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558B1 - Pronunciation corr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Pronunciation correc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3558B1 KR101403558B1 KR1020140003979A KR20140003979A KR101403558B1 KR 101403558 B1 KR101403558 B1 KR 101403558B1 KR 1020140003979 A KR1020140003979 A KR 1020140003979A KR 20140003979 A KR20140003979 A KR 20140003979A KR 101403558 B1 KR101403558 B1 KR 1014035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eth
- molar
- support portion
- pronunciation
- mandibul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8—Apparatus for correcting stammering or stutte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음 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턱을 영어 발음의 특성에 맞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음 및 발성을 용이하게 해주는 발음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nunciation correcting sphe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nunciation correcting sphere capable of appropriately maintaining an interval between maxillary molar teeth and mandibular molar teet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appliance.
우리나라 사람들이 영어 발음을 할때 가장 많이 어려워하는 부분이 단어와 단어가 원어민처럼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연결되지 않고 끊어지는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영어를 발음할때 단어가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않는 것은 호흡이 이어지지 않고 끊어지는 것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보다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은 턱의 부자연스러운 움직임 때문이다.
The most difficult part of Korean pronunciation in English is that words and words are cut off as natural and smoothly connected as native speakers. It is because of the unnatural movement of the jaw that the words are not connected naturally when the people of Korea pronounce English, because the breathing does not continue but it is broken.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원어민들은 턱이 실제 많이 벌어지지 않고 천천히 움직이면서 단어와 단어를 부드럽게 연결하여 발음하는 특성을 가진다.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발음시 턱이 힘없이 빠르게 너무 많이 아래로 툭툭 떨어지거나 벌어지는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말의 발음 특성상 턱이 아래로 빠르게 많이 벌어지게 되면 영어를 발음할때 자연스러운 리듬의 진행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며, 영어 발음의 특성에 맞게 턱을 움직이고 싶어도 오랜 기간 동안 움직여온 우리나라 말 방식의 턱의 움직임에서 벗어나는 것이 쉽지가 않아 영어 발음의 리듬감을 익히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Native speakers who speak English as their native language have the property of smoothly connecting words and words while moving the jaw slowly and not in real life. By the way, our people have the characteristic that the chin tucks down or spreads down too much without force. In this way, when the chin is spread rapidly downward due to the pronunci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horses, it becomes a factor that obstructs the progress of natural rhythm when pronouncing English. Even if you want to move the chi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pronunciation, It is very difficult to learn the rhythm of English pronunciation because it is not easy to escape from the movement of the jaw of the method.
종래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877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8712호 등과 같은 발음 교정구가 제시된 바 있으나, 대부분 입 안에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봉 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입으로 물고 발음을 하도록 구성되는 바, 부피가 커서 실제 사용시 미관상 좋지 않고, 입에 물고 발음을 할때 입을 벌리기도 어렵고 혀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어 오히려 정확한 발음이 어려워 실제 발음 교정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고, 연습시간을 따로 할애하여 연습해야만 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338779 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118712 disclose a pronunciation correcting sphere, but most of them a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ar which is arranged to horizontally cross the mouth.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actual pronunciation correcting effect because it is difficult to get a good mouth feel, and it is difficult to open the mouth and disturb the movement of the tongue.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we had to practice time separately.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발음 교정구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입안에 착용시 외관상으로 거의 티가 나지 않으면서도,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영어 발음에 효과적인 적정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턱이 과도하게 벌어지지 않게 함으로써 단어와 단어의 연결시 리듬의 공백이 길어지지 않도록 유지하여 원어민과 같은 발음 및 발성이 가능하도록 보조 및 교정하는 발음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ronunciation correcting tool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rrecting errors in English pronunciation by appropriately spacing the intervals betwee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molars So that the jaws ar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widened so as to maintain the blank space of the rhythm dur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words and the words so as not to be lengthened, thereby assisting and correcting the pronunciation and utterance of the native speak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 사이에 장착하여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영어 발음을 보조 및 교정하는 발음 교정구로서, 탄성소재로 구성되며, 상악 어금니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상악 어금니로 누르는 경우 탄성 변형되는 상악치아지지부와; 상기 상악치아지지부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탄성소재로 구성되어 하악 어금니를 상부에서 지지하고, 하악 어금니로 누르는 경우 탄성 변형되는 하악치아지지부와; 상기 상악치아지지부와 하악치아지지부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호 연결하는 부분으로, 좌우 양단부측에서 상악치아지지부와 하악치아지지부를 상하로 상호 연결하는 탄성소재 연결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rthodontic appliance which is mounted between one mandibular molar and one mandibular molar to assist and correct English pronunciation by adjusting an interval between a maxillary molar and a mandibular molar, An upper tooth supporting portion supporting the upper molar teeth at the lower portion and elastically deforming when the upper molar teeth are pressed by the upper molar teeth; A mandibular tooth support portion which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teeth support portion and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mandibular molar teeth are pressed by the mandibular molar, And an elastic material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teeth support portions and the lower and upper tooth support por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support portions.
