 가스화 반응 영역에서 석탄이 가스화 반응을 거쳐 생성된 슬래그는 반응실(110)의 하단부에 구성된 냉각부(120)로 낙하할 수 있고, 낙하한 슬래그는 냉각제에 침지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slag generated through the gasification reaction of the coal in the gasification reaction zone of the reaction chamber 110 can fall into the cooling section 12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ction chamber 110, Lt; / RTI >

여기서, 냉각제로는 산(예를 들어, H2SO4) 및 물(W, H2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액체가 사용될 수 있다.Here, as the cooling agent, a liquid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n acid (for example, H 2 SO 4 ) and water (W, H 2 O) may be used.

이와 같이 산 및 물로 구성된 냉각제는 슬래그와 반응하여, 다음 반응식 예와 같이 합성가스(CO + H2)의 구성 성분인 수소(H2)를 발생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olant composed of acid and water reacts with the slag to generate hydrogen (H 2 ), which is a constituent of the syngas (CO + H 2 ), as shown in the following reaction formula.

<반응식 예><Reaction Example>

(1) Fe(s) + H2SO4(aq) → H2(g) + FeSO4(aq)(1) Fe (s) + H 2 SO 4 (aq) → H 2 (g) + FeSO 4 (aq)

(2) 2K(s) + 2H2O(l) → H2(g) + 2KOH(aq)(2) 2K (s) + 2H 2 O (1)? H 2 (g) + 2KOH (aq)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100)는 하나의 장치 내에서 슬래그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슬래그 냉각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을 필요로 하지 않다는 효과가 있다.
The gasification apparatus for a cracked lay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s configured to cool the slag in one apparatus and does not require a cost for installing a separate slag cooling apparatus It is effective.

한편, 상기 가스공급수단(130)은 슬래그 냉각부(120)에서 슬래그와 냉각제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슬래그 가스를 추출하여 반응실(110)의 합성가스 배출경로(112)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래그 가스는 수소(H2)와 증기(H2O)를 포함한다.The gas supply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the slag gas generated by the reaction between the slag and the coolant in the slag cooling unit 120 and supply the extracted slag gas to the synthesis gas discharge path 112 of the reaction chamber 110 have. Here, the slag gas includes hydrogen (H 2 ) and steam (H 2 O).

이러한 동작을 위해, 일 실시예에서, 가스공급수단(130)은 배출부(132) 및 주입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this operation, in one embodiment, the gas supply means 130 may comprise a discharge section 132 and an injection section 134.

여기서, 상기 배출부(132)는 반응실(110)의 냉각부(120) 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배출부(132)를 통해 냉각부(120)에서 생성된 슬래그 가스가 반응실(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discharge part 132 may be provided on the cooling part 120 side of the reaction chamber 110 and the slag gas generated in the cooling part 120 may be supplied to the reaction chamber 110 through the discharge part 132, As shown in FIG.

참고로, 반응실(110) 내의 가스화 반응 영역은 고온·고압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냉각부(120)에서 슬래그 가스가 반응실(110) 내의 가스화 반응 영역으로 이동하여 합성가스 배출경로(112)로 이동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냉각부(120)의 슬래그 가스가 배출부(13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Since the gasification reaction region in the reaction chamber 110 is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he slag gas moves to the gasification reaction region in the reaction chamber 110 in the cooling unit 120 having a relatively low pressure, 112). Therefore, the slag gas of the cooling part 12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rt 132. [

그리고, 상기 주입부(134)는 반응실(110)의 합성가스 배출경로(112) 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배출부(132)로부터 배출된 슬래그 가스는 배출부(132)와 주입부(134)를 연결하는 유로를 따라 주입부(134)에 이동되고 주입부(134)를 통해 합성가스 배출경로(112)에 주입될 수 있다.The slag ga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rt 132 may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art 132 and the injection part 134 And then injected into the syngas discharge path 112 through the injecting part 134. In this case,

여기서, 합성가스 배출경로(112)에 주입된 슬래그 가스는 반응실(110)에서 원료의 가스화 반응에 의해 생성된 합성가스와 혼합될 수 있다.Here, the slag gas injected into the syngas discharge path 112 may be mixed with the syngas produced by the gasification reaction of the raw material in the reaction chamber 110.

한편, 반응실(110)에는 합성가스 배출경로(112)에 주입된 슬래그 가스 중에서 증기(H2O)를 추출하는 증기추출부(140)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reaction chamber 110 may further include a vapor extraction unit 140 for extracting steam (H 2 O) from the slag gas injected into the syngas discharge path 112.

또한, 이러한 증기추출부(140)는 추출한 증기가 수성 가스 전환 공정에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 전화로(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Further, the steam extracting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a telephone (not shown) so that the extracted steam is used for the water gas conversion process.