여기서, 상기 상악치아지지부의 하부면과 하악치아지지부의 상부면의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악치아지지부와 하악치아지지부가 부딪히는 경우 완충 작용을 수행하는 완충돌기를 더 포함한다.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buffer protrus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teeth support part and a corresponding upper surface of the upper teeth support part, respectively, to perform a buffer function when the upper teeth support part and the lower teeth support part collide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상악치아지지부와 하악치아지지부의 표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incision grooves are formed concave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support parts.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악치아지지부와 하악치아지지부의 두께 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to be relatively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teeth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teeth support portion.
그리고, 상기 상악치아지지부 및 하악치아지지부의 양단부 내측은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상악치아지지부와 하악치아지지부 사이의 간격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하나의 큰 원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ide of the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support portions and the lower teeth support portion are formed so as to form a single large circular cross-sec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gap between the upper teeth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teeth support por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입안에 쉽게 착용 가능하며, 외관상으로 거의 티가 나지 않고, 혀의 움직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적정 간격으로 유지시켜, 영어 발음시 턱이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영어 발음의 리듬감을 살리면서 원어민과 같은 비강을 이용한 발성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wear in the mouth, to keep the gap betwee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molar teeth at an appropriate interval, without disturbing the movement of the tongue, It has the advantage of making it possible to speak using nasal passages like native speakers while making the rhythmic sense of English pronunciation possible by preventing excessive jaw movemen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구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구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구의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구의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nunciation correcting d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pronunciation correcting sp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pronunciation correcting sp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use state diagram of a pronunciation correcting sp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구(10)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구(10)는, 상악치아지지부(12), 하악치아지지부(14), 연결부(16a,16b) 및 완충돌기(18a,18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3, the
상기 상악치아지지부(12)는 상악 치아, 보다 상세하게는, 상악 어금니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편평하거나 상방으로 아치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며, 탄성소재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상악치아지지부(12)를 상악 어금니로 누르는 경우 상악치아지지부(12)가 탄성변형되면서 상악 어금니를 발음에 적합한 적정 위치로 유지시킨다.
The upper
상기 하악치아지지부(14)는 하악 치아, 보다 상세하게는, 하악 어금니를 상부에서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악치아지지부(12)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고, 대체로 편평하거나 하방으로 아치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며, 탄성소재로 구성된다. 아래로 볼록하게 반구형 또는 반타원구형으로 구성되며 속이 빈 탄성소재로 구성된다. 즉, 상기 하악치아지지부(14)는 상기 상악치아지지부(12)와 상하 대칭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악치아지지부(14)는 사용자가 하악어금니로 누르는 경우 탄성변형되면서 하악 어금니를 발음에 적합한 적정 위치로 유지시킨다. 여기서 발음에 적합한 적정 위치를 찾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mandibular
한편, 상기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의 표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홈(12a,14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12a,14a)은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가 너무 딱딱해 지지 않고 탄력적이면서도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가 너무 딱딱하여 탄성이 세면 치아나 턱 관절이 안좋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절개홈(12a,14a)으로 인하여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를 어금니로 물었을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역할도 한다.
A plurality of
상기 연결부(16a,16b)는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호 연결하는 부분으로, 좌우 양단부측에서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를 상하로 상호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16a,16b)는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탄성소재로 구성되며, 원활한 탄성 변형을 위하여 대체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16a,16b)는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의 두께 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구(10)를 어금니로 물었을 때 유연한 탄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연결부(16a,16b)는 상악치아지지부(12) 및 하악치아지지부(14)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이한 재질로 구성되어 초음파 용착 등에 의해 접합되거나 이중 사출, 인서트 사출 방식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The
그리고,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치아지지부(12) 및 하악치아지지부(14)의 양단부 내측은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 사이의 간격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하나의 큰 원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결부(16a,16b)의 상하 탄성 변형 범위를 넓혀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 사이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1 and 2, the inside of the both ends of the upper teeth support
이와 같이, 상기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는 양단부측에서 연결부(16a,16b)에 의해 연결되고 상하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납작한 링과 같은 입체 형상을 가지게 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 사이에 물고 발음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발음시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로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를 누르는 힘의 조절을 통하여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가 탄성변형되면서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 사이의 간격, 즉, 상악(상부 턱)과 하악(하부 턱) 사이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영어 발음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upper and lower teeth support
상기 완충돌기(18a,18b)는 상악치아지지부(12)의 하부면과 하악치아지지부(14)의 상부면의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구(10)를 어금니로 세게 물어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가 부딪히는 경우 완충 작용을 함으로써 턱과 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적절한 탄성을 유지하면서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발음에 요구되는 최소 간격으로 이격 유지시켜 준다. 상기 완충돌기(18a,18b)는 한쌍 또는 복수개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구(10)의 사용 방법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and an operation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구(10)를, 도 4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 송곳니에서부터 어금니쪽으로 치아 열을 따라 올려 놓고, 도 4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를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로 살짝 누른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영어 단어와 간단한 문장을 시험삼아 발음해보면서 발음 교정구(10)에 의해 혀의 움직임이 방해되거나 발음이 불명확해지지 않는지를 알아본다. 만약 혀가 움직이면서 발음 교정구(10)에 걸리게 되면 발음 교정구(10)를 좀더 안쪽(목쪽)으로 옮겨서 다시 발음을 해본다. 만약 소리가 다소 불명확하고 영어 발음을 하기 어렵다면,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가 너무 벌어져 있어서 그런것이니 발음 교정구(10)를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로 좀더 눌러서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좁히고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시 발음을 해본다. 이와 같은 동작의 반복에 의해 가장 명확하고 깨끗한 발음이 나오는 적정 간격(Da)을 찾아 유지하면서 발음 연습을 계속 한다.
4 (a), the
영어 발음시 턱의 간격을 너무 벌리게 되면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 사이에서 발음 교정구(10)가 빠져 나오기 때문에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 사이에 끼워져 있는 발음 교정구(10)가 빠지지 않도록 간격을 잘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적정 간격 유지를 통하여 턱이 과도하게 벌어지거나 힘 없이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발음 교정구(10)에서 허용하는 정도의 유격 정도만 턱을 움직이게 되므로 영어 발음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가 과도하게 눌려 탄성 변형되는 경우에도 발음 교정구(10)의 상하 완충돌기(18a,18b)가 서로 맞닿으면서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의 간격이 발음에 필요한 최소 간격(Dmin) 만큼 유지된다.
If the distance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is excessively large when the English pronunciation is made, the
상기 발음 교정구(10)의 위치는 상악 치아 중 송곳니에서부터 뒤쪽으로 치열을 따라 배열하며, 턱의 움직임의 균형을 위해서 한쪽에 물고 연습하다가 반대쪽으로 옮겨서 연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이러한 발음 교정구(10)의 사용에 따라, 영어 발음시 턱이 힘 없이 많이 떨어지고 어금니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원어민들이 형성하는 자연스러운 리듬감, 인토네이션과 발성을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구(10)를 사용하여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나 턱의 움직임을 컨트롤 함으로써 원어민들이 만들어내는 것과 같은 영어 리듬감과 발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순간적으로 유도해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영어 발음 교정 효과가 극대화된다.
According to the use of such a pronunciation correcting tool (10), when the English pronunciations show natural rhythm, intonation and utterance formed by native speakers who use English as their mother tongue, By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axillary molars and the mandibular molars and the movement of the jaws using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구(10)를 이용해 꾸준히 발음 연습을 하면서 영어 발음시 적정 어금니의 간격, 턱의 움직임과 발성에 익숙해지게 되면 발음 교정구(10)를 빼고 영어 발음을 하더라도 정확히 그 느낌을 살려 영어에 맞는 어금니의 간격과 리듬감, 발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lso, if the user is accustomed to the interval of the proper molar teeth, the movement of the jaws, and the vocalization in English pronunciation while performing the pronunciation training using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구(10)를 이용해서 어금니 간격을 좀더 벌리고 유지하도록 하게 하면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형성하게 되는 입 모양을 원어민이 형성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입 모양으로 자연스럽게 바꿀 수 있게 된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어금니의 간격이 가깝거나 거의 맞닿아 있기 때문에 입 모양이 그냥 풀어져 있는 것처럼 형성되는데,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은 어금니의 간격이 우리보다 더 벌어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형성되는 입 모양이 좀더 직사각형의 모양을 형성하게 되고 이 입 모양은 비강을 울리는 영어 발성을 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영어 발음을 좀더 편하게 할 수 있는 기본 입 모양을 자연스럽게 형성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게 된다.