여기서, 수성 가스 전환 공정은 가스화 장치를 이용한 가스화 공정의 후행 공정으로서, 일산화탄소와 수증기를 반응시켜 수소농도를 증가시키는 공정이다.
Here, the water gas conversion step is a step of performing a gasification step using a gasification apparatus, which is a step of increasing the hydrogen concentration by reacting carbon monoxide and water vapor.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100)는, 가스화 반응의 부산물인 슬래그를 냉각제를 사용하여 냉각시켜 합성가스의 구성 성분인 수소(H2)와 증기(H2O)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소(H2)와 증기(H2O)를 합성가스와 혼합시킴으로써, 합성가스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the gasification apparatus 100, the slag, which is a byproduct of the gasification reaction, is cooled using a coolant to produce hydrogen (H 2 ) and steam (H 2 ), which are constituent components of the synthesis gas, 2 O), and the produced hydrogen (H 2 ) and steam (H 2 O) are mixed with the synthesis gas to increase the production amount of the synthesis gas.

또한, 슬래그 가스에는 다량의 증기(H2O)가 포함되며, 이러한 다량의 증기(H2O)가 증기추출부(140)를 통해 추출되어 수성 가스 전환 공정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수성 가스 전환 공정에 필요한 추가 증기 생성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Also, the slag gas contains a large amount of steam (H 2 O), and such a large amount of steam (H 2 O) can be extracted through the steam extracting unit 140 and used for the water gas conversion process, The amount of additional steam generated necessary for the conversion process can be reduced.

또한, 슬래그 가스는 가스화 반응에 의해 생성된 합성가스보다 온도가 낮으므로, 가스공급수단(130)을 통해 슬래그 가스가 합성가스에 혼합되면, 합성가스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slag gas is lower than that of the synthesis gas generated by the gasification reaction, when the slag gas is mixed with the synthesis gas through the gas supply means 130, the effect of reducing the temperature of the synthesis gas can be obtained.

이를 통해, 종래에 배출되는 합성가스의 냉각을 위해 가스화 장치에서 배출되어 냉각된 합성가스를 다시 배출되는 합성가스와 혼합시키기 위한 배관망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piping network for mixing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cation unit and the syngas discharged again to cool the discharged syngas.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2, a classification-layer gas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lassification-layer gas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100-1)는 가스공급수단(130)에 연결되어 슬래그 가스의 일부를 정제하여 수소가스(H2)를 제조하는 가스 정제부(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2, the gasifier 10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gas supply unit 130 to purify a part of the slag gas to generate hydrogen gas (H 2 ) And may further include a gas purification unit 150 that manufactures the gas.

여기서, 가스공급수단(130)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100)에 포함된 가스공급수단(1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 the gas supply unit 13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gas supply unit 130 included in the gas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do.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스 정제부(150)는 가스공급수단(130)의 유로에서 분기된 유로를 통해 슬래그 가스의 일부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가스 정제 공정(예를 들어, 산처리 공정)을 통해 공급받은 슬래그 가스로부터 고순도의 수소가스(H2)를 제조할 수 있다.2, the gas purifier 150 may receive a portion of the slag gas through a flow path branched from the flow path of the gas supply means 130, and may perform a gas purification process (for example, an acid treatment It is possible to produce high purity hydrogen gas (H 2 ) from the slag gas supplied through the process.

이와 같이, 제조된 고순도 수소가스(H2)는 화학물질 연료 합성, 수소터빈, 연료 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Thus produced high purity hydrogen gas (H 2 )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hemical fuel synthesis, hydrogen turbine, and fuel cell.

즉,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100-1)는 슬래그 가스를 통해 합성가스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고순도 수소가스(H2)도 제조할 수 있다.
That is, the stratified bed gasification apparatus 10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production amount of the syngas through the slag gas, and can also produce the high purity hydrogen gas (H 2 ).

마지막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nally, referring to FIG. 3, a classification-layer gas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gasification apparatus for a stratified b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100-2)는 가스 정제부(150)에 연결되어, 가스 정제부(150)로부터 황화수소(H2S)를 공급받아 황산화 처리(Wet Sulfuric acid 공정)하여 산용액을 제조하는 산화처리부(1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3, the gasification apparatus 10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gas purification unit 150, and hydrogen sulfide (H 2 S And an oxidizing unit 160 for producing an acid solution by a sulfur sulfuric acid process.

여기서, 가스 정제부(150)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100-1)에 포함된 가스 정제부(1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 the gas purifier 15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gas purifier 150 included in the gasifier 10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산화처리부(160)는 가스 정제부(150)에서 고순도 수소가스(H2)를 제조할 때 생성된 황화수소(H2S)를 공급받아 황산화 처리하여 산용액의 일 예로서, 황산(H2SO4)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xidation processing unit 160 receives the hydrogen sulfide (H 2 S) produced when the high purity hydrogen gas (H 2 ) is produced in the gas purifying unit 150, As an example of the solution, a sulfuric acid (H 2 SO 4 ) solution can be prepared.

또한, 산화처리부(160)는 제조한 산용액을 반응실(110)의 냉각부(120)에 구비된 냉각제 공급부(122)를 통해 냉각부(120)로 공급할 수 있다.The oxidation processing unit 160 can supply the prepared acid solution to the cooling unit 120 through the coolant supply unit 122 provided in the cooling unit 120 of the reaction chamber 110.

이와 같이, 냉각부(120)로 공급된 산용액은 슬래그의 냉각제로 사용될 수 있다.Thus, the acid solution supplied to the cooling section 120 can be used as a coolant for the slag.

즉,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100-2)는 슬래그 가스를 통해 합성가스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고순도 수소가스(H2)도 제조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산용액을 제조하여 슬래그의 냉각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추가적인 별도의 공정을 통해 슬래그의 냉각제를 제조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at is, the gasification apparatus 100-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can increase the production amount of the synthesis gas through the slag gas, and can also produce the high purity hydrogen gas (H 2 ) In addition, an acid solution can be prepared and used as a coolant for the slag, so that there is no need to prepare the slag coolant through an additional separate process.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100)에서, 슬래그는 반응실(110) 내에서 곧바로 냉각과정을 거치므로, 슬래그가 고온상태일 때 냉각반응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슬래그를 반응실(110)의 외부로 배출하여 냉각시키는 경우보다 슬래그 가스 생성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1 to 3, the slag is subjected to a cooling process immediately in the reaction chamber 110, so that the slag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state The cooling reaction occurs.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slag gas generation rate is faster than the case where the slag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action chamber 110 to be cool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분류층 가스화 장치(100)는 슬래그의 냉각을 통해 합성가스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가스화 반응의 원료로 사용되는 석탄으로 회성분이 많은 역청탄, 아역청탄과 같은 저급탄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기존에 고급탄을 사용한 경우의 합성가스 생산량과 동등한 합성가스 생산량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gas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amount of synthesis gas produced by cooling the slag, the coal used as the raw material for the gasification reaction can be used as the coal ash, Even if the same low grade coal is used, syngas production equivalent to the amount of syngas produced when high-grade carbon is used can be secured.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 would like to make it clear.

100, 100-1, 100-2 : 분류층 가스화 장치
110 : 반응실 112 : 합성가스 배출경로
114 : 버너 116 : 보일러 급수 공급부
118 : 슬래그 배출부 119 : 개폐밸브
120 : 냉각부 122 : 냉각제 공급부
130 : 가스공급수단 132 : 배출부
134 : 주입부 140 : 증기추출부
150 : 가스 정제부 160 : 산화처리부
100, 100-1, 100-2: Classification bed gasifier
110: reaction chamber 112: synthesis gas discharge path
114: burner 116: boiler water supply part
118: Slag discharging portion 119: Opening and closing valve
120: cooling section 122: coolant supply section
130: gas supply means 132:
134: Injection unit 140: Steam extraction unit
150: gas purifier 160: oxidation processor

Claims (8)