If the molar spacing is kept more open by using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구(10)를 물고 영어 발음 연습을 하게 되면 턱을 많이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발음을 만들어 내는데 사용되는 혀나 입, 비강 등이 좀더 적극적으로 사용되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취약한 혀와 입의 움직임을 더 정확히 움직이도록 연습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리고, 턱이 많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턱이 힘없이 많이 벌어지면서 성대를 위주로 발성하게 되는 일반적인 우리나라 사람들의 발성 특징에서 비강을 울리면서 발성하게 되는 영어식 발성 특징으로 자연스럽게 바꾸어주고 그런 발성 상태를 유지하면서 꾸준히 익숙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not move a lot of jaws when he / she is practicing pronunciation of Engl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 or she can naturally induce the tongue, mouth, nasal cavity, and the like used for producing pronunciation to be used more positively. It is effective for people to practice to move the tongue and mouth movements more generally in general. In addition, since the jaws do not spread a lot, the jaws are widened to a great extent, and the vocal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Korean people, which are vocalized by the vocal cords, are naturally changed to the English utterance characteristics You can make it steady and familia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구(10)는 영어 발음 뿐만 아니라 어금니 간격을 좀더 좁히면 우리나라 말 발음까지 교정 가능하며, 본 발음 교정구(10)를 물고 있는 동안에는 턱을 많이 움직이니 못하니 혀와 입 모양을 좀더 적극적으로 움직이게 되어 우리나라 말을 좀더 또렷하게 하는 효과까지 낼 수 있게 된다. 흔히 우리나라 말을 교정할 때 보면 볼펜 등을 물고 연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는 물고 있는 볼펜이 혀의 움직임을 막기 때문에 정확한 발음으로 연습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구(10)를 이용하면 물고 연습을 한다고 해도 상당히 정확한 발음으로 연습을 할 수 있고, 일상생활에서 대화를 하더라도 문제가 없을 정도의 정확한 발음이 가능하면서도 꾸준한 발음 교정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도 생활을 하면서 연습을 할 수 있고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상대방이 알아 볼 수도 없어 기존의 볼펜을 물고 연습을 하는 것 보다 훨신 더 높은 효과가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In addition, the
10 : 발음 교정구
12 : 상악치아지지부
12a : 절개홈
14 : 하악치아지지부
14a : 절개홈
16a,16b : 연결부
18a,18b : 완충돌기10: Pronunciation point
12: upper tooth support
12a: incision groove
14: mandible tooth support
14a: incision groove
16a and 16b:
18a and 18b:
Claims (5)
탄성소재로 구성되며, 상악 어금니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상악 어금니로 누르는 경우 탄성 변형되는 상악치아지지부(12)와;
상기 상악치아지지부(12)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탄성소재로 구성되어 하악 어금니를 상부에서 지지하고, 하악 어금니로 누르는 경우 탄성 변형되는 하악치아지지부(14)와;
상기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호 연결하는 부분으로, 좌우 양단부측에서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를 상하로 상호 연결하는 탄성소재 연결부(16a,16b)를 포함하는 발음 교정구.It is an orthodontic appliance which is installed between one maxillary molar and mandibular molar and assists and corrects English pronunciation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maxillary molars and mandibular molars.
An upper tooth support part 12 which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supports the upper molar teeth at the lower part and which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upper molar teeth are pressed by the upper molar teeth;
A mandibular tooth support portion 14 which is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teeth support portion 12 and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mandibular molar teeth are pressed by the mandibular molar,
The upper and lower teeth support portions 12 and 14 are ver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support portions 12 and 14 in a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teeth support portions 12 and 1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ound proofing mouth including the elastic material connecting portions (16a, 16b).
상기 상악치아지지부(12)의 하부면과 하악치아지지부(14)의 상부면의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가 부딪히는 경우 완충 작용을 수행하며,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발음에 요구되는 최소 간격으로 이격 유지시켜 주는 완충돌기(18a,18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 교정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uffering function is performed when the upper teeth support portion 12 and the lower teeth support portion 14 are protruded from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ooth support portion 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ooth support portion 14, , And buffering protrusions (18a, 18b) for keeping the interval between the maxillary molar teeth and the mandibular molar apart at a minimum interval required for sounding.
상기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의 표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홈(12a,14a)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 교정구.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12a, 14a) are reces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tooth support portions (12, 14).
상기 연결부(16a,16b)는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의 두께 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 교정구.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s (16a, 16b) are formed to be relatively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tooth support portion (12) and the lower tooth support portion (14).
상기 상악치아지지부(12) 및 하악치아지지부(14)의 양단부 내측은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상악치아지지부(12)와 하악치아지지부(14) 사이의 간격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하나의 큰 원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 교정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inner side of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support portions 12 and 14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and has a large circular cross sec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gap between the upper teeth support portion 12 and the lower tooth support portion 14. [ Is configured to form a sound-correcting phras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3979A KR101403558B1 (en) | 2014-01-13 | 2014-01-13 | Pronunciation correc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3979A KR101403558B1 (en) | 2014-01-13 | 2014-01-13 | Pronunciation correct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3558B1 true KR101403558B1 (en) | 2014-06-03 |
Family
ID=5113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3979A KR101403558B1 (en) | 2014-01-13 | 2014-01-13 | Pronunciation correc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355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18841A (en) * | 2016-11-29 | 2017-05-10 | 天津健康家园科技有限公司 | Buccal type stutter correct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93528A (en) * | 1997-04-21 | 1998-11-04 | Naoki Ueno | Pronunciation training instrument |
JP2001034157A (en) | 1999-07-23 | 2001-02-09 | Yoshiko Yoshida | Mouthpiece for vocalization |
KR20040106208A (en) * | 2004-03-09 | 2004-12-17 | 김윤근 | Device for rectifying English pronunciation |
KR20120002142U (en) * | 2010-09-15 | 2012-03-23 | 유위열 | Instrument for Correcting Pronunciation |
-
2014
- 2014-01-13 KR KR1020140003979A patent/KR10140355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93528A (en) * | 1997-04-21 | 1998-11-04 | Naoki Ueno | Pronunciation training instrument |
JP2001034157A (en) | 1999-07-23 | 2001-02-09 | Yoshiko Yoshida | Mouthpiece for vocalization |
KR20040106208A (en) * | 2004-03-09 | 2004-12-17 | 김윤근 | Device for rectifying English pronunciation |
KR20120002142U (en) * | 2010-09-15 | 2012-03-23 | 유위열 | Instrument for Correcting Pronunciat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18841A (en) * | 2016-11-29 | 2017-05-10 | 天津健康家园科技有限公司 | Buccal type stutter correc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087300A1 (en) | Invisible spring aligner | |
US9226866B2 (en) | Speech therapy device | |
JP201151034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oral tactile feedback | |
KR20150119597A (en) | Removable curvilinear orthodontic appliance | |
KR101403558B1 (en) | Pronunciation correcting device | |
KR20090018292A (en) | Pronunciation and vocal training mount device | |
KR950005281A (en) | Stuttering and Vowels, Corrector | |
JP4009659B1 (en) | Jaw position correction device | |
JP6558740B2 (en) | Vocal practice equipment | |
KR101741959B1 (en) | Articulation organization encouraging tongue depressors for pronunciation correction | |
US5662477A (en) | Demonstrative puppet for phonetic training of persons having speech and/or hearing disorders | |
CN201417524Y (en) | Articulating organ speaking movement correcting tool | |
KR100577534B1 (en) | Correction Equipment of English Pronunciation | |
CN201417523Y (en) | Articulating organ speaking movement positioning base | |
JP6265454B1 (en) | Pronunciation correction equipment | |
US9907690B1 (en) | Articulation aid | |
KR100530639B1 (en) | Device for rectifying English pronunciation | |
Tennyson | Laryngeal Self-Massage | |
KR101400522B1 (en) | Appararus for correcting pronuciation | |
JP2019216917A (en) | Radiotherapeutic mouth piece and head fixation device | |
KR200326600Y1 (en) | Device for rectifying english pronunciation | |
KR101784588B1 (en) | Appararus for correcting pronuciation | |
JP2004093723A (en) | Vocalization exercise instrument for vocal music | |
JP6453518B2 (en) | Language rhythm controller | |
EP3639785A1 (en) | Appliance for assisting vocal cord closure to train vocaliz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6 |