석탄, 산화제 및 증기를 원료로 가스화 반응시켜 합성가스를 제조하고, 상기 원료의 가스화 반응에 의한 부산물로 슬래그가 생성되는 분류층 가스화 장치에 있어서,
내부로 상기 원료가 투입되어 가스화 반응하는 반응실;
상기 반응실 내에 구성되며, 상기 슬래그를 냉각제로 냉각시키는 슬래그 냉각부; 및
상기 슬래그 냉각부에서 상기 슬래그와 냉각제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수소와 증기를 포함한 슬래그 가스를 추출하여 상기 반응실의 합성가스 배출경로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가스공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공급수단은,
상기 반응실의 상기 냉각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슬래그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반응실의 합성가스 배출경로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슬래그 가스가 상기 합성가스의 배출경로에 주입되는 주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층 가스화 장치.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ification apparatus for gasification in which a synthesis gas is produced by a gasification reaction of coal, an oxidizing agent and a vapor as a raw material, and slag is produced as a by-product by the gasification reaction of the raw material,
A reaction chamber into which the raw material is charged and gasified;
A slag cooling part formed in the reaction chamber for cooling the slag with a coolant; And
And a gas supply unit configured to extract slag gas containing hydrogen and steam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he slag and the coolant in the slag cooling unit to supply the slag gas to the synthesis gas discharge path of the reaction chamber,
Wherein the gas supply means comprises:
A discharge unit provided at the cooling unit side of the reaction chamber and discharging the slag gas; And
And an injection unit provided in the synthesis gas discharge path of the reaction chamber and injecting the slag ga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into the discharge path of the synthesis ga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실에는 상기 합성가스의 배출경로에 주입된 상기 슬래그 가스 중에서 증기를 추출하는 증기추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증기추출부는 추출한 증기가 수성 가스 전환 공정에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 전화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층 가스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ction chamber is provided with a steam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steam from the slag gas injected into the discharge path of the synthesis gas,
Wherein the steam extractor is connected to a telephone line so that the extracted steam is used for the water gas conversion proc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슬래그 가스의 일부를 정제하여 수소가스(H2)를 제조하는 가스 정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층 가스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as purifier connected to the gas supply means for purifying a portion of the slag gas to produce hydrogen gas (H 2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제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 정제부로부터 황화수소(H2S)를 공급받아 황산화 처리하여 산용액을 제조하는 산화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층 가스화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n oxidizing unit connected to the gas purifying unit for supplying hydrogen sulfide (H 2 S) from the gas purifying unit and sulfating the sulfuric acid to produce an acid solu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처리부는 제조한 산용액을 상기 냉각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층 가스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oxidation treatment section supplies the produced acid solution to the cooling section.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산(acid) 및 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각제로 상기 슬래그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층 가스화 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cooling unit includes:
Wherein the slag is cooled with a coolant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acid and water.
KR1020120104779A 2012-09-20 2012-09-20 Entrained flow gasification reactor KR1014050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779A KR101405013B1 (en) 2012-09-20 2012-09-20 Entrained flow gasification re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779A KR101405013B1 (en) 2012-09-20 2012-09-20 Entrained flow gasification re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258A KR20140038258A (en) 2014-03-28
KR101405013B1 true KR101405013B1 (en) 2014-06-10

Family

ID=5064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779A KR101405013B1 (en) 2012-09-20 2012-09-20 Entrained flow gasification re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01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4472A (en) * 1994-11-10 1996-05-28 Babcock Hitachi Kk Entrained-bed gasifier
KR970015791A (en) * 1995-09-26 1997-04-28 케니스 로이스 홀 Removal of volatile metals from slag using pickling
JPH11140464A (en) * 1997-11-05 1999-05-25 Babcock Hitachi Kk Coal gasification apparatus and slag discharge by the same apparatus
KR20120011444A (en) * 2010-07-29 2012-02-08 현대제철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for hydrogen using slag and burner therewit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4472A (en) * 1994-11-10 1996-05-28 Babcock Hitachi Kk Entrained-bed gasifier
KR970015791A (en) * 1995-09-26 1997-04-28 케니스 로이스 홀 Removal of volatile metals from slag using pickling
JPH11140464A (en) * 1997-11-05 1999-05-25 Babcock Hitachi Kk Coal gasification apparatus and slag discharge by the same apparatus
KR20120011444A (en) * 2010-07-29 2012-02-08 현대제철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for hydrogen using slag and burner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258A (en) 201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74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ycling carbon dioxide from biomass gasification
KR101711181B1 (en) Solid fuel staged gasification-combustion dual-bed polygeneration system and method
AU2008347043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ubstitute natural gas production
JP5686803B2 (en) Method for gasifying carbon-containing materials including methane pyrolysis and carbon dioxide conversion reaction
KR102245019B1 (en) Plant combination for producing stee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plant combination
US20080115495A1 (en) System and method employing direct gasification for power generation
JP2016531973A (en) Methanation method and power plant with carbon dioxide methanation of flue gas
KR20100135676A (en) Methods of recycling carbon dioxide to the gasification system
CN101063050B (en) Coal gas production method
KR20210040469A (en) Combined system for producing stee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ombined system
KR20160098227A (en) Combined system for producing stee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ombined system
KR20160097311A (en) Method for generating synthesis gas in conjunction with a smelting works
CN109181776B (en) Coal-based poly-gen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fuel cell power generation
JP2012528246A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producing iron and crude synthesis gas containing CO and H 2
CN103525465B (en) Coal gas production method and device using high-temperature rich oxygen and high temperature steam as gasification agent
CN104987892B (en) Chemical-power polygeneration system adopting chemical unreacted gas to moderately circulate based on graded gasification
CN208182929U (en) A kind of system by gasification and electrolysis coupling symphysis production of synthetic gas
KR101405013B1 (en) Entrained flow gasification reactor
KR20150071292A (en) Dual fluidized bed gasifier
KR20140038672A (en) Igcc with co2 removal system
JP5583062B2 (en) Hydrocarbon feed gasifier
CN105263891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methane
US7883682B2 (en) Carbon dioxide rich off-gas from a two stage gasification process
US201401911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omass gasification
CN218811547U (en) Coal gasification high-pressure grey water power generation grid-connecte